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340년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340년대는 중세 온난기가 끝나고 소빙하기가 시작되면서 유럽 경제가 쇠퇴하고 100년 전쟁, 브르타뉴 계승 전쟁 등 끊임없는 전쟁이 이어진 시기였다. 흑사병이 유럽을 강타하여 인구 감소와 사회 경제적 위기를 초래했으며, 화포의 사용이 증가했다. 아시아에서는 킵차크 한국의 권력 교체, 차가타이 한국의 분열, 원나라의 쇠퇴, 바흐마니 왕국의 건국 등이 있었고, 아프리카에서는 에티오피아의 황금기, 말리 제국의 술레이만 통치 등이 이루어졌다. 아메리카에서는 미시시피 문화의 쇠퇴가 시작되었고, 아즈텍의 전신인 멕시카가 테노치티틀란을 건설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340년대
14세기 4번째 10년
주요 사건흑사병의 확산
백년 전쟁의 시작
주요 인물에두아르 3세
필리프 6세
조반니 보카치오

2. 유럽

2. 1. 정치적 변동과 전쟁

1340년대는 중세 온난기가 끝나고 소빙하기가 시작되면서 유럽 경제가 점진적으로 쇠퇴한 시기였다.[24] 이 시기 유럽은 거의 끊임없는 전쟁의 시대로 접어들었다.[24] 1342년부터 1365년까지 브르타뉴 계승 전쟁이 벌어졌고,[27] 프랑스잉글랜드 사이의 100년 전쟁 (1337년–1453년)이 계속되었다.[24]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3세는 1340년 슬뤼스 해전에서 프랑스 함대를 궤멸시켜 영국 해협의 장악력을 확보했다.[28] 이후 에드워드 3세는 약탈을 통해 전쟁 자금을 마련하는 전략을 채택하여 1342년 브르타뉴를 성공적으로 점령했다.[28] 1346년에는 을 약탈하고 크레시 전투에서 대승을 거두었으며, 1347년에는 칼레를 점령했다.[28] 이러한 영국의 승리는 고중세 프랑스의 패권에 결정적인 종지부를 찍었다.[28]

신성 로마 제국에서는 루트비히 4세가 아비뇽 교황청과 갈등을 겪었고, 클레멘스 6세는 독일 제후들에게 카를 4세를 왕으로 선출하도록 영향을 미쳤다.[30] 1347년 루트비히 4세가 사망한 후, 카를 4세는 독일 왕으로 인정받았다.[30]

1343년에서 1346년의 반란 이후 덴마크 에스토니아는 테우토 기사단에 매각되었다.


테우토 기사단은 1340년 포메사니아에 독일 법전을 작성하여 자유민과 농노를 구분하고, 구 프로이센 농민 개종자들을 차별했다.[31][32] 덴마크는 1340년 발데마르 4세에 의해 복원되었으나, 에스토니아에서는 1343년 성 조지의 밤 봉기가 발생하여 1346년 테우토 기사단에게 매각되었다.[33][34][35]

베체 또는 인민회의의 모습. 프스코프 공화국은 1348년 볼로토보 조약에 의해 공식적으로 독립했다.


스웨덴의 브리짓다는 마그누스 4세에게 러시아 정교회 노브고로드에 대한 십자군 원정을 조언했고, 1348년 원정이 시작되었으나 1349년 오레호프가 함락되면서 실패했다.[36][37][38][42] 프스코프 공화국은 1348년 노브고로드로부터 독립했다.[41]

비잔티움 제국에서는 1341년-1347년 비잔티움 내전이 발발했다. 트라페주스 제국에서는 1342년 요한 3세 콤네누스가 황제가 되었고,[43] 같은 해 아르메니아에서는 고스다르틴 2세가 왕위에 올랐다.[44] 안티오키아 총대주교청은 다마스쿠스로 이전되었다.[45] 세르비아는 확장을 계속했고, 1342년 헝가리에서는 루이 1세가 국왕이 되었다.[46] 로마에서는 1347년 콜라 디 리엔초가 호민관을 칭하며 로마 공화국 부흥을 시도했으나 1354년 귀족들에게 제거되었다.[47]

이베리아 반도에서는 알폰소 11세가 카스티야와 레온을 통치하며 레콩키스타를 추진, 1340년 살라도 강 전투에서 승리하고 알헤시라스를 공격했다.[48] 아라곤은 1343년 발레아레스 제도를 획득하고 1344년 마요르카를 병합했다.[50] 나바라는 호아나 2세와 필리포 3세를 거쳐 샤를 2세가 통치했고, 포르투갈은 아폰수 4세가 통치했다.

