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에로니무스 폰 뮌히하우젠 남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히에로니무스 폰 뮌히하우젠 남작은 1720년 독일에서 태어난 귀족으로, 1737년부터 1750년까지 러시아 제국군에서 복무했다. 그는 이후 고향으로 돌아와 지주로 살면서, 러시아 군 복무 시절의 과장된 모험담을 이야기하여 명성을 얻었다. 그의 이야기는 루돌프 에리히 라스페에 의해 영어로 출판되었고, 이후 고트프리트 아우구스트 뷔르거에 의해 독일어로 번역되어 널리 알려졌다. 뮌히하우젠 남작은 허풍과 과장된 이야기의 대명사로 여겨지며, 그의 이름은 다양한 문학 작품, 영화, 연극 등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뮌히하우젠의 딜레마, 뮌히하우젠 증후군 등과 같은 용어의 어원이 되기도 하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공의 남작과 남작부인 - 파울라 폰 귄터
파울라 폰 귄터는 DC 코믹스 원더우먼의 숙적으로, 나치즘 이전 독일 귀족 출신 남작 부인이며, 시대에 따라 게슈타포 요원, 원더우먼의 조력자, '워마스터' 빌런 등으로 변화하며 다양한 미디어에 등장했다. - 가공의 남작과 남작부인 - 제모 남작
제모 남작은 1480년 하빈 제모에서 시작된 마블 코믹스의 빌런 가문으로, 하인리히 제모와 헬무트 제모 등 여러 인물이 칭호를 이어받아 캡틴 아메리카와 대립하며 다양한 매체에서 활동한다. - 코미디 등장인물 - 여우 이야기
여우 이야기는 중세 유럽 민담 및 문학 작품군으로, 교활한 여우 레나르, 늑대 이젠그림, 사자 노블 왕 등 의인화된 동물들이 인간 사회를 풍자하는 에피소드를 다루며, 《로망 드 르나르》를 시작으로 다양한 형태로 변주되어 유럽 전역에 영향을 미쳤다. - 코미디 등장인물 - 더블 액트
더블 액트는 두 연기자가 '스트레이트 맨'과 '코미디언' 역할을 맡아 익살스러운 코미디를 선보이는 형태로, 19세기 뮤직홀과 보드빌에서 시작하여 다양한 매체에서 인기를 얻은 '콤비' 또는 '듀오' 공연이다.
| 히에로니무스 폰 뮌히하우젠 남작 | |
|---|---|
| 기본 정보 | |
![]() | |
| 별칭 | 뤼겐바론 (Lügenbaron, "거짓말 남작") |
| 작위 | 남작(Freiherr) |
| 국적 | 독일 |
| 기반 | 히에로니무스 폰 뮌히하우젠 (1720–1797) |
| 등장 작품 | |
| 첫 등장 | 《러시아에서의 뮌히하우젠 남작의 놀라운 여행과 원정 이야기》 (1785) |
| 창작자 | 루돌프 에리히 라스페 |
| 연기자 | 잭 펄 (1933–1934) 한스 알베르스 (1943) 밀로시 코페츠키 (1961) 올레크 얀콥스키 (1979) 존 네빌 (1988) 얀 요제프 리퍼스 (2012) |
| 목소리 | 잭 펄 (1932) 피터 유스티노프 (1972) |
2. 역사적 인물
히에로니무스 카를 프리드리히 폰 뮌히하우젠(1720-1797)은 하노버 선제후국 보덴베르더 출신의 독일 귀족이다.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공국 귀족 가문인 폰 뮌히하우젠 가문 출신으로, 린텔른과 보덴베르더에 토지를 소유했다.
어린 시절 브라운슈바이크의 안토니 울리히 공의 시종으로 일하며 러시아 제국으로 건너갔다. 1739년 기병대 소위로 임관하여 러시아-튀르크 전쟁에 참전했고, 1740년 중위로 진급했다. 1744년 발트 기사단의 딸인 야코비네 폰 둔텐과 결혼했다. 1750년 대위(''로트미스트르'')로 진급했다.
1754년 러시아군에서 제적되었고, 1760년 은퇴하여 보덴베르더 영지에서 자유 남작으로 살았다. 그는 러시아 군 복무 시절 경험을 바탕으로 한 과장되고 재치 있는 이야기로 유명해졌다. 1790년 아내와 사별한 후, 1794년 베르나르디네 폰 브룬과 재혼했으나, 불화와 소송 끝에 1797년 자녀 없이 사망했다.
