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인 신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흑인 신학은 1966년 흑인 교회 전국 위원회의 "흑인 권력 선언" 발표를 기점으로 시작되어, 성경을 바탕으로 인종차별에 맞서기 위한 접근 방식을 제시했다. 흑인 신학은 흑인 기독교인들이 기독교를 "백인의 종교"로 여기는 비판, 흑인 마르크스주의자들의 종교 억압 도구로 보는 시각, 흑인 권력 지지자들의 기독교인과 흑인의 양립 불가 주장 등 여러 비판에 대한 긍정으로 발전했다. 미국에서 노예제도에 대한 성경 해석이 기독교인들에게 지지받는 상황에서, 흑인 신학은 기독교를 흑인들의 현실로 만들고 해방의 문제로 설명하고자 했다. 제임스 H. 콘은 흑인 신학을 통해 예수가 억압받는 자를 대변한다고 주장하며, 지배적인 문화가 기독교를 타락시켰다고 비판했다. 흑인 신학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아파르트헤이트에 대한 저항을 고취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으며, 영국에서도 학문적으로 연구되었다. 주요 인물로는 제임스 H. 콘,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등이 있으며, 마르크스주의적 시각, 전통적 기독교와의 차이점 등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 신학과 정치 - 정치신학
정치신학은 신앙과 정치의 관계를 탐구하는 학문 분야로, 초기 기독교 시대부터 논의되어 여러 학자들의 학문적 토대 위에 20세기 이후 독립적인 학문 분야로 자리 잡았으며, 각 지역의 맥락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발전해왔다. - 기독교 신학과 정치 - 연합적 수장권
연합적 수장권은 기독교 신학에서 아담과 예수 그리스도를 인류의 대표로 해석하여 언약 관계를 설명하는 개념으로, 아담의 불순종은 죄와 고통을, 예수의 순종은 영생과 축복을 가져왔다고 본다. - 미국의 기독교 - 칼 퍼킨스
칼 퍼킨스는 미국 테네시주 출신의 싱어송라이터이자 기타리스트로, 로큰롤의 선구자 중 한 명이며, "Blue Suede Shoes" 등의 히트곡으로 로큰롤 역사에 중요한 발자취를 남겼고, 로커빌리 장르 발전에 기여한 그의 음악적 업적은 로큰롤 명예의 전당 헌액 등으로 인정받고 있다. - 미국의 기독교 - 바이블 벨트
바이블 벨트는 미국 남부와 중서부 일부 지역에서 복음주의 개신교가 우세하며 사회적 보수주의 성향을 띠는 지역을 지칭하는 용어로, 헨리 루이스 멩켄이 처음 사용했다.
흑인 신학 | |
---|---|
일반 정보 | |
분야 | 기독교 신학 |
기원 | 1960년대, 미국 |
주요 인물 | 제임스 콘 드와이트 홉킨스 세실리아 무어 |
영향 받은 사상 | 블랙 파워 운동 해방 신학 마르크스주의 실존주의 탈식민주의 |
목표 및 특징 | |
주요 목표 | 흑인 경험에 대한 신학적 반영 사회 정의 및 해방 추구 |
특징 | 인종차별에 대한 비판적 분석 흑인 문화와 정체성 옹호 예수 그리스도를 억압받는 자의 해방자로 해석 |
주요 신학적 주장 | |
하느님 | 억압받는 자와 함께하는 하느님 |
예수 그리스도 | 흑인 해방의 주체 |
성령 | 흑인 공동체에 정의와 평화를 가져다주는 힘 |
교회 | 사회 정의를 실현하는 공동체 |
성서 | 억압받는 자의 관점에서 해석 |
영향 및 비판 | |
영향 | 흑인 교회 변화 남아프리카 공화국 해방 신학 발전 다양한 해방 운동에 영향 |
비판 | 배타성 논란 성서 해석의 주관성 문제 사회 운동과의 관계 설정의 어려움 |
2. 역사
흑인 신학은 미국에서 시작되어 남아프리카 공화국, 영국 등 세계 각지로 확산되었다. 각 지역의 특수한 상황에 맞게 발전하면서도, 억압받는 자들의 해방이라는 공통된 주제를 공유한다.
