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여부스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여부스족은 성경에 등장하는 가나안 민족 중 하나로, 예루살렘에 거주했다고 묘사된다. 여부스족의 예루살렘 거주에 대한 기록은 예루살렘이 여부스와 동일한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으며, 일부 학자들은 여부스를 예루살렘과 다른 장소로 여기거나 가짜 민족명으로 간주하기도 한다. 성경에서는 다윗 왕 시대에도 여부스족이 예루살렘을 장악하고 있었지만, 다윗이 도시를 정복한 후 솔로몬에 의해 농노가 되었다고 기록한다. 팔레스타인 정치인들은 팔레스타인 아랍인이 여부스족의 후손이라고 주장하지만, 역사학자들은 현대 팔레스타인인과 여부스족 사이의 유의미한 연관성에 대한 합의가 없다고 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히브리어 성경의 민족 - 아모리인
    아모리인은 기원전 3천 년기 후반부터 2천 년기 중반까지 메소포타미아와 시리아에서 활동한 셈족 계통의 민족으로, '마르투'로도 불리며 메소포타미아로 이주하여 왕국을 건설하고 함무라비 왕을 배출하기도 했으며, 이들의 언어는 북서셈어족에 속한다.
  • 히브리어 성경의 민족 - 에돔
    에돔은 구약성경에 등장하는 에서의 후손이 세운 고대 왕국이자 민족으로, 붉은 땅을 특징으로 하는 사해 남단에서 아카바만까지의 산악 지대에 위치했으며, 이스라엘과의 전쟁, 유다 왕국의 속국, 바빌로니아 제국에 의한 쇠퇴, 나바테아인에게 밀려 이두매 사람이 된 후 유대 사회에 통합되어 로마 시대 이후 역사 속에서 사라졌고, 구리 채굴 산업을 기반으로 국가신 카우스를 섬겼다.
  • 가나안 - 알레포
    알레포는 시리아 북부의 도시로, 고대부터 여러 제국의 지배를 거치며 동서양 무역 중심지로 성장했으나 시리아 내전으로 큰 피해를 입었고, 정부군에 장악됐다가 시리아 반군에 재점령되며 내전의 중요한 전환점을 맞았다.
  • 가나안 - 헤브론
    헤브론은 요르단강 서안 남부 유대 산맥에 위치한 고대 도시로, 아브라함 정착지이자 다윗 왕의 초기 수도였으며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 모두에게 중요한 종교적 유적지가 있는 곳이지만, 현재는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 간의 갈등의 중심지이다.
여부스족
개요
이름여부스인
히브리어יְבוּסִי (Yəḇūsī)
어원히브리어 יְבוּס (Yəḇus, "짓밟힌 곳")
성경적 묘사
위치여호수아기 11:3
여호수아기 12:10
사무엘하 5:6–10
역대기상 11:4
설명성경에 등장하는 부족

2. 명칭과 위치 비정

성경에서는 여부스를 예루살렘으로 비정하지만,[31] 일부 학자들은 이러한 기록이 잘못되었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기원전 1300년대 중반의 기록인 아마르나 문서에서도 예루살렘을 '우루사림'[32] 또는 '살렘의 집'이라는 뜻의 '벳살렘'이라 기록한다는 점을 지적한다.[33] 반면 기원전 2200년대에 '야부수'로 기록된 도시가 여부스를 적은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34]

2. 1. 명칭의 유래

예루살렘이 여부스(Jebus)와 동일하다는 주장은 닐스 페터 렘체를 중심으로 논쟁이 있어왔다.[1] 렘체는 고대 근동에서 발견된 예루살렘에 대한 모든 비성경적 언급이 이 도시를 "예루살렘"으로 지칭한다는 점을 근거로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한다. 이러한 기록의 예시로 아마르나 서한이 있으며, 이 서한 중 일부는 예루살렘의 족장 압디-헤바가 작성했으며, 예루살렘을 () 또는 () (기원전 1330년대)으로 칭하고 있다.[2] 또한 아마르나 서한에서는 베트-샬렘(Beth-Shalem), 즉 샬렘의 집이라고 불리기도 한다.[3]

예루살렘의 수메르-아카드어 이름인 ''uru-salim''[4]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어원 해석이 되며, "신 샬렘의 기반[또는: 샬렘에 의해]"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는 "기초를 세우다, 초석을 놓다"라는 의미의 셈어 ''yry''와, 지는 해와 저승의 가나안 신이자 건강과 완벽함의 신인 샬렘에서 유래된 것이다.[5][6][7][8]

렘체는 다음과 같이 진술한다.

