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친킴은 1243년 쿠빌라이 칸의 아들이자 차비 카툰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는 선불교 승려로부터 쩐진이라는 이름을 받았으며, 유교를 지지하며 한족 학자들에게 가르침을 받았다. 1273년 원나라 황태자로 지명되었으나, 무슬림 재무 관료와의 갈등, 1282년 아흐마드의 암살 사건 등을 겪었다. 1286년 알코올 중독으로 사망했으며, 그의 아들 테무르가 황태자가 되었다. 사후 문혜명효황제로 추존되었으며, 고려에 조문 사절이 파견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원나라의 왕작 - 엘 테무르
엘 테무르는 킵차크 부족 출신으로 천력 내란을 주도하여 원나라 최고 실력자가 되었으나 사후 가문은 몰락한 원나라의 권신이다.
친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친킴 |
원어 이름 (몽골어) | ᠴᠢᠩᠭᠢᠮ |
원어 이름 (몽골어, 키릴 문자) | Чингим |
중국어 이름 (번체) | 真金 |
중국어 이름 (간체) | 真金 |
중국어 병음 | Zhēnjīn |
신분 | |
칭호 | 연왕 |
생애 | |
출생일 | 1243년 7월 8일 |
사망일 | 1286년 1월 5일 (42세) |
사망지 | 원나라 대도 황궁 |
가족 관계 | |
아버지 | 쿠빌라이 칸 |
어머니 | 차비 |
배우자 | 코코진 카툰 바이람에게치, 안치미시 비자 |
자녀 | 감마라, 다르마발라, 테무르 |
종교 | |
종교 | 티베트 불교 |
기타 정보 | |
왕조 | 원나라 |
가문 | 보르지긴 가문 |
묘호 | 유종 (裕宗) |
시호 | 문혜명효황제 (文惠明孝皇帝) |
2. 생애
친킴은 1243년 쿠빌라이 칸의 둘째 아들이자 차비의 첫째 아들로 태어났다. 선불교 승려 하이윤이 그에게 쩐진(Zhenjin, "진정한 금")이라는 이름을 지어주었다.[3] 그는 유교를 적극적으로 지지했으며, 야오수, 두모, 류빙중, 왕순 등의 한족 학자들에게 가르침을 받았다. 특히 ''시경''과 ''효경''을 공부했다.[5]
1261년 12월 15일 연왕(燕王)에 봉해지고 대도와 주변 지역을 다스렸다. 1262년 12월 2일 다시 연왕에 책봉되고 수중서령(守中書令)에 임명되었다. 1263년 친형 태자 타르지가 요절하면서 쿠빌라이 칸의 후계자로 지정되었다. 1273년 2월 21일 황태자로 책봉되고, 겸 중서령(中書令) 판추밀원사에 임명되어 중서성과 군권을 통할하게 하였다.
친킴은 한족 관료들의 지지를 받았으며, 그의 외가인 옹기라트 부족을 필두로 하는 몽골 귀족층 역시 그를 지지했다. 그러나 쿠빌라이 칸이 아흐마드를 화북 지역의 재무장관으로 임명하면서, 무슬림 재무 관료들과 친킴 아래 모인 한인, 몽골인들 사이에 갈등이 발생했다. 1281년 아흐마드의 후원자였던 친킴의 어머니 차브이 카툰이 사망하자 갈등은 더욱 심해졌고, 1282년 4월 10일에 친킴 파의 한인 관료에 의해 아흐메드가 암살되었다.
1285년 어사대에서 쿠빌라이 카안에게 친킴에게 양위하라는 상소를 올렸다가 쿠빌라이 카안의 분노를 샀다. 이 일로 친킴은 두려움에 휩싸였고, 과음으로 건강이 악화되었다.[3] ''원사''에 따르면, 그는 1286년 1월 5일 알코올 중독으로 사망했다.[8] 하지만, 단순히 과음으로만 설명하기는 어렵다는 시각도 있다.