2. 1. 가문과 초기 생애

히에로니무스 카를 프리드리히 폰 뮌히하우젠은 1720년 5월 11일 하노버 선제후국 보덴베르더에서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공국 출신의 독일 귀족 가문인 폰 뮌히하우젠 가문의 일원으로 태어났다. 뮌히하우젠 가문은 린텔른과 보덴베르더에 토지를 소유하고 있었으며, 1183년에 처음 언급된 가문의 "검은 계열"에 속했다. 뮌히하우젠의 아버지 사촌인 게를라흐 아돌프 폰 뮌히하우젠(1688–1770)은 대영 제국의 조지 2세 밑에서 하노버 총리를 역임했으며, 괴팅겐 대학교의 설립을 주도했다.[3]
어린 시절, 뮌히하우젠은 브라운슈바이크의 안토니 울리히 공의 궁정에서 시종으로 일했으며, 1737년-1739년 러시아-튀르크 전쟁 동안 공작을 따라 러시아 제국으로 갔다.
2. 2. 러시아 군 복무
1737년, 뮌히하우젠은 브라운슈바이크의 안토니 울리히 공을 섬기기 위해 러시아 제국으로 갔다. 러시아-튀르크 전쟁 동안 공작을 따라갔다.[4] 1739년 기병대인 브라운슈바이크 기병대에서 소위로 임명되었다.[4] 1740년 11월 27일, 중위로 진급했다.[4] 리가에 주둔했지만, 1740년과 1741년 오스만 제국을 상대로 두 번의 군사 작전에 참여했다.[4] 1744년, 발트 기사단의 딸인 야코비네 폰 둔텐과 결혼했으나, 자녀는 없었다.[4] 1750년 대위(''로트미스트르'')로 진급한 후,[4] 휴가를 받아 독일로 귀향했고, 1754년 러시아군에서 제적되었다.[4]2. 3. 은퇴 후의 삶
1760년, 뮌히하우젠은 은퇴하여 보덴베르더의 영지에 정착하여 지주이자 ''자유 남작''으로 살았으며, 1797년 사망할 때까지 그곳에 머물렀다.[1] 그는 특히 지역 귀족들을 위한 저녁 식사 자리에서 러시아에서의 군 경력에 대한 재치 있고 과장된 이야기를 하며 상상력이 풍부한 이야기꾼으로 명성을 얻었다. 이후 수십 년 동안 그의 이야기 솜씨는 널리 알려져, 그의 이야기를 듣기 위해 여행하는 귀족들이 자주 방문했다. 한 손님은 뮌히하우젠이 그의 이야기를 "세상 사람의 변덕에 굴하지 않고, 군사적 강조를 곁들여 기사답게 이야기하며, 마치 자연스러운 사건처럼 그의 모험을 묘사했다"고 묘사했다.[4] 뮌히하우젠은 거짓말쟁이로 여겨지기보다는 정직한 사람으로 여겨졌다.[1] 또 다른 동시대인은 뮌히하우젠의 믿을 수 없는 이야기가 속이기 위한 것이 아니라, "그가 지인들 중 일부에서 관찰한 경이로운 것에 대한 성향을 조롱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말했다.1790년, 야코비네 폰 둔텐이 사망했다. 1794년 1월, 뮌히하우젠은 자신보다 57세 연하인 베르나르디네 폰 브룬과 재혼했다. 폰 브룬은 결혼 직후 병에 걸렸고, 1794년 여름을 온천 도시인 바트 피르몬트에서 보냈지만, 당시 소문으로는 그곳에서 춤을 추고 바람을 피우며 시간을 보냈다고 한다. 그녀는 1795년 2월 16일, 여름 여행 후 9개월 만에 딸 마리아 빌헤미나를 낳았다. 뮌히하우젠은 그 아이가 자신의 아이가 아니라는 공식적인 불만을 제기했고, 이혼 소송과 위자료 소송으로 남은 생애를 보냈다. 뮌히하우젠은 1797년 2월 22일에 자녀 없이 사망했다.[1]
3. 허구화

허구의 뮌히하우젠 남작은 독일 작가 루돌프 에리히 라스페가 창조했다. 라스페는 실제 뮌히하우젠 남작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독일어 일화를 썼고, 이를 영어로 각색하고 확장하여 허구의 인물을 만들었다.
