후게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게치는 원나라 세조 쿠빌라이 칸의 서자로, 1267년 운남왕에 봉해졌다. 그는 운남 지방의 통치를 맡아 대리 등 주변 지역을 다스렸으나, 1271년 기존 세력의 반발로 인해 독살당했다. 이후 쿠빌라이 칸은 다른 인물을 운남왕으로 임명하여 통치하게 했으며, 후게치의 아들 에센 테무르가 아버지의 지위를 이었다. 후게치의 가계는 아들 대까지는 기록이 일치하나, 그 이후는 자료에 따라 다르게 기록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몽골 제국의 군인 - 쿠툴룬
쿠툴룬은 13세기 몽골 카이두 칸의 딸이자 뛰어난 무예와 용맹으로 명성을 떨친 전사 공주로, 자신을 레슬링으로 이기는 남자와 결혼하겠다는 조건으로 수많은 구혼자를 물리쳤으며 아버지의 정치적 조언자 역할을 하고 투란도트 설화의 모티브가 되었다. - 몽골 제국의 군인 - 사천택
사천택은 금나라에서 몽골 제국으로 투항하여 오고타이 칸에게 특별한 지위를 받고 남송 공략과 쿠빌라이 칸 옹립에 기여한 인물로, 원나라 건국에 공을 세우고 쿠빌라이 칸 시기 재상으로서 여러 정책을 추진했다. - 1271년 사망 - 야로슬라프 3세
야로슬라프 3세는 야로슬라프 2세의 아들이자 알렉산드르 넵스키의 동생으로, 트베리 공국을 통치하며 발전시켰고, 블라디미르 대공위를 계승하여 친몽골 정책을 유지했으며, 사후 가문 간 권력 다툼을 야기한 인물이다. - 1271년 사망 - 바라크 칸
바라크 칸은 칭기즈 칸의 후손으로 차가타이 칸국의 칸이었으며, 하이두의 지원을 받아 일 칸국을 공격했으나 패배하고 사망했다. - 쿠빌라이 칸의 황자 - 코코추
코코추는 쿠빌라이 카안의 아들이자 원나라 왕족으로, 카이두와의 전투와 시리기의 난에 연루되었으며, 영왕에 봉해졌으나 정변에 참여했다가 추방 후 사망했다. - 쿠빌라이 칸의 황자 - 친킴
친킴은 쿠빌라이 칸의 아들이자 원나라 황태자로, 유교를 지지하고 한족 학자들에게 가르침을 받았으며, 알코올 중독으로 사망 후 문혜명효황제로 추존되었다.
후게치 | |
---|---|
기본 정보 | |
한국어 이름 | 후게치 |
몽골어 이름 | Хөхч |
중국어 이름 | 忽哥赤 |
만주-몽골 문자 이름 | ᠬᠥᠬᠡᠴᠦ |
신분 | |
칭기즈 칸의 아들 | 예 |
생몰년도 | 불명 |
형제 | 주치 차카타이 오고타이 툴루이 |
자녀 | 테케 메릭 투메테이 부리 |
2. 생애
후게치는 원나라 세조 쿠빌라이의 서자 중 한 명으로, 지원 4년(1267년)에 은 3만 냥을 하사받았다.[3] 같은 해, 쿠빌라이는 자신의 영토를 세 부분으로 나누어 아들들에게 분봉했는데, 후게치는 운남왕으로 봉해져 윈난 지역으로 갔다.[4] 이때 왕부 코코다이, 부위 채정, 사마 녕원 등이 함께 동행하여 현지 행정을 장악했다.[6]
당시 운남 지방은 서북쪽의 차간 장, 중동부의 카라 장, 대리를 중심으로 하는 서방의 대리 지구로 나뉘어 있었다.[7] 후게치는 이 지역들을 통치하는 것 외에도, 몽골에 복속되지 않은 남방의 안남과 자르단단(금치) 지역으로 세력을 넓히는 데에도 관심을 가졌다.[8][9]
후게치의 운남 통치는 몽골의 지배력 강화를 위한 목적도 있었기 때문에,[10] 기존에 이 지역에서 권력을 가지고 있던 보합정은 1271년에 뇌물을 이용하여 왕상부 관리들과 함께 후게치를 독살했다.[11] 쿠빌라이는 이 사건을 심각하게 여겨 보합정을 처형하고,[10] 운남 통치 방식을 바꾸어 사이이드 아잘 샴수딘을 파견하고 운남행성을 설치했다. 후게치의 아들 에센 테무르는 사이이드 아잘이 사망한 후인 1280년에야 운남 왕위를 이을 수 있었다.
