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원자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자는 화학 결합을 형성하는 원자의 능력, 즉 다른 원자와 결합할 수 있는 원자의 수를 나타내는 개념이다. 19세기 후반에 발전하여 분자 구조를 설명하는 데 기여했으며, 윌리엄 히긴스, 에드워드 프랭클랜드, 아우구스트 케쿨레 등의 연구를 통해 발전했다. 원자가는 옥텟 규칙과 같은 이론적 설명을 통해 이해되며, IUPAC에 의해 "고려 중인 원소의 원자 또는 조각과 결합할 수 있는 최대 일가 원자의 수"로 정의된다. 원자가는 산화 상태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원자가 전자의 역할과 관련하여 공유 결합, 이온 결합, 극성 공유 결합 등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원자 - 원자 모형
    원자 모형은 원자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제시된 다양한 모델들의 변천사로, 돌턴 모형, 톰슨 모형, 러더퍼드 모형, 보어 모형을 거쳐 현대 원자 모형에 이르기까지 발전해 왔다.
  • 원자 - 원자핵
    원자핵은 원자 질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양전하 입자로, 양성자와 중성자로 구성되어 핵력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며, 양성자 수는 원소 종류, 중성자 수는 동위원소를 결정하고 핵융합 및 핵분열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원자가
화학적 특성
원자가원자가는 원자가 다른 원자와 화학 결합을 형성하는 능력의 척도이다. 원자가는 원자의 원자가 전자 수와 관련이 있다.
결합 능력원자가는 원자가 다른 원자와 얼마나 많은 화학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산소 원자는 두 개의 결합을 형성할 수 있고, 따라서 원자가는 2이다.
일반적 원자가수소는 1, 산소는 2, 질소는 3, 탄소는 4의 원자가를 갖는다.
정의원자가는 원자가 다른 원자와 공유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능력의 척도이다.
특징원자가는 화학 결합을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되는 중요한 개념이다. 원자가는 원자의 전자 구조에 의해 결정된다.
예시물 분자(H₂O)에서 산소 원자는 두 개의 수소 원자와 결합하므로 원자가는 2이다. 암모니아(NH₃)에서 질소 원자는 세 개의 수소 원자와 결합하므로 원자가는 3이다.
원자가 전자와의 관계원자가는 원자의 가장 바깥쪽 전자 껍질에 있는 전자(원자가 전자)의 수와 관련이 있다. 원자는 화학 결합을 형성할 때 안정된 전자 구조를 가지려고 한다.
원자가의 역사
초기 개념원자가의 개념은 19세기 후반에 처음으로 개발되었다. 당시 화학자들은 원자들이 서로 결합하는 방식에 대한 설명을 찾고 있었다.
주요 기여자에드워드 프랭클랜드와 아치볼드 스콧 쿠퍼 등의 화학자들이 원자가 이론의 발전에 기여했다.
초기 이론의 문제점초기의 원자가 이론은 모든 화학 결합을 설명할 수는 없었다. 특히 이온 결합의 경우 설명이 부족했다.
원자가의 종류
공유 원자가공유 결합에서 원자가는 공유하는 전자 쌍의 수와 같다.
이온 원자가이온 결합에서 원자가는 이온이 얻거나 잃는 전자의 수와 같다.
최대 원자가원소의 최대 원자가는 원자가 전자의 수에 의해 결정된다.
원자가의 응용
화학식 작성원자가는 분자의 화학식을 작성하는 데 사용된다.
화학 반응 예측원자가는 화학 반응을 예측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분자 구조 이해원자가는 분자의 구조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다양한 분자에서의 원자가
수소수소는 1의 원자가를 갖는다.
메테인탄소는 4, 수소는 1의 원자가를 갖는다.
프로페인탄소는 4, 수소는 1의 원자가를 갖는다.
프로펜탄소는 4, 수소는 1의 원자가를 갖는다.
아세틸렌탄소는 4, 수소는 1의 원자가를 갖는다.
암모니아질소는 3, 수소는 1의 원자가를 갖는다.
염화인산인은 5, 황은 2, 염소는 1의 원자가를 갖는다.
황화수소황은 2, 수소는 1의 원자가를 갖는다.
황산황은 6, 산소는 2, 수소는 1의 원자가를 갖는다.
다이싸이오황산황은 6, 산소는 2, 수소는 1의 원자가를 갖는다.
칠산화염소염소는 7, 산소는 2의 원자가를 갖는다.
사산화제논제논은 8, 산소는 2의 원자가를 갖는다.