실제 뮌히하우젠 남작은 자신의 이름이 유명해지고 "거짓말하는 남작"이라는 오명을 얻게 되자 분노했다. 그는 은둔 생활을 하며 뷔르거와 번역본 출판사를 상대로 법적 소송을 제기하려 했지만 실패했다.[5]
3. 1. 라스페의 역할
루돌프 에리히 라스페는 괴팅겐 대학교에서 뮌히하우젠을 만났을 가능성이 있으며,[1] 보덴베르더 저택에서 그와 저녁 식사를 함께 했을 수도 있다. 라스페는 뮌히하우젠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M-h-s-nsche Geschichten"("M-h-s-n 이야기")라는 일련의 일화를 썼다.[2] 이 이야기의 대부분은 하인리히 베벨의 ''Facetiæ''(1508)와 사무엘 고트홀드 랑에의 ''Deliciæ Academicæ''(1765) 등 이전 자료에서 파생되었다.[3][4]"M-h-s-n 이야기"는 1781년 베를린 유머 잡지 ''Vade mecum für lustige Leute''(''재미있는 사람들을 위한 핸드북'')의 8번째 호에 특집으로 게재되었다. 1783년에는 같은 잡지의 10번째 호에 속편 "Noch zwei M-Lügen"("두 개의 M-거짓말")이 출판되었다.[2] 이 이야기의 영웅이자 화자는 "M-h-s-n"으로만 식별되어, 뮌히하우젠과의 연관성을 짐작할 수 있게 했다.[2]
1785년, 라스페는 ''Vade mecum'' 일화를 짧은 영어 책으로 각색하면서 화자를 "뮌하우젠 남작"으로 명명했다. 뮌히하우젠을 "뮌하우젠"으로 영국식화한 것 외에는, 라스페는 자신의 이름을 밝히지 않았다.[5]
3. 2. 출판의 역사

이 허구의 인물은 독일의 작가, 과학자이자 사기꾼이었던 루돌프 에리히 라스페가 만들어냈다.[1][2] 라스페는 괴팅겐 대학교에서 공부하면서 히에로니무스 폰 뮌히하우젠을 만났을 것이며, 보덴베르더 저택에서 그와 저녁 식사를 하도록 초대받았을 수도 있다.[1]
라스페는 모국어인 독일어로 뮌히하우젠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일련의 일화를 썼으며, 이 컬렉션을 "M-h-s-nsche Geschichten"("M-h-s-n 이야기")라고 불렀다.[3] 라스페의 자료 중 얼마나 많은 부분이 남작에게서 직접적으로 유래되었는지는 불분명하지만, 이야기의 대부분은 하인리히 베벨의 ''Facetiæ'' (1508)와 사무엘 고트홀드 랑에의 ''Deliciæ Academicæ'' (1765)를 포함한 이전 자료에서 파생되었다.[4] "M-h-s-nsche Geschichten"는 1781년 베를린 유머 잡지인 ''Vade mecum für lustige Leute'' (''재미있는 사람들을 위한 핸드북'')의 8번째 호에 특집으로 게재되었다. 라스페는 1783년 같은 잡지의 10번째 호에 속편인 "Noch zwei M-Lügen"("두 개의 M-거짓말")을 출판했다.[3]
1785년, 콘월의 돌코스에서 광산을 감독하면서 라스페는 ''Vade mecum'' 일화를 짧은 영어 책으로 각색했으며, 이번에는 책의 화자를 "뮌하우젠 남작"으로 식별했다.[1] 뮌히하우젠을 "뮌하우젠"으로 영국식화한 것 외에는, 라스페는 그를 영감으로 삼은 사람의 정체를 숨기려는 시도를 하지 않았지만, 여전히 자신의 이름은 밝히지 않았다.[5]