> 구약성경 외에는 여부스와 여부스인에 대한 증거가 없다. 일부 학자들은 여부스를 예루살렘과는 다른 장소로 여기며, 다른 학자들은 여부스라는 이름을 일종의 가짜 민족명으로 간주하는 것을 선호한다.

테오필루스 G. 핀치스는 기원전 2200년경의 계약 점토판에서 여부스의 옛 형태인 "야부수(Yabusu)"에 대한 언급을 발견했다고 언급했다.[9]

2. 2. 위치 비정에 대한 논란

성경에서는 여부스를 예루살렘으로 비정하나,[31] 일부 학자들은 이러한 기록이 잘못되었다고 말한다. 이들은 기원전 1300년대 중반의 기록인 아마르나 문서에서도 예루살렘을 '우루사림'[32] 또는 '살렘의 집'이라는 뜻의 '벳살렘'이라 기록한다는 점을 지적한다.[33] 반면 기원전 2200년대에 '야부수'로 기록된 도시가 여부스를 적은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34]

예루살렘이 여부스(Jebus)와 동일하다는 주장은 닐스 페터 렘체를 중심으로 논쟁이 있어왔다.[1] 렘체는 고대 근동에서 발견된 예루살렘에 대한 모든 비성경적 언급이 이 도시를 "예루살렘"으로 지칭한다는 점을 근거로 제시한다. 아마르나 서한 중 일부는 예루살렘의 족장 압디-헤바가 작성했으며, 예루살렘을 또는 (기원전 1330년대)으로 칭하고 있다.[2] 또한 아마르나 서한에서는 베트-샬렘(Beth-Shalem), 즉 샬렘의 집이라고 불리기도 한다.[3]

예루살렘의 수메르-아카드어 이름인 ''uru-salim''[4]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어원 해석이 되며, "신 샬렘의 기반[또는: 샬렘에 의해]"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는 "기초를 세우다, 초석을 놓다"라는 의미의 셈어 ''yry''와, 지는 해와 저승의 가나안 신이자 건강과 완벽함의 신인 샬렘에서 유래된 것이다.[5][6][7][8]

렘체는 다음과 같이 진술한다.

> 구약성경 외에는 여부스와 여부스인에 대한 증거가 없다. 일부 학자들은 여부스를 예루살렘과는 다른 장소로 여기며, 다른 학자들은 여부스라는 이름을 일종의 가짜 민족명으로 간주하는 것을 선호한다.

테오필루스 G. 핀치스는 기원전 2200년경의 계약 점토판에서 여부스의 옛 형태인 "야부수(Yabusu)"에 대한 언급을 발견했다고 언급했다.[9]

3. 민족 기원과 정체성

여부스족에 대한 고대 기록은 구약성경이 유일하다. 창세기 10장에 따르면, 여부스족은 헷족, 아모리족과 함께 가나안 민족 중 하나로 인식되었다. 과거 성서비평학계에서는 헷족을 여부스족과 같은 대상으로 보기도 했다.[35] 그러나 에두아르 리핀스키가 마리에서 아모리족을 '야부시움'이라 기록한 쐐기문자를 발견한 후, 여부스족은 아모리족과 더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아마르나 문서에 기록된 예루살렘 통치자가 후르리인대지모신 헤파트의 이름을 딴 '압디-헤바'라는 점과 열왕기상 21장과 사무엘하 24장에 기록된 여부스족의 마지막 통치자 아라우나/오르난의 이름이 후르리어 '에위르'에서 왔다는 견해[37]는 여부스족이 후르리인이었거나 후르리 문화권의 민족이었다는 가설을 뒷받침한다.[36]

3. 1. 성경 기록에 나타난 여부스족

히브리 성경은 현존하는 고대 문헌 중 유일하게 "여부스족"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예루살렘 거주민을 묘사한다. 창세기 10장에 따르면, 여부스족은 가나안 민족 중 하나로, 헷족과 아모리족 사이에 세 번째로 언급된다.[35]

성서비평학계에서는 여부스족을 헷족과 동일시하는 견해가 있었으나, 에두아르 리핀스키가 마리에서 발견된 쐐기문자를 통해 아모리족을 '야부시움'이라 기록한 것을 밝혀내면서, 여부스족이 아모리족과 더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지게 되었다.[10]