그의 죽음 이후 쿠빌라이 칸은 친킴의 아들 테무르를 새로운 황태자로 임명했다. 1293년 2월 25일 쿠빌라이는 친킴에게 명효(明孝) 태자로 추증했다. 1294년 6월 3일 테무르는 그에게 시호는 문혜명효황제(文惠明孝皇帝), 묘호는 유종(裕宗)으로 올렸다.
2. 1. 생애 초반
1243년 7월 8일(음력 6월 20일) 허베이성에서 쿠빌라이 칸과 그의 계비 옹기라트부 출신 안진 노얀의 딸 소예순성황후 차브이 카툰(Čabui, 察必)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이름은 쿠빌라이가 초빙한 북부 중국의 저명한 불교 승려 하이윤(海雲)이 친킴(眞金)이라 지어주었다. 친킴은 한자로 순금을 의미한다. 페르시아어 사서에서 그의 이름은 침킴(چيم كيم)으로 나타난다. 그가 태어날 당시 아버지 쿠빌라이 칸은 허베이 성 일대를 통치하고 있었다. 정확한 생일은 전하지 않는다. 친형제로는 형 도르지, 친동생으로 안서왕 망갈라, 북평왕과 진왕으로 책봉되고 몽골고원에 파견된 노무간 등이 있었다.쿠빌라이 카안은 한인 조씨(趙氏)를 친킴의 유모로 정하였다. 1271년(지원 8년) 3월 26일 친킴의 유모 조씨는 특별히 태자의 유모라 하여 유국부인(豳國夫人)에 봉해지고, 그의 남편으로 이미 죽은 공덕록(巩德祿 혹은 鞏德祿)은 덕육공(德育公)에 추봉되었다.
친킴의 어린 시절에 대한 기록은 원사, 원사연의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친킴의 용모에 대한 것 역시 원사, 원사연의 등에 기록이 나타나지 않는다. 1248년 쿠빌라이 카안의 명으로 형제들과 글을 배우기 시작했다. 이때 칭기즈 칸의 친위대원의 아들이자 보르테 카툰의 시종이었던 집안의 아들 볼라드 등 귀족 자제들과 함께 글을 배우게 되었다. 그는 쿠빌라이 칸의 둘째 아들이자 차비 카툰의 첫째 아들로 태어났다.[3]
2. 2. 청소년기
1243년 선불교 승려 하이윤이 그에게 쩐진(Zhenjin, "진정한 금")이라는 이름을 지어주었다.[3] 그는 쿠빌라이 칸의 둘째 아들이자 차비 카툰의 첫째 아들이었다. 소년 시절 내몽골의 도시이자 아버지 쿠빌라이 칸의 대중국 통일전쟁 본거지였던 개평부(훗날의 상도)에 체류하며 쿠빌라이의 한인 브레인에 둘러싸여 자랐다. 아버지 쿠빌라이 칸은 중국인 출신 유학자 요추(姚樞), 두묵(竇默)을 초빙하여 그에게 성리학을 배우게 했고, 소년 시절에 그는 효경(孝經) 내용을 암송할 정도가 되었다. 쿠빌라이 카안은 이를 크게 기뻐했다 한다. 왕선은 그에게 중국의 고전을 가르쳤다. 친킴은 도교 술사들과도 교류하는 한편, 티베트 불교의 팍스파 라마를 만나 그의 가르침을 받았다.1259년 쿠빌라이 칸이 남송 정벌에 출정 중일 때 친킴은 카라코룸에 있었고, 아리크부카 일파의 대권 계승 상황을 예의주시하였다.