뮌히하우젠이 완전히 발전된 문학적 인물로 등장하는 이 영어판은[2] 우여곡절이 많은 출판 역사를 가지고 있다. 1785년 말 서점 주인 스미스에 의해 옥스퍼드셔의 옥스퍼드에서 "남작 뮌하우젠의 러시아에서의 놀라운 여행과 캠페인 이야기"라는 제목으로 익명으로 출판되었으며, 실링에 판매되었다.[8] 이듬해 초에 출시된 두 번째 판은 "뮌니코우손 남작, 흔히 뮌하우젠으로 발음되는 기이한 여행, 캠페인, 항해 및 스포츠 모험"이라는 제목으로 변경되었고, 5개의 이야기를 더하고 4개의 삽화를 추가했다. 책은 여전히 익명이었지만, 새로운 텍스트는 아마도 라스페의 것이었고, 삽화도 그의 작품일 수 있다.[9]
1786년 5월까지 라스페는 더 이상 이 책을 통제할 수 없었고, 다른 출판사 G. 키얼슬리에 의해 인수되었다.[10] 키얼슬리는 원래 판보다 더 상류층 독자를 대상으로 하여, 새로운 이야기, 12개의 새로운 조각, 그리고 라스페의 산문을 대폭 다시 쓰는 등 다른 사람들의 광범위한 추가 및 수정을 의뢰했다. 이 세 번째 판은 "걸리버 부활, 또는 뮌니코우손 남작, 흔히 뮌하우젠으로 발음되는 기이한 여행, 캠페인, 항해 및 모험"이라는 제목으로 원래 가격의 두 배인 두 실링에 판매되었다.[11]
키얼슬리의 버전은 뚜렷한 대중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다음 몇 년 동안, 출판사는 여전히 라스페가 아닌 자료를 추가하면서 후속 판을 빠르게 발행했다. 심지어 라스페가 아닌 라이벌 인쇄업자가 1792년에 처음 출판한 장편 "뮌히하우젠 남작의 모험의 속편"도 곧 이야기의 본문으로 흡수되었다. 수정 과정에서 라스페의 산문 스타일은 심하게 변경되었다. 키얼슬리의 작가들은 그의 대화체 언어와 스포츠맨다운 표현 대신, 어거스틴 산문을 모방한 더 부드럽고 더 공식적인 어조를 선택했다.[12]
1794년 라스페가 사망하기 전에 이 책의 최소 10개 판 또는 번역본이 출판되었다.[13] 1786년에는 이 책의 프랑스어, 스페인어, 독일어 번역본이 출판되었다.[5] 이 텍스트는 1805년에 미국에 도착하여 익명의 연방당 작가, 아마도 토마스 그린 페센덴에 의해 미국 시사 풍자를 포함하도록 확장되었다.

첫 번째 독일어 번역본인 "Wunderbare Reisen zu Wasser und Lande"는 독일 낭만주의 시인 고트프리트 아우구스트 뷔르거에 의해 만들어졌다. 뷔르거의 텍스트는 스미스의 두 번째 판을 거의 그대로 번역한 것이지만, "여섯 명의 멋진 하인"이라는 독일 전설을 바탕으로 한 삽입된 이야기도 포함하고 있다. 삽입된 자료를 설명하기 위해 두 개의 새로운 조각이 추가되었다. 이 이야기의 독일어 버전은 영어 버전보다 훨씬 더 인기를 얻었다.[3] 1788년의 두 번째 독일어 판은 확장된 키얼슬리 판의 대폭 변경된 자료를 포함했고, 오리지널 독일 속편인 "Nachtrag zu den wunderbaren Reisen zu Wasser und Lande"는 1789년에 출판되었다. 이러한 출판 이후, 라스페 텍스트의 영어 및 대륙 버전은 계속 분기되어 포함된 자료에 대해 점점 더 다른 전통을 따랐다.