아마르나 문서에 기록된 예루살렘 통치자 '압디헤바'가 후르리인대지모신 헤파트의 이름을 딴 것이라는 점, 열왕기상 21장과 사무엘하 24장에 기록된 여부스족의 마지막 통치자 아라우나/오르난의 이름이 후르리어 '에위르'에서 왔다는 견해[37] 등을 바탕으로, 여부스족이 후르리인이었거나 후르리 문화권의 민족이었다는 가설도 제기된다.[36]

민수기 13장 29절과 여호수아 11장 3절에서는 여부스족이 예루살렘 근처 산에 거주했다고 묘사한다. 출애굽기 3장 18절의 불타는 떨기나무 이야기에서는 모세에게 약속된 "젖과 꿀이 흐르는 아름다운 땅"에 여부스족의 땅이 포함되어 있었다.[16]

여호수아 10장에 따르면, 아도니세덱은 여부스족과 야르뭇, 라기스, 에글론, 헤브론의 이웃 도시 부족들의 연합을 이끌고 여호수아에 맞섰지만 패배하여 죽임을 당했다. 그러나 여호수아 15장 63절은 유다인들이 예루살렘에 살고 있는 여부스족을 몰아낼 수 없었으며, "오늘날까지 여부스족은 유다 백성과 함께 거기에 살고 있다"라고 언급한다. 사사기 1장 21절은 여부스족이 예루살렘에 계속 거주하며, 베냐민 지파가 차지한 영토 내에 살고 있는 것으로 묘사한다.

사무엘기에 따르면, 다윗 왕 시대에도 여부스족은 여전히 예루살렘을 장악하고 있었고, 다윗이 도시를 정복하려 하자 "맹인과 절름발이도 다윗의 포위를 견딜 수 있다"라고 조롱하며 저항했다.[20] 마소라 본문에 따르면, 다윗은 요압의 지휘 아래 수로 터널을 통해 기습 공격을 감행하여 도시를 정복했다.[17] 역대기상 11장 5절은 신속한 공격의 이점을 언급하지만 수로 사용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는다. 칠십인역 본문은 이스라엘인들이 "칼"이 아닌 "수로를 통해" 여부스족을 공격해야 했다고 말한다. 열왕기는 예루살렘이 이스라엘 도시가 된 후, 살아남은 여부스족이 솔로몬에게 강요받아 농노가 되었다고 기록한다.[18]

사무엘기에 따르면, 아라우나(역대기에서는 ''오르난'')라는 여부스족은 자신의 타작마당을 다윗 왕에게 팔았고, 다윗은 그곳에 제단을 세웠다. 이는 그 제단이 솔로몬 성전의 핵심이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부 학자들은 아라우나가 예루살렘의 또 다른 왕이었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20]

성경의 다른 곳에서는[23] 여부스족이 이스라엘인과 동일한 하나님(엘 엘리온)을 숭배하는 것처럼 묘사된다. 또한, 이스라엘 이전 예루살렘에 거주했던 다른 여부스족들이 원리 또는 신 쩨데크(Tzedek)를 소환하는 이름을 가졌다는 사실도 이러한 이론을 뒷받침한다.[24]

3. 2. 후르리인과의 연관성

아마르나 문서에 따르면 당시 예루살렘 왕의 이름은 후르리인대지모신 헤파트(Ḫepat)를 기리는 신명인 '압디-헤바'였다.[36] 이는 여부스족이 후르리인이었거나, 후르리 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았거나, 마리안누 (전사 계급 엘리트)의 지배를 받았음을 시사한다.[12] 열왕기상 21장과 사무엘하 24장에 기록된 여부스족의 마지막 통치자 아라우나의 이름 역시 후르리어 '에위르'에서 왔다는 견해도 있다.[37]

4. 성경 속 여부스족

히브리 성경에서 여부스족은 민수기 13:29와 여호수아 11:3에 등장하며, 예루살렘 근처 산지에 거주했던 것으로 묘사된다.

