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로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살로메는 헤로데 안티파스를 위해 춤을 춘 헤로디아의 딸로, 신약성서와 요세푸스의 기록에 등장하는 인물이다. 역사적으로는 헤로데 대왕의 증손녀이며, 두 번의 결혼을 통해 자녀를 두었다. 성서에서는 세례자 요한의 처형과 관련된 인물로 묘사되며, 특히 춤을 춘 대가로 세례자 요한의 목을 요구한 이야기로 유명하다. 살로메는 회화, 소설, 희곡, 오페라 등 다양한 예술 작품의 소재로 활용되었으며, 팜므파탈, 유혹, 여성의 욕망 등을 상징하는 인물로 해석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세기 여자 - 헤로디아
헤로디아는 헤롯 대왕의 손녀로, 헤롯 2세와 결혼하여 딸 살로메를 낳았으며, 이복 삼촌 헤롯 안티파스와 재혼하여 세례자 요한의 처형에 관여하고 유배 생활을 하다 사망한 인물이다. - 살로메 - 살로메 (희곡)
오스카 와일드가 프랑스어로 쓴 희곡 살로메는 성경 인물 살로메를 주인공으로 그녀의 욕망과 파멸을 그린 작품으로, 초연 당시 외설적인 내용과 종교적 소재 때문에 공연이 금지되기도 했지만, 후에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오페라로 만들어지면서 널리 알려졌고 다양한 예술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 살로메 - 헤로데 필리포스
헤로데 필리포스는 누가복음과 플라비우스 요세푸스의 기록에 등장하는 인물로, 이두래, 트라코니티스, 골란, 파네아스 등 여러 지역을 다스린 분봉왕이었으며, 카이사레아 필리피를 수도로 삼고 조카딸인 살로메와 결혼했고, 그의 재위 기간은 기원전 6년부터 서기 33년 사이로 추정된다. - 고대의 통치자 - 옥시아르테스
옥시아르테스는 알렉산드로스 3세에 저항하다가 항복 후 딸 록사네를 결혼시키고 파로파미소스의 태수가 되었으며, 디아도코이 전쟁에서 안티고노스를 지지하다가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 고대의 통치자 - 헤로데 1세
헤로데 1세는 로마의 지원으로 하스몬 왕조를 무너뜨리고 유대의 왕이 되어 경제적 기반을 확충하고 영토를 확장했으나, 폭압적인 통치와 유아 학살 사건으로 비판받는 인물이다.
살로메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살로메 |
다른 이름 | 슐로미트 (שלומית) |
로마자 표기 | Shlomit |
그리스어 | Σαλώμη |
가문 및 신분 | |
가문 | 헤로디안 왕조 |
아버지 | 헤로데 필리포스 |
어머니 | 헤로데야 |
출생 | 기원후 14년경 |
사망 | 기원후 62년에서 71년 사이? |
결혼 | |
배우자 | 헤로데 필리포스 |
기타 | |
참고 | 헤로데 왕가에는 살로메라는 이름을 가진 여성이 세 명 있음: 헤로데 대왕의 여동생인 살로메 1세, 헤로데 대왕의 딸인 살로메 2세, 그리고 헤로디아의 딸인 살로메 3세. |
2. 역사기록상의 살로메
요세푸스의 『유대고대사』에 따르면, 살로메는 헤로데 대왕의 아들 헤로데 빌립보 2세와 헤로디아의 딸이다.[46] 신약성서 마태복음서(14:3), 마가복음서(6:17)에는 헤로데 빌립보 2세가 빌립으로 묘사되어 있다.[11] 헤로디아는 대제사장 시몬의 딸이었다.[11]
살로메는 2번 결혼했는데, 첫 번째 결혼은 트라코니티스의 분봉왕인 헤로데 빌립보 1세(헤로데 대왕의 아들)와 했다.[11] 헤로데 빌립보 1세가 자식이 없이 죽자, 칼키스의 아리스토불루스(헤로데 대왕의 증손자이자 칼키스의 헤로데의 아들)와 두번째 결혼을 하여 세 아들을 두었다.[11] 칼키스의 아리스토불루스와 살로메의 초상이 새겨진 동전이 다수 발견되었다.[11]
살로메는 일반적으로 마가복음과 마태복음에 따르면 헤로데 안티파스를 위해 춤을 춘 헤로디아의 딸로 알려져 있다.[11] 요세푸스는 그의 저서 『유대고대사』에서 헤로디아의 딸 살로메의 결혼과 자녀에 대해 언급한다.[11] 요세푸스는 『유대 고대사』(제18권, 5장, 4절)에서 살로메를 헤로데 안티파스의 계모(의붓딸)로 언급한다.[11]
