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흄-로더리 규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흄-로더리 규칙은 고용체 형성을 예측하는 규칙으로, 윌리엄 흄-로더리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이 규칙은 치환형과 간극형 고용체에 대한 조건을 제시하며, 원자 크기, 결정 구조, 원자가, 전기음성도 등의 요소를 고려한다. 치환형 고용체는 용질과 용매의 원자 크기 차이가 15% 이내여야 하고, 결정 구조가 유사하며, 원자가와 전기음성도가 비슷해야 한다. 간극형 고용체는 용질 원자 반경이 용매 원자 반경의 59%보다 작아야 하고, 전기음성도가 유사하며, 원자가가 같아야 한다. 이 규칙은 다성분계 시스템으로 확장될 수 있지만, 전이 금속을 포함하는 합금이나 전자 화합물에 적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규칙 - 가이드라인
    가이드라인은 특정 분야에서 준수해야 할 사항들을 제시하는 지침을 의미하며, 법률, 과학, 기술,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규칙 - 플레밍의 왼손 법칙
    플레밍의 왼손 법칙은 자기장 내 전류 도체가 받는 힘의 방향을 결정하는 법칙으로, 왼손의 엄지, 검지, 중지를 사용하여 힘, 자기장, 전류의 방향을 나타내며 전동기 작동 원리를 설명한다.
  • 재료과학 - 전자 이동도
    전자 이동도는 전기장 내에서 전자의 평균 이동 속도를 나타내는 물리량으로, 재료의 불순물 농도와 온도에 의존하며, 다양한 산란 메커니즘과 측정 방법을 통해 연구되고 반도체 소자 성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 재료과학 - 이온 주입
    이온 주입은 원하는 원소를 이온화하여 고체 표면에 주입하는 기술로, 반도체 도핑, 금속 표면 처리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며, 결정학적 손상, 스퍼터링, 안전 문제 등의 문제점을 야기한다.
흄-로더리 규칙

2. 흄-로더리 규칙

윌리엄 흄-로더리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흄-로더리 규칙은 금속고용체를 형성할 때 적용되는 일련의 경험적인 규칙이다. 이 규칙들은 주로 두 종류의 고용체, 즉 치환형 고용체와 침입형 고용체(간극형 고용체)의 형성 조건을 설명한다. 치환형 고용체는 용질 원자가 용매 원자의 자리를 대신 차지하는 경우이며, 침입형 고용체는 용질 원자가 용매 격자 사이의 빈 공간(간극)에 들어가는 경우이다.

구체적인 규칙들은 원자 크기, 결정 구조, 원자가, 전기음성도 등의 요소를 고려하며, 각 고용체 유형에 따라 조건이 조금씩 다르다. 예를 들어, 치환형 고용체 형성은 용질과 용매 원자의 원자 반지름 차이, 결정 구조, 원자가, 전기음성도 등의 유사성에 영향을 받는다.[11][1][12][13][14][15][2][3][4] 침입형 고용체의 경우에도 용질 원자의 크기, 전기음성도, 원자가 등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각 규칙의 상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다루어진다.

그러나 흄-로더리 규칙은 근본적으로 두 가지 원소로 이루어진 이원계 시스템에 제한되며, 여러 성분이 섞인 현대의 복잡한 합금을 평가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다성분계 시스템의 평형 상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상 평형 그림(자유 에너지 다이어그램)과 같은 더 심층적인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 흄-로더리 규칙은 폴링 규칙과 마찬가지로 주로 기하학적 제약 조건에 기반한다.[8] 최근에는 이 규칙들을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이용한 임계 접촉 기준으로 해석하는 등[8] 규칙을 발전시키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다성분계 합금의 이론적인 상 평형 그림 생성에 기여할 수 있다.

특히 전이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합금의 경우, 흄-로더리 규칙 중 전자 농도 규칙을 해석하는 데 어려움이 따른다. 이는 전이 금속의 원자당 이동 전자 수(e/a 값)에 대한 정의가 명확하게 합의되지 않았기 때문이다.[9][10]

2. 1. 치환형 고용체 규칙

치환형 고용체는 용질 원자가 용매 원자의 격자 자리를 바꾸어 들어가 형성되는 고용체를 말한다. 윌리엄 흄-로더리는 이러한 치환형 고용체가 잘 형성되기 위한 경험적인 규칙들을 제시했는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11][1]

  • 원자 크기: 용질 원자와 용매 원자의 원자 반지름 차이가 약 15% 이내여야 한다.[11][1] 원자 크기가 비슷할수록 서로 잘 섞여 고용체를 형성하기 쉽다.
  • 결정 구조: 용질과 용매는 서로 유사한 결정 구조를 가져야 한다.
  • 원자가: 용질과 용매의 원자가가 같을 때 용해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12][2] 일반적으로 금속은 자신보다 더 높은 원자가를 가진 다른 금속을 더 잘 녹이는 경향이 있다.[13][14][15][1][3][4]
  • 전기음성도: 용질과 용매는 비슷한 전기음성도를 가져야 한다. 전기음성도 차이가 크면 고용체 대신 금속간 화합물을 형성하기 쉽다.

