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대(Judea)는 유다 지파의 영토와 유다 왕국을 아우르는 지명으로, 현재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가 분할 통치하는 지역을 가리킨다. 고대에는 요르단 강 서쪽 지역을 포함했으며, 1세기 로마-유대 역사가인 요세푸스는 유대의 지리적 경계와 행정 구역에 대해 상세히 기록했다. 유대는 헤브론 산맥을 중심으로 한 산악 지형으로, 예루살렘, 베들레헴, 헤브론, 예리코 등 역사적으로 중요한 도시들이 위치해 있다. 유대 지역은 선사 시대부터 인류가 거주했으며,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 모두에게 중요한 성지이다. 유대 왕국은 기원전 586년 바빌로니아에 의해 멸망했으며, 이후 페르시아, 헬레니즘 시대를 거쳐 로마의 지배를 받았다. 로마 시대에 유대인들은 여러 차례 반란을 일으켰으며, 135년 바르 코크바의 난 이후 유대인들은 쫓겨나 디아스포라를 겪었다. 1948년 이스라엘 건국 이후 유대 지역은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의 핵심 지역이 되었으며, 현재 이스라엘은 이 지역을 유대와 사마리아 지역으로 부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요르단의 역사 - 시리아 (지역)
    시리아는 루위어에서 유래하여 고대 그리스에서 아시리아를 지칭했으며, 역사적으로 키질이르마크 강에서 이집트까지, 또는 비옥한 초승달 지대, 지중해 동쪽, 유프라테스 강 서쪽, 아라비아 사막 북쪽, 타우루스 산맥 남쪽을 포함하는 지역을 의미했고, 현재는 시리아, 레바논, 요르단,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터키 남부 일부를 포함하며 '샴'이라고도 불리는, 다양한 민족과 종교, 아브라함계 종교 관련 유적지가 많은 지역이다.
  • 요르단의 역사 - 트란스요르단 토후국
    트란스요르단 토후국은 현재의 요르단 지역에 해당하는 영국의 위임통치령으로, 1921년 압둘라 1세가 토후로 임명되어 자치 정부를 수립한 후 1946년 독립하여 트란스요르단 하심 왕국으로 재탄생했다.
  • 팔레스타인 - 가자
    가자는 기원전 15세기부터 다양한 제국의 지배를 거쳐 1993년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 2007년부터 하마스 통치 하에 있으며 이스라엘-하마스 분쟁으로 인도주의적 위기가 지속되는 팔레스타인 가자 지구의 최대 도시이다.
  • 팔레스타인 - 베들레헴
    베들레헴은 팔레스타인 서안 지구에 위치한 도시로,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지로 알려진 중요한 순례지이자 관광 도시이며, 고대 유다 왕국의 도시이자 다윗 왕의 고향으로 구약성서에 언급되고, 다양한 문명의 지배를 거쳐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의 중심지 중 하나이며, 현재는 팔레스타인 자치정부의 통치 아래 이스라엘의 서안 지구 장벽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유다이아 - 헤로데 왕국
    헤로데 왕국은 기원전 1세기 후반부터 기원후 1세기 초반까지 로마 제국의 클라이언트 왕국으로, 헤로데 1세가 유대인의 왕으로 임명되어 시작되었으며 그의 사후 분할 통치되다가 유대 속주로 편입되었다.
  • 유다이아 - 야브네
    야브네는 이스라엘 중부에 위치한 도시로, 로마 제국 시대에는 얌니아로 불렸으며, 제2성전 파괴 이후 유대교 회복의 중심지였고, 십자군 시대에는 이벨린으로 불리며 예루살렘 왕국의 요새가 건설되었고, 1948년 이후 계획 도시로 지정되어 텔아비브의 위성 도시로 발전했다.
유대
개요
위치남부 레반트
구성 국가팔레스타인
이스라엘
최고 지점헤브론 산
최고 고도1,020m
명칭
한국어유대
히브리어|rtl=yes}} (예후다)
로마자 표기Yehuda
그리스어Ἰουδαία (이우다이아)
라틴어Iudaea (유데아)
지리
특징지중해 분지 지역
역사적 맥락
관련 용어유대 속주
시리아 팔레스티나
언어히브리어
그리스어
라틴어
번역유대 (Judaea)는 그리스어에서 유래, 로마 시대에 사용됨.
기타
혼동 방지유대 자치주(러시아)와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

2. 어원

"유대"라는 이름은 유다라는 이름이 그리스어라틴어로 각색된 것으로, 원래 해당 이스라엘 지파의 영토와 고대 유다 왕국을 포괄하는 명칭이었다. 유다라는 이름의 가장 오래된 기록은 기원전 733년경의 님루드 석판 K.3751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아시리아 설형 문자로는 'Yaudaya' 또는 'KUR.ia-ú-da-a-a'로 기록되어 있다.