2. 1. 미국
현대 미국 흑인 신학은 1966년 7월 31일, '흑인 교회 전국 위원회'라는 51명의 성직자들이 뉴욕 타임스에 "흑인 권력 선언"을 발표하면서 시작되었다. 이 선언은 성경에서 영감을 받아 인종차별에 맞서는 보다 적극적인 방식을 제안했다.[4] 흑인 신학은 기독교를 "백인의 종교"라고 비판한 흑인 무슬림, 흑인 교회를 열등하다고 본 백인 기독교인, 종교를 억압 도구로 본 흑인 마르크스주의자, 기독교인이 되는 것을 흑인인 것과 양립할 수 없다고 본 흑인 권력 지지자 등 다양한 비판에 대한 흑인 기독교인들의 긍정으로 등장했다.[5]미국 역사에서 인종과 노예제도에 대한 생각은 성경의 특정 해석에 따라 많은 기독교인들에 의해 지지되었다.[6] 남침례교단은 노예제도와 노예 소유주를 지지했으며, 1995년 6월 20일에 이르러서야 공식적인 참회 선언을 통해 인종차별을 "비난할 만한 것"으로 선언하고 사과했다.[7][8] 그러나 성경은 "유대인도 그리스인도 없고, 종도 자유인도 없으며, 남자와 여자도 없습니다. 여러분은 모두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하나입니다." (갈라디아서 3:28)라며 인종이 무관함을 강조한다. 제임스 콘은 과거에는 흑인을 나무에 매달아 죽이는 것이 용납되었지만, 오늘날의 경제는 많은 사람들을 빈민가로 몰아넣어 파괴한다고 말한다.
흑인 신학은 기독교를 흑인들에게 현실로 만들기 위해 주로 아프리카계 미국인 공동체를 다룬다. 흑인 신학은 기독교를 사후 세계가 아닌 현재의 해방 문제로 설명하며, "모든 흑인 신학자들은 자유와 정의를 요구하고 있을 뿐"이라고 말한다.[6] 흑인 신학자들은 성경을 통해 그들의 요구를 뒷받침한다. 예를 들어 시편 저자는 '하나님께서 땅에 의를 세우실 것이라면, 그분 자신이 '고아를 돕는 자'(시편 10:14)로서 '궁핍한 자가 부르짖을 때 그를 구원하시며, 도움이 없는 가난한 자'(시편 72:12)를 구원하는 데 특별히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고 기록한다.[6]
흑인 신학은 미국 밖에서도 발전하여 영국과 아프리카 일부 지역, 특히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아파르트헤이트 문제를 다루게 된다.[9] 제임스 H. 콘은 1950년대 말콤 X가 기독교를 "백인의 종교"로 가르치는 것에 반대하는 선언을 한 후 처음으로 이 신학을 언급했다.[10] 흑인 종교 전문가 조나단 L. 월턴에 따르면, 제임스 콘은 신약성서가 억압받는 자들을 동일시하는 예수님을 드러낸다고 믿었고, 미국에서 인종 범주가 백인 억압을 방해하고 해체하기 위해 예수님이 스스로를 흑인으로 드러낸다고 주장했다.[11]
흑인 신학은 지배적인 문화가 기독교를 타락시켰다고 주장하며, 하나님의 편이 억압받는 자의 편인지, 억압하는 자의 편인지 묻는다. 콘에 따르면, 만약 하나님이 공정하지 않다면, 하나님은 사라져야 한다. 흑인 신학의 핵심은 백인을 특권화하는 거짓된 신으로부터의 해방, 그리고 자기 결정 등을 통해 억압받는 자의 권한 부여를 원하는 진실한 하나님에 대한 깨달음이다.