그는 유교의 강력한 지지자로 알려졌으며, 한족 학자 야오수 (1203–1280), 두 모(Dou Mo, 1196–1280), 류빙중 (1216–1274) 및 왕순에게 가르침을 받았다. 특히 그는 ''시경''과 ''효경''을 공부한 것으로 알려졌다.[5]
2. 3. 청년기
1261년 12월 15일 친킴은 연왕(燕王)에 봉해지고 대도와 주변 지역을 다스렸다. 아버지 쿠빌라이 칸이 관제를 중국식으로 개편하면서 영중서성사(領中書省事)를 겸직했다. 쿠빌라이 칸은 중국어와 중국 문화를 잘 이해한 친킴을 신뢰하여 자신의 대리자로 지명했다.[3] 1262년 12월 2일 다시 연왕(燕王)에 책봉되고 겸임 수중서령(守中書令)에 임명되었다. 1263년 병약했던 친형 태자 타르지가 요절하면서 쿠빌라이 칸의 후계자로 지정되었다. 1263년 5월 6일 수중서령(守中書令)에 임명되고, 같은 날 판추밀원사(判樞密院事)를 겸하여 군정 기관 추밀원도 장악, 중국 북부의 정치, 행정을 장악하였다. 그해 8월 쿠빌라이 카안은 그에게 칙령을 관리하도록 명했다. 1264년 다시 판추밀원사에 임명되었다. 1267년 3월 쿠빌라이 칸은 연왕 친킴, 망갈라(忙阿剌), 노무간(那沒罕), 후게치(忽哥赤) 등에게 은(銀) 3만 냥을 하사했다.1271년 아버지 쿠빌라이 칸이 원나라를 선포하고 황제가 되었다. 1273년 2월 21일 친킴은 황태자로 책봉되고, 겸 중서령(中書令) 판추밀원사에 임명되어 중서성과 군권을 통할하게 하였다. 형 타르지가 미혼에 상속인이 없이 사망하여, 당대의 몽골인들은 친킴을 사실상 세조 쿠빌라이 카안의 장남으로 취급하였다. 그해 4월 2일 태위(太尉)직을 겸직했다.
친킴은 중국 문화와 유학에 대한 이해도가 높았지만, 한족 유학자들이 꺼리는 티베트 불교를 신봉하였다. 또한 도교에도 호의적이었다. 그는 한인 유학자들 외에도 색목인 등 타민족 출신 인사들을 조정에 채용하였다.
친킴은 쿠빌라이 칸의 둘째 아들이자 차비 카툰의 첫째 아들로 태어났다. 1243년 출생 당시 중국 선불교 승려 하이윤(Haiyun)이 그에게 쩐진(Zhenjin, "진정한 금")이라는 이름을 지어주었다.[3] 그는 유교의 강력한 지지자로 알려졌으며, 한족 학자 야오수 (1203–1280), 두 모(Dou Mo, 1196–1280), 류빙중 (1216–1274) 및 왕순과 같은 학자들에게 가르침을 받았다. 특히 그는 ''시경''과 ''효경''을 공부한 것으로 알려졌다.[5]
2. 4. 태자 책봉과 조정 장악
1273년 원 세조는 친킴을 공식 후계자로 확정하였다.[15] 그해 3월 13일 쿠빌라이 카안은 차브이 카툰과 친킴을 황후, 태자로 책립했고 4월 2일 황태자로 공식 책봉되었다. 1280년 10월 29일 조령을 내려 조정에 참예하게 했다.친킴은 어려서부터 한인에 대한 이해가 깊었다. 중급, 하급 관료들 중 중서성에 모인 한인 출신 관료의 지지를 받았다. 또한 중서성의 우승상 안톤(安童)은 칭기즈 칸의 공신 무칼리의 증손이며, 친킴의 어머니 차브이 카툰의 자매이자 보르테 카툰의 친정 조카딸이었다. 쌍방의 외가인 옹기라트 부족을 필두로 하는 몽골 귀족층 역시 친킴을 지지하였다.
쿠빌라이 카안은 무슬림 아흐메드를 중용, 그를 화북 지역의 재무장관으로 임명하여 화북 지역의 조세 업무를 맡겼다. 아흐메드를 중심으로 무슬림, 투르크인 관료들이 모이는 한편, 한인, 몽골인들은 이에 불만을 품고 친킴의 아래에 모여 암암리에 대립하게 되었다.