2. 역사적 발전

원자가(valence)와 원자가(valency)라는 단어는 1425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라틴어 ''valentia''("힘, 능력")에서 유래했다. 화학적 의미에서 "원소의 결합력"을 가리키는 것은 독일어 ''Valenz''에서 유래하여 1884년에 기록되었다.[3]

윌리엄 히긴스의 궁극적 입자 결합(1789)


원자가 개념은 19세기 후반에 발전하여 무기 및 유기 화합물의 분자 구조를 설명하는 데 기여했다.[4] 원자가의 근본 원인을 탐구하는 과정에서 입방 원자(1902), 루이스 구조(1916), 원자가 결합 이론(1927), 분자 궤도(1928), 원자가껍질 전자쌍 반발 이론(1958)을 비롯한 현대적인 화학 결합 이론이 등장했다.

1789년, 윌리엄 히긴스는 "궁극적" 입자의 결합에 대한 견해를 발표했는데, 이는 원자가 결합 개념을 예고하는 것이었다.[5]

1852년 에드워드 프랭클랜드는 특정 원소가 다른 원소와 결합하여 3개 또는 5개의 원자 그룹을 포함하는 화합물을 형성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주었다.[6] 이 "결합력"은 나중에 '''양원자가(quantivalence)''' 또는 원자가(valency)라고 불렸다.[5] 1857년 아우구스트 케쿨레는 탄소의 경우 4와 같이 많은 원소에 대해 고정된 원자가를 제안하고, 이를 사용하여 많은 유기 분자의 구조식을 제안했다.

로타르 마이어는 1864년 저서에서 원소를 원자가에 따라 6개의 그룹으로 분류한 초기 주기율표를 제시했다.[7]

1893년 알프레드 베르너는 전이 금속 배위 착물을 설명하기 위해 '주원자가'와 '부원자가'를 구분했다.

1904년 리하르트 아베크는 주족 원소의 '양의' 원자가와 '음의' 원자가를 고려했으며, 그 차이가 종종 8이라는 아베크의 규칙을 제안했다.

1920년대에 개발된 원자가의 대안적인 정의는 원자의 형식 전하가 0이 아닌 경우 다르다. 이 정의는 공유 분자에서 주어진 원자의 원자가를 원자가 결합에 사용된 전자의 수로 정의한다.[8][9][10][11]

: ''원자가 = 자유 원자의 원자가 껍질에 있는 전자 수'' − ''분자 내 원자의 비결합 전자 수''

또는

: ''원자가 = 결합 수'' + ''형식 전하''.

2. 1. 화합물

원자가는 주어진 원소의 원자가 결합할 수 있는 능력으로, 수소 원자와 결합하는 수로 결정된다. 메테인에서 탄소의 원자가는 4이고, 암모니아에서 질소의 원자가는 3이며, 에서 산소의 원자가는 2이고, 염화 수소에서 염소의 원자가는 1이다. 염소는 원자가가 1이므로 많은 화합물에서 수소를 대체할 수 있다. 인은 포스핀(phosphine|포스핀영어)에서 원자가가 3이고, 오염화인(phosphorus pentachloride|오염화인영어)에서 원자가가 5인데, 이는 원소가 하나 이상의 원자가를 가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화합물의 구조식은 원자의 연결성을 나타내며, 두 원자 사이에 선을 그어 결합을 나타낸다.[2] 아래 두 표는 서로 다른 화합물의 예, 구조식, 그리고 각 원소의 원자가를 보여준다.