2. 1. 1. 원자 크기 요인

흄-로더리 규칙은 고용체 형성 가능성을 예측하는 경험적 규칙으로, 여러 요인 중 하나로 원자 크기 요인을 제시한다. 이 규칙에 따르면, 치환형 고용체가 잘 형성되기 위해서는 용질 원자와 용매 원자의 원자 반지름 차이가 15% 이내여야 한다.[11][1]

구체적인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 \% \text{ 차이} = \left ( \frac{r_\text{용질} - r_\text{용매}}{r_\text{용매}} \right ) \times 100\% \le 15\%.

여기서 r_\text{용질}은 용질 원자의 반지름, r_\text{용매}는 용매 원자의 반지름을 의미한다.

이 조건은 원자 크기 차이가 15%를 넘어가면 고용도가 매우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크기가 비슷한 원자끼리는 서로 잘 섞여 고용체를 형성하기 쉽지만, 크기 차이가 크면 서로 잘 섞이지 못하고 고용체 형성이 어려워진다. 이는 '원자 치수 인자'로 설명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Fe)을 용매로 하는 합금의 경우, 다른 원소들의 고용 정도는 다음과 같이 분류될 수 있다.

철(Fe) 기반 합금의 원소별 고용 정도 예시
고용 정도해당 원소
완전히 고용됨Co, Cr, Mn, Ni, Pt, V
대량으로 고용됨Al, Be, Ge, Sb, Si
고용되기 어려움C, Cu, N, Nb, P, Sn, Ti
거의 고용되지 않음Ag, B, Cd, Mg, O, Pb, S


2. 1. 2. 결정 구조 요인

용질과 용매의 결정 구조는 유사해야 한다. 이는 원자들이 서로 안정적으로 결합하고 격자 구조를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2. 1. 3. 원자가 요인

용질과 용매가 같은 원자가를 가진다면 완전히 녹아 고용체를 형성하는 경향이 있다.[12] 일반적으로 금속은 자신보다 더 높은 원자가를 가진 다른 금속을 더 잘 용해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를 '상대 원자가 효과'라고도 부른다.[13][14][15] 즉, 주성분 금속의 원자가가 낮을수록 높은 원자가의 합금 원소를 더 쉽게 받아들이지만, 반대로 주성분 금속의 원자가가 높으면 낮은 원자가의 합금 원소를 잘 받아들이지 않는다.

합금에서 고용 한계는 전자 농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전자 농도는 합금 성분 원소의 최외각 전자 총수(e)를 총 원자수(a)로 나눈 값(e/a)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1가의 주성분 금속에 원자가수가 z인 합금 원소를 농도 c까지 첨가하면, 전자 농도는 다음 식으로 계산된다.

:{e \over a} = 1 + (z - 1)c

실험적으로 합금 성분 원소는 전자 농도(e/a)가 약 1.4가 될 때까지 고용될 수 있는 경향이 관찰된다. 이는 주성분 금속에 대해 합금 성분 원소의 원자가수가 높아질수록 고용될 수 있는 한계 농도가 낮아짐을 의미한다. 전자 농도가 약 1.4를 넘어서면 고용체의 자유 에너지가 급격히 높아져 불안정해지고, 두 개의 상으로 분리되는 것이 에너지적으로 더 유리해지기 때문에 고용 한계를 넘어서게 된다.

전자 농도(e/a) ≈ 1.4에 해당하는 합금 성분 원소의 원자가수에 따른 고용 한계(원자%) 예시는 다음과 같다.

합금 성분 원소 원자가수 (z)고용 한계 (at%, e/a ≈ 1.4)
240
320
413.3
510


2. 1. 4. 전기음성도 요인

합금 원소의 전기음성도에 관한 규칙이다. 고용체를 형성하려는 용질 원자와 용매 원자는 서로 비슷한 전기음성도 값을 가져야 한다. 만약 두 원소 간의 전기음성도 차이가 너무 크면, 이들은 고용체를 형성하기보다는 금속간 화합물을 만드는 경향이 강해진다. 예를 들어, 전기적으로 양성(+)인 성질을 가진 원자와 음성(-)인 성질을 가진 원자처럼 전기음성도 차이가 현저할 경우, 이들 사이에는 안정적인 금속간 화합물이 형성되기 쉬운데, 이러한 화합물을 전기화학적 화합물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2. 2. 침입형(간극형) 고용체 규칙


  • 용질 원자의 반경은 용매 원자 반경의 59%보다 작아야 한다.
  • 용질과 용매는 유사한 전기 음성도를 가져야 한다.
  • 원자가 인자: 두 원소는 동일한 원자가를 가져야 한다. 용질과 용매 원자 간의 원자가 차이가 클수록 용해도는 낮아진다.