역사적으로 "유대"는 때때로 요르단 강 동쪽 지역까지 포함하는 넓은 지역을 지칭하는 이름으로 사용되기도 했다.[7] 예를 들어, 서기 200년 섹스투스 율리우스 아프리카누스는 카이사레아의 유세비우스가 인용한 글(''교회사'' 1.7.14)에서 나사렛(Nazara)을 유대 지역의 마을로 묘사했다.[8] 영어 킹 제임스 성경에서는 이 지역을 "유대"(Judæa)라고 부른다.[9]

20세기 들어서도 "유대"는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의 언덕이 많은 내부 지역을 가리키는 명칭으로 영어 사용자들에게 통용되었다. 1947년 유엔 분할 계획 당시 제안된 두 국가의 경계 설정[10]이나, 1937년 국제 연맹 위임 위원회 보고서에서도 "유대"와 "사마리아"라는 지리적 용어가 공식적으로 사용되었다.[11]

그러나 1948년 요르단이 이 지역을 통치하게 되면서, 요르단은 이 지역을 الضفة الغربية|앗디파 알가르비야ar('ad-difa'a al-gharbiya')라고 불렀고, 이는 영어로 서안 지구(West Bank)로 번역되었다.[12] 이후 1967년 6일 전쟁을 통해 이스라엘이 이 지역을 점령한 뒤로는, 현대 이스라엘에서 히브리어 명칭인 יהודה|예후다he(Yehudah)를 공식적인 용어로 사용하고 있다.[13]

3. 지리

유대 지역의 고대 로마 도로


유대의 전통적인 경계는 남쪽으로 헤브론, 북쪽으로 베스호론, 서쪽으로는 지중해, 동쪽으로는 요르단강이다. 지리적으로는 건조한 산악 지형이며, 일부는 사막으로 간주된다. 높이는 매우 다양한데, 남쪽 헤브론 언덕 지역은 해발 1020m까지 솟아 있으며, 동쪽 지역은 해수면 아래 400m까지 내려간다.

강수량도 지역에 따라 차이가 크다. 서부 언덕 지역은 약 400mm에서 500mm 정도이며, 예루살렘 서부(유대 중부)에서는 600mm까지 증가한다. 그러나 예루살렘 동쪽에서는 다시 400mm로 감소하고, 우산 효과로 인해 동쪽 끝 유대 사막 지역에서는 약 100mm까지 떨어진다. 이에 따라 기후는 서쪽의 지중해성 기후에서 동쪽의 사막 기후로 변하며, 그 사이에는 반 건조 기후 지대가 나타난다. 이 지역의 주요 도시로는 예루살렘, 베들레헴, 구쉬 에치온, 예리코, 헤브론 등이 있다.[17]

지리학자들은 유대를 여러 지역으로 나눈다: 헤브론 언덕, 예루살렘 안부, 베델 언덕, 그리고 예루살렘 동쪽에서 사해 방향으로 계단처럼 내려가는 유대 사막이다. 언덕 지형은 배사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고대에는 이 언덕들에 숲이 우거졌으며, 성경에는 이 지역에서 농업과 양을 치는 목축이 이루어졌다는 기록이 있다. 오늘날에도 여전히 동물 방목이 이루어지며, 목동들은 여름이 다가오면 가축들을 저지대에서 언덕 꼭대기로 이동시킨다. 언덕 경사면에는 수백 년 된 돌 계단식 농지들이 층을 이루고 있다. 과거 로마 제국에 대항한 유대인의 반란으로 인해 유대 시골 지역의 광대한 부분이 황폐화되기도 했다.[18]

북쪽으로는 하초르 산이 사마리아와 유대 사이의 지리적 경계를 이룬다.

4. 역사

선사 시대부터 이 지역에는 인류가 거주한 것으로 보이며, 예리코는 인류 최초의 정착지 중 하나이자 현재까지 사람이 살고 있는 가장 오래된 도시 중 하나로 여겨진다. 수많은 민족이 이 지역에서 역사의 흥망성쇠를 거듭했으며, 그중에서도 유대인은 이 지역 역사와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 유대교의 토라 전승에 따르면, 이곳은 유대인의 시조인 아브라함, 이삭, 야곱 등 조상들의 땅이자 그들이 묻힌 곳이다.