쿠빌라이는 황태자를 미리 세워서 후계 문제에 따른 분쟁을 막으려 했다. 그러나 친킴은 아흐메드 등 상서성의 무슬림 재무관료들을 극도로 미워하여 갈등이 생겼고, 조회 석상에서 아흐메드를 간신이라며 공격했다. 아흐메드와의 갈등은 곧 쿠빌라이와의 갈등으로 이어졌다. 아흐메드 등은 화북 지역의 재정 권한을 쥐고 있었다. 1280년 원나라의 조정은 친킴을 지지하는 파벌과 상서성 아흐메드를 지지하는 파벌 간 권력 다툼이 발생하고, 1281년 아흐메드의 후견인이었던, 친킴의 모후 차브이 카툰이 죽자 친킴파와 친아흐메드파 사이의 갈등은 격화되었다. 1282년 4월 10일에 친킴 파의 한인 관료에 의해 아흐메드가 자택에서 암살되었다. 아흐메드의 사후 더 이상 황태자 친킴의 권한에 견제할 수 있는 세력은 거의 사라졌다.
2. 5. 생애 후반
1285년 어사대에서 쿠빌라이 카안에게 친킴에게 양위하라는 상소를 올렸다가 쿠빌라이 카안의 분노를 샀다. 그러나 어사대 관료들은 처벌받지 않았고, 친킴에게도 아무런 불이익이 가해지지 않았다. 그해 아흐메드의 측근인 타지코(塔即古)가 어사대에 쿠빌라이 카안에게 친킴 태자에게 양위하라는 주장(奏章)을 올렸다. 그러나 친킴이 당시 중국 한인들로부터 폭넓은 지지를 얻은 것을 알게 된 쿠빌라이 칸은 격분하여, 황태자 친킴을 불쾌히 여기면서도 두려워했다. 친킴은 두려움으로 전전긍긍했고, 지병이 악화되었다. 그는 술을 많이 마시게 됐고, 이내 건강이 급격히 악화되었다.[3]1285년 근심과 걱정으로 스트레스성 병이 생겼다. 술을 좋아했던 그는 1286년 1월 5일에 과도한 음주로 인한 알코올 중독, 스트레스 등으로 갑자기 사망했다.[3] 친킴 태자가 쿠빌라이보다 먼저 죽자, 원나라 황태자부의 관리 권한은 코코진에게 넘어갔다. 그의 갑작스러운 죽음은 쿠빌라이 칸에게 회한과 타격을 주었다 한다.[8]
''원사''에 따르면, 그는 아버지 쿠빌라이 칸보다 8년 전인 1286년 1월 5일 알코올 중독으로 사망했다. 그러나 단순히 과음으로만 설명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사망 직전에 일부 조정 대신들이 쿠빌라이 칸에게 고령과 친킴이 제국 전역에서 존경을 받았기 때문에 친킴에게 양위할 것을 제안하려 했다고 한다. 그러나 친킴은 이러한 일이 일어나는 것을 막으려 했다. 불행하게도 쿠빌라이 칸은 어쨌든 이 사실을 알게 되었고 격노하여 친킴을 두려움에 떨게 했으며, 이로 인해 그가 과음하게 되었을 수도 있다.[8][3] 그의 죽음에 슬퍼한 쿠빌라이 칸은 친킴의 아들 테무르를 새로운 황태자로 임명했다. 1293년 2월 25일 쿠빌라이는 사후에 친킴에게 명효(明孝) 태자로 추증했다. 테무르는 1294년 6월 3일 그에게 시호는 문혜명효황제(文惠明孝皇帝)로, 묘호는 유종(裕宗)으로 올렸다.