화합물수소 (H₂)메테인 (CH₄)프로페인 (C₃H₈)프로필렌 (C₃H₆)아세틸렌 (C₂H₂)
그림
원자가수소: 1탄소: 4, 수소: 1탄소: 4, 수소: 1탄소: 4, 수소: 1탄소: 4, 수소: 1



화합물암모니아 (NH₃)시안화 나트륨 (NaCN)싸이오인산염화물 (PSCl₃)황화 수소 (H₂S)황산 (H₂SO₄)다이싸이온산 (H₂S₂O₆)칠산화 이염소 (Cl₂O₇)사산화 제논 (XeO₄)
그림
원자가질소: 3, 수소: 1나트륨: 1, 탄소: 4, 질소: 3인: 5, 황: 2, 염소: 1황: 2, 수소: 1황: 6, 산소: 2, 수소: 1황: 6, 산소: 2, 수소: 1염소: 7, 산소: 2크세논: 8, 산소: 2



일정 성분비 법칙의 확립에 의해 어떤 화합물에 포함된 원소의 질량비는 항상 일정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존 돌턴은 이것을 설명하기 위해 원자의 개념을 도입하여, 어떤 화합물에 포함된 각 원소의 원자 수의 비는 항상 일정하다는 생각을 제시했다. 이 생각에 기초하여 여러 가지 화합물의 화학식을 조사해 보면 그 조성에 규칙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어떤 금속 원자에 산소 원자가 결합하는 경우, 그 수는 염소 원자가 결합하는 수의 절반이 된다.

그래서 수소 원자나 염소 원자를 기준으로, 이들과 몇 개 결합할 수 있는가를 기준으로 원자가의 개념이 확립되었다.

원자가의 개념은 화학 결합론과 함께 발전해 왔다. 옌스 야코브 베르셀리우스험프리 데이비의 전기 분해 실험에서 원자는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의 어떤 양의 전하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플러스의 전하를 가진 원자와 마이너스의 전하를 가진 원자가 전체 전하가 0이 되도록 쿨롱힘에 의해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중성인 화합물을 구성한다고 생각했다. 이 생각에 따르면 개개의 원자가 가진 전하의 크기, 즉 이온가에 따라 다른 몇 개의 원자와 결합하는가, 즉 원자가가 결정된다. 당시 알려져 있던 화합물은 무기화합물이 대부분이었기 때문에 이 생각은 널리 받아들여졌다.

2. 2. 기(基)

유기 화합물 연구가 발전하면서, 유기 화합물에서는 양전하를 띤다고 생각되었던 수소가 음전하를 띤다고 생각되었던 할로겐과 치환 반응을 하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 때문에 장 밥티스트 뒤마와 오귀스트 로랑은 “치환의 법칙”을 제창하여, 수소와 할로겐은 같은 형태를 가지며 상호 치환 가능하다고 하였다. 샤를 아돌프 쥐라르는 이를 확장하여 모든 화합물은 두 개의 불변하는 “기(基)”가 결합한 것이며, 그 재배열에 의해 치환 반응이 일어난다고 하였다. 유기 화합물 연구가 더욱 진행되면서, 에테르처럼 산소 원자에 두 개의 “기”가 결합한 것, 아민처럼 질소 원자에 세 개의 “기”가 결합한 것이 알려지게 되었다.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케쿨레는 이를 정리하여 수소나 할로겐은 다른 한 개의 원자와, 산소는 두 개의 원자와, 질소는 세 개의 원자와, 탄소는 네 개의 원자와 결합할 수 있다고 제창하였다.[3]

2. 3. 착물

무기 화합물에서 착물의 존재는 기존 원자가 개념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웠다. 알프레드 베르너는 배위설을 통해 주원자가와 부원자가 개념을 도입했다. 베르너는 금속 원자가 통상적인 원자가인 주원자가 외에, 배위자와 결합하기 위한 부원자가를 가진다고 주장했다.[16] 그러나 착물의 종류에 따라 부원자가의 수가 변하거나, 주원자가에 의한 결합과 부원자가에 의한 결합 사이에 본질적인 차이가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금속 원소에 대해서는 다른 몇 개의 원자와 결합하고 있는가라는 의미에서 원자가라는 단어는 사용되지 않게 되었고, 배위에 의한 영향이 없는 산화수와 동의어로 원자가라는 단어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2. 4. 이론