3. 다성분계 고용체 규칙

근본적으로 흄-로더리 규칙은 치환형 또는 침입형 고용체를 형성하는 이원계 시스템에 제한된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 방식은 일반적으로 다성분계인 첨단 합금을 평가하는 데 제약이 있다. 자유 에너지 다이어그램 (또는 상 평형 그림)은 복잡한 시스템의 평형 제약 조건에 대한 심층적인 지식을 제공할 수 있다. 본질적으로 흄-로더리 규칙 (및 폴링 규칙)은 기하학적 제약에 기반한다. 마찬가지로 흄-로더리 규칙에 대한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 규칙들을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으로 설명할 수 있는 임계 접촉 기준으로 간주하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8] 이는 다성분계의 이론적 상 평형 그림 생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전이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합금의 경우, 흄-로더리 전자 농도 규칙의 해석에 어려움이 있다. 이는 전이 금속의 e/a 값 (원자당 이동 전자 수)이 오랫동안 논란의 대상이었고, 아직 만족스러운 해결책이 나오지 않았기 때문이다.[9][10]

4. 전자 화합물

전이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합금의 경우, 흄-로더리 전자 농도 규칙을 해석하는 데 어려움이 따르기도 한다. 이는 전이 금속의 원자당 이동 전자 수(e/a) 값에 대해 오랫동안 논란이 있었고 아직 명확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9][10]

하지만 전이 금속과 상대적으로 금속성이 높은 Ⅱ·Ⅲ·Ⅳ족 원소 사이에서 형성되는 특정 금속간 화합물에서는 주목할 만한 규칙성이 발견된다. 이들 화합물은 동일한 결정 구조를 가질 경우, 전체 가전자 수를 총 원자 수로 나눈 비율인 전자 농도(''e''/''a'')가 특정한 값(예: 3/2, 21/13, 7/4)으로 일정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이는 특정 종류의 금속간 화합물에서 결정 구조가 원자의 크기뿐만 아니라 전자 구조, 특히 가전자 농도에 의해 결정된다는 중요한 사실을 보여준다. 이처럼 전자 농도가 결정 구조 형성에 주된 영향을 미치는 금속간 화합물을 전자 화합물(electron compound) 또는 흄-로더리형 화합물(Hume-Rothery type compound)이라고 부른다.

5. 한계 및 비판

근본적으로 흄-로더리 규칙은 치환형 또는 침입형 고용체를 형성하는 이원계 시스템에 제한된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 방식은 일반적으로 다성분계인 첨단 합금을 평가하는 데 제약이 있다. 상 평형 그림(자유 에너지 다이어그램)은 복잡한 시스템의 평형 제약 조건에 대한 심층적인 지식을 제공한다. 본질적으로 흄-로더리 규칙은 폴링 규칙과 마찬가지로 기하학적 제약에 기반한다. 마찬가지로 흄-로더리 규칙에 대한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여기서 이 규칙들은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으로 설명할 수 있는 임계 접촉 기준으로 간주된다.[8] 이는 다성분계의 이론적 상 평형 그림 생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전이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합금의 경우, 흄-로더리 전자 농도 규칙의 해석에 어려움이 있다. 전이 금속의 e/a 값 (원자당 이동 전자 수)이 오랫동안 논란의 대상이었고, 아직 만족스러운 해결책이 나오지 않았기 때문이다.[9][10]

참조

[1] 서적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An Introduction Wiley 2018-01
[2] 서적 Foundations of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2006
[3] 논문 Valency effects and relative solubilities in transition metal alloys 1983-01
[4] 웹사이트 Solid Solutions: The Hume-Rothery Rules https://www.phase-tr[...] University of Cambridge 2024-08-16
[5] 웹사이트 The Structure of Metals - PPT video online download http://slideplayer.c[...]
[6] 웹사이트 Introduction the properties and behavior of metals (And alloys) depend on their: Structure Processing history and Composition Engr PPT video online download http://slideplayer.c[...]
[7] 간행물 Hume-Rothery Rules John Wiley & Sons, Inc
[8] 논문 Atomic packing and size effect on the Hume-Rothery rule https://scholars.cit[...] 2019-04-04
[9] 서적 High-Entropy Alloys: Fundamentals and Applications.
[10] 논문 The Physics of the Hume-Rothery Electron Concentration Rule 2017-01
[11] 서적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An Introduction Wiley 2018-01
[12] 서적 Foundations of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2006
[13] 서적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An Introduction Wiley 2018-01
[14] 문서 VALENCY EFFECTS AND RELATIVE SOLUBILITIES IN TRANSITION METAL ALLOYS National Bureau of Standards, Washington DC
[15] 웹인용 Solid Solutions: The Hume-Rothery Rules https://www.phase-tr[...] 2020-12-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