아흐마드의 죽음 이후, 더 이상 황태자 친킴의 권한에 간섭할 수 있는 권신은 없어졌다. 때문에 친킴의 당파는 화북 지방에서 독재적인 권력을 휘두르게 되었고, 앞서 쿠빌라이에게 양위를 진언하는 자까지 나타날 정도의 상황이 되었지만, 지위안 22년 12월 10일(1286년 1월 5일), 갑자기 친킴은 병사했다.
친킴의 죽음 이후, 그 막대한 권력에 힘입어 매우 광대하고 풍족하게 성장했던 황태자부의 소유지와 재산은 친킴의 미망인 코코진에게 계승되었고, 쿠빌라이의 사후, 코코진은 친킴의 삼남 테무르를 즉위시켰다. 지위안 31년 5월 9일(1294년 6월 3일), 테무르는 할아버지 쿠빌라이에게 세조의 묘호와 성덕신공문무황제를, 할머니 차브이에게 소예순성황후를 각각 시호로 추존한 것에 더해, 망부 친킴에게 '''문혜명효황제'''를 추시하여, 친킴은 황제에 준하는 제사를 받았다.
3. 사후
고려는 뒤에 이 소식을 전해 듣고, 1286년 5월 4일 제안공 왕숙(齊安公 王淑)과 상장군 인후(印侯)를 보내 친킴의 죽음을 조문하게 했다.
그의 장지가 어디인지는 기록이 남아있지 않아 알 수 없다. 일설에는 기련곡(부르트 칼둔)에 매장되었다고도 하나 확실하지 않다. 친킴의 갑작스러운 죽음은 쿠빌라이 칸에게 큰 슬픔을 안겨주었고, 이후 쿠빌라이 칸은 친킴의 아들들을 총애하였다. 쿠빌라이 칸은 지나치게 술을 많이 마시고 과식과 폭식을 일삼아 통풍에 걸리는 등 건강이 급속도로 나빠지기 시작했다. 쿠빌라이 칸이 죽자 그의 동생 노무간은 황태자가 되기를 기대했으나, 쿠빌라이 칸은 친킴을 안타깝게 여겨 그의 아들 다르마발라를 황태손으로 책봉했다. 그러나 다르마발라 역시 1292년 병으로 일찍 세상을 떠났고, 테무르가 황태손이 되었다. 1293년 2월 25일 쿠빌라이 칸은 친킴에게 명효태자(明孝太子)라는 시호를 내렸고, 10월 23일에는 세조의 명으로 태묘에 함께 모셔졌다.
1294년 5월 10일 원 성종 테무르는 즉위 직후 조서를 내려 아버지 친킴을 황제로 추존했다. 6월 3일에는 유종(裕宗)이라는 묘호와 문혜명효황제(文惠明孝皇帝)라는 시호를 올렸다. 다만 추존된 칸호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청나라 때에는 그의 이름이 진친(珍戩)으로 불렸으나, 청나라가 멸망한 후 원래 이름으로 되돌려졌다.
4. 가족 관계
부인 | 비고 |
---|---|
휘인유성황후 | 옹기라트부 출신, 추존황후 |
안진미실 비자 | 알치미시 카툰 |
- 내용 요약: 친킴은 정실 부인과 후궁을 두었다.
4. 1. 조부모와 부모
친킴mn(眞金)은 1243년 7월 8일(음력 6월 20일) 허베이성에서 훗날 몽골 제국의 대칸이자 원나라를 건국한 쿠빌라이 칸과 그의 계비 옹기라트부 출신 안진 노얀의 딸 소예순성황후 차브이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10] 그의 이름 친킴(眞金)은 쿠빌라이가 초빙한 북부 중국의 저명한 불교 승려 하이윤이 지어준 것으로, 한자로 순금을 의미한다.[10] 페르시아어 사서에는 침킴(چيم كيم)으로 나타난다.[10] 친킴이 태어날 당시 아버지 쿠빌라이 칸은 허베이 성 일대를 통치하고 있었다.[10]친킴에게는 형 도르지가 있었고, 친동생으로 안서왕 망갈라, 북평왕과 진왕으로 책봉되고 몽골고원에 파견된 노무간 등이 있었다.[10]
쿠빌라이 카안은 한인 조씨(趙氏)를 친킴의 유모로 정하였다.[10] 조씨는 1271년 3월 26일 특별히 태자의 유모라 하여 유국부인(豳國夫人)에 봉해졌고, 이미 사망한 조씨의 남편 공덕록(巩德祿 혹은 鞏德祿)은 덕육공(德育公)에 추봉되었다.[10]
1248년 쿠빌라이 카안의 명으로 형제들과 글을 배우기 시작했다.[10] 이때 칭기즈 칸의 친위대원의 아들이자 보르테 카툰의 시종이었던 집안의 아들 볼라드 등 귀족 자제들과 함께 글을 배웠다.[10]
친킴의 가계는 다음과 같다.
