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 1/16 + 1/64 + 1/256 + ⋯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4 + 1/16 + 1/64 + 1/256 + ⋯는 1/4, 1/16, 1/64, 1/256, ... 와 같이 공비가 1/4인 무한 등비급수이다. 이 급수는 정사각형이나 정삼각형을 시각적으로 분할하여 그 합을 1/3으로 증명할 수 있다. 아르키메데스는 소진법을 사용하여 이 급수를 다루었으며, 명제 23을 통해 그 합이 4/3임을 보였다. 또한, 극한을 이용하여 부분합의 극한을 계산하여 그 합이 1/3임을 증명할 수 있다. 이 개념은 대한민국의 고등학교 수학 교육 과정에서 무한 등비급수와 극한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예시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4 + 1/16 + 1/64 + 1/256 + ⋯ | |
---|---|
수열 정보 | |
종류 | 무한 급수 |
수식 | + + + + ⋯ |
출처 | Shawyer & Watson 1994, p. 3 |
2. 시각적 증명
급수 1/4 + 1/16 + 1/64 + 1/256 + ⋯는 정사각형과 삼각형 같은 기하학적 도형을 사용하여 시각적으로 증명할 수 있다. 이 급수는 특히 정사각형과 삼각형 모두 원래 넓이의 1/4에 해당하는 네 개의 닮음 조각으로 나눌 수 있기 때문에 시각적 증명에 적합하다.
큰 정사각형이나 큰 삼각형의 넓이가 1이라고 가정하면, 가장 큰 검은색 정사각형이나 삼각형의 넓이는 1/4이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작은 도형들을 계속해서 나누어 나가면, 모든 검은색 도형들의 넓이의 합은 1/4 + 1/16 + 1/64 + 1/256 + ⋯ 이 된다.
이 급수의 합을 3배하면 1이 된다. 즉, 3(1/4 + 1/16 + 1/64 + 1/256 + ⋯) = 1 이다.
2. 1. 정사각형을 이용한 증명
급수 1/4 + 1/16 + 1/64 + 1/256 + ⋯영어는 정사각형이나 삼각형을 원래 도형과 닮음인 4개의 부분으로 나누어 각 부분의 면적이 원래의 이 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단순한 시각적 증명을 할 수 있다.왼쪽 그림에서[5][6] 큰 정사각형의 면적이 1이라고 하면, 가장 큰 검은 정사각형의 면적은 ()2 = 이다. 마찬가지로, 두 번째로 큰 검은 정사각형의 면적은 이고, 세 번째로 큰 검은 정사각형의 면적은 이다. 따라서 모든 검은 정사각형을 더한 면적은 + + + ⋯이며, 이는 또한 회색 정사각형과 흰색 정사각형을 더한 면적이기도 하다. 이 세 영역은 단위 정사각형을 덮고 있으므로, 그림에서 다음을 알 수 있다.
:
2. 2. 삼각형을 이용한 증명
삼각형을 이용한 증명은 다음과 같다.[4][8][9] 큰 삼각형의 넓이를 1이라고 하면, 가장 큰 검은색 삼각형의 넓이는 이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작은 삼각형들을 계속해서 나누어 나간다. 이 그림은 전체적으로 큰 삼각형과 그 상단의 삼각형 사이에서 자기 유사성을 보인다. 각 부분의 세 곳 모두에 대해 마찬가지로 구성하면,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이 된다.[10]3. 아르키메데스의 증명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아르키메데스는 포물선의 구적법을 연구하면서 이 급수를 발견했다.[1] 그는 소진법을 사용하여 포물선 내부의 면적을 구하고 일련의 삼각형을 얻었다. 각 단계의 구성은 이전 단계 면적의 배의 면적을 추가했다. 아르키메데스가 원했던 결과는 총 면적이 첫 번째 단계 면적의 배가 된다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그는 대수적 보조 정리를 소개했다.
3. 1. 포물선의 구적법
아르키메데스는 자신의 저서 ''포물선의 구적법''에서 소진법을 사용하여 포물선과 직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의 넓이를 구했다. 그는 포물선 내부에 여러 개의 삼각형을 내접시켰는데, 각 삼각형의 넓이는 이전 삼각형 넓이의 1/4이 되도록 하였다.[11]
아르키메데스는 이 삼각형들의 넓이의 합이 포물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의 넓이의 4/3배가 된다는 것을 증명했다.[12] 이는 무한 등비급수의 합을 구한 초기 사례 중 하나이며, 현대의 극한 개념과 유사한 방식을 사용하였다.
아르키메데스는 이 결과를 얻기 위해 다음과 같은 보조 정리를 제시했다.
'''명제 23''': 면적 A, B, C, D, ..., Z가 주어져 있고, A가 가장 크고, 각 면적이 다음 것의 4배와 같다면,
:
가 된다.
3. 2. 명제 23
아르키메데스는 그의 저서 ''포물선의 구적법''에서 다음과 같은 명제를 제시했다.[11]'''명제 23.''' 면적 ''A'', ''B'', ''C'', ''D'', ... , ''Z''영어의 급수가 주어졌고, 여기서 ''A''영어가 가장 크고 각각 다음 것의 4배와 같으면,
아르키메데스는 이 명제를 증명하기 위해 먼저 다음 식을 계산했다.
그리고 다음 식을 위 식에서 빼면,
를 얻고, 양변에 ''A''영어를 더하면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12]
오늘날, 아르키메데스의 명제는 급수의 부분합이 다음과 같다는 더 표준적인 표현으로 나타난다.
이 식은 양변에 를 곱하고 방정식의 좌변에 있는 항 중 처음과 마지막을 제외한 모든 항이 쌍으로 소거됨을 관찰하여 증명할 수 있다. 동일한 전략은 모든 유한 기하 급수에 적용된다.
4. 극한을 이용한 증명
무한 등비급수의 합은 부분합의 극한으로 정의된다. 1/4 + 1/16 + 1/64 + 1/256 + ⋯의 합은 부분합의 극한으로 구한다.
n번째 항까지의 부분합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이 수열은 으로 수렴한다. n이 무한대로 갈 때, (1/4)n은 0으로 수렴하므로, Sn의 극한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3]
:
4. 1. 부분합 공식
다른 급수와 마찬가지로, 1/4 + 1/16 + 1/64 + 1/256 + ⋯의 무한합은 최초 n항까지의 합으로 표현된다.:
이 수열은 으로 수렴한다. 아르키메데스는 이중 귀류법을 통해 포물선 내부 영역에 이 결과를 적용했다.[13] 현대 미적분학에서는 이 극한을 다음과 같이 쉽게 구할 수 있다.
:
4. 2. 극한 계산
n이 무한대로 갈 때, (1/4)n은 0으로 수렴한다. 따라서, Sn의 극한은 다음과 같다.[3]:
무한 급수의 합은 부분합의 극한으로 정의되므로,[13]
:
따라서, 무한 등비급수 1/4 + 1/16 + 1/64 + 1/256 + ⋯의 합은 1/3이다.
5. 추가적인 관점: 한국의 교육 과정
1/4 + 1/16 + 1/64 + 1/256 + ... 와 같은 무한 등비급수는 대한민국의 고등학교 수학 교육 과정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다루어진다. 학생들은 등비수열의 일반항과 부분합 공식을 배우고, 이를 이용하여 무한 등비급수의 수렴과 발산을 판정하는 방법을 배운다. 특히, 이 급수는 극한 개념을 시각적으로 이해하고, 무한의 개념을 탐구하는 좋은 예시로 활용될 수 있다.
참조
[1]
인용
[2]
인용
[3]
인용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인용
[12]
인용
[13]
인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