"여부스 족속 가설"에 따르면,[21] 여부스 족속은 예루살렘에 계속 남아 유다 왕국에서 사독 제사장, 나단 예언자, 솔로몬의 어머니이자 왕비인 밧세바와 같은 중요한 인물들을 배출했다. 이 가설에 따르면, 다윗 왕위 계승 경쟁에서 라이벌 엘리드파 제사장들이 불명예를 얻은 후,[22] 사독 가문이 유일한 공식 예루살렘 성직자가 되었고, 여부스 족속 가문은 수 세기 동안 예루살렘 성직을 독점하며 다른 유대인들과 구별하기 어려워졌다.

성경의 다른 부분에서는,[23] 여부스 족속이 이스라엘인과 동일한 하나님(엘 엘리온)을 숭배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이 이론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이스라엘 이전 예루살렘에 거주했던 다른 여부스 족속들이 원리 또는 신 제덱(Tzedek) (예: 멜기세덱과 아도니세덱)을 언급하는 이름을 가졌다는 사실이 제시된다. 이 이론에 따르면 아론 계보는 사독에게 할당된 후대의 시대착오적인 삽입이다.[24] 여부스 족속은 바나바 행전에서 그의 순교에 동반자로 언급된다.[25]

이 "여부스 족속"이 궁극적으로 어떻게 되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4. 1. 다윗 이전 시대

히브리 성경은 여부스족이 예루살렘 근처 산에 거주했다고 묘사한다. 출애굽기 3:18의 불타는 떨기나무 이야기에서, 압제받는 히브리인의 미래 거주지로 모세에게 약속된 "젖과 꿀이 흐르는 아름다운 땅"은 여부스 족속의 땅을 포함했다.[16] 여호수아 10장에 따르면, 아도니세덱은 여부스 족속과 야르뭇, 라기스, 에글론, 헤브론의 이웃 도시 출신 부족들의 연합을 이끌고 여호수아에 맞섰지만, 맹렬하게 패배하여 죽임을 당했다. 그러나 여호수아 15:63은 유다인들이 예루살렘에 살고 있는 여부스 족속을 몰아낼 수 없었다고 언급한다("오늘날까지 여부스 족속은 유다 백성과 함께 거기에 살고 있다"). 사사기는 여부스 족속이 예루살렘에 계속 거주하고, 다른 곳에서는 베냐민 지파가 차지하고 있는 영토 내에 살고 있는 것으로 묘사한다.

4. 2. 다윗과 솔로몬 시대

히브리 성경에 따르면, 다윗 왕 시대에도 여부스 족속은 여전히 예루살렘을 장악하고 있었다. 다윗은 예루살렘을 점령하고자 했고, 여부스 족속은 이에 저항했다. 여부스 족속은 가나안에서 가장 강력한 요새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맹인과 절름발이"도 다윗의 포위를 견딜 수 있다고 조롱했다.[20]

마소라 본문에 따르면, 다윗은 요압의 지휘 아래 수로 터널(예루살렘은 기혼 샘 외에는 자연적인 수원지가 없음)을 통해 기습 공격을 감행하여 도시를 정복하는 데 성공했다. 19세기에 발견된 워렌의 샤프트는 샘과 도시를 연결하는 시스템의 일부로, 이러한 공격 경로의 타당성에 대한 증거로 인용되었다. 그러나 역대기상 11:5의 기록은 신속한 공격의 이점을 언급하지만 수로 사용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으며, 많은 문헌 학자들은 마소라 본문의 주장이 필사자의 오류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 칠십인역 본문은 이스라엘인들이 "칼"이 아닌 "수로를 통해" 여부스 족속을 공격해야 했다고 말한다. 역대기상 1권은 여부스의 주민들이 다윗이 왕이 된 직후 그가 예루살렘에 오는 것을 금지했으며, 요압이 먼저 올라가 도시를 점령하고 다윗 군대의 지휘관이 되었다고 밝힌다.[17]

열왕기서는 예루살렘이 이스라엘 도시가 된 후, 살아남은 여부스 족속은 솔로몬에게 강요받아 농노가 되었다고 기록한다.[18]

사무엘기에 따르면, 또 다른 여부스 족속인 아라우나(역대기서에서는 ''오르난''으로 언급됨)는 자신의 타작마당을 다윗 왕에게 팔았고, 다윗은 그곳에 제단을 세웠다. 이 제단은 솔로몬 성전의 핵심이 되었다. ''아라우나''는 히타이트어로 ''주님''을 의미하며, 대부분의 학자들은 아라우나가 예루살렘의 또 다른 왕이었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일부 학자들은 아도니야가 사실은 아라우나에 대한 언급이 변형된 것이라고 믿는다.[19] 이 이야기는 일부 학자들에 의해 기원론적이며 의심스러운 역사성을 가지고 있다고 여겨진다.[20]