2. 1. 생애 초기
후게치는 원나라 세조 쿠빌라이 카안의 다섯 번째 서자로, 정확한 출생년도는 기록되어 있지 않으나 1267년 (지원 4년) 무렵에는 이미 성년이었다. 그러나 친킴보다는 나이가 아래였다. 원사와 원사연의에는 후게치의 생모에 대한 기록이 없다. 페르시아 라시드 앗 딘의 『집사 (集史)』에 따르면 후게치는 쿠빌라이의 측실 중 한 명인 도르벤 부족 출신의 차비 카툰 소생이었으며, 한 배에서 난 형제로 서평왕(西平王) 오그룩치가 있었다고 한다.쿠빌라이의 서자 가운데서 나이가 많은 편이었던 후게치는 1267년 (지원 4년) 3월 이복형제인 쿠빌라이의 적자 친킴, 망갈라, 노무간 등과 함께 은 3만 냥을 하사받았다.[13] 쿠빌라이가 아릭부케와의 황위 계승 싸움에서 승리하고 유일한 대칸이 된 뒤 자신의 영토를 크게 셋으로 나누어 분봉했는데, 후게치는 운남(雲南) 방면의 땅을 받고 운남왕(雲南王)에 봉해졌다.[13] 다만 서자인 후게치의 영지는 적자인 친킴 등의 왕국보다는 비교적 규모가 작았고, 안서왕 망갈라의 명령을 받았던 것으로 보인다.[14]
2. 2. 운남왕 책봉과 통치
1267년 8월 22일, 후게치는 운남왕에 봉해졌다. 같은 해 9월 후게치는 왕부(王傅) 코코데이, 부위(府尉) 시정(柴禎), 사마(司馬) 영원(寧源) 등을 데리고 운남 지방으로 부임해 현지 행정을 장악하였다.[15] 실질적인 통치권은 쿠빌라이 카안이 파견한 다루가치들이 행사하였다. 같은 해 9월 대리 등 외행6부(大理等处行六部)로 지칭되는 구 대리국을 포함한 주변 6개 행성을 영지로 받았다.후게치는 이들 지역의 통치 외에도 아직 몽골의 지배에 들지 않은 남방의 안남(베트남)이나 자르단단(금치金歯)으로의 진출에도 주목하였다.[13][16] 후게치는 곧 정부를 꾸려 코코대(闊闊帶), 한인 습정병(柴楨併)을 상서로 임명하고 겸 왕부부위(兼王傅府尉)로, 영원(寧源)을 시랑(侍郎), 겸사마(兼司馬)로 임명했다.
