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위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히위족은 구약성경에 등장하는 가나안의 거주민 중 하나로, 레바논 산지에 거주했으며, 여호수아기에서는 이스라엘 민족에게 멸절되어야 할 대상 중 하나로 언급된다. 어원에 대한 다양한 추측이 존재하지만, 확실하게 밝혀진 바는 없다. 성경 기록에 따르면, 히위족은 이스라엘 민족과의 관계 속에서 때로는 노역에 부려지고, 결국에는 동화된 것으로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히브리어 성경의 민족 - 아모리인
아모리인은 기원전 3천 년기 후반부터 2천 년기 중반까지 메소포타미아와 시리아에서 활동한 셈족 계통의 민족으로, '마르투'로도 불리며 메소포타미아로 이주하여 왕국을 건설하고 함무라비 왕을 배출하기도 했으며, 이들의 언어는 북서셈어족에 속한다. - 히브리어 성경의 민족 - 에돔
에돔은 구약성경에 등장하는 에서의 후손이 세운 고대 왕국이자 민족으로, 붉은 땅을 특징으로 하는 사해 남단에서 아카바만까지의 산악 지대에 위치했으며, 이스라엘과의 전쟁, 유다 왕국의 속국, 바빌로니아 제국에 의한 쇠퇴, 나바테아인에게 밀려 이두매 사람이 된 후 유대 사회에 통합되어 로마 시대 이후 역사 속에서 사라졌고, 구리 채굴 산업을 기반으로 국가신 카우스를 섬겼다.
히위족 | |
---|---|
일반 정보 | |
로마자 표기 | Ḥiwwim |
음역 | Ḥiwwim (히윔) |
관련 민족 | 가나안인 |
종교 | 다신교 |
성경 속 위치 | |
거주 지역 | 레바논산맥과 헤르몬산 기슭 |
역사적 맥락 | |
기원 | 가나안의 후손 |
성경적 언급 | |
관련 사건 | 기브온 거주민과의 계약; 야곱의 아들들에 의한 세겜 학살 |
추가 정보 | |
특징 | 평화로운 민족으로 묘사됨; 뛰어난 외교술 보유 |
참고 문헌 | |
서적 | Reflection and Refraction: Studies in Biblical Historiography in Honour of A. Graeme Auld |
저자 | 존 데이 |
편집자 | 티모시 헨리 림 W. 브라이언 오커 로버트 레제트코 |
2. 어원
히브리어로 "천막 거주자"라는 의미의 '하와'(חוה)에서 왔다는 주장이 있었으나, 최근에 반박되었다.[9] 루비아어와 페니키아어가 같이 기록된 한 기록물에서 등장하는 '히야와'를 히위족과 동일시하는 시각도 있다.[10] E. C. 호스테터는 이름이 "텐트 거주자"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히브리어 단어 ''hawwah''(חַוָּה|하와he)와 동계어라고 제안했지만, 이 제안은 존 데이에 의해 거부되었다.[1]
히위족은 여호수아기와 판관기에 의하면 레바논 산지에 거주했으며, 특히 바알헤르몬산에서 하맛 어귀에 이르는 레바논 산에 자리잡았다고 기록되어있다.[11] 여호수아기 9장 17절에 등장하는 기브온, 그비라, 브에롯, 키럇여아림을 마소라 본문에서는 히위족의 땅으로, 70인역에서는 호리족의 땅으로 기록하기도 한다.[11]
히위족은 구약성경에서 아브라함의 하나님이 아브라함의 자손에게 약속한 땅인 가나안의 거주민 중 하나로 등장한다.[12] 창세기 36장 2절에는 에사오의 부인 오홀리바마가 나오는데, 마소라 본문과 개역개정판 등은 오홀리바마를 히위족의 손녀라고 번역하지만, 70인역과 창세기 36장 20절의 기록을 따라 공동번역성서에서는 호리족의 손녀로 번역하였다.[11]
3. 위치
여호수아기 11장 3절에서는 미스바 지방 헤르몬 산 밑에 거주한다고 언급되는 민족에 대해서도 사본마다 기록이 갈리는데, 70인역에서는 헷족을, 마소라 본문에서는 히위족으로 기록했고, 주요 한국어 역본에서는 모두 히위족으로 번역하였다.[11]
사무엘하 24장 7절 역시 티레 성 바로 다음에 언급되는 민족을 두고 70인역에서는 헷족으로 기록했으나, 마소라 본문과 주요 한국어 역본에서는 히위족으로 번역했다.[11]
4. 성경에서
여호수아기에서는 여호수아가 이스라엘 민족을 이끌고 가나안을 정벌할 때 쫓아내야 할 일곱 부족 중 하나로 히위족이 언급된다. 이들은 가나안족, 헷족, 히위족, 브리즈족, 기르갓족, 아모리족, 여부스족이다.[13] 여호수아기 9장에서는 히위족이 하나님의 제단 일을 돕게 된 내력을 설명한다.
다윗의 인구조사[14]와 솔로몬 시대의 노역[15]에도 히위족이 언급된다. 히위족은 이후 이스라엘 민족에 동화되어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
4. 1. 르바임과의 관계 (추가)
일부 중세 유대교 주석가들은 히위족이 르바임과 동일하다고 주장했는데, 이는 성경에서 가나안 부족 목록에 두 이름이 함께 나타나지 않는 이유를 설명한다. 하지만 현대 학자들은 이러한 주장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8] 다른 학자들은 르바임이 엄격히 가나안인은 아니었지만, 그들의 땅은 약속의 땅이었으며, 아브라함에게 약속되었다고 주장했다.[8]
참조
[1]
서적
Reflection and Refraction: Studies in Biblical Historiography in Honour of A. Graeme Auld
https://books.google[...]
BRILL
[2]
서적
The World of the Neo-Hittite Kingdoms: A Political and Military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3]
성경
[4]
논문
The Hivites
https://www.jstor.or[...]
[5]
성경
[6]
성경
[7]
성경
[8]
학술지
Nations and Super-Nations of Canaan
https://tobias-lib.u[...]
2018-04
[9]
서적
Reflection and Refraction: Studies in Biblical Historiography in Honour of A. Graeme Auld
https://books.google[...]
BRILL
[10]
서적
The World of the Neo-Hittite Kingdoms: A Political and Military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11]
논문
The Hivites
https://www.jstor.or[...]
[12]
성경
[13]
성경
[14]
성경
[15]
성경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