라스페는 아마도 실제 뮌히하우젠 남작으로부터의 명예 훼손 소송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이 책의 저작을 결코 인정하지 않았다. 이 책은 종종 뷔르거에게 공로가 돌아갔고,[13] 때로는 실제 뮌히하우젠 남작이 피르몬트에서 뷔르거를 만나 그에게 작품 전체를 구술했다는 소문이 있었다.[1]
3. 3. 저작권 논란
라스페는 명예 훼손 소송을 우려하여 이 책의 저작권을 인정하지 않았다.[5] 이 책은 고트프리트 아우구스트 뷔르거의 작품으로 알려지기도 했으며,[5] 실제 뮌히하우젠 남작이 뷔르거에게 작품 전체를 구술했다는 소문도 있었다.[5] 1824년, 뷔르거의 전기 작가인 카를 라인하르트에 의해 라스페의 저작권이 증명되었다.[5]4. 허구의 캐릭터
허구의 뮌히하우젠 남작은 과장된 허풍으로 잘 알려진 허풍쟁이 군인으로 묘사된다. 그는 포탄을 타고 날아가거나, 달을 여행하고, 심지어 자신의 머리카락을 잡아당겨 위기에서 벗어나는 등 초인적인 능력을 보여준다. 이러한 황당한 이야기 속에서도 뮌히하우젠 남작은 침착하고 합리적인 태도를 유지하며, 자신의 경험을 객관적으로 묘사하는 척한다. 그의 이야기는 아이러니와 풍자를 담고 있으며, 음식과 음료를 즐기는 우아한 신사로 그려진다.
5. 비평 및 대중적 수용
18세기 후반, 출판 초기의 평가는 엇갈렸다.[1] 19세기 이후, 뮌히하우젠 남작은 문학에서 중요한 인물로 자리 잡았다. W. L. 조지는 뮌히하우젠 남작을 "코믹 거인"으로 묘사했다. 쥘 베른 등 여러 작가에게 영감을 주었으며, 미국의 거짓말쟁이 이야기 전통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어린이들에게 인기가 많다.[1]
1781년 베를린에서 뮌히하우젠 이야기가 처음으로 정리된 형태로 출판되었지만, 저자는 알려지지 않았다. 1785년에는 루돌프 에리히 라스페가 대폭 가필한 영문판을 출판했다. Baron Munchhausen's Narrative of his Marvellous Travels and Campaigns in Russia영어 (→뮌히하우젠 남작의 놀라운 러시아 여행과 모험 이야기)가 그 당시의 제목이지만, The Surprising Adventures of Baron Munchausen영어(→뮌히하우젠 남작의 놀라운 모험)라고도 불렸다. 그러나 유머러스한 이야기 속에는 뮌히하우젠 이외의 출처에서 차용한 것도 적지 않았다. 라스페의 출판은 뮌히하우젠의 평판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낳았다.[1]
1786년, 괴팅겐 대학의 강사 고트프리트 아우구스트 뷔르거가 라스페 판을 독일어로 번역하고 가필하여 독일로 역수입했다. Wunderbare Reisen zu Wasser und Lande: Feldzüge und lustige Abenteuer des Freiherrn von Münchhausende(→물과 육지에서의 놀라운 여행: 뮌히하우젠 남작의 종군기와 유쾌한 모험)로 출판된 이 뷔르거 판은 오늘날 독일에서도 가장 널리 알려진 판 중 하나이다. 뷔르거는 공화주의 사상을 가지고 있었으며, 뷔르거 판에는 정치적 풍자가 많이 담겨 있었다. 뷔르거는 자신이 저자임을 숨겼고, 뮌히하우젠이나 라스페와 마찬가지로 만년에 불우하게 생을 마감했다.[1]
19세기에 뮌히하우젠 남작의 이야기는 수많은 작가들에 의해 가필되었고,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었다. 그 결과 이야기에는 100가지 이상의 변형이 존재한다. 러시아에서도 뮌히하우젠 남작의 이야기는 오래전부터 출판되었으며, 특히 어린이를 위해 다시 쓴 것은 널리 사랑받고 있다.[1]
뮌히하우젠 남작의 이야기 중, 뮌히하우젠 자신이 이야기한 것이 어느 정도인지는 분명하지 않다. 다만, 에피소드의 대부분은 뮌히하우젠이 태어나기 전부터 수 세기에 걸쳐 유포되어 온 민담이 바탕이 되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1]