성경 기록에 따르면 기원전 10세기다윗솔로몬의 통일 왕국이 존재했으며, 이후 북쪽의 이스라엘 왕국과 남쪽의 유다 왕국으로 분열되었다. 남쪽의 유다 왕국은 기원전 586년 (또는 기원전 597년, 바빌론 유수 시작 시점에 대해서는 학자들 간 이견이 있음) 바빌로니아에 의해 예루살렘이 멸망할 때까지 유대인의 주요 거주지였다.

이후 페르시아 제국의 키루스 2세에 의해 해방되어 유대인들이 귀환했으나, 알렉산드로스 대왕 사후에는 잠시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지배를 받았고, 뒤이어 셀레우코스 왕조의 통치 아래 놓였다. 셀레우코스 왕조의 통치에 반발하여 유다 마카베오가 일으킨 마카베오 항쟁 이후 하스몬 왕조가 들어서면서 잠시 독립적인 유대인 왕국이 세워졌으나, 내부 분열로 인해 결국 기원전 63년 로마가 개입하여 로마의 통치를 받게 되었다. 로마 제국은 유대를 직접 통치하기보다는 헤로데 1세와 그의 후손들로 이루어진 헤로데 왕가를 분봉왕으로 임명하여 간접적으로 다스렸다.

로마의 지배에 대한 유대인들의 저항은 계속되었고, 서기 66년 제1차 유대-로마 전쟁서기 132년 바르 코크바의 반란이 일어났으나 모두 실패로 돌아갔다. 특히 바르 코크바의 반란 진압 이후, 로마 황제 하드리아누스는 모든 유대인을 유대 지역에서 추방하는 명령을 내렸다. 이로 인해 유대인들은 고향 땅과 국가 없이 전 세계로 흩어져 살아야 하는 디아스포라 시대를 맞이했으며, 1948년 이스라엘 건국 이후에야 비로소 다시 이 지역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

아래는 유대 지역의 주요 지배 세력 변화를 나타낸 표이다.

기간지배 세력/국가해당 지역 명칭/상태
기원전 900년경–586년유다 왕국독립 왕국
기원전 586–539년신바빌로니아 제국예후드 (속주)
기원전 539–332년아케메네스 제국예후드 메디나타 (속주)
기원전 332–305년알렉산드로스 대왕의 마케도니아 제국-
기원전 305–198년프톨레마이오스 왕조-
기원전 198–141년셀레우코스 제국-
기원전 141–37년하스몬 왕조독립 왕조 (기원전 63년 이후 로마 영향력 하)
기원전 37년 – 서기 132년로마 제국헤로데 왕조 (로마 분봉왕) / 로마 속주 (총독 파견)
서기 132년 이후로마 제국 / 비잔틴 제국시리아 팔레스티나 속주 (유대 명칭 폐지)


4. 1. 고대

선사 시대부터 이 지역에는 인류가 거주했으며, 예리코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 중 하나로 꼽힌다. 여러 민족이 이 지역에서 역사를 만들어왔으며, 그중 유대인은 특히 중요한 역할을 했다. 유대교의 토라 전승에 따르면, 유대인의 시조 아브라함은 약 5000년 전(기원전 3000년경) "갈데아의 우르(:en:Ur Kaśdim)"에서 출발하여 아버지의 정착지였던 카란을 거쳐 가나안(현재의 이스라엘)으로 이주했다.[46] 아브라함과 그의 아들 이삭, 손자 야곱은 유대인의 조상으로 여겨지며, 이들이 헤브론의 족장들의 무덤에 묻혔다고 전해진다. 야곱(별명: 이스라엘)에게는 12명의 아들이 있었고, 이들은 이스라엘 12지파의 시조가 되었다. 모세출애굽 이후 각 지파에게 땅이 주어졌는데, 유다 지파에게 주어진 땅이 후에 '유대'라고 불리게 되었다. 베냐민 지파는 유다 지파에 흡수되었고, 제사장직을 맡은 레위 지파는 특정 영토 없이 각 지파 안에 거주했다.

기원전 10세기다윗솔로몬의 통일 왕국이 존재했다는 성경 기록이 있으나, 현대 학계에서는 통일 왕국의 역사성에 대해 다른 견해를 제시하기도 한다.[19][20][21][22] 솔로몬 왕 사후, 왕국은 북쪽의 이스라엘 왕국(수도: 사마리아)과 남쪽의 유다 왕국(수도: 예루살렘)으로 분열되었다.