5. 랍비 문헌 속 여부스족

고전적인 랍비 문학에 따르면, 여부스족은 그들이 거주했던 고대 예루살렘의 도시 여부스에서 그들의 이름을 따왔다.[10] 랍비 자료는 아브라함이 여부스족의 영토에 있던 족장들의 굴(마흐펠라 동굴)을 구매하는 대가로 여부스족이 아브라함에게 그의 후손들이 여부스족의 의지에 반하여 여부스를 장악하지 않겠다는 계약을 맺도록 했으며, 여부스족은 그 계약을 청동에 새겼다고 주장한다.[10] 이 자료들은 청동 조각상의 존재 때문에 이스라엘 백성이 여호수아의 원정 중에 그 도시를 정복할 수 없었다고 말한다.[10]

고대 시대의 랍비들은 다윗 왕도 같은 이유로 여부스 도시에 들어가는 것이 금지되었다고 말하며, 그는 청동 조각상을 파괴하는 사람에게 지휘관의 보상을 약속했고, 요압이 그 임무를 수행하여 그 상을 얻었다.[10] 랍비들은 그 계약이 여부스족이 여호수아와 싸운 전쟁으로 인해 무효가 되었다고 일축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윗은 (랍비에 따르면) 여부스족에게 그 도시의 전체 가치를 지불하고, 모든 이스라엘 지파에서 돈을 모아 그 도시가 그들의 공동 재산이 되었다.[10]

사무엘하 5:6절에서 맹인과 절름발이에 대한 말과 관련하여, 라시는 여부스족이 그들의 도시에 두 개의 조각상을 가지고 있었고, 그들의 입에는 아브라함과 여부스족 사이의 계약의 말이 담겨 있었다고 주장하는 미드라쉬를 인용한다. 한 인물은 맹인을 묘사했는데, 이는 이삭을 대표하고, 다른 하나는 절름발이를 묘사했는데, 이는 야곱을 대표했다.[10]

6. 현대적 관점과 논쟁

야세르 아라파트[26]와 파이살 후세이니[27]를 비롯한 정치인들은 팔레스타인 아랍인이 여부스족의 후손이라고 주장하며, 팔레스타인인이 유대인보다 먼저 예루살렘에 대한 역사적 권리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조지 워싱턴 대학교 인류학과 교수이자 하이파 대학교 부교수인 에릭 H. 클라인 교수는 현대 팔레스타인인들이 여부스족보다 사우디 아라비아, 예멘, 요르단 및 기타 국가의 아랍인과 더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그들과 유의미한 연관성을 갖지 않는다는 점에 대해 역사학자와 고고학자들 사이에서 일반적인 합의가 존재한다고 주장한다.[28] 존스 홉킨스 대학교윌리엄 F. 올브라이트 교수는 "변치 않는 동양이라는 신화"의 "놀라운 끈기"에 의문을 제기하고, "현대 농부와 유목민의 민간 신앙과 관습"과 "아랍 이전 시대" 사이의 연속성을 주장하는 것을 거부했다.[29]

6. 1. 여부스족 후손 주장

야세르 아라파트[26]와 파이살 후세이니[27]를 비롯한 정치인들은 팔레스타인 아랍인이 여부스족의 후손이라고 주장하며, 팔레스타인인이 유대인보다 먼저 예루살렘에 대한 역사적 권리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조지 워싱턴 대학교 인류학과 교수이자 하이파 대학교 부교수인 에릭 H. 클라인 교수는 현대 팔레스타인인들이 여부스족보다 "사우디 아라비아, 예멘, 요르단 및 기타 국가의 아랍인과 더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그들과 유의미한 연관성을 갖지 않는다는 점에 대해 역사학자와 고고학자들 사이에서 일반적인 합의가 존재한다고 주장한다.[28] 존스 홉킨스 대학교윌리엄 F. 올브라이트 교수는 "변치 않는 동양이라는 신화"의 "놀라운 끈기"에 의문을 제기하고, "현대 농부와 유목민의 민간 신앙과 관습"과 "아랍 이전 시대" 사이의 연속성을 주장하는 것을 거부했다.[29]