이탈리아 반도에서는 1341년 살루초가 약탈당했고, 1342년 루이가 시칠리아 왕이 되었다. 1343년에는 지진과 쓰나미로 아말피가 황폐화되었다.[51]

1340년대에는 유럽에서 화포 사용이 증가하기 시작했다. 잉글랜드 왕국은 1345년에서 1346년 사이 "리바우드퀸"을 처음 언급했으며,[92] 크레시 전투에서 그 파괴력이 기록되었다. 화약 무기 기술은 1342년 스페인, 1346년 독일 아헨으로 전파되었다.[93][94]

2. 2. 사회 경제적 위기

1340년대에는 지속적인 전쟁, 경제 정책 실패, 그리고 흑사병의 유행으로 인해 유럽 전역에 사회 경제적 위기가 닥쳤다.[2][24][52]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3세는 전쟁 자금 조달을 위해 소규모 상인들에게 양모 수출 독점권을 부여하고 관세를 징수하게 했으나, 이는 곧 상인들의 파산으로 이어졌다.[52] 또한, 에드워드 3세가 발행한 새로운 금화는 가치 불일치로 인해 회수되어 대부분 녹여졌다. 프랑스에서는 왕실의 과도한 지출로 인해 소금 독점이 시행되었고, 푸아주(Fouage)와 같은 세금이 부과되었다.[53][54][55]

이탈리아 도시 국가들은 1340년대 초 호황을 누렸으나, 잉글랜드의 채무 불이행과 더불어 피렌체 은행들에 대한 신뢰 위기가 발생했다.[1] 1341년에서 1346년 사이에 피렌체의 주요 은행들이 연쇄적으로 파산했다.[1][57] 상인 계층의 우세와 길드의 제한적인 정책으로 인해 실업자와 비숙련 노동자들 사이에 긴장이 고조되었고, 이는 겐트, 피렌체 등에서 파업으로 이어졌다.[58][59] 1340년 프로방스와 1348년 리옹 지역의 식량 공급 실패는 민중들에게 큰 고통을 안겨주었다.[61]

[[File:Bubonic plague-en.svg|thumb|left|1340년대 페스트의 확산:

]]

1347년부터 흑사병이 유럽을 강타하여 1350년까지 인구의 3분의 1이 감소하는 결과를 초래했다.[2][24] 이는 6세기 이후 최대 규모의 전염병으로, 쥐벼룩이 매개하는 패스트와 패혈증 패스트, 그리고 공기를 통해 전파되는 폐렴 패스트 등 세 가지 질병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62] 중앙아시아에서 시작된 흑사병은 1346년 여름 크림 반도의 카파에서 처음 보고되었고,[62] 1347년 10월 시칠리아의 메시나를 거쳐 1348년 1월에는 제노바에 상륙했다.[62][65] 이후 프랑스를 거쳐 북쪽으로 확산되었으며, 1348년 여름에는 영국에 도착하여 1349년 여름에 정점에 달했다.[66][67]

기욤 드 낭지에 따르면, 희생자들은 겨드랑이와 사타구니에 종기가 생겨 이틀에서 사흘 만에 사망했으며, 파리에서는 매일 500구가 넘는 시체가 운반될 정도로 사망률이 높았다.[66] 도시의 과밀화, 열악한 위생 상태, 활발한 곡물 무역 등이 흑사병의 빠른 확산에 영향을 미쳤다.[65][66] 성직자들은 흑사병 희생자들과 직접 접촉하면서 가장 큰 피해를 입었는데, 요크와 링컨 교구에서는 약 44%, 엑서터, 윈체스터, 노리치, 엘리 교구에서는 거의 50%의 성직자가 사망했다.[70]

흑사병은 경제 위기를 심화시키고 사회적 긴장을 고조시켰다.[71] 마을은 버려지고, 가축은 방치되었으며, 토지 가치는 폭락했다.[72] 그러나 일각에서는 인구 감소로 인해 1인당 화폐 공급이 회복되어 경제 회복의 기반을 마련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73] 임금이 상승하고 농민들은 더 개방적인 사회의 혜택을 받게 되었다.[72]

2. 3. 문화, 종교, 철학

1345년에 완공된 파리 노트르담 대성당 서쪽 정면


1340년대에는 유럽에서 파리 노트르담 대성당(1345년 완공)[76]과 빌뉴스 성모 대성당(1346년경 완공)을 비롯한 여러 건축 프로젝트가 완료되었다. 헤르토헨보스에서는 1220년에 시작된 로마네스크 양식 교회 건설이 완료되었고, 이후 16세기에 성 요한 대성당으로 재건축되었다. 독일 마인츠에서는 1267년에 시작된 성 스테판 수도원 교회 공사가 완료되었다. 나폴리 왕국 나폴리에서는 수도원인 산타 키아라 건설이 30년 만에 완료되었다.[74] 빈 성 스테판 대성당의 고딕 양식 합창단은 1340년에 봉헌되었고, 성 룸볼드 대성당은 1342년 합창단부터 건설이 시작되었다.[75] 1344년 프라하가 대주교구로 승격되었고, 새로운 성 비투스 대성당의 기초석이 놓였다.[76] 엘리 대성당에서는 1345년 화려하게 장식된 레이디 채플이 완성되었다.[77]

베네치아에서는 베네치아 고딕 양식의 두칼레 궁전이 1340년 기존 건물 위에 세워졌다.[78] 스위스에서는 1344년부터 1346년까지 베른 구시가지의 성벽이 크리스토펠 탑까지 확장되었다. 베른의 카피히터름은 1256년부터 1344년까지 두 번째 서쪽 시문으로 세워졌다.[79] 시에나에서는 팔라초 푸블리코의 만자 타워가 1348년에 완공되었다.[80] 같은 해에 잉글랜드 체링 마을의 캔터베리 대주교가 소유한 토지가 대주교궁으로 재개발되었다.