헤로디아스는…헤로데 대왕의 아들인 헤로데와 결혼했는데, 그는 대제사장 시몬의 딸인 마리아mne(헤로데의 세 번째 부인)의 소생이었다. 그녀는 살로메라는 딸을 낳았다. 살로메가 태어난 후 헤로디아스는 우리나라 법률을 어기고 살아있는 남편과 이혼하고, 아버지쪽 사촌인 헤로데와 결혼하였다. 그런데 그녀의 딸 살로메는 헤로데의 아들이자 트라코니티스의 분봉왕인 필립과 결혼했다. 그가 자식 없이 죽자, 헤로데의 아들인 아리스토불루스가 그녀와 결혼했고, 그들은 헤로데, 아그리파, 아리스토불루스라는 세 아들을 두었다.[11]
요세푸스를 바탕으로 한 전승에 따르면, 그녀는 스페인의 이탈리카에서 태어나 레이다에서 사망했다.[13]
2. 1. 가계와 혈연
살로메는 헤로데 대왕의 증손녀이며, 어머니는 헤로디아로 대제사장 시몬의 딸이었다. 살로메는 두 번 결혼했는데, 첫 번째 남편은 헤로데 대왕의 아들인 헤로데 빌립보 1세였고, 두 번째 남편은 칼키스의 아리스토불루스였다. 칼키스의 아리스토불루스와의 사이에서 세 아들을 두었으며, 그들의 초상이 새겨진 동전이 발견되었다.3. 성서 속의 살로메
신약성서의 마태복음서 14장[5]과 마가복음서 6장[4]에 따르면, 헤로데 안티파스와 헤로디아의 결혼을 세례자 요한이 공개적으로 비난하자, 헤로디아는 요한에게 원한을 품었다.[3] 헤로데 안티파스의 생일 연회에서 헤로디아의 딸은 춤을 추었고, 헤로데 안티파스는 이에 대한 대가로 소원을 들어주겠다고 약속한다. 헤로디아의 딸은 어머니의 사주를 받아 세례자 요한의 목을 요구했고, 헤로데 안티파스는 세례자 요한을 처형하였다.[52] 세례자 요한의 머리는 쟁반에 담겨 헤로디아의 딸에게 전달되었고, 헤로디아의 딸은 그것을 다시 어머니 헤로디아에게 전달했다.[5]
마가복음에는 다음과 같은 기록이 전해진다.[41]
{{quotation|14 예수의 이름이 널리 알려지자 헤롯 왕의 귀에도 들어갔다. 어떤 사람들은 “세례자 요한이 죽은 사람들 가운데서 다시 살아났다. 그래서 그러한 능력이 그에게서 나타나는 것이다” 하고 말하고, 15 어떤 사람들은 “그가 엘리야다” 하고 말하고, 또 어떤 사람들은 “옛 예언자들과 같은 예언자다” 하고 말하였다. 16 그런데 헤롯은 이 말을 듣고 “내가 목을 베었던 그 요한이 다시 살아났다” 하고 말하였다.17 이 헤롯은 자기 형제 필립포의 아내 헤로디아를 취하였는데, 그 일 때문에 사람을 보내어 요한을 잡아 감옥에 가두었다. 18 요한이 헤롯에게 “형제의 아내를 취하는 것은 좋지 않다”고 말하였기 때문이다. 19 그러므로 헤로디아는 요한을 미워하여 그를 죽이려고 하였으나, 할 수 없었다. 20 헤롯이 요한이 의롭고 거룩한 사람인 줄 알고 그를 두려워하며 그를 보호하고 그의 말을 듣고 심히 고민하면서도 기꺼이 그 말을 들었기 때문이다.21 그러나 좋은 기회가 왔다. 헤롯이 자기 생일 잔치에 고관들과 장교들과 갈릴리의 명망 있는 사람들을 초대하여 잔치를 베풀었는데, 22 거기에 헤로디아의 딸이 들어와서 춤을 추어 헤롯과 함께한 사람들을 즐겁게 하였다. 그러자 왕이 그 소녀에게 “무엇이든지 원하는 것을 말하여라. 내가 너에게 주겠다” 하고 말하고, 23 또 “내 나라의 절반이라도 주겠다” 하고 맹세하여 말하였다. 24 그러자 그 소녀는 자리를 떠나 어머니에게 “무엇을 청할까요?” 하고 묻자 어머니가 “세례자 요한의 머리를” 하고 대답하였다. 25 그러자 곧 그 소녀는 급히 왕에게 가서 청하였다. “지금 당장 세례자 요한의 머리를 접시에 담아 그것을 받고 싶습니다.” 26 왕은 심히 곤혹하였으나 일단 맹세하였고 또 함께한 사람들 앞에서 그 소녀의 청을 거절하기를 좋아하지 않았다. 27 그러므로 왕은 즉시 군인들을 보내어 요한의 머리를 가져오라고 명령하였다. 군인들은 나가서 감옥에서 요한의 목을 베어 28 접시에 담아 소녀에게 주었고, 소녀는 그것을 어머니에게 주었다. 29 요한의 제자들은 이 일을 듣고 그의 시체를 거두어 무덤에 장사하였다.
|마가복음 6:14-29}}
인용 부분에 대한 주석은 다음과 같다.[42]
- 14절에서 말하는 “헤롯”은 헤로데 안티파스를 가리킨다.
