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에라폴리스의 파피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히에라폴리스의 파피아스는 2세기 초에 활동한 인물로, 초기 기독교 저술가이자 복음서 기원에 대한 증언을 남긴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의 생애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으나, 요한의 가르침을 받고 폴리카르포스의 동료였다는 기록과, 마가복음과 마태복음의 저술 배경에 대한 언급을 통해 그 중요성이 드러난다. 파피아스는 마가와 마태가 각각 베드로와 히브리어로 된 '로기아'를 통해 복음서를 기록했다고 전하며, 이는 복음서 연구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또한, 그는 천년왕국설을 지지하고, 유다와 요한의 죽음에 대한 독특한 이야기를 전하는 등, 초기 기독교의 다양한 신앙과 관련된 기록을 남겼다. 파피아스의 신뢰성에 대한 논쟁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으며, 그의 기록은 복음서 기원과 초기 기독교 사상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세기 기독교 신학자 - 오리게네스
3세기 중반 알렉산드리아에서 활동한 초기 그리스도교 신학자이자 성서학자인 오리게네스는 헬라어 문학과 철학을 가르치며 생계를 유지하고 알렉산드리아 교리학교에서 교리학자로 활동하며 방대한 저술을 남겼으나, 일부 논란적인 주장으로 사후 이단으로 정죄받았음에도 그의 성경 해석학과 신학적 업적은 후대 교회와 성서 연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2세기 기독교 신학자 - 케린투스
케린투스는 1세기 후반에 활동했던 인물로, 초기 기독교 작가들에 의해 이단으로 묘사되었으며, 이집트 영지주의의 영향을 받아 독자적인 기독론, 창조론, 종말론적 사상을 가졌다. - 2세기 기독교 성인 - 교황 에바리스토
교황 에바리스토는 99/100년부터 108/109년까지 재위했으며, 유대인 아버지와 베들레헴 출신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그리스 출신으로, 사제들에게 직함을 나누어 주고 혼인은 사제의 축복을 받아 거행되어야 한다고 규정했다. - 2세기 기독교 성인 - 교황 식스토 1세
성 베드로의 후계자인 여섯 번째 교황 식스토 1세는 약 10년간 재임하며 가톨릭 전례와 행정 전통 확립에 기여했으며, 그의 유해는 바티칸 언덕 성 베드로 무덤 근처에 안장되었다고 전해진다. - 교부 - 히에로니무스
히에로니무스는 347년경에 태어나 불가타를 완성하고 서방 교회에 큰 영향을 미친 기독교 신학자이며, 번역가, 사서, 백과사전 편찬자의 수호 성인으로 존경받는다. - 교부 - 오리게네스
3세기 중반 알렉산드리아에서 활동한 초기 그리스도교 신학자이자 성서학자인 오리게네스는 헬라어 문학과 철학을 가르치며 생계를 유지하고 알렉산드리아 교리학교에서 교리학자로 활동하며 방대한 저술을 남겼으나, 일부 논란적인 주장으로 사후 이단으로 정죄받았음에도 그의 성경 해석학과 신학적 업적은 후대 교회와 성서 연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히에라폴리스의 파피아스 | |
---|---|
기본 정보 | |
![]() | |
직함 | 히에라폴리스의 주교 교부 |
출생 | 서기 60년경 |
사망 | 100년 이후 |
공경 | 로마 가톨릭교회 동방 가톨릭교회 정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루터교 |
축일 | 2월 22일 |
그리스어 | Παπίας |
저서 | 주님의 말씀에 대한 해설 (Λογίων Κυριακῶν Ἐξήγησις) |
생애 | |
활동 시기 | 서기 180년경 또는 서기 320년경 |
2. 생애
파피아스의 생애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지만 그의 작품들로부터 추론된다. 파피아스는 요한에게 직접 가르침을 받은 인물이며, 폴리카르포스의 동료였다고 폴리카르포스의 제자 이레니우스는 기록하고 있다.[64]
파피아스의 저술 시기는 일부 현대 학자들에 의해 95년에서 110년경으로 추정된다.[7] 그러나 이후 시기설은 현재 잘못된 것으로 보이는 두 가지 언급에서 비롯되었다. 파피아스의 사망 시기를 164년경 폴리카르포스의 사망 시기와 같은 시기로 추정하는 것은 "파필라스"에 대한 오류이다. 또 다른 신뢰할 수 없는 자료에서 파피아스가 하드리아누스 황제(117-138)의 통치 시기를 언급했다고 하는 것은 파피아스와 아테네의 쿼드라투스를 혼동한 결과로 보인다.[8]
중세 후기에도 파피아스의 저작이 남아 있었다는 징후가 있지만,[16] 현재 전체 본문은 소실되었다. 그러나 여러 다른 저술에서 발췌문이 나타나며, 그중 일부는 책의 번호를 인용한다.[17] 매코널드는 마태복음 순서를 따른 것으로 추정되는 다섯 권의 책에 대한 잠정적인 재구성을 제안했다.