남부 레반트 지도, 기원전 830년대경. 초록색은 유다 왕국을 나타낸다.


북쪽의 이스라엘 왕국(10지파)은 기원전 721년 또는 720년에 아시리아에 의해 멸망했다(이스라엘의 잃어버린 10지파).[47] 남쪽의 유다 왕국은 형식적인 독립을 유지했으나, 기원전 715년부터 아시리아에 조공을 바쳤다. 아시리아의 쇠퇴 후 잠시 독립을 회복했지만, 기원전 609년 이후 이집트, 그리고 기원전 601년부터는 신바빌로니아에 조공을 바쳤다. 결국 기원전 586년 (또는 기원전 597년, 바빌론 유수 시작 시점에 대해서는 학자들 간 이견이 있음) 신바빌로니아에 의해 예루살렘이 함락되고 왕국은 멸망했으며, 지배 계급을 중심으로 많은 유대인이 바빌론으로 끌려갔다(바빌론 유수).

기원전 539년 페르시아 제국의 키루스 2세가 신바빌로니아를 멸망시킨 후, 유대인들은 해방되어 고향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 귀환한 유대인들은 기원전 515년 스룹바벨의 지도 아래 파괴된 예루살렘 성전을 재건했는데, 이를 제2성전이라 부른다.

페르시아 제국의 지배 이후, 유대 지역은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을 거쳐 잠시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지배를 받았고, 이후 셀레우코스 왕조의 통치 하에 들어갔다. 기원전 166년, 유다 마카베오(마카베우스)가 셀레우코스 왕조에 대항하여 독립 전쟁(마카베오 항쟁)을 시작했고, 이 전쟁은 26년간 이어졌다. 그 결과 기원전 140년 하스몬 왕조가 세워져 유대인 독립 왕국이 잠시 부활했다.

그러나 하스몬 왕조는 내부 분열로 약화되었고, 결국 기원전 63년 로마가 개입하여 유대 지역을 통치하게 되었다. 로마는 직접 통치 대신 헤로데 1세와 그의 후손들인 헤로데 왕가를 분봉왕으로 임명하여 간접적으로 다스렸다. 기원전 37년 로마의 지원을 받은 헤로데 대왕 아래 헤로데 왕조가 성립되었다.

로마의 지배에 대한 유대인들의 저항은 계속되었고, 135년 바르 코크바의 반란이 일어났으나 로마군에 의해 진압되었다. 반란 실패 후 로마 황제 하드리아누스는 유대인들을 유대 지역에서 추방하는 명령을 내렸다. 이로 인해 유대인들은 고향 땅을 떠나 전 세계로 흩어지는 디아스포라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다. 유대인들은 1948년 이스라엘 건국 이후에야 다시 이 지역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

4. 2. 페르시아 및 헬레니즘 시대

신바빌로니아 제국은 기원전 539년 페르시아 제국키루스 2세에게 멸망했다.[23] 이로써 바빌론 유수로 끌려갔던 유대인들은 해방되어 고향으로 돌아와 다시 정착할 수 있게 되었다. 페르시아 지배하에서 유대는 '예후드 메디나타'라는 이름의 속주(기원전 539–332년)가 되었고, 기원전 515년에는 스룹바벨의 주도로 예루살렘 성전을 대신하는 제2성전이 재건되었다.

페르시아의 통치는 기원전 332년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으로 끝났다. 그의 사후 제국이 분열되면서 유대는 잠시 마케도니아 제국에 속했다가(기원전 332–305년), 이후 이집트를 중심으로 한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지배(기원전 305–198년)를 받았다.

기원전 198년부터는 시리아 지역을 기반으로 한 셀레우코스 제국이 유대를 통치했다. 셀레우코스 왕조, 특히 안티오코스 4세 에피파네스의 강압적인 헬레니즘화 정책과 유대교 탄압은 유대인들의 거센 반발을 샀다. 이에 기원전 166년, 제사장 마타티아스의 아들인 유다 마카비(마카베우스)를 중심으로 셀레우코스 제국에 대항하는 마카베오 항쟁이 일어났다.