- 15절의 엘리야는 구약성서에 나오는 예언자이다.
- 17절의 필립포는 복음서 기록자의 오기이다. 정확하게는 헤로데 보에토스이다.
- 18절에서 세례자 요한의 비난은 형제의 아내였던 여성과의 결혼이 율법이 “근친상간”에 해당한다고 금하고 있었기 때문이다.(‘레위기’(18:16) 참조)
- 21절에서 헤로데 안티파스의 출생년도는 기원전 20년 또는 그 이전으로 추정될 뿐 생일은 알 수 없다.
마태오 복음서에는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인용문|1 그때 헤로데 왕이 예수의 소문을 듣고, 2 신하들에게 말하였다. “이는 세례자 요한이다. 죽은 사람들 가운데서 다시 살아났다. 그러므로 이러한 능력이 그에게서 나타나는 것이다.”3 헤로데는 전에 자기 형제 필립보의 아내 헤로디아의 일 때문에 요한을 잡아 결박하여 감옥에 가두었기 때문이다. 4 요한이 헤로데에게 “당신은 그 여자를 취하는 것이 합당하지 않습니다.” 하고 말하였기 때문이다. 5 그래서 헤로데는 요한을 죽이려고 하였으나, 무리를 두려워하였다. 그들이 요한을 예언자로 여겼기 때문이다.6 헤로데의 생일에 헤로디아의 딸이 춤을 추어 헤로데를 즐겁게 하였다. 7 그래서 헤로데가 맹세하며 그녀가 무엇이든지 달라고 하면 주겠다고 약속하였다. 8 그러자 그녀는 어머니의 부추김을 받아 “세례자 요한의 머리를 접시에 담아 여기다 가져다 주십시오.” 하고 말하였다. 9 왕이 근심하였으나, 맹세한 일과 또 자리에 함께 앉은 사람들 때문에 그것을 주도록 명령하고, 10 사람을 보내어 감옥에서 요한의 목을 베었다. 11 그 머리를 접시에 담아 소녀에게 가져다주고, 소녀는 그것을 어머니에게 가져다 주었다.12 그 후에 요한의 제자들이 와서 시체를 거두어 장사하고, 예수께 가서 보고하였다.
|마태오 14:1-12}}
요세푸스의 기록에 따르면, 세례자 요한의 처형은 정치적인 이유 때문이었다.[53] 세례자 요한은 유대 민중의 신망을 받았고, 그를 따르는 군중이 많아지자 헤로데 안티파스는 민중봉기를 두려워하여 세례자 요한을 처형했다.[53]
복음서에는 '살로메'라는 이름이 직접 등장하지 않지만, 요세푸스는 헤로디아의 딸의 이름을 살로메라고 기록했다.[47]
3. 1. 세례자 요한의 처형
신약성서의 마태복음서 14장[5]과 마가복음서 6장[4]에 따르면, 헤로데 안티파스와 헤로디아의 결혼을 세례자 요한이 공개적으로 비난하자, 헤로디아는 요한에게 원한을 품었다.[3] 헤로데 안티파스의 생일 연회에서 헤로디아의 딸은 춤을 추었고, 헤로데 안티파스는 이에 대한 대가로 소원을 들어주겠다고 약속한다. 헤로디아의 딸은 어머니의 사주를 받아 세례자 요한의 목을 요구했고, 헤로데 안티파스는 세례자 요한을 처형하였다.[52] 세례자 요한의 머리는 쟁반에 담겨 헤로디아의 딸에게 전달되었고, 헤로디아의 딸은 그것을 다시 어머니 헤로디아에게 전달했다.[5]마가복음에는 다음과 같은 기록이 전해진다.[41]
{{quotation|14 예수의 이름이 널리 알려지자 헤롯 왕의 귀에도 들어갔다. 어떤 사람들은 “세례자 요한이 죽은 사람들 가운데서 다시 살아났다. 