에우세비오는 파피아스가 안티오키아의 이냐시오 시대에 히에라폴리스의 주교였다고 덧붙인다.[65] 파피아스의 뒤를 이어 헤이라폴리스의 아버키우스가 감독직을 승계하였다. '파피아스'라는 이름은 그 지역에서 흔한 이름이었기 때문에, 그가 이 지역 출신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3. 저술 시기
에우세비오는 그의 세 번째 책에서만 파피아스를 언급하며, 따라서 그의 네 번째 책이 109년에 시작되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 파피아스를 그 이전 시대 인물로 간주하는 것 같다. 파피아스 자신은 그 시기가 논란의 여지가 있는 여러 신약 성서 책들을 알고 있었으며, 요한 복음사가, 아리스티온, 빌립의 딸들, 그리고 열두 사도들을 직접 들은 다른 사람들로부터 정보를 얻었다. 그는 또한 장수한 폴리카르포스(69-155)의 동료로 불린다.[4] 히에라폴리스의 아가피우스는 그의 역사 중 하나를 트라야누스 황제 통치 12년차(110년)로 추정한다. 이러한 모든 이유로 파피아스는 2세기 초에 저술 활동을 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4. 단편 (Fragments)
파피아스의 단편들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각 권의 내용들은 다음과 같다.4. 1. 복음서 기원
유세비우스는 복음서 기원에 관한 파피아스의 두 가지 직접 인용문을 보존하고 있는데, 하나는 마가[18]에 관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마태[19]에 관한 것이다.
마가에 관하여 파피아스는 장로 요한의 말을 인용한다. 마가는 베드로의 통역관으로서, 기억나는 대로 주님께서 하신 말씀이나 행하신 일들을 정확하게 기록했지만, 순서대로 기록하지는 않았다. 그는 주님을 직접 듣지도 않았고, 주님을 따르지도 않았지만, 베드로가 그의 가르침을 ''크레이아i'' 형태로 전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주님의 ''logia''를 체계적으로 배열할 의도는 없었다. 따라서 마가가 기억나는 대로 개별 항목들을 기록한 데에는 잘못이 없었다. 그는 들은 것을 하나라도 빠뜨리지 않고, 어떤 것도 왜곡하지 않는 것을 자신의 유일한 목표로 삼았기 때문이다.
마태에 관해서는 다음과 같이 인용한다. 마태가 ''logia''를 히브리어로 순서대로 배열했지만, 각자 능력껏 해석했다.
파피아스의 이러한 인용문을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는 오랫동안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다. 원래 문맥이 빠져 있고 그리스어가 여러 면에서 모호하며 기술적인 수사적 용어를 사용하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파피아스가 그러한 이름을 가진 정경 복음서를 언급하는 것인지조차 의문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완전한 본문과 문맥을 가지고 있던 유세비우스는 이 구절에서 파피아스가 정경 복음서를 언급하고 있다고 이해했다.