살로메 알렉산드라 시대의 최대 하스몬 왕조


마카베오 항쟁은 20년 이상 지속되었고, 마침내 기원전 141년(또는 기원전 140년) 유대인들은 독립을 이루어 유다 마카베오의 형제인 시몬 마카베오를 시조로 하는 하스몬 왕조를 세웠다.[24] 하스몬 왕조는 약 1세기 동안 유대를 독립적으로 통치하며 영토를 확장하기도 했으나, 점차 내부 분열과 권력 다툼으로 쇠퇴했다. 결국 기원전 63년 로마의 장군 폼페이우스가 예루살렘을 정복하고 유대에 개입하면서 하스몬 왕조의 독립 통치는 사실상 막을 내렸다.

4. 3. 로마 시대

하스몬 왕조 시대 말기의 내분은 로마의 개입을 초래했다. 기원전 63년, 제3차 미트리다테스 전쟁을 마무리하던 로마의 집정관 폼페이우스는 유대 지역으로 남하하여 예루살렘을 점령했다.[14] 이는 살로메 알렉산드라 여왕 사후 그의 아들들인 히르카누스 2세와 아리스토불루스 2세 사이에 벌어진 내전 때문이었다. 폼페이우스는 히르카누스 2세를 복위시켰으나, 유대는 사실상 로마의 속국이 되었고, 정치적 실권은 로마의 지원을 받은 헤로데 왕조에게 넘어갔다.

헤로데 1세(헤로데 대왕)와 그의 후손들은 로마의 속국 왕으로서 유대를 통치했다. 헤로데 대왕은 기원전 37년부터 기원전 4년까지 통치하며 로마의 지지를 바탕으로 권력을 유지했고, 대규모 건축 사업을 벌여 기원전 25년경에는 카이사레아 마리티마를 건설하여 행정 중심지로 삼기도 했다. 그의 사후 아들인 헤로데 아르켈라오스가 뒤를 이었으나, 서기 6년 로마 제국은 그를 폐위시키고 그의 영토를 로마의 직접 통치하에 두는 유대 속주로 편입시켰다. 이후 유대는 로마 총독에 의해 다스려졌으나, 유대인들은 서기 28년경까지 사형 집행권을 포함한 자치권을 일부 유지했다.[25]

로마 통치 하의 유대 속주는 행정적으로 여러 구역으로 나뉘었다. 초기에는 예루살렘, 가다라, 아마투스, 예리코, 세포리스 등 5개의 회의(Synedrion/Synhedria)로 나뉘었으며,[26] 이후에는 예루살렘, 고프나, 아크라바타, 탐나, 리다, 엠마우스, 펠라, 이두매, 엔게디, 헤로디온, 예리코 등 11개의 행정 구역(토파르키)으로 재편되었다.[27] 1세기 로마-유대 역사가 요세푸스는 당시 유대의 지리적 범위와 행정 구역에 대해 상세히 기록했다.[15]

로마의 통치에 대한 유대인들의 불만은 결국 대규모 반란으로 이어졌다. 서기 66년, 제1차 유대-로마 전쟁이 발발했다. 이 전쟁은 서기 73년까지 이어졌으며, 특히 서기 70년에는 로마군에 의해 예루살렘이 함락되고 제2성전이 파괴되는 비극을 겪었다. 수많은 유대인이 학살당하거나 노예로 팔려나갔다.[28]

이후에도 유대인들의 저항은 계속되었다. 서기 132년에는 시몬 바르 코흐바의 주도로 바르 코흐바의 난이 일어났다. 바르 코흐바는 한때 유대 지역 대부분을 장악하고 독립 국가를 세우기도 했으나, 136년 로마 제국에 의해 반란은 잔혹하게 진압되었다. 이 과정에서 유대 지역은 초토화되었고, 대부분의 유대인 주민들은 학살되거나 추방당했으며, 많은 수가 노예로 팔려나갔다.[29][30][31] 발굴된 유대 지역 마을 중 봉기 동안 파괴되지 않은 곳은 거의 없을 정도였다.[32]

반란 진압 후, 로마 황제 하드리아누스는 유대 민족주의를 뿌리 뽑기 위해 유대 속주의 이름을 시리아 팔레스티나로 변경했다.[33] 이는 유대인의 옛 적인 필리스티아인의 이름에서 따온 것으로, 유대라는 명칭을 역사에서 지우려는 의도였다. 또한 유대인들은 예루살렘 주변 지역에서 완전히 추방되었고, 예루살렘 폐허 위에는 로마식 도시인 아이리아 카피톨리나가 건설되었다.[30] 살아남은 유대인 인구는 주로 갈릴리, 해안 평야(특히 로다, 야파, 카이사리아) 및 일부 변경 지역에 집중되었다.[34][35] 버려진 마을 토지는 로마 엘리트, 군단, 수도원 등에 분배되었고,[36] 로마 퇴역 군인 등이 정착하면서 이 지역의 로마화가 진행되었다.[37][29] 이 사건 이후 유대인들은 고향 땅을 잃고 전 세계로 흩어지는 디아스포라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다.