당시 운남 지방은 크게 세 지방으로 나뉘었다. 서북의 모소족과 그 주변으로 이루어진 차간 장, 중동부의 선찬과 삼십칠부만 지구로 이루어진 카라 장, 대리를 중심으로 하는 서방의 대리 지구였다.[7] 후게치는 이러한 지구의 통치 외에도, 아직 몽골에 복속되지 않은 남방의 안남과 자르단단(금치)으로의 진출에도 관여했다.[8][9]
후게치의 운남 지방 출진은 쿠빌라이가 아들에게 분봉했다는 성격 외에도, 몽골의 운남 지배 강화라는 측면도 가지고 있었다.[10]
2. 3. 독살과 죽음
대리등처선위도원수 孛合丁중국어 등은 자신들의 기득권을 침해받자 지원 8년(1271년)에 뇌물로 왕상부의 관리와 함께 후게치를 독살했다.[11] 쿠빌라이는 이 사태를 심각하게 여겨 단사관 박라환을 파견하여 보합정을 처형했다.[10]2. 4. 사후
왕부문학 장입도는 비밀리에 경사로 달려가 사건을 고변했다. 사태를 심각하게 받아들인 쿠빌라이 카안은 단사관 보라곤, 이부상서 벨테무르 등을 운남에 보내 보합정 등을 처형했다.[11] 매장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후게치의 죽음 이후 쿠빌라이 칸은 운남 통치 방침을 변경하여, 사이드 아잘 삼스 알딘을 파견하고 운남행성을 설치하여 안정적인 지배를 확립하고자 했다.[10] 후게치의 아들 에센 테무르는 사이드 아잘 삼스 알딘 사후(1279년 8월 21일 사망)인 1280년 10월에야 운남왕 지위를 계승했다.[2]
3. 가계
후게치의 가계에 관해서는, 후게치의 아들인 영왕 에센 테무르까지는 동서 사료의 기술이 일치하지만, 그 이후의 세대에 관해서는 불분명한 점이 많다. 《남촌철경록》은 에센 테무르의 아들로 탈환불화 태자와 탈로 태자의 이름을 언급하고 있으며, 《원사》에는 혈연관계가 불분명한 "운남왕 아로", "운남왕 보라"가 기록되어 있다. 《집사》에는 에센 테무르에게 토간 부카 태자 (Toγan Buqa|탈환불화 태자mn), 투글루크 태자, 볼로트라는 세 아들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12]
현재는 탈환불화 태자를 투스 부카, 탈로 태자를 투그슬루크, 운남왕 보라를 불라드에 비정하며, 원말 명초의 량왕 바자라와르미를 운남왕 보라의 아들로 보는 설이 유력하다.[12]
참조
[1]
서적
愛宕1970
[2]
서적
志茂2013
[3]
논문
元史巻6世祖本紀3
[4]
논문
元史巻6世祖本紀3
[5]
논문
杉山1995
[6]
논문
松田1980
[7]
논문
松田1980
[8]
논문
元史巻6世祖本紀3
[9]
논문
元史巻6世祖本紀3
[10]
논문
松田1980
[11]
논문
元史巻7世祖本紀4
[12]
서적
王亦秋2010
[13]
서적
《원사》(元史)
[14]
간행물
일본 교토대학 스기야마 마사아키(杉山正明) 교수는 친킴 등 쿠빌라이의 세 적자가 분봉된 왕국을 3대 왕국(大王國), 후게치 등 두 서자가 분봉된 왕국을 2 소왕국(小王國)으로 구분해 부르고 있다
[15]
간행물
일본의 마쓰다 고이치(松田孝一)에 따르면 후게치의 윈난 부임에 수반해 운남왕 왕가의 가정기관이 될 왕부(王府)와 운남 지방의 통치기관으로 대리(大理) 등지의 행육부(行六部)가 설치되고 이들 기관은 왕상부(王相府)로 통칭되었다. 당시 운남 지방은 다시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뉘어, 서북쪽의 나시족과 그 주변부인 챠간 쟌, 중동부인 선천(鄯闡)과 37부 만족(蛮族) 지구인 카라 쟌, [[다리 시|대리]](大理)를 중심으로 하는 서쪽의 대리 지구였다.
[16]
간행물
이러한 후게치의 윈난 지역 통치는 쿠빌라이에 의한 그의 아들들에 대한 분봉이라는 성격을 띠고 있었고, 몽골에 의한 운남 지배 강화라는 일면도 지니고 있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