''logia'' (''λόγιαgrc'')라는 단어는 파피아스의 저서 제목에도 등장하는데, 자체가 문제다. 비기독교적 맥락에서는 일반적인 의미가 "신탁"이었지만, 19세기 이후로 "말씀"으로 해석되어 토마스 복음서와 유사한, 현재 "Q"라고 불리는 상실된 "말씀 복음서"에 대한 수많은 이론을 촉발했다.[20] 그러나 평행성은 "말하거나 행한 것"이라는 의미를 암시하며, 이는 정경 복음서에 잘 맞는다.[21]
마태가 히브리어로 기록했다는 주장—그리스어로는 히브리어 또는 아람어를 가리킬 수 있다[22]—는 다른 많은 고대 권위자들에 의해 반복된다. 정경 마태 복음서가 그리스어로 저술되었고 셈어에서 번역된 것이 아니라는 널리 퍼진 견해에 비추어 현대 학자들은 이 주장에 대해 수많은 설명을 제시했다.[23] 한 가지 이론은 마태 자신이 먼저 셈어로 저술하고 그 후 그리스어로 개정판을 만들었다는 것이다. 또 다른 이론은 다른 사람들이 마태를 그리스어로 자유롭게 번역했다는 것이다. 또 다른 이론은 파피아스가 "Ἑβραΐδι διαλέκτῳ"를 그리스어의 "히브리어 스타일"로 의미했다는 것이다. 또 다른 이론은 파피아스가 현재 상실된 별개의 저작, 어쩌면 Q 또는 소위 히브리어 복음서와 같은 말씀집을 언급했다는 것이다. 또 다른 이론은 파피아스가 단순히 잘못 이해했다는 것이다.
마가에 관해서는 마가와 베드로 사이에 묘사된 관계—베드로가 기억에서 회상했는지 아니면 마가가 베드로의 설교를 회상했는지, 마가가 이 설교를 그리스어 또는 라틴어로 번역했는지 아니면 단순히 설명했는지, 그리고 전자라면 공개적으로 했는지 아니면 복음서를 저술할 때만 했는지—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유세비우스는 파피아스를 인용한 후, 파피아스가 베드로전서[24][25]를 인용했다고 말하는데, 베드로전서에서 베드로는 "내 아들 마가"[26]라고 말한다. 2세기 안에 유스티누스[27]는 이러한 베드로와 마가 복음서의 관계를 언급하고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28]는 이를 확장했다.
4. 2. 종말론 (Eschatological)
유세비우스는 파피아스가 쓴 글을 보고 그가 천년왕국설을 믿었다고 결론 내렸다. 천년왕국설은 그리스도가 이 땅에서 천 년 동안 다스릴 것이라는 믿음이다. 유세비우스는 파피아스가 비유적인 표현을 글자 그대로 해석해서 이런 잘못된 믿음을 가지게 되었다고 비판하며, 파피아스의 이해력이 부족하다고 말했다. 그리고 그의 오해가 이레네우스와 같은 다른 사람들에게도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했다.[32]
이레네우스는 파피아스의 네 번째 책에서 예수의 말씀을 인용했는데, 이 말씀은 요한 복음사가가 전한 것이다. 이 말씀은 천년왕국이 얼마나 풍요로울지를 보여주는 비유를 담고 있다.[33][34]
예수는 그 시대에 대해 가르치면서 이렇게 말했다. "포도나무가 자라서 엄청나게 많은 포도가 열리고, 그 포도로 많은 포도주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밀 한 알도 엄청나게 많은 이삭을 맺고, 그 이삭에서 많은 밀알이 나와서 아주 좋은 밀가루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다른 과일, 씨앗, 풀들도 마찬가지로 풍성하게 자랄 것이고, 이것들을 먹는 동물들은 서로 평화롭게 지내며 인간에게 복종할 것이다. … 이러한 일들은 믿는 사람들에게는 믿을 만한 일이다." 배신자 유다는 믿지 않고 "주님, 어떻게 그런 일이 가능합니까?"라고 물었고, 예수는 "그 시대까지 사는 사람들은 보게 될 것이다"라고 대답했다.