4. 4. 비잔틴 시대

5세기 CE: 팔레스타이나 I(필리스티아, 유대, 사마리아)과 팔레스타이나 II(갈릴리와 페레아)의 비잔틴 지방


서기 5세기에 이르러 유대 지역은 수도원 중심지로 발전했으며, 예루살렘기독교의 주요 순례지이자 교회 중심지가 되었다.[30] 비잔틴 제국의 지배 아래, 바르 코크바의 난 이후 유대인들이 추방된 자리에 이주해 온 이교도 주민들은 점차 기독교로 개종하였다.[29]

비잔틴 제국은 팔레스타인 지역의 행정 구역을 재편하였다. 기존의 다양한 로마 속주들(시리아 팔레스티나, 사마리아, 갈릴리, 페레아)은 세 개의 교구로 나뉘었는데, 이는 기원전 5세기 그리스 역사가 헤로도토스가 사용했던 '팔레스타이나'라는 명칭을 다시 사용한 것이다. 이 세 교구는 동방 관구에 속했다.[38][39]

행정 구역구성 지역중심 도시 (총독 거주지)비고
팔레스타이나 프리마유대, 사마리아, 파랄리아, 페레아카이사레아제1 팔레스타인
세쿤다갈릴리, 하부 예스르엘 계곡, 갈릴리 동부 지역, 이전 데카폴리스 서부 지역스키토폴리스제2 팔레스타인
테르티아 또는 살루타리스네게브, 요르단 남부(한때 아라비아의 일부), 대부분의 시나이 반도페트라제3 팔레스타인

[38][40]

이 행정 구역 재편 시기에 대해서는 학자들 간의 의견이 갈린다. 역사학자 H.H. 벤-사손은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재위 284–305) 시대에 이루어졌다고 주장하지만,[41] 다른 학자들은 이 변화가 390년에 더 늦게 발생했다고 본다.

4. 5. 중세 시대

엘렌블룸에 따르면, 십자군 전쟁 시기 프랑크족예루살렘나블루스 사이 지역 남쪽에 정착하는 경향이 있었는데, 이는 해당 지역에 상당한 규모의 기독교 인구가 거주했기 때문이었다.[42][43]

시간이 흘러 16세기 말 오스만 제국 시대에 이르러서는 유대 북부 지역 주민 대부분이 무슬림이었다. 일부는 오늘날 상당한 기독교 인구가 있는 마을에 거주하기도 했다. 1596년에서 1597년 사이에 시행된 오스만 제국의 인구 조사 결과는 당시의 종교 분포를 보여준다.[43] 아래 표는 유대 북부 일부 지역의 가구 조사 결과이다.

지역무슬림 가구 수기독교 가구 수비고
비르제이트다수0전적으로 무슬림 마을
지프나다수0전적으로 무슬림 마을
타이베6323
라말라971기독교인은 케라크에서 최근 이주



예를 들어, 비르제이트와 지프나는 전적으로 무슬림 마을이었으며, 타이베에는 무슬림 63가구와 기독교 23가구가 공존했다. 반면 라말라에는 기독교 71가구와 무슬림 9가구가 있었는데, 이곳의 기독교인들은 조사 시점으로부터 불과 몇 년 전 케라크 지역에서 이주해 온 사람들이었다.[43]

에를리히에 따르면, 이 지역의 기독교 인구는 빈곤, 억압과 박해, 사회적 소외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인해 점차 감소했다.[43] 또한, 예루살렘과 그 주변 지역에서 활발했던 수피즘 활동 역시 이 지역 기독교 마을 주민들의 이슬람 개종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43]

4. 6. 현대

'유대'라는 명칭은 1948년 요르단이 이 지역을 통치하기 전까지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의 일부 지역을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1947년 유엔 분할 계획에서도 이 지역의 경계를 설명할 때 공식적으로 '유대'와 '사마리아'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10] 이는 1937년 국제 연맹 위임 위원회 보고서에서 사용된 지리적 용어 '사마리아와 유대'와 같다.[11]