관계 | 이름 |
---|---|
조부 | 예종 툴루이(睿宗) |
조모 | 헌의장성황후 케레이트씨(顯懿莊聖皇后) |
부친 | 세조 쿠빌라이(世祖) |
모친 | 소예순성황후 옹기라트씨(昭睿順聖皇后) |
정실 | 휘인유성황후 옹기라트씨(徽仁裕聖皇后): 추존황후(追尊皇后) |
후궁 | 안진미실 비자(安眞迷失 妃子), 알치미시 카툰 |
4. 2. 후비
그는 코코진(Kökejin, 闊闊眞)과 결혼하여 훗날 테무르로 즉위하는 아들을 낳았다. 코코진은 곤기라트(Qonggirad, 弘吉剌) 부족 출신으로, 1263년부터 1265년까지 3년간 아들 카말라(Kammala, 甘麻剌), 다르마발라(Tarma Balā, 答剌麻八剌), 테무르를 낳았다.[15] 또다른 아내인 알치미시 카툰은 원사 후비표에 이름만 전하고, 상세한 행적은 나타나지 않는다.1281년에 모후 차브이가 사망하면서, 군주 후·비의 궁과 소속 영지 및 재산은 동일 부족 출신의 후·비가 상속하는 몽골의 전통에 따라 생전의 차브이가 모은 막대한 재산을 코코진이 상속하였다.
그는 정실 부인과 후궁을 두었다.
부인 | 자녀 |
---|---|
쾨케진 - 콩기라트 부족 출신 | |
후궁 안친미시 | |
미상의 후궁 | |
고고진 | |
안진미실 비자 |
4. 3. 황자
1273년 3월 13일 쿠빌라이 칸은 차브이 카툰과 친킴을 황후, 태자로 책립했고, 4월 2일 황태자로 공식 책봉하였다.[15] 1280년 10월 29일 조령을 내려 조정에 참예하게 했다.친킴은 어려서부터 한인에 대한 이해가 깊었다. 그는 중급, 하급 관료들 중 중서성에 모인 한인 출신 관료의 지지를 받았다. 또한 중서성의 우승상 안톤은 칭기즈 칸의 공신 무칼리의 증손이며, 친킴의 어머니 차브이 카툰의 자매이자 보르테 카툰의 친정 조카딸이었다. 옹기라트 부족을 필두로 하는 몽골 귀족층 역시 친킴을 지지하였다.
1267년에서 1279년 기간 중 쿠빌라이 칸이 남송 원정 전쟁에 출정했을 때 친킴은 부황을 대리하여 정무를 관장하였다.
쿠빌라이는 황태자를 미리 세워서 후계 문제에 따른 분쟁을 막으려 했다. 그러나 친킴은 상서성의 무슬림 재무관료들을 극도로 미워하여 갈등이 생겼고, 조회석상에서 아흐메드를 간신이라며 공격했다. 아흐메드와의 갈등은 곧 쿠빌라이와의 갈등으로 이어졌다. 아흐메드는 화북지역의 재정권한을 쥐고 있었다. 1280년 원나라의 조정은 친킴을 지지하는 파벌과 아흐메드를 지지하는 파벌 간 권력 다툼이 발생하고, 1281년 아흐메드의 후견인이었던, 친킴의 모후 차브이 카툰이 죽자 친킴파와 아흐메드파 사이의 갈등은 격화되었다. 1282년 4월 10일에 친킴 파의 한인 관료에 의해 아흐메드가 자택에서 암살되었다. 아흐메드의 사후 더 이상 황태자 친킴의 권한에 견제할 수 있는 세력은 거의 사라졌다.