이 이야기는 2 바룩서와 같은 당시 유대교 문서들과 비슷한 점이 많다는 평가를 받는다.[35]
하지만 파피아스는 창세기 6일(Hexaemeron)을 그리스도와 교회를 가리키는 것으로 신비롭게 이해하기도 했다.[36]
4. 3. 간음한 여인 이야기 (Pericope Adulterae)
유세비우스는 파피아스에 대한 그의 기록에서 "주님 앞에서 많은 죄를 지었다고 고발당한 여인에 대한 또 다른 이야기가 히브리어 복음서에 있다"고 전한다.[24] 히에라폴리스의 아가피우스는 10세기에 파피아스가 언급한 내용을 더 자세히 요약하며, 그 여인을 간음한 여인이라고 부른다.[38] 이는 간음한 여인 이야기와 명확하게 유사하지만, 많은 고대 복음서 사본에서 빠져 있거나 위치가 바뀌어 있어 문제가 있는 구절이다. 파피아스가 알고 있던 판본에서는 여인이 "많은 죄를 지었다고 고발당했다"는 점에서, 고발자들이 "간음하는 현장에서 붙잡혔다"고만 말하는 간음한 여인 이야기와 정확히 일치하지는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파피아스와 같은 고대 증인에게도 어떤 형태로든 그 이야기가 알려져 있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유세비우스와 아가피우스가 파피아스의 말을 어느 정도 전달하는지, 그리고 그들이 다른 곳에서 알고 있던 간음한 여인 이야기의 형태가 어느 정도인지는 명확하지 않다. 실제로 다양한 판본들이 우리에게 전해져 내려왔다.[39] 요한복음의 이 구절은 그리스 교부 전통에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40] 유세비우스는 이제는 사라진 히브리어 복음서에서 인식한 유일한 유사점을 인용했는데, 이는 눈먼 디디무스가 인용한 판본일 수도 있다.
"많은 죄"와 가장 가까운 일치는 아르메니아어 사본 마테나다란 2374(이전 에치미아진 229)의 요한복음 본문에서 발견된다. 이 사본은 마가복음의 긴 결말을 "장로 아리스톤"에게 돌리는 것으로도 주목할 만하며, 이는 종종 파피아스와 어떤 식으로든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41][42]
4. 4. 유다의 죽음 (Death of Judas)
유다 이스카리옷의 끔찍한 최후에 대한 이야기가 라오디키아의 아폴리나리스에게 돌린 주석에 전해진다.[43]
파피아스는 유다가 목매달아 죽지 않았다고 주장한다.[44] 목이 졸리기 전에 내려져 살아남았다는 것이다. 사도행전에는 "거꾸로 떨어져 배가 터져 창자가 쏟아져 나왔다."라고 기록되어 있다.[45] 파피아스는 자신의 저서 ''주님의 말씀 해설'' 4권에서 이 내용을 더 자세하게 기록하고 있다.
파피아스에 따르면, 유다는 불경건함의 표본이었다. 그의 몸은 너무나 부풀어 올라 마차가 쉽게 지나갈 수 있는 곳도 지나갈 수 없었고, 머리조차도 지나갈 수 없었다. 눈꺼풀이 너무 부어올라 빛을 볼 수 없었고, 의사가 광학 기구를 사용해도 눈은 보이지 않았다. 그의 성기는 혐오스럽고 컸으며, 배설물에는 몸에서 나온 고름과 벌레가 섞여 나와 그를 수치스럽게 했다. 많은 고통 끝에 유다는 자신의 장소에서 죽었고, 악취 때문에 그 지역은 버려지고 사람이 살 수 없게 되었다. 오늘날까지도 그곳을 지나가려면 코를 막지 않을 수 없을 정도로 분비물이 땅에 퍼져 있었다고 한다.