135년 바르 코크바의 반란 실패 이후 로마 제국에 의해 추방되었던 유대인들은 1948년 이스라엘 건국 이후 다시 이 지역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 1948년 이후 요르단은 이 지역을 아랍어로 ''الضفة الغربية|ad-difa'a al-gharbiyaar''라고 불렀는데, 이는 영어로 '서안 지구'(West Bank)로 번역된다.[12]

그러나 1967년 6일 전쟁 이후 이스라엘이 이 지역을 점령하면서, 현대 이스라엘에서는 이 지역을 히브리어로 יהודה|예후다he라고 부르기 시작했다.[13] 현재 이스라엘 정부는 이 지역을 유대와 사마리아 지역으로 공식 지칭하고 있다.

5. 주요 도시

유대(Judea)는 넓은 의미에서 갈릴리와 사마리아 지역을 포함하기도 한다. 유대 지역의 중요한 도시로는 예루살렘, 베들레헴, 헤브론, 예리코 등이 있다.

유대 지역 주요 도시 이름
도시명히브리어
(마소라, 7-10세기)
그리스어
(요세푸스, 70인역, 기원전 3세기 – 서기 1세기)
라틴어아랍어
예루살렘ירושלםΙερουσαλήμ|히에루살렘grcHerusalem (Aelia Capitolina)|헤루살렘 (아일리아 카피톨리나)latالقدس|알쿠드스ara
예리코יריחוΊεριχω|히에리코grcHiericho / Herichonte|히에리코 / 헤리콘테latأريحا|아리하ara
세겜 / 나블루스שכםΝεάπολις|네아폴리스grcNeapoli|네아폴리latنابلس|나블루스ara
야파יפוἸόππῃ|이오페grcIoppe|이오페latيَافَا|야파ara
아스칼론אשקלוןἈσκάλων|아스칼론grcAscalone|아스칼로네latعَسْقَلَان|아스칼란ara
베이트 셰안בית שאןΣκυθόπολις|스키토폴리스grc
Βαιθσάν|베이트산grc
Scytopoli|스키토폴리latبيسان|베이산ara
베트 구브린 / 마레샤בית גובריןἘλευθερόπολις|엘레우테로폴리스grcBetogabri|베토가브리latبيت جبرين|바이트 지브린ara
케파르 오트나이(לגיון) כפר עותנאיxxxCaporcotani (Legio)|카포르코타니 (레기오)latاللجّون|알라준ara
페키인פקיעיןΒακὰ|바카grc[44]xxxالبقيعة|알부케이아ara
얌니아יבנהΙαμνεία|이암네이아grcIamnia|이암니아latيبنى|이브나ara
사마리아 / 세바스테שומרון / סבסטיΣαμάρεια / Σεβαστή|사마레이아 / 세바스테grcSebaste|세바스테latسبسطية|사바스티야ara
파네아스 / 카이사레아 필리피פנייסΠάνειον (Καισαρεία Φιλίππεια)|파네이온 (카이사레이아 필리페이아)grcCesareapaneas|케사레아파네아스latبانياس|바니아스ara
아크레 / 프톨레마이עכוΠτολεμαΐς|프톨레마이스grc
Ἀκχώ|아코grc
Ptoloma|프톨로마latعكّا|아카ara
엠마우스אמאוסἈμμαοῦς (Νικορολις)|암마우스 (니코폴리스)grcNicopoli|니코폴리latعمواس|임와스ara