흑인 신학은 복잡한 신에 대한 견해 대신, 그의 의로움으로 인해 억압받는 자를 구원하는 "행동하는 하나님"으로서의 하나님에 초점을 맞춘다.[12] 해리엇 터브먼과 같은 노예 폐지론자들과 아프리카계 미국인 대중 종교의 중심 주제는 고대 히브리인을 이집트 통치자로부터 해방시킨 구약성서의 모세의 하나님이었다. 콘은 그의 해방 신학의 많은 부분을 출애굽기에 나오는 이스라엘의 이집트로부터의 구원에 기초했다. 그는 미국을 이집트에 비유하며, 억압받는 사람들이 곧 약속의 땅으로 인도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콘에게 여호와의 관심은 "사회에서 가난하고 원치 않는 사람들에 대한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정의의 부재"였다.[12]
콘은 예수님이 "참으로 하나님이시며 참으로 인간이시다"라는 삼위일체의 기독교 교리에 동의했다.[12] 콘은 예수님의 역할이 억압받는 자를 해방시키는 것이라고 주장하며,[12] 누가복음 7장 22절을 인용하여 "눈먼 사람은 보게 되고, 다리 저는 사람은 걷게 되며, 나병 환자는 깨끗해지고, 귀머거리는 듣고, 죽은 사람은 살아나고, 가난한 사람은 복음을 전파받는다"라고 설명했다. 콘은 "우리는 20세기의 윤리적 문제들을 1세기에 예수님이 하신 일을 보면서 해결할 수 없다"고 말하며, 예수님을 백인으로 묘사하는 것에 반대하며 "그리스도는 백인이 아니었고, 유럽인도 아니었다"라고 말했다.[13]
2. 2. 남아프리카 공화국
흑인 의식 운동과 병행하여 발전한 흑인 신학은 1970년대 초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감리교 신학자인 바실 무어에 의해 대중화되었다.[14] 흑인 신학은 아파르트헤이트에 대한 저항을 고취하는 데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나미비아에서 큰 영향을 미쳤다. 이 운동은 남아프리카의 카이로스 문서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15] 남아프리카 흑인 신학자로는 바니 피티아나,[14] 앨런 보에삭,[15] 이투멜렝 모살라가 있다.[16]아프리카 대륙에서 흑인 신학은 남아프리카에서 해방에 중점을 두는 반면, 아프리카 신학은 아프리카 문화적 아이디어를 활용하여 기독교 신학의 문화적응에 초점을 맞춘다는 점에서 종종 구별된다.[17]
2. 3. 영국
로버트 베크포드는 영국에서 흑인 신학 강좌를 학문적 수준에서 개발하고 가르친 최초의 인물이었다.[18] 앤서니 G. 레디가 편집한 학술지 ''흑인 신학''은 영국 내 흑인 신학 관련 담론의 주요 배출구 역할을 해왔다.3. 주요 인물
인물 | 주요 내용 |
---|---|
제임스 H. 콘 | 1950년대 말콤 X가 기독교를 "백인의 종교"로 가르치는 것에 반대하는 선언을 한 후 처음으로 흑인 신학을 언급.[10] 흑인 종교 전문가 조나단 L. 월턴에 따르면, 제임스 콘은 신약성서가 억압받는 자, 사회적으로 소외된 자, 문화적 이방인들을 동일시하는 예수님을 드러낸다고 믿었음. 콘은 신학적 관점에서 예수님이 백인 억압을 방해하고 해체하기 위해 스스로를 흑인으로 드러낸다고 주장.[11] |
W. E. B. Du Bois | |
마틴 루터 킹 주니어 | |
Cornel West | |
Albert Cleage | |
Dwight N. Hopkins | |
Jeremiah Wright | |
James H. Evans, Jr. | |
Gayraud S. Wilmore | |
바실 무어 | 1970년대 초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감리교 신학자로 흑인 신학을 남아프리카에서 대중화. 흑인 의식 운동의 발흥에 기여했으며, 아파르트헤이트에 대한 저항을 고취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침. |
바니 피티아나[14] | 남아프리카 흑인 신학자. |
앨런 보에삭[15] | 남아프리카 흑인 신학자. |
이투멜렝 모살라[16] | 남아프리카 흑인 신학자. |
로버트 베크포드 | 영국에서 학문적 수준에서 흑인 신학 강좌를 개발하고 가르친 최초의 인물. |
앤서니 G. 레디[18] | 영국 내 흑인 신학 관련 담론의 주요 배출구 역할을 해온 학술지인 흑인 신학의 편집자. |
4. 비판
흑인 신학은 여러 출처로부터 비판을 받았는데, 흑인 무슬림들은 기독교를 "백인의 종교"라고 주장했고, 백인 기독교인들은 흑인 교회를 열등하다고 보았으며, 흑인 마르크스주의자들은 종교를 억압자의 비과학적 도구로 보았다. 흑인 권력 지지자들은 기독교인이 되는 것을 흑인인 것과 양립할 수 없다고 보았다.[5]
미국 역사에서 인종과 노예제도에 대한 생각은 성경의 특정 해석에 따라 많은 기독교인들에 의해 지지되었다.[6] 남침례교단은 노예제도와 노예 소유주를 지지했으며, 1995년 6월 20일에 이르러서야 공식적인 참회 선언이 채택되었다.[7]