2004년, "뮌히하우젠의 손자들"이라는 팬클럽이 러시아 도시 칼리닌그라드(구 쾨니히스베르크)에서 창설되었다. 이 클럽의 초기 활동에는 뮌히하우젠 남작이 쾨니히스베르크를 여행했다는 허구적 증거를 확인하는 활동이 포함되었으며, 그 예로 남작 소유로 추정되는 군화와 남작이 갇혔다고 하는 향유고래의 뼈대가 있었다.[1]
2005년 6월 18일, 칼리닌그라드 창립 750주년을 기념하여 보덴베르더에서 남작의 포탄 타기를 묘사한 남작 기념비를 선물로 공개했다.[1] 보덴베르더에는 시청 앞에 뮌히하우젠 기념비가 있으며, 이야기의 삽화판을 대거 소장한 뮌히하우젠 박물관도 있다. 또 다른 뮌히하우젠 박물관(''Minhauzena Muzejs'')은 실제 남작의 첫 번째 부인이 살았던 라트비아, 리에푸페 교구의 둔테스 무이지에 존재한다. 그 부부는 하노버의 남작 영지로 돌아가기 전 6년 동안 그 마을에서 살았다. 2005년, 실제 남작의 285번째 생일을 기념하여 라트비아 국립 은행에서 기념 은화를 발행했다.[1]
6. 문화적 영향
뮌히하우젠 남작은 사후 수많은 문학, 연극, 영화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1951년 영국의 의사 리처드 애셔는 자신의 건강 상태에 대해 거짓말을 하는 인위적 장애 환자들을 묘사하면서 이 장애를 "뮌하우젠 증후군"이라고 불렀다.[10] 이 명칭은 남작의 이야기처럼 극적이고 진실되지 않은 환자들의 행태에서 유래했다.[10] 여기서 파생된 대리 뮌하우젠 증후군은 보호자가 환자 대신 질병을 가장하는 경우를, 인터넷 뮌하우젠 증후군은 온라인에서 질병을 가장하는 경우를 말한다.[10]
1968년 한스 알버트는 무한 퇴행에 빠지지 않고 결론을 도출하는 철학적 문제를 설명하기 위해 뮌히하우젠 딜레마라는 용어를 만들었다.[11] 이는 남작이 늪에서 자신의 머리카락을 잡아당겨 스스로를 구출했다는 이야기에서 따온 것이다.[11]
2009년에는 숫자를 거듭제곱하여 자릿수를 더했을 때 원래 숫자가 되는 수를 설명하는 뮌하우젠 수라는 수학 용어가 만들어졌다.[11]
Aarne–Thompson–Uther 분류 시스템에서는 뮌히하우젠 이야기에 경의를 표하여 ATU1889를 "뮌히하우젠 이야기"로 명명했다.[12]
1994년 소행성대의 14014 뮌히하우젠은 실제 남작과 허구의 남작을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12]
2004년 러시아 칼리닌그라드에는 "뮌히하우젠의 손자들"이라는 팬클럽이 창설되어 남작의 쾨니히스베르크 여행에 대한 허구적 증거를 찾는 활동을 했다.[7]
2005년 칼리닌그라드 창립 750주년을 기념하여 보덴베르더에서 남작의 포탄 타기를 묘사한 기념비를 선물했다.[8] 보덴베르더에는 뮌히하우젠 기념비와 박물관이 있으며,[8] 라트비아 리에푸페 교구 둔테스 무이지에도 뮌히하우젠 박물관(''Minhauzena Muzejs'')이 있다.[8] 라트비아 국립 은행은 2005년 기념 은화를 발행했다.[8]
6. 1. 문학
1781년 베를린에서 뮌히하우젠 이야기가 처음으로 정리된 형태로 출판되었지만, 저자는 알려져 있지 않다.[13] 1785년에는 루돌프 에리히 라스페가 영어판을 출판했는데, 여기에는 뮌히하우젠 이야기 외에 다른 출처에서 가져온 유머러스한 이야기들도 포함되어 있었다.[13] 라스페의 출판은 뮌히하우젠의 평판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낳기도 했다.[13]1786년 고트프리트 아우구스트 뷔르거는 라스페 판을 독일어로 번역하고 내용을 추가하여 독일에서 출판했다. 뷔르거 판은 현재 독일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판 중 하나이다.[13] 뷔르거는 공화주의 사상을 가지고 있었으며, 그의 판본에는 정치적 풍자가 많이 담겨 있었다.[13]
19세기에 뮌히하우젠 남작의 이야기는 여러 작가들에 의해 수정되고 번역되어 100가지 이상의 다양한 버전이 존재한다.[13] 뮌히하우젠이 군인으로 활약했던 러시아에서도 뮌히하우젠 남작의 이야기는 오랫동안 출판되었고, 특히 어린이를 위해 다시 쓰여진 이야기는 널리 사랑받고 있다.[13]