1281년 모후 차브이가 사망하며 군주 후·비의 궁과 소속 영지 및 재산은 동일 부족 출신의 후·비가 상속하는 몽골의 전통을 따라 생전의 차브이가 모은 막대한 재산을 코코진이 상속하였다. 그해 한때 부황 쿠빌라이 칸의 미움을 받고 한때 북방 몽골고원으로 추방되었다가 돌아왔다. 친킴은 이를 불쾌히여겼다. 10월 21일 스스로 북변으로 갔다가 돌아왔다.
4. 4. 황녀
쿠빌라이 칸이 남송 원정 전쟁에 출정했을 때 친킴은 부황을 대리하여 정무를 관장하였다. 1273년 3월 13일 쿠빌라이 카안은 차브이 카툰과 친킴을 황후, 태자로 책립했고 4월 2일 황태자로 공식 책봉되었다.[15] 1280년 10월 29일 조령을 내려 조정에 참예하게 했다.1281년에 모후 차브이가 사망하며, 군주 후·비의 궁과 소속 영지 및 재산을 동일 부족 출신의 후·비가 상속하는 몽골의 전통을 따라 생전의 차브이가 모은 막대한 재산을 코코진이 상속하였다.
그는 정실 부인과 후궁을 두었다.
부인 | 출신 부족 | 자녀 |
---|---|---|
코코진 | 콩기라트 | |
안친미시 | 미상 | |
미상의 후궁 | 미상 |
5. 관련 작품
1982년 미국-이탈리아 합작 미니시리즈 ''마르코 폴로''에서 "친킴"은 핵심 등장인물로, 배우 이시다 준이치가 연기했다.[12] 이 영화에서 그는 간질을 앓는 것으로 묘사된다. 2014년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마르코 폴로''에서 "징김 황자"는 주요 등장인물이며, 레미 히가 연기했다.[13]
5. 1. 드라마
참조
[1]
논문
〈元《析津志•原廟•行香》篇疏證〉
https://www2.ihp.sin[...]
Institute of History and Philology, Academia Sinica
2008-03-00
[2]
서적
The Mongols :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3]
서적
Encyclopedia of Mongolia and the Mongol empire
https://www.worldcat[...]
Facts On File
2004
[4]
서적
A Concise History of China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999
[5]
서적
Could the Mongol Emperors Read and Write Chinese?
https://books.google[...]
1952
[6]
서적
The Successors of Genghis Khan
https://archive.org/[...]
[7]
논문
Reading the Middle Mongol Translation of 'Phags-pa's Shes-bya rab-gsal in the St. Petersburg Manuscript and in a Print Fragment from Qaraqota
https://www.jstor.or[...]
2016
[8]
서적
Yuan Shi 元史 [History of Yuan]
臺灣商務印書館 "The Commercial Press, Ltd."
2010
[9]
웹사이트
Zangpo Pel
http://treasuryofliv[...]
2021-02-03
[10]
서적
Women and the Making of the Mongol Empire
2018
[11]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VI
1994
[12]
영화
Marco Polo
[13]
웹사이트
Netflix's 'Marco Polo' Sets Its Cast
http://www.hollywood[...]
2014-04-08
[14]
논문
〈元《析津志•原廟•行香》篇疏證〉
https://www2.ihp.sin[...]
中央研究院歴史語言研究所
2008-03-00
[15]
서적
몽골 제국의 황금기
2008
[16]
웹사이트
Zangpo Pel
http://treasuryofliv[...]
2021-02-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