발터 코셀은 비활성 기체의 전자 배치가 안정적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원자가 이론을 발전시켰다. 그는 원자들이 비활성 기체와 같은 전자 배치를 가지려는 경향이 있으며, 이러한 경향성이 이온 생성의 원동력이라고 설명했다.[12] 길버트 N. 루이스와 어빙 랭뮤어옥텟 규칙을 통해 공유 결합을 설명했다. 옥텟 규칙에 따르면, 원자들은 원자핵 주위에 정팔면체 형태로 8개의 최외각 전자를 채웠을 때 안정적인 상태가 된다. 이러한 안정한 상태를 이루기 위해 원자들은 다른 원자와 전자를 공유하며, 이를 통해 공유 결합이 형성된다고 설명했다.[12]

양자 역학의 발전으로 전자 배치와 원자가 안정성 간의 관계가 명확하게 규명되었다.

3. 정의

원자가는 국제순수·응용화학연합(IUPAC)에 의해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1]

:"고려 중인 원소의 원자 또는 조각과 결합할 수 있는 최대 일가 원자(원래는 수소 또는 염소 원자)의 수, 또는 이 원소의 원자가 치환될 수 있는 수."

이는 주어진 원소의 원자가 다른 원자와 결합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는 척도로, 주로 수소나 염소 원자와 결합하는 수를 기준으로 한다.

하지만, 수소는 원자가 전자가 하나뿐이지만, 하나 이상의 원자와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루오르화수소산이온([HF2]-)에서는 두 개의 플루오르 원자와 3중심 4전자 결합을 형성한다.

또 다른 예로 다이보레인(B2H6)의 3중심 2전자 결합이 있다.

3. 1. 현대적 설명

원자가는 주어진 원소의 원자가 결합할 수 있는 능력으로, 수소 원자와 결합하는 수로 결정된다. 메테인에서 탄소의 원자가는 4이고, 암모니아에서 질소의 원자가는 3이며, 에서 산소의 원자가는 2이고, 염화 수소에서 염소의 원자가는 1이다. 염소는 원자가가 1이므로 많은 화합물에서 수소를 대체할 수 있다. 포스핀(phosphine|포스핀영어)에서 원자가가 3이고, 오염화인에서 원자가가 5인데, 이는 원소가 하나 이상의 원자가를 가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화합물의 구조식은 원자의 연결성을 나타내며, 두 원자 사이에 선을 그어 결합을 나타낸다.[2]

아래 두 표는 서로 다른 화합물의 예, 구조식, 그리고 각 원소의 원자가를 보여준다.

화합물그림원자가
수소
메테인
프로페인
프로필렌
아세틸렌



화합물그림원자가
암모니아
시안화 나트륨
염화티오포스포릴
황화 수소
황산
다이티온산
칠산화 이염소
사산화 제논


4. 일반적인 원자가

주족 원소의 경우, 원자가는 1에서 8까지 다양할 수 있다. 많은 원소들은 주기율표에서의 위치와 관련된 일반적인 원자가를 가지며, 오늘날 이것은 옥텟 규칙에 의해 설명된다.[16] 전이 금속과 오른쪽에 있는 금속들은 일반적으로 다원자가이지만, 그들의 원자가를 예측하는 간단한 패턴은 없다.[16]

그룹원자가 1원자가 2원자가 3원자가 4원자가 5원자가 6원자가 7원자가 8일반적인 원자가
1 (I)NaCl
KCl
1
2 (II)MgCl₂
CaCl₂
2
13 (III)InBr
TlI
BCl₃
AlCl₃
Al₂O₃
3
14 (IV)CO
PbCl₂
CO₂
CH₄
SiCl₄
2와 4
15 (V)NONH₃
PH₃
As₂O₃
NO₂N₂O₅
PCl₅
3과 5
16 (VI)H₂O
H₂S
SCl₂
SO₂
SF₄
SO₃
SF₆
H₂SO₄
2, 4와 6
17 (VII)HCl
ICl
HClO₂
ClF₃
ClO₂IF₅
HClO₃
IF₇
Cl₂O₇
HClO₄
1, 3, 5와 7
18 (VIII)KrF₂XeF₄XeO₃XeO₄0, 2, 4, 6과 8