The Christian Post의 앤서니 브래들리는 "경제적 동등성"이라는 표현과 "잘못된 분배"에 대한 언급이 칼 마르크스의 견해를 전달하는 것에 불과하다고 해석한다. 그는 제임스 H. 콘과 코넬 웨스트가 마르크스주의 사상을 흑인 교회에 통합하여 마르크스주의와 매우 유사한 억압 계급 대 희생자 체제에 기반한 윤리적 틀을 형성했다고 믿는다.[19]
National Review의 스탠리 커츠는 "전통적인 미국 기독교"와의 인식된 차이점에 대해 글을 썼다. 그는 흑인 신학자 오베리 M. 헨드릭스 주니어의 말을 인용했다. "헨드릭스에 따르면, '많은 선량한 교회에 다니는 사람들이 진정으로 훌륭한 기독교인이라고 생각할 때 현대의 바리새인과 사두개인처럼 행동하도록 속았다.' 헨드릭스는 자신도 모르게 이러한 외견상 기독교인들이 실제로 '바알의 거짓 예언자들처럼' 되었다고 말한다." 커츠는 또한 예레미야 라이트의 말을 인용했다. "성경에서 금발 머리에 파란 눈을 가진 남자의 그림이나 멜 깁슨의 영화에서 백인 우월주의자들이 상상하는 허상으로 보이는 사람이 아닌 아프리카 예수에 대해 아이들에게 어떻게 말해야 할까?"[21]
참조
[1]
서적
The Oxford encyclopedia of African thought
https://www.worldcat[...]
Oxford University Press
2021-11-17
[2]
서적
The Oxford encyclopedia of African thought
https://www.worldcat[...]
Oxford University Press
2021-11-17
[3]
서적
The Oxford encyclopedia of African thought
https://www.worldcat[...]
Oxford University Press
2021-11-17
[4]
웹사이트
A Closer Look at Black Liberation Theology
https://www.npr.org/[...]
2008-03-18
[5]
서적
The Oxford encyclopedia of African thought
https://www.worldcat[...]
Oxford University Press
2021-11-17
[6]
웹사이트
A Black Theology of Liberation
http://www.wfu.edu/~[...]
[7]
웹사이트
The 21st Century Rise of Black Theology (AKA) Black Liberation Theology
https://christianpub[...]
2021-03-06
[8]
간행물
SBC Renounces Racist Past
1995-07-05
[9]
논문
Black theology in South Africa – A theology of human dignity and black identity
http://www.hts.org.z[...]
2016-02-04
[10]
웹사이트
James Cone
https://www.pbs.org/[...]
The Faith Project and Blackside
[11]
웹사이트
Wright's Theology Not 'New or Radical'
http://www.salon.com[...]
2008-05-03
[12]
웹사이트
Black Theology, Black Power, and the Black Experience
http://home.earthlin[...]
1991
[13]
뉴스
James H. Cone
1989-11-08
[14]
문서
Black Theology and the struggle for liberation
불명
Index on Censorship
1983-10
[15]
서적
Farewell to innocence : a socio-ethical study on black theology and black power
https://www.worldcat[...]
2015
[16]
서적
The Unquestionable right to be free : Black theology from South Africa
https://www.worldcat[...]
Orbis Books
1986
[17]
서적
African Theology: Inculturation and Liberation
Wipf and Stock
[18]
웹사이트
Black Theology: An International Journal
http://www.tandfonli[...]
Taylor & Francis
[19]
웹사이트
The Marxist Roots of Black Liberation Theology
http://www.acton.org[...]
2008-04-02
[20]
뉴스
The 'Wright Problem'
http://www.iht.com/a[...]
2008-05-01
[21]
웹사이트
Left in Church
http://www.nationalr[...]
2008-05-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