4. 5. 요한의 죽음 (Death of John)
필립포스와 게오르기오스 하마르톨로스(George Hamartolos)의 두 후대 자료는 파피아스의 저서 2권을 인용하여 요한 사도가 유대인들에게 살해당했다고 주장한다.[46] 그러나 일부 현대 학자들은 파피아스에 관한 두 자료의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하며,[47][48] 다른 학자들은 파피아스가 요한의 순교에 대해 언급했다고 주장한다.[49] 두 자료에 따르면, 파피아스는 이를 예수의 두 형제 순교에 대한 예언의 성취로 제시했다.[50]
4. 6. 바르사바 (Barsabbas)
파피아스는 빌립의 딸들의 증언을 바탕으로, 사도행전에 따르면 열두 사도에 합류할 두 후보 중 한 명이었던 유스투스 바르사바에 관한 사건을 전한다.[51] 유세비우스는 "그가 치명적인 독을 마셨지만 아무런 해를 입지 않았다"[13]고 요약했고, 시데의 빌립은 "그가 믿지 않는 자들에게 시험을 받을 때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뱀 독을 마셨고 모든 해로움으로부터 보호받았다"[52]고 기록했다. 유스투스 바르사바에 관한 이야기 뒤에는 어떤 마나엠의 어머니의 부활에 관한 이야기가 이어진다. 이 이야기는 마가복음의 장문 결말의 "그들이 뱀을 집어 들 것이며, 만일 그들이 어떤 치명적인 것을 마시더라도 해를 입지 않을 것이다"[53]라는 구절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5. 신뢰성
유세비우스는 파피아스의 지적 능력에 대해 "낮은 평가"를 내렸지만,[54] 이레네우스가 파피아스를 원초적인 사도 전승에 대한 신뢰할 만한 증인으로 여겼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55]
유세비우스의 자료 사용 방식은 그 자신이 항상 가장 훌륭한 비판적 판단력을 행사한 것은 아니었음을 시사하며, 그가 파피아스에 대해 부정적인 평가를 내린 것은 아마도 칠년 천년설에 대한 불신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56]
현대 학자들은 파피아스의 신뢰성에 대해 논쟁해 왔다.[57][58] 파피아스가 마가복음과 마태복음에 대해 한 논평에 대한 많은 논의는 이 복음서들의 기원에 대한 증거로서의 신뢰성을 보여주거나, 그 신뢰성을 깎아내리기 위해 그 변론적인 성격을 강조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59] 윤만 박은 파피아스의 전승이 마가복음의 사도성을 옹호하기 위해 만들어졌다는 현대적 주장을 인용하지만, 파피아스가 묘사한 베드로-마가 연결고리가 초기 교회에서 이미 일반적인 합의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면 이는 설득력이 없는 변론적 경로로 일축한다.[60] 모리스 케이시는 파피아스가 실제로 사도 마태의 히브리어 어록집에 대해 신뢰할 만한 정보를 제공했으며, 이는 그리스어 마태복음과는 별개의 것으로, 초기 교회의 다른 마태 또는 마티아스가 저술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61]
다른 학자들은 파피아스가 자신에게 전해진 것을 충실하게 기록했지만, 자신에게 익숙하지 않은 이야기의 주제를 오해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한다.
참조
[1]
서적
Butler's Lives of the Saints
https://books.google[...]
[2]
웹사이트
From Stories to Canon
http://oyc.yale.edu/[...]
2016-07-05
[3]
웹사이트
Papia Hierapolitanus, Fragmenta
http://www.documenta[...]
2021-08-12
[4]
웹사이트
Adv. Haer. 5.33
http://www.ccel.org/[...]
2019-01-29
[5]
웹사이트
Hist. Eccl. 3.36
http://www.ccel.org/[...]
2014-10-09
[6]
서적
Early Christianity in the Lycus Valley
https://books.google[...]
[7]
간행물
The Date of Papias: A Reassessment
http://www.etsjets.o[...]
1983-06-01
[8]
서적
Mark: A Commentary on His Apology for the Cross
Wm. B. Eerdmans Publishing
[9]
웹사이트
Hist. Eccl. 3.39
http://www.ccel.org/[...]
2017-10-14
[10]
웹사이트
Apostolic Constitutions 7.46
http://www.ccel.org/[...]
2021-04-10
[11]
서적
Jesus and the Eyewitnesses: The Gospels as Eyewitness Testimony
[12]
웹사이트
Hist. Eccl. 3.39
http://www.ccel.org/[...]
2017-10-14
[13]
웹사이트
Hist. Eccl. 3.39
http://www.ccel.org/[...]
2017-10-14
[14]
서적
The Bible in Three Dimensions
[15]
서적
Books and Readers in the Early Church
https://archive.org/[...]
[16]
서적
Geschichte der Altchristlichen Litteratur bis Eusebius
https://books.google[...]
2013-07-06
[17]
뉴스
Bryn Mawr Classical Review: Review of ''The Apostolic Fathers: Greek Texts and English Translations''
http://bmcr.brynmawr[...]
[18]
웹사이트
Hist. Eccl. 3.39
http://www.ccel.org/[...]
2017-10-14
[19]
웹사이트
Hist. Eccl. 3.39
http://www.ccel.org/[...]