뮌히하우젠 남작의 이야기 중 어느 정도가 뮌히하우젠 자신이 이야기한 것인지는 확실하지 않다.[13] 하지만 에피소드의 대부분은 뮌히하우젠이 태어나기 전부터 수 세기에 걸쳐 전해 내려온 민담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13]
미국의 초기 SF 작가 휴고 건즈백은 제2차 세계 대전 사이에 "뮌히하우젠 남작의 과학적 모험"을 썼다.[13] 이 작품은 20세기에 부활한 뮌히하우젠 남작이 "현대 과학"을 사용하여 활약하는 교육적이고 유머러스한 모험 SF였다.[13]
일본의 호시 신이치는 『거짓말쟁이 남작 현대의 모험』(1970)을 썼다.[13] 이 작품은 뮌히하우젠 남작의 자손을 주인공으로 한 풍자적인 SF풍의 연작 중편 소설이다.[13]
그 외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 테라야마 슈지 저, 오이카와 마사미치 그림, 『그림책・허풍선이 남작』(1970)
- 하라 쿄코 글, 하라 유타카 그림, 『포플러 이야기관 18 이시시와 노시시의 엉뚱하고 이상한 이야기 오보라라 남작의 대모험』(2009)
- 아라이 코지 역, 『허풍선이 남작의 모험』 뷔르거 편, 이와나미 문고 (1983년 4월)
- 다카하시 겐지 역, 『허풍선이 남작의 모험』 뮌히하우젠 (실제 원서는 뷔르거 편), (어린이용 요약본), 가이세이샤 문고 신판 (1983년)
- Charles McKeown영어 테리 길리엄, 타치바나 카오루 역, 『바론』, 도쿠마 문고 (1989년 6월)
- 에리히 케스트너 이케우치 오사무, 이즈미 치호코 역, 『케스트너의 "허풍선이 남작"』, 지쿠마 서방 (1993년 2월), 지쿠마 문고 (2000년)
- G.A. 뷔르거 편 사이토 히로시 역, 『허풍선이 남작의 모험』(어린이용 요약본), 가이세이샤 (2007년)
- 아라이 코지 역, 『신역 허풍선이 남작의 모험』 뷔르거 편, (어린이용 요약본), 슈에이샤 미라이 문고 (2015년 5월)
- 사카요리 신이치 역, 『허풍선이 남작의 모험』, 코분샤 고전 신역 문고 (2020년 6월)
6. 2. 무대 및 오디오
죄송합니다.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무대 및 오디오" 섹션에 해당하는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해당 섹션은 작성할 수 없습니다.6. 3. 영화
- 1911년 조르주 멜리에스의 "뮌히하우젠 남작의 꿈"
- 1943년 UFA의 《뮌히하우젠 남작의 모험》. 에리히 케스트너 각본, 요제프 폰 바키 감독, 한스 알베르스 (뮌히하우젠 남작 역) 주연의 독일 4번째 전편 풀 컬러 영화이다.
- 1961년 카렐 제만 감독의 "파블러스 뮌히하우젠 남작"은 실사와 애니메이션을 합성하여 남작의 모험을 그렸다.
- 1979년 마르크 자하로프가 촬영한 러시아 영화 Тот самый Мюнхгаузенru는 출판 이후 뮌히하우젠이 제정신임을 증명하려 고투하는 모습을 그렸다.
- 1988년 테리 길리엄 감독, 존 네빌 (뮌히하우젠 남작 역) 주연의 《바론》
7. 유산
18세기 독일의 귀족이었던 히에로니무스 폰 뮌히하우젠 남작은 과장된 모험담으로 유명해졌고, 그의 이름은 다양한 분야에서 영감의 원천이 되었다.
뮌히하우젠 남작의 이야기는 문학, 영화, 연극 등 다양한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4] 1943년 독일에서 제작된 영화 《뮌히하우젠》은 남작의 모험을 화려하게 묘사하여 큰 인기를 얻었다. 1988년에는 테리 길리엄 감독이 《바론의 대모험》이라는 영화를 제작하여 남작의 이야기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했다.[13]
뮌히하우젠의 이름은 의학과 철학 분야에도 영향을 미쳤다. 타인의 관심을 끌기 위해 질병을 가장하는 정신 질환은 '뮌히하우젠 증후군'으로 불린다. 확실한 근거를 찾을 수 없는 철학적 문제는 '뮌히하우젠의 딜레마'라고 불린다.