그래서 그러한 능력이 그에게서 나타나는 것이다” 하고 말하고, 15 어떤 사람들은 “그가 엘리야다” 하고 말하고, 또 어떤 사람들은 “옛 예언자들과 같은 예언자다” 하고 말하였다. 16 그런데 헤롯은 이 말을 듣고 “내가 목을 베었던 그 요한이 다시 살아났다” 하고 말하였다.17 이 헤롯은 자기 형제 필립포의 아내 헤로디아를 취하였는데, 그 일 때문에 사람을 보내어 요한을 잡아 감옥에 가두었다. 18 요한이 헤롯에게 “형제의 아내를 취하는 것은 좋지 않다”고 말하였기 때문이다. 19 그러므로 헤로디아는 요한을 미워하여 그를 죽이려고 하였으나, 할 수 없었다. 20 헤롯이 요한이 의롭고 거룩한 사람인 줄 알고 그를 두려워하며 그를 보호하고 그의 말을 듣고 심히 고민하면서도 기꺼이 그 말을 들었기 때문이다.21 그러나 좋은 기회가 왔다. 헤롯이 자기 생일 잔치에 고관들과 장교들과 갈릴리의 명망 있는 사람들을 초대하여 잔치를 베풀었는데, 22 거기에 헤로디아의 딸이 들어와서 춤을 추어 헤롯과 함께한 사람들을 즐겁게 하였다. 그러자 왕이 그 소녀에게 “무엇이든지 원하는 것을 말하여라. 내가 너에게 주겠다” 하고 말하고, 23 또 “내 나라의 절반이라도 주겠다” 하고 맹세하여 말하였다. 24 그러자 그 소녀는 자리를 떠나 어머니에게 “무엇을 청할까요?” 하고 묻자 어머니가 “세례자 요한의 머리를” 하고 대답하였다. 25 그러자 곧 그 소녀는 급히 왕에게 가서 청하였다. “지금 당장 세례자 요한의 머리를 접시에 담아 그것을 받고 싶습니다.” 26 왕은 심히 곤혹하였으나 일단 맹세하였고 또 함께한 사람들 앞에서 그 소녀의 청을 거절하기를 좋아하지 않았다. 27 그러므로 왕은 즉시 군인들을 보내어 요한의 머리를 가져오라고 명령하였다. 군인들은 나가서 감옥에서 요한의 목을 베어 28 접시에 담아 소녀에게 주었고, 소녀는 그것을 어머니에게 주었다. 29 요한의 제자들은 이 일을 듣고 그의 시체를 거두어 무덤에 장사하였다.
|마가복음 6:14-29}}
인용 부분에 대한 주석은 다음과 같다.[42]
- 14절에서 말하는 “헤롯”은 헤로데 안티파스를 가리킨다.
- 15절의 엘리야는 구약성서에 나오는 예언자이다.
- 17절의 필립포는 복음서 기록자의 오기이다. 정확하게는 헤로데 보에토스이다.
- 18절에서 세례자 요한의 비난은 형제의 아내였던 여성과의 결혼이 율법이 “근친상간”에 해당한다고 금하고 있었기 때문이다.(‘레위기’(18:16) 참조)
- 21절에서 헤로데 안티파스의 출생년도는 기원전 20년 또는 그 이전으로 추정될 뿐 생일은 알 수 없다.
마태오 복음서에는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인용문|1 그때 헤로데 왕이 예수의 소문을 듣고, 2 신하들에게 말하였다. “이는 세례자 요한이다. 죽은 사람들 가운데서 다시 살아났다. 그러므로 이러한 능력이 그에게서 나타나는 것이다.”3 헤로데는 전에 자기 형제 필립보의 아내 헤로디아의 일 때문에 요한을 잡아 결박하여 감옥에 가두었기 때문이다. 4 요한이 헤로데에게 “당신은 그 여자를 취하는 것이 합당하지 않습니다.” 하고 말하였기 때문이다. 5 그래서 헤로데는 요한을 죽이려고 하였으나, 무리를 두려워하였다. 그들이 요한을 예언자로 여겼기 때문이다.6 헤로데의 생일에 헤로디아의 딸이 춤을 추어 헤로데를 즐겁게 하였다. 7 그래서 헤로데가 맹세하며 그녀가 무엇이든지 달라고 하면 주겠다고 약속하였다. 8 그러자 그녀는 어머니의 부추김을 받아 “세례자 요한의 머리를 접시에 담아 여기다 가져다 주십시오.” 하고 말하였다. 9 왕이 근심하였으나, 맹세한 일과 또 자리에 함께 앉은 사람들 때문에 그것을 주도록 명령하고, 10 사람을 보내어 감옥에서 요한의 목을 베었다. 11 그 머리를 접시에 담아 소녀에게 가져다주고, 소녀는 그것을 어머니에게 가져다 주었다.12 그 후에 요한의 제자들이 와서 시체를 거두어 장사하고, 예수께 가서 보고하였다.