2017-10-14
[20]
서적
The Gospel Behind the Gospels: Current Studies on Q
[21]
서적
The Jesus Crisis: The Inroads of Historical Criticism Into Evangelical Scholarship
[22]
웹사이트
Adv. Haer. 3.1.1
http://www.hypotypos[...]
2014-02-13
[23]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New Testament
https://archive.org/[...]
[24]
웹사이트
Hist. Eccl. 3.39
http://www.ccel.org/[...]
2017-10-14
[25]
웹사이트
Hist. Eccl. 2.15
http://www.ccel.org/[...]
2014-10-09
[26]
성경
1 Pet 5:13
[27]
웹사이트
Dial. 106.3
http://www.hypotypos[...]
2014-02-11
[28]
웹사이트
Adumbr. in Ep. can. in 1 Pet. 5:13
http://www.ccel.org/[...]
2014-07-29
[29]
간행물
What Papias Said about John (and Luke): A 'New' Papian Fragment
[30]
웹사이트
Hist. Eccl. 3.24
http://www.ccel.org/[...]
2013-12-15
[31]
서적
The Legacy of John: Second-Century Reception of the Fourth Gospel
[32]
웹사이트
Hist. Eccl. 3.39
http://www.ccel.org/[...]
2017-10-14
[33]
웹사이트
Adv. Haer. 5.33
http://www.ccel.org/[...]
2019-01-29
[34]
웹사이트
Fragment 14
2014-09-10
[35]
웹사이트
2 Baruch 29:5
http://www.pseudepig[...]
2015-05-25
[36]
웹사이트
Papias Fragments
http://www.chronicon[...]
2014-09-10
[37]
웹사이트
Navigart
https://navigart.fr/[...]
2019-02-04
[38]
웹사이트
Papias Fragments
http://www.chronicon[...]
2014-09-10
[39]
서적
Sayings of Jesus: Canonical and Non-Canonical: Essays in Honour of Tjitze Baarda
[40]
서적
The Hebrew Gospel and the Development of the Synoptic Tradition
https://books.google[...]
[41]
학술지
Papias and the Gospel According to the Hebrews
https://books.google[...]
[42]
서적
Miracle and Mission: The Authentication of Missionaries and Their Message in the Longer Ending of Mark
http://sites.google.[...]
[43]
웹사이트
Papias Fragments
http://www.chronicon[...]
2014-09-10
[44]
성경
Matthew 27:5
[45]
성경
Acts 1:18
[46]
웹사이트
Papias Fragments
http://www.chronicon[...]
2014-09-10
[47]
서적
Encyclopedia of early Christianity
[48]
서적
Jesus and the Eyewitnesses, 2d ed
https://books.google[...]
2017-04-27
[49]
서적
John: A Commentary on the Gospel of John, Chapters 1–6
Fortress Press
[50]
성경
Mark 10:35–40; Matthew 20:20–23
[51]
성경
Acts 1:21–26
[52]
웹사이트
Papias Fragments
http://www.chronicon[...]
2014-09-10
[53]
성경
Mark 16:18
[54]
학술지
Response to Dunn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Publishers
2004-06-23
[55]
서적
The Order of the Synoptics: Why Three Synoptic Gospels?
[56]
서적
A Critical and Exegetical Commentary on the Gospel according to Saint Matthew, Volume 1, ICC
[57]
서적
Mark: Images of an Apostolic Interpreter
https://archive.org/[...]
[58]
서적
Peter, Paul, and Mary Magdalene: The Followers of Jesus in History and Legend
https://archive.org/[...]
[59]
서적
The Testimony of the Beloved Disciple: Narrative, History, and Theology in the Gospel of John
[60]
서적
Mark's Memory Resources and the Controversy Stories (Mark 2:1-3:6): An Application of the Frame Theory of Cognitive Science to the Markan Oral-Aural Narrative
https://books.google[...]
[61]
서적
Jesus of Nazareth: An Independent Historian's Account of His Life and Teaching
[62]
웹사이트
Yale OpenCourseware
http://oyc.yale.edu/[...]
[63]
웹사이트
Documenta Catholica Omnia
http://www.documenta[...]
[64]
웹사이트
Irenaeus, Adv. Haer. 5.33.4
http://www.ccel.org/[...]
[65]
웹사이트
Eusebius, Hist. Eccl. 3.36.2
http://www.ccel.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