단일 전하를 갖는 종은 일가(일원자)이다. 예를 들어, Cs+ 양이온은 일가 또는 일원자 양이온인 반면, Ca2+ 양이온은 이가 양이온이며, Fe3+ 양이온은 삼가 양이온이다. Cs와 Ca와 달리 Fe는 다른 전하 상태, 특히 2+와 4+로도 존재할 수 있으며, 따라서 다원자 이온으로 알려져 있다.[15]

-valent 접미사를 사용한 원자가 형용사†
원자가더 일반적인 형용사‡덜 일반적인 동의어 형용사‡§
0-valentzerovalentnonvalent
1-valentmonovalentunivalent
2-valentdivalentbivalent
3-valenttrivalenttervalent
4-valenttetravalentquadrivalent
5-valentpentavalentquinquevalent, quinquivalent
6-valenthexavalentsexivalent
7-valentheptavalentseptivalent
8-valentoctavalent
9-valentnonavalent
10-valentdecavalent
11-valentundecavalent
12-valentdodecavalent
다중/다수/가변polyvalentmultivalent
함께covalent
함께하지 않음noncovalent



† 동일한 형용사는 백신 원자가를 나타내는 의학에서도 사용되지만, 후자의 의미에서는 ''quadri-''가 ''tetra-''보다 더 일반적이다.

‡ Google 웹 검색 및 Google 도서 검색 코퍼스에서의 히트 수로 확인됨(2017년 액세스).

§ 몇 가지 다른 형태는 대규모 영어 코퍼스에서 발견될 수 있지만(예: ''*quintavalent, *quintivalent, *decivalent''), 이들은 영어에서 관례적으로 확립된 형태가 아니므로 주요 사전에 수록되지 않았다.

5. 원자가와 산화 상태

원자가는 주어진 원소가 결합할 수 있는 능력으로, 수소 원자와 결합하는 수로 결정된다. 예를 들어, 메테인에서 탄소의 원자가는 4이고, 암모니아에서 질소의 원자가는 3이다.[2]

원자가는 결합의 수를 나타내는 반면, 산화 상태는 원자가 얻거나 잃은 전자의 수를 나타낸다. 산화 상태는 양수 또는 음수일 수 있다.

주기율표의 주족 원소의 경우 원자가는 1에서 8까지 다양할 수 있다. 많은 원소들은 주기율표에서의 위치와 관련된 일반적인 원자가를 가지며, 오늘날 이것은 옥텟 규칙에 의해 설명된다. 전이 금속과 오른쪽에 있는 금속들은 일반적으로 다원자가이지만, 그들의 원자가를 예측하는 간단한 패턴은 없다.[16]

그리스어/라틴어 수 접두사(모노-/유니-, 디-/바이-, 트라이-/터- 등)는 각각 1, 2, 3 등의 전하 상태의 이온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다원자가" 또는 "다가"는 특정 수의 원자가 결합으로 제한되지 않는 을 가리킨다. 단일 전하를 갖는 종은 일가(일원자)이다. 예를 들어, Cs+ 양이온은 일가 또는 일원자 양이온인 반면, Ca(2+) 양이온은 이가 양이온이며, Fe(3+) 양이온은 삼가 양이온이다. Cs와 Ca와 달리 Fe는 다른 전하 상태(2+, 4+)로도 존재할 수 있으며, 따라서 다원자 이온으로 알려져 있다.[15]

5. 1. 예시

다음은 다양한 화합물의 예시와 각 원소의 원자가 및 산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2]

화합물그림원자가
수소수소: 1
메테인탄소: 4, 수소: 1
프로페인탄소: 4, 수소: 1
프로필렌탄소: 4, 수소: 1
아세틸렌탄소: 4, 수소: 1