|마태오 14:1-12}}
요세푸스의 기록에 따르면, 세례자 요한의 처형은 정치적인 이유 때문이었다.[53] 세례자 요한은 유대 민중의 신망을 받았고, 그를 따르는 군중이 많아지자 헤로데 안티파스는 민중봉기를 두려워하여 세례자 요한을 처형했다.[53]
복음서에는 '살로메'라는 이름이 직접 등장하지 않지만, 요세푸스는 헤로디아의 딸의 이름을 살로메라고 기록했다.[47]
3. 2. 요세푸스의 기록과의 차이점
요세푸스의 기록에 따르면, 세례자 요한의 처형은 정치적인 이유 때문이다. 세례자 요한은 유대 민중의 신망을 받았고, 그를 따르는 군중이 많아지자 헤로데 안티파스는 민중봉기를 두려워했다. 그래서 세례자 요한이 봉기를 일으키기 전에 먼저 그를 제거하기로 결정하고 마르켈누스 성채로 붙잡아와서 처형했다.[53]요세푸스는 그의 저서 『유대고대사』에서 세례자 요한의 처형은 헤로데 안티파스의 정치적 결단이며, 헤로디아나 그녀의 딸(살로메)은 처형에 관계하지 않았다고 기록했다.[46] 요한의 처형은 마카이로스 요새에서 이루어졌다는 점도 마가복음서의 내용과는 다르다.
『유대전쟁사』(Ἰουδαϊκὴ ἀρχαιολογία) 제18권 5장 2절에 따르면, 유대인들은 헤로데 안티파스의 군대 궤멸이 세례자 요한에게 행한 일에 대한 신의 벌이라고 생각했다. 헤로데는 요한의 민중에 대한 큰 영향력이 반란으로 이어질 것을 두려워하여 그를 살해했다.[46]
4. 예술작품 속에 묘사된 살로메
헤로데 안티파스와 헤로디아, 그녀의 딸 살로메와 세례자 요한의 처형에 대한 이야기는 이후 수많은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다.[48] 회화, 소설, 희곡, 오페라 등 수많은 작품 속에 묘사되었다.[22] 특히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의 이른바 「세기말 예술」에서 살로메는 여러 분야의 소재로서 다시 큰 관심을 끌게 되었다.[48] 오스카 와일드의 희곡과 20세기의 영화 등 새로운 분야 개척으로, '''살로메'''는 다양한 예술 작품의 소재로 활용되게 되었다.
- 귀스타브 플로베르의 소설 『헤로디아스(Hérodias)』[23]
- 오스카 와일드의 희곡 『살로메 (희곡)』[25]
-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오페라 『살로메 (오페라)』[28]







헤로데 앞에서 춤을 추며 접시에 담긴 세례자 요한의 머리를 보여준 그녀의 이야기는 중세 기독교 예술가들에게 그녀를 방탕한 여인, 구원으로부터 사람들을 유혹하는 유혹자로 묘사하게 만들었다.[15] 기독교 전통에서는 그녀를 위험한 여성적 매력의 상징으로 묘사하는데, 특히 신약성서에 언급된 에로틱한 요소를 지녔다고 여겨지는 춤과 관련하여 그렇습니다. 그리고 일부 후대의 변형에서는 ''일곱 겹 베일의 춤(Dance of the Seven Veils)''으로 더욱 상징화되었다.[16]
4. 1. 회화 및 조각
중세부터 르네상스, 바로크 시대에 이르기까지 살로메는 회화와 조각에서 자주 등장하는 주제였다.[20] 특히 르네상스 시대부터 바로크 시대에 걸쳐 이탈리아나 네덜란드 등의 화가들에 의해 매우 많은 작품의 모티브로 사용되었다.[20] 티치아노, 카라바조, 귀도 레니 등 유명 화가들이 살로메를 묘사했다.[20] 티치아노의 작품(약 1515년)은 순진한 소녀의 얼굴과 잔혹하게 잘린 머리의 대비를 강조한다.[20]




19세기 말, 귀스타브 모로는 살로메를 팜므파탈의 전형으로 묘사하여 큰 영향을 미쳤다.[21] 그의 환상적인 작품은 동시대 예술가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프랑스 작가 조리스-카를 위스망스는 1884년 소설 『역행』에서 모로의 그림 속 살로메를 "세상의 오래된 악덕의 상징적 화신, 불멸의 히스테리의 여신"으로 묘사했다.[21]



4. 2. 문학
귀스타브 플로베르의 소설 『헤로디아스』는 1877년 출판된 『세 가지 이야기』 중 하나로, 살로메 이야기를 다룬 대표적인 문학 작품이다.[23] 이 소설에서 세례자 요한의 죽음은 그의 영향력을 두려워한 헤로디아와 종교 권력을 가진 사제들의 책임으로 묘사된다.[23] 살로메는 요한의 머리를 요구하는 순간 그의 이름을 잊어버리는 어린 소녀로 그려진다.[23] 쥘 마스네의 1881년 오페라 『헤로디아드(Hérodiade)』는 플로베르의 단편 소설을 바탕으로 한다.[23]그리스 시인 콘스탄티노스 카바피스의 시 "살로메"(1896)에서 살로메는 사랑에 무관심한 젊은 소피스트의 관심을 얻기 위해 세례자 요한의 죽음을 부추긴다.[33] 요한의 머리를 가져다주자 소피스트는 농담으로 "차라리 당신의 머리를 얻는 편이 좋았을 텐데"라고 말하고, 이에 절망한 살로메는 스스로 참수당한다.[33] 그녀의 머리는 소피스트에게 전달되지만, 그는 역겨움을 느끼며 거절하고 플라톤의 대화편을 공부하기 시작한다.[33]