7. 1. 기념물
2004년 5월 25일, 러시아 칼리닌그라드에서 "뮌히하우젠의 손자들"이라는 팬클럽이 창설되었다. 이들은 뮌히하우젠 남작의 실제 이야기와 허구의 이야기를 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칼리닌그라드와 보덴베르더에는 뮌히하우젠 기념비가 설치되어 있다. 칼리닌그라드의 기념비는 2005년 6월 18일에 제막되었으며, "쾨니히스베르크의 가장 재치있는 인물"이라고 묘사된다.
라트비아 둔테에는 뮌히하우젠 박물관이 있으며, 남작의 아내 야코비네가 살았던 곳으로 추정된다. 이 박물관은 뮌히하우젠 관련 소장품으로는 세계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3] 2005년에는 라트비아 국립 은행에서 뮌히하우젠을 기념하는 은화를 발행했다.
7. 2. 명명법
뮌히하우젠 증후군은 타인의 동정이나 관심을 끌기 위해 질병을 흉내 내거나 자해하는 정신 질환이다. 자해 대상이 자신 이외의 가족 등인 경우 대리 뮌히하우젠 증후군이라는 명칭이 붙는다. 이 명칭들은 뮌히하우젠 남작이 허풍으로 주변의 관심을 끈 데서 유래했다.뮌히하우젠의 딜레마는 사물의 확실한 근거를 얻을 수 없는 것은 아닌가 하는 철학적 문제 제기이다. 뮌히하우젠 남작이 자신의 머리카락을 잡아당겨 늪에서 탈출한 에피소드에서 유래했다.
위의 에피소드는 판본에 따라 머리카락이 아닌 부츠 끈을 잡아당긴 것으로 되어 있다. 컴퓨터나 전자 분야에서 사용되는 부트스트랩이라는 기술 및 기능의 명칭은 이 에피소드에서 유래되었다고 하지만, 자세한 내용은 명확하지 않다.
이 외에도 뮌히하우젠 남작의 이름에서 유래한 명칭은 다음과 같다.
| 명칭 | 설명 |
|---|---|
| 뮌히하우젠 수 | 수학 용어 (Daan van Berkel). |
| 소행성 14014 뮌히하우젠 | 소행성의 이름. |
| Aarne–Thompson–Uther 분류 시스템 ATU1889 | "뮌히하우젠 이야기"를 지칭. |
참조
[1]
백과사전
Munchausen, Baron
http://www.lexico.co[...]
Oxford University Press
[2]
문서
Münchhausen family
[3]
문서
Gerlach Adolph von Münchhausen
[4]
서적
Münchhausen und Münchhausiaden, Werden und Schicksale einer deutsch-englischen Burleske
Francke Verlag
1969
[5]
서적
Münchhausen und Münchhausiaden, Werden und Schicksale einer deutsch-englischen Burleske
Francke Verlag
1969
[6]
LP 레코드
Baron Munchausen: Eighteen Truly Tall Tales by Raspe and Others
Caedmon Records
1972
[7]
카세트 테이프
Baron Munchausen: Eighteen Truly Tall Tales by Raspe and Others
Collins-Caedmon
1972
[8]
웹사이트
Cartoon on Animator.ru
http://www.animator.[...]
[9]
Youtube
Cartoon on youtube
https://www.youtube.[...]
[10]
Youtube
Cartoon on youtube with english subs
https://www.youtube.[...]
[11]
웹사이트
Munchausen's Museum – Minhauzena Pasaule
https://web.archive.[...]
2019-11-12
[12]
문서
독일어における本来のつづりは„Münc'''hh'''ausen“だが、英語ではしばしば h を一文字省略し“Munc'''h'''ausen”と表記され、{{ipa|ˈmʌntʃaʊzən}}(マンチャウゼン)と発音される。また、「マンチョーゼン」とカタカナ表記されることもある。
[13]
문서
日本語訳は、前半のみが『世界SF全集 第4巻』早川書房(1971)に収録。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