화합물그림원자가
암모니아질소: 3, 수소: 1
NaCN
시안화나트륨
나트륨: 1, 탄소: 4, 질소: 3
염화티오포스포릴인: 5, 황: 2, 염소: 1
황화수소황: 2, 수소: 1
황산황: 6, 산소: 2, 수소: 1
다이티온산황: 6, 산소: 2, 수소: 1
칠산이염소염소: 7, 산소: 2
사산화크세논크세논: 8, 산소: 2



원자가와 산화 상태의 차이: 서로 다른 두 원소 간의 결합
화합물화학식원자가산화 상태그림
염화수소HClH = 1, Cl = 1H = +1, Cl = −1
과염소산 *HClO₄H = 1, Cl = 7, O = 2H = +1, Cl = +7, O = −2
메테인CH₄C = 4, H = 1C = −4, H = +1
디클로로메테인 CH₂Cl₂C = 4, H = 1, Cl = 1C = 0, H = +1, Cl = −1
산화철(II) *FeOFe = 2, O = 2Fe = +2, O = −2
산화철(III) ***Fe₂O₃Fe = 3, O = 2Fe = +3, O = −2
수소화나트륨NaHNa = 1, H = 1Na = +1, H = −1



원자가와 산화 상태의 차이: 같은 원소의 두 원자 간의 결합
화합물화학식원자가산화 상태그림
수소H₂H = 1H = 0
염소Cl₂Cl = 1Cl = 0
과산화수소H₂O₂H = 1, O = 2H = +1, O = −1
히드라진N₂H₄H = 1, N = 3H = +1, N = −2
십불화이황S₂F₁₀S = 6, F = 1S = +5, F = −1
다이티온산H₂S₂O₆S = 6, O = 2, H = 1S = +5, O = −2, H = +1
헥사클로로에탄C₂Cl₆C = 4, Cl = 1C = +3, Cl = −1
에틸렌C₂H₄C = 4, H = 1C = −2, H = +1
아세틸렌C₂H₂C = 4, H = 1C = −1, H = +1
염화제일수은Hg₂Cl₂Hg = 2, Cl = 1Hg = +1, Cl = −1


  • 과염소산 이온(ClO₄⁻)은 원자가가 1인 일가 이온이다.

  • * 디클로로메테인(CH₂Cl₂)처럼 결합의 극성이 다르면 원자가는 산화 상태의 절댓값과 다를 수 있다.

  • ** 산화철은 결정 구조를 가지므로, 전형적인 분자는 확인할 수 없다.

6. 원자가와 관련된 접미사

-valent 접미사를 사용한 원자가 형용사†
원자가더 일반적인 형용사‡덜 일반적인 동의어 형용사‡§
0-valentzerovalentnonvalent
1-valentmonovalentunivalent
2-valentdivalentbivalent
3-valenttrivalenttervalent
4-valenttetravalentquadrivalent
5-valentpentavalentquinquevalent, quinquivalent
6-valenthexavalentsexivalent
7-valentheptavalentseptivalent
8-valentoctavalent
9-valentnonavalent
10-valentdecavalent
11-valentundecavalent
12-valentdodecavalent
다중/다수/가변polyvalentmultivalent
함께공유 결합
함께하지 않음비공유 결합



† 동일한 형용사는 백신 원자가를 나타내는 의학에서도 사용되지만, 후자의 의미에서는 ''quadri-''가 ''tetra-''보다 더 일반적이다.

‡ Google 웹 검색 및 Google 도서 검색 코퍼스에서의 히트 수로 확인됨(2017년 액세스).

§ 몇 가지 다른 형태는 대규모 영어 코퍼스에서 발견될 수 있지만(예: ''*quintavalent, *quintivalent, *decivalent''), 이들은 영어에서 관례적으로 확립된 형태가 아니므로 주요 사전에 수록되지 않았다.