도릭 윌슨은 1961년 카페 시노에서 오프 오프 브로드웨이로 처음 공연된 『지금 그녀는 춤춘다!(Now She Dances!)』에서 살로메 이야기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했다.[24]
4. 3. 희곡 및 오페라
오스카 와일드의 희곡 『살로메』는 1892년 런던에서 리허설 중 금지되었고, 1896년 파리에서 프랑스어 제목 ''Salomé''로 초연되었다.[25] 와일드는 이 희곡을 프랑스어로 집필했으며, 연인 Lord Alfred Douglas가 번역한 영어판(제목 ''Salome'')이 출판되었다.[27] 와일드의 희곡에서 살로메는 세례자 요한(요하나)에게 매혹되어 그의 애정을 갈구하지만 거절당하고, 결국 그를 처형시킨다. 마지막 장면에서 살로메는 요하나의 잘린 머리에 키스한다.[25] 당시 영국 법은 성경 인물을 무대에서 묘사하는 것을 금지했다.[26] 1894년 출판된 영어판에는 오브리 비어즐리의 삽화가 곁들여졌다. Granville Bantock이 부수 음악을 작곡했고, 이는 1918년 4월 19일 Court Theatre, 런던에서 초연되었다.[27]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오페라 『살로메』는 와일드의 희곡(헤드비히 라흐만(Hedwig Lachmann)의 독일어 번역본)을 바탕으로 1막 오페라로 각색된 작품이다.[28] 1905년 드레스덴에서 초연된 이 오페라는 일곱 휘장의 춤으로 유명하다.[28][29] 와일드의 희곡과 마찬가지로 오페라도 살로메에게 초점을 맞추지만, 헤로데의 동기에 더 중점을 둔다.[28] 슈트라우스의 오페라 성공 직후, 앙투안 마리오트(Antoine Mariotte)는 와일드의 원래 프랑스 대본을 바탕으로 또 다른 오페라를 만들었다. 이 오페라는 1908년 10월 30일 리옹의 그랑 테아트르(Grand Théâtre)에서 초연되었고, 2005년 몽펠리에 축제에서 다시 공연되었다.[30]
귀스타브 플로베르의 소설 『헤로디아스(Hérodias)』와 이를 바탕으로 한 쥘 마스네의 오페라 『헤로디아드(Hérodiade)』도 살로메 이야기를 다룬 작품이다.[23]
4. 4. 기타
살로메는 헤로데 안티파스와 헤로디아, 그리고 그녀의 딸 살로메와 세례자 요한의 처형에 대한 이야기를 바탕으로, 이후 수많은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주었으며, 회화, 소설, 희곡, 오페라 등 다양한 작품 속에서 묘사되었다.[22]귀스타브 플로베르의 소설 《헤로디아스》(Hérodias), 오스카 와일드의 희곡 《살로메 (희곡)》,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오페라 《살로메 (오페라)》 등이 대표적이다. 1676년 알레산드로 스트라델라(Alessandro Stradella)는 오라토리오 세례자 요한/''S. Giovanni Battista''it에서 살로메 역의 아리아 "Queste lagrime e sospiri"를 작곡했다.[22] 1907년 플로랑 슈미트는 ''살로메의 비극''(La tragédie de Salomé)을 작곡했고,[31][32] 1948년 일본 작곡가 이후쿠베 아키라가 또 다른 ''살로메'' 발레를 작곡했다. 1978년에는 플레밍 플린트 안무, 피터 맥스웰 데이비스 음악의 발레 ''살로메''가 초연되었다.[31][32] 멜 보니(Mel Bonis)는 피아노곡 "살로메"(Salomé, 1909)를 작곡했고,[34] 아치볼드 조이스(Archibald Joyce)는 "살로메의 환영"(Vision of Salome, 1909) 등 세 개의 '오리엔탈 왈츠'를 작곡했다.[35]

오스카 와일드의 《살로메》는 여러 차례 영화화되었는데, 특히 알라 나지모바 주연의 1923년 무성영화 《살로메》와[36] 켄 러셀의 살로메의 마지막 춤 (1988)이 주목할 만하다.[36] 스티븐 버코프는 1992년 자신이 연출한 무대 버전을 영화로 촬영했다.[36] 1950년 영화 《선셋 대로》에서 노르마 데스몬드는 살로메 전설을 소재로 한 무성영화 시나리오를 쓰고 제작하려다 미쳐서 자신의 시나리오 장면 중 하나를 연기한다.[37] 자얄랄리타는 1973년 영화 《예수》에서 살로메를 연기했다. 다리오 아르헨토의 1977년 영화 서스피리아에는 오브리 비어즈리가 그린 오스카 와일드의 《살로메》 삽화 네 점이 등장한다.