6. 2. 역사적 실체 논쟁

야세르 아라파트[26]와 파이살 후세이니[27]를 비롯한 정치인들은 팔레스타인 아랍인이 여부스족의 후손이며, 팔레스타인인이 유대인보다 먼저 예루살렘에 대한 역사적 권리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조지 워싱턴 대학교 인류학과 교수이자 하이파 대학교 부교수인 에릭 H. 클라인 교수는 현대 팔레스타인인들이 여부스족보다는 사우디 아라비아, 예멘, 요르단 및 기타 국가의 아랍인과 더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여부스족과 유의미한 연관성을 갖지 않는다는 점에 대해 역사학자와 고고학자들 사이에서 일반적인 합의가 존재한다고 주장한다.[28] 존스 홉킨스 대학교윌리엄 F. 올브라이트 교수는 "변치 않는 동양이라는 신화"의 "놀라운 끈기"에 의문을 제기하고, "현대 농부와 유목민의 민간 신앙과 관습"과 "아랍 이전 시대" 사이의 연속성을 주장하는 것을 거부했다.[29]

참조

[1] 웹사이트 http://www.mechon-ma[...] 2016-03-04
[2] 웹사이트 The El Amarna Letters from Canaan http://www.tau.ac.il[...] Tau.ac.il 2010-09-11
[3] 문서 Holman Bible Dictionary
[4] 서적 The Book of Genesis, Chapters 1-17 https://books.google[...] 1990
[5] 서적 Historical Atlas of Jerusalem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2002
[6] 서적 Jerusalem, the Holy City https://archive.org/[...] Twenty-Third Publications 2011-12-17
[7] 웹사이트 SHALEM (DEITY) – the Anchor Bible Dictionary http://www.biblicalw[...] 2014-02-11
[8] 웹사이트 http://www.studyligh[...] 2014-02-23
[9] 서적 The Old Testament: In the Light of the Historical Records and Legends of Assyria and Babylonia http://www.gutenberg[...] SPCK 1908
[10] 백과사전 Jebusites https://www.jewishen[...]
[11] 간행물 Who Were the Jebusites? Biblical Archaeology Review 2006-03
[12] 서적 Tabularia Hethaeorum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2007
[13] 서적 The Nathan Narratives https://books.google[...] A&C Black 1990-01-01
[14] 간행물 Getting Personal: What Names in the Bible Teach Us Bible Review 1997-12
[15] 웹사이트 The Israelite Conquest of Jerusalem in the Bible: When and Who? https://www.thetorah[...] 2016-06-01
[16] 성경 Exodus 3:8
[17] 성경 1 Chronicles 11:3–8
[18] 성경 1 Kings 9:20-21
[19] 웹사이트 http://www.hebrew4ch[...] 2015-01-06
[20] 문서 Peake's Commentary on the Bible
[21] 문서
[22] 성경 1 Kings i. 7, 19, 25; ii. 22, 26.
[23] 성경 Genesis 14:18–19
[24] 문서 Julius Wellhausen
[25] 웹사이트 The Acts of Barnabas http://www.gnosis.or[...] 2023-09-17
[26] 뉴스 Jerusalem Strife Echoes Ancient History http://news.national[...] National Geographic News 2004-10-29
[27] 뉴스 Israel's Y2K Problem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99-10-03
[28] 서적 Jerusalem Besieged: From Ancient Canaan to Modern Israel Univ. of Mich. Press 2004
[29] 서적 History, Archeology, and Christian Humanism McGraw-Hill 1964
[30] 성경 수 11:3, 12:10
[31] 성경 수 15:8, 18:28, 삿 19:10
[32] 웹인용 "The El Amarna Letters from Canaan" http://www.tau.ac.il[...] Tau.ac.il 2010-09-11
[33] 문서 Holman Bible Dictionary
[34] 서적 The Old Testament: In the Light of the Historical Records and Legends of Assyria and Babylonia http://www.gutenberg[...] SPCK 1908
[35] 백과사전 Jewish Encyclopedia
[36] 서적 Tabularia Hethaeorum https://books.google[...] 2007
[37] 간행물 Communication from Jonathan D. Safren http://lists.ibiblio[...] Dept. of Biblical Studies, Beit Berl College, Israel 2000-08-01
[37] 서적 Nathan Narratives (JSOT Supplement) https://books.google[...] 199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