7. 원자가 전자의 역할

러더퍼드 모형(1911)은 원자 외부에 전자가 존재함을 보여주며, 이는 전자가 원자의 상호작용과 화학 결합 형성에 관여함을 시사한다.[12] 1916년, 길버트 N. 루이스는 주족 원소가 8개의 원자가 껍질 전자를 갖는 안정적인 옥텟을 얻으려는 경향으로 원자가와 화학 결합을 설명했다. 루이스에 따르면, 공유 결합은 전자 공유를 통해 옥텟을 형성하고, 이온 결합은 전자를 한 원자에서 다른 원자로 이동시켜 옥텟을 형성한다. 1919년 어빙 랭뮤어는 "주어진 원자가 인접한 원자와 공유하는 전자쌍의 수를 그 원자의 ''공유 원자가''라고 한다"라고 언급하면서 '공유 원자가'라는 용어를 도입했다.[12] 접두사 ''co-''는 "함께"를 의미하므로, 공유 결합은 원자가가 공유됨을 의미한다. 이후 화학 결합 이론의 발전으로 고급 연구에서는 ''공유 결합''이라는 용어를 더 많이 사용하고 ''원자가''는 사용 빈도가 줄었지만, 기초 연구에서는 여전히 널리 사용된다.

1930년대에 라이너스 폴링공유 결합이온 결합의 중간인 극성 공유 결합이 있으며, 이온 결합 정도는 두 결합 원자의 전기 음성도 차이에 따라 달라진다고 제안했다.

폴링은 또한 주족 원소가 옥텟 규칙이 허용하는 최대 4개를 초과하는 원자가를 갖는 초원자가 분자를 고려했다. 예를 들어, 육불화황 분자에서 폴링은 황이 하나의 s, 세 개의 p, 두 개의 d 궤도 함수를 결합하는 sp3d2 혼성 원자 궤도 함수를 사용하여 6개의 진정한 2전자 결합을 형성한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최근 이 분자와 유사한 분자에 대한 양자 역학적 계산은 결합에서 d 궤도 함수의 역할이 미미하고, 육불화황 분자는 옥텟 규칙에 따라 황의 네 개 궤도 함수(하나의 s와 세 개의 p)와 플루오린의 여섯 개 궤도 함수로 만들어진 6개의 극성 공유(부분적으로 이온성) 결합을 갖는 것으로 설명되어야 함을 보여주었다.[13] 전이 금속 분자에 대한 유사한 계산은 p 궤도 함수의 역할이 미미하여 금속의 하나의 s와 다섯 개의 d 궤도 함수만으로 결합을 설명하기에 충분함을 보여준다.[14]

참조

[1] 웹사이트 valence http://goldbook.iupa[...]
[2] 리다이렉트
[3] 어원 valence
[4] 서적 A text-book of inorganic chemistry for university students
[5] 서적 A Short History of Chemistry https://archive.org/[...] Dover Publications, Inc
[6] 논문 On a New Series of Organic Bodies Containing Metals
[7] 서적 Chemical Atomism in the Nineteenth Century: From Dalton to Cannizzaro Ohio State University Press
[8] 논문 Valence, Oxidation Number, and Formal Charge: Three Related but Fundamentally Different Concepts
[9] 서적 The electronic theory of valency Oxford University Press (Clarendon Press)
[10] 논문 Über den. Zusammenhang des Abschlusses der Elektronengruppen im Atom mit den chemischen Valenzzahlen
[11] 논문 Valence, Covalence, Hypervalence, Oxidation State, and Coordination Number
[12] 논문 The Arrangement of Electrons in Atoms and Molecules https://zenodo.org/r[...]
[13] 논문 Hypercoordinate molecules of second-row elements: d functions or d orbitals?
[14] 서적 The Chemical Bond: Chemical Bonding Across the Periodic Table Wiley – VCH
[15] 웹사이트 Merriam-Webster's Unabridged Dictionary http://unabridged.me[...] Merriam-Webster 2017-05-11
[16] 웹사이트 Lesson 7: Ions and Their Names http://dl.clackamas.[...] 2019-02-05
[17] 웹사이트 valence http://medical-dicti[...]
[18] 웹사이트 Lambda
[19] 웹사이트 Oxidation state
[20] 서적 Lecture notes for chemical students(Google eBook) https://books.google[...] J. Van Voorst
[21] 서적 Inorganic chemistry
[22] 논문 Glossary of terms used in physical organic chemistry (IUPAC Recommendations 1994) https://archive-ouv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