다른 살로메 영화로는 시다 바라 주연의 《살로메》 (1918),[51] 리타 헤이워스 주연의 《살로메》 (1953),[51] 카멜로 베네와 도나일 루나 주연의 《살로메》 (1972), 1986년 프랑스-이탈리아 합작 영화 《살로메》,[38] 카를로스 사우라 감독의 《살로메》 (2002), 알 파치노 감독, 제시카 차스테인 주연의 《살로메》 (2013) 등이 있다.[39]
와일드의 희곡과 20세기의 영화 등 새로운 분야 개척으로, 살로메는 다양한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와일드가 도입한 「7장의 베일의 춤」과 슈트라우스의 오페라 성공으로 발레 작품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음악 분야에서는, "No Matter How You Slice It, It's Still Salome"는 뮤지컬 《더배리 워즈 어 레이디》(DuBarry was a Lady)의 1943년 영화판에 추가된 곡이다. "살로메(Salome)"는 체코의 싱어송라이터 카렐 크릴(Karel Kryl)의 작품이며, 영국의 록 밴드 하우스 오브 러브(House of Love)의 데뷔 앨범 《하우스 오브 러브》(The House of Love, 1988년)에도 수록되어 있다. U2의 "살로메 (Zooromancer edit)"는 1992년 CD 싱글에 수록된 8분이 넘는 대곡이다. 미국의 컨트리 음악 그룹 올드 97스(Old 97's)의 "살로메(Salome)"는 1997년 앨범에 수록되었고, 영화 《더 브레이크 업》(The Break Up, 2006년)에서 라이브 연주되었다. 릴리 하이든(Lily Haydn)의 "살로메(Salome)"는 1997년 데뷔 앨범에, 에드워드 시어머(Edward Shearmur)가 작곡한 "살로메(Salome)"는 영화 《더 거버니스》(The Governess, 1998년)의 오리지널 사운드트랙에 수록되었다. 독일의 그룹 잔드리아(Xandria)는 2007년 앨범에서 "살로메-7번째 베일(Salome-7枚目のヴェール)"과 "살로메(Salome)"를 수록했다.
가사에 "살로메(Salome)"가 등장하는 곡으로는 비질란테스 오브 러브(Vigilantes of Love)의 "웰컴 투 스트러글빌(Welcome to Struggleville)"(1994)과 "로커스트 이어스(Locust Years)"(1997), 게리 줄스(Gary Jules)의 "필스(Pills)"(2002) 등이 있다.
영화 발명 이후, 살로메는 50편이 넘는 관련 작품이 제작될 정도로 매력적인 소재로 여겨졌다.[51] 주요 작품으로는 『살로메』 (1910), 『살로메』 (1918), 『살로메』 (1923), 빌리 와일더 감독의 『황혼의 무도』 (1950), 『살로메』 (1953), 『블레이드 러너』 (1982), 크리스토퍼 프랭크 감독의 『살로메의 계절』 (1984), 켄 러셀 감독의 『살로메』 (1988), 『살로메』 (2002), 크리스티안 차글러 작품의 단편 『저지의 살로메』 등이 있다.
5. 한국의 관점에서의 살로메
한국에서 살로메 이야기는 서구 문학 및 예술 작품을 통해 널리 알려졌다.[15] 특히, 오스카 와일드(Oscar Wilde)의 희곡 ''살로메''와 이를 바탕으로 한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오페라 ''살로메''는 한국에서도 자주 공연되어 대중적인 인지도를 얻었다.[18] 살로메는 때때로 여성의 욕망과 권력, 잔혹함을 상징하는 인물로 해석되기도 한다.[16]
참조
[1]
웹사이트
Meaning, origin and history of the name Salome
https://www.behindth[...]
[2]
서적
Luke's People: The Men and Women Who Met Jesus and the Apostles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Publishers
2014-05-27
[3]
서적
The Reign of God is Such as These: A Socio-Literary Analysis of Daughters in the Gospel of Mark
https://books.google[...]
A&C Black
[4]
성경
Mark 6:21–28
[5]
성경
Matthew 14:6–11
[6]
간행물
The gospel according to St Mark
Macmillan
[7]
서적
Dancing Girls, Loose Ladies, and Women of the Cloth: The Women in Jesus' Life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8]
웹사이트
Mark 6:22
https://www.biblegat[...]