6. 현대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135년 바르 코크바의 반란 실패 이후 로마 제국은 유대인들을 이 지역에서 추방하였고, 유대인들은 디아스포라로 흩어져 오랫동안 국가 없이 살아야 했다. 로마는 유대적인 것을 지우기 위해 이 땅을 유대인의 숙적이던 필리스티아인의 이름을 따 팔레스타인이라고 명명하면서 유대라는 지명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이후 1948년 유대인들은 이스라엘이라는 국가를 세우고 이 지역으로 돌아오기 시작했는데, 이는 현대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의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Definition of Judaea in English https://web.archive.[...] 2021-07-20
[2] 서적 The Christian Survivor: How Roman Christianity Defeated Its Early Competitor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20-09-28
[3] 서적 Jesus, Joshua, Yeshua of Nazareth Revised and Expanded https://books.google[...] iUniverse 2011
[4] 서적 The Languages of the Jews: A Sociolinguistic Histo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
[5] 서적 Holman Illustrated Bible Dictionary https://books.google[...] B&H Publishing Group 2015
[6] 서적 The Israel-Palestine Conflict: Contested Historie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1-09-19
[7] 간행물 Studies in Palestinian Geography. II. Judea http://www.jstor.org[...]
[8] 문서 Eusebius Pamphili, Church History, Book I, Chapter VII http://www.ccel.org/[...] Eusebius of Caesarea
[9] 문서 Luke 23:5, John 7:1
[10] 웹사이트 A/RES/181(II) of 29 November 1947 https://unispal.un.o[...] Unispal.un.org 2018-09-20
[11] 웹사이트 Mandate for Palestine – Report of the Mandatory to the LoN (31 December 1937) https://unispal.un.o[...] Unispal.un.org 2018-09-20
[12] 뉴스 This Side of the River Jordan; On Language, http://www.forward.c[...] Forward 2010-09-22
[13] 웹사이트 Judaea https://www.britanni[...] Britannica 2012-12-31
[14] 서적 Picturesque Palestine, Sinai and Egypt https://archive.org/[...] D. Appleton
[15] 웹사이트 Ancient History Sourcebook: Josephus (37 – after 93 CE): Galilee, Samaria, and Judea in the First Century CE http://www.fordham.e[...] Fordham.edu 2012-12-31
[16] 문서 Antiquities http://www.perseus.t[...] Josephus
[17] 웹사이트 Picturesque Palestine I: Jerusalem, Judah, Ephraim http://www.lifeinthe[...] Lifeintheholyland.com 2012-12-31
[18] 웹사이트 Unlikely A Tale of Two Conquests: The Unlikely Numismatic Association Between the Fall of New France (AD 1760) and the Fall of Judaea (AD 70) https://archive.toda[...] Ansmagazine.com 2012-12-31
[19] 서적 The Ancient Near East https://archive.org/[...] Routledge
[20] 서적 The Bible Unearthed : Archaeology's New Vision of Ancient Israel and the Origin of Its Sacred Texts Simon & Schuster
[21] 웹사이트 The Bible and Interpretation – David, King of Judah (Not Israel) https://bibleinterp.[...] bibleinterp.arizona.edu 2014-07-13
[22] 서적 The Bible in History: How Writers Create a Past Jonathan Cape
[23] 웹사이트 Cyrus the Great https://www.britanni[...] 2022-06-26
[24] 웹사이트 Palestine – The Hasmonean priest-princes https://www.britanni[...] 2022-06-26
[25] 문서 Babylonian Talmud Babylonian Talmud
[26] 문서 Antiquities Josephus
[27] 서적 Geschichte des jüdischen Volkes im Zeitalter Jesu Christi [A History of the Jewish People in the Time of Jesus Christ] https://babel.hathit[...] Charles Scribner's Sons 1891
[28] 웹사이트 Titus' Siege of Jerusalem – Livius https://www.livius.o[...]
[29] 간행물 Rural Monasticism as a Key Element in the Christianization of Byzantine Palestine https://www.jstor.or[...] 2005
[30] 간행물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life in the Land of Israel, 66–c. 235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3-03-31
[31] 서적 The Essenes, the Scrolls, and the Dead Se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2-11-15
[32]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Judaism https://www.worldcat[...] Cambridge 2006
[33] 서적 A History of the Jewish People Harvard University Press
[34] 간행물 The political and social history of the Jewish community in the Land of Israel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35] 서적 The Second Jewish Revolt Brill
[36] 서적 "Were There Villages in Jerusalem's Hinterland During the Byzantine Period?" Tzemach
[37] 간행물 A Rock-Cut Burial Cave from the Roman Period at Beit Nattif, Judaean Foothills http://lisa.biu.ac.i[...] 2014-08-16
[38] 문서
[39] 뉴스 Weathered by Miracles: A History of Palestine From Bonaparte and Muhammad Ali to Ben-Gurion and the Mufti https://www.nytimes.[...] 2007-08-11
[40] 웹사이트 Roman Arabia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2007-08-11
[41] 서적 A History of the Jewish People Harvard University Press
[42] 서적 Frankish Rural Settlement in the Latin Kingdom of Jerusalem. http://worldcat.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43] 서적 The Islamization of the Holy Land, 634–1800 http://worldcat.org/[...] Arc Humanities Press
[44] 문서 The Jewish War
[45] 웹사이트 ユダヤ https://kotobank.jp/[...] 小学館, 朝日新聞社 2020-04-07
[46] 문서
[47]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