[9]
서적
Jude and the Relatives of Jesus in the Early Church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10]
서적
Coptic Apocrypha in the Dialect of Upper Egypt
https://archive.org/[...]
British Museum, Longmans, Quaritch, Asher, & Oxford University Press
[11]
서적
Antiquities of the Jews
http://www.gutenberg[...]
2001-10-01
[12]
웹사이트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Antiquities, Volume III, p. 698
http://www.ancientli[...]
2008-05-06
[13]
뉴스
La légende de Salomé dans la Péninsule Ibérique
https://oscholars.wo[...]
2023
[14]
웹사이트
Ancient Jewish Coins: The Coins of Herod's Grandchildren (37–96 CE)
http://www.jewishvir[...]
[15]
서적
The Pastoral Care of Women in Late Medieval England
https://books.google[...]
Boydell Press
[16]
성경
Mark 6:25–27; Matthew 14:8–11
[17]
잡지
A New Portrait of Salome
https://www.jerusale[...]
1999-04-01
[18]
서적
Salome
https://books.google[...]
Opera Journeys Publishing
[19]
서적
Salome: The Image of a Woman Who Never Was; Salome
https://books.googl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0]
서적
Absent Without Leave: French Literature Under the Threat of War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21]
서적
Sisters of Salome
[22]
음반
Rosso: Italian Baroque Arias
Deutsche Grammophon
[23]
웹사이트
Hérodiade
https://www.opera-ly[...]
[24]
서적
Return to the Caffe Cino
Moving Finger Press
[25]
서적
The Best of Oscar Wilde: Selected Plays and Writings
https://books.google[...]
Penguin Publishing Group
[26]
서적
A Study Guide for Oscar Wilde's "Salome"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7]
서적
Wilde: Salom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서적
Richard Strauss: Salom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9]
서적
Richard Strauss's Salome
https://books.google[...]
Opera Journeys Publishing
[30]
뉴스
Lost musical treasures unearthed
http://www.ft.com/cm[...]
2004-07-30
[31]
뉴스
Flemming Flindt, Danish Dancer and Choreographer, Dies at 72
https://www.nytimes.[...]
2009-03-10
[32]
뉴스
Flemming Flindt
https://www.theguard[...]
2009-03-10
[33]
서적
The Complete Poems of Cavafy
https://archive.org/[...]
Harcourt Brace Jovanovich
[34]
웹사이트
Salomé, Opus 100
https://imslp.org/wi[...]
Alphonse LeDuc
1909
[35]
음반
Salome
https://www.naxos.co[...]
[36]
서적
A2 Drama and Theatre Studies: The Essential Introduction for Edexcel
https://books.google[...]
Routledge
[37]
서적
Literary Readings of Billy Wilder
https://books.googl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38]
웹사이트
Festival de Cannes: Salome
http://www.festival-[...]
2009-07-17
[39]
뉴스
Salomé review – Al Pacino and Jessica Chastain explore Wilde sex
https://www.theguard[...]
2024-07-30
[40]
문서
이 부분의 기술은 신약성서학에서 거의 정설이 되고 있는 이자료가설을 전제하고 있다
[41]
문서
“마르코에 의한 복음서”(15:40)에서 예수의 십자가 형벌의 목격자의 한 사람으로 기록되는 “살로메”는 완전히 다른 사람이다.(그녀에 대해서는 살로메(예수의 제자)를 참고할 것).
[42]
문서
여기서도 많은 것을 역자에 의한 원주에 의하고 있다
[43]
문서
현대에서는 저자불명으로 여겨지는 복음서 기자를 편의상 전통적인 이름으로 부른다. 마태, 루카도 마찬가지다
[44]
문서
세례자 요한을 스승으로 여기는 “요한 교단”은 1세기말까지 존속하고 있었고, 복음서가 쓰여진 시기(1세기 후반)에는 원시 기독교와 대립 관계에 있었던 데서 기인한다.참고로 마태에도 그것은 현저하다
[45]
서적
예수 그리스도 시대의 유대 민족사 II
주식회사 교문관
[46]
웹사이트
W. Whiston translation at Project Gutenberg
http://www.gutenberg[...]
[47]
문서
헤로데 대왕에게는 알고 있는 것만으로도 10명의 아내가 있었고, 적어도 아들이 10명, 딸이 5명 있다.그 안에는 동명의 사람도 많고, 문헌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보인다.
[48]
문서
열거에 임해서는 영어판 Wikipedia의 대응 항목을 참고했다.
[49]
서적
초판
Bantam Books
[50]
서적
살로메의 유모 이야기
신초문고
[51]
웹사이트
IMDB의 리스트에 의한다.단, 이것들 중에는 슈트라우스의 오페라의 영상 작품 등 협의의 “영화”라고는 말할 수 없는 것도 포함되어 있다.
[52]
성경
마태복음 14장 3-10절
[53]
서적
마태오 복음서
분도출판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