종교 미술 분야에서는 1340년경 노르망디의 에브뢰 대성당(Évreux Cathedral) 합창단 클레리스토리(clerestory)를 위해 일련의 스테인드글라스 창문이 완성되었다.[85] 같은 시기에 스위스(Switzerland)의 옛 쾨니히스펠덴 수도원(Königsfelden Abbey)을 위한 스테인드글라스도 완성되었다.[85] 이 시대에는 조토 디 본도네(Giotto di Bondone)의 예술적 가능성이 그의 제자 마조 디 뱅코(Maso di Banco)와 베르나르도 다디(Bernardo Daddi)에 의해 더욱 발전되었다.[86] 1340년, 화가 시모네 마르티니(Simone Martini)는 생애 말년에 교황청의 의뢰를 받고 아비뇽(Avignon)으로 불려갔다.[88] 또 다른 주목할 만한 종교 화가는 피사(Pisa)의 화가 프란체스코 트라이니(Francesco Traini)였다.[89] 조각 분야에서는 안드레아 피사노(Andrea Pisano)가 주요 예술가였으며, 그는 1343년부터 1347년까지 아들 니노 피사노(Nino Pisano)와 함께 피사에 작업실을 유지했다.[90]

1341년, 페트라르카는 로마에서 시인 수여자(poet laureate)로 대관식을 치렀다.[91] 1340년대는 가톨릭 교회가 아비뇽 유수 기간이었다. 베네딕토 12세 교황은 1342년 사망하여 아비뇽 대성당 능묘에 안장되었고,[95] 13일 후, 추기경들은 베네딕토회 추기경이자 신학자인 피에르 로제 드 보포르를 클레멘스 6세 교황으로 선출했다.[95]

1340년대, 논쟁적인 프란체스코회 수도사이자 스콜라 학파 철학자인 윌리엄 오컴은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바이에른의 루트비히의 보호 아래 뮌헨에 있었다.[96] 그는 교황 권위에 맞서 세속적 절대주의를 옹호하며 정치 문제에 대해서만 저술했다.[97] 오컴주의 추종자들 중에는 미르쿠르의 존(활동기 c. 1345)과 오트르쿠르의 니콜라스(활동기 c. 1347)가 있었는데, 이들은 모두 파리 대학교에서 강의했다.[96] 1340년 11월 21일, 오트르쿠르는 허위 가르침 혐의에 대한 답변을 위해 아비뇽으로 소환되었다.[99] 베네딕토 12세 교황과 그의 후계자 클레멘스 6세 치하에서 진행된 재판은 1346년 유죄 판결이 날 때까지 이어졌다.[99] 오컴은 1347년에 사망했을 가능성이 높다.[97] 1343년, 클레멘스 6세는 교황령 ''Unigenitus''를 발표하여 면죄부 발행 근거로 "공로의 보물" 또는 "교회의 보물" 교리를 정의했다.[100]

베네치아의 6개 베네치아 스콜레 그란디 중 하나인 카리타 스콜라가 1343년에 건설되었다. 1340년대에는 피사 대학교(1343년)와 프라하 대학교(1347년) 등 두 개의 중세 대학교가 설립되었다.[81] 발라돌리드 대학교는 1347년 교황 클레멘스 6세로부터 ''licentia ubique docendi''를 부여받았다.[82] 옥스퍼드 퀸즈 칼리지는 1341년 사제 로버트 드 에글레스필드에 의해 설립되었고,[83] 코번트리에서는 왕대비 프랑스의 이사벨이 1344년에 바블레이크 스쿨을 설립했고, 케임브리지 펨브로크 칼리지는 1347년에 완공되었다.[84]

3. 아시아

3. 1. 정치적 변동

킵차크 한국에서는 1341년 우즈베크 칸이 사망하고, 그의 아들 티니베크가 동생 자니베크에게 살해되면서 권력 교체가 일어났다.[3][4] 자니베크의 통치 기간 동안 흑사병이 내륙 아시아 무역로를 따라 빠르게 확산되었다.[4] 차가타이 한국은 종교적 불화로 분열되었고, 1345년경 동쪽 절반이 모굴리스탄으로 분리되었다.[5] 1347년에는 칸 카잔이 폐위되면서 튀르크 아미르들의 꼭두각시가 되었다.[6] 페르시아의 일칸국은 1335년 아부 사이드의 죽음 이후 혼란스러운 정치 투쟁을 겪었다.[7][8] 1340년, 잘라이르 왕조의 창시자인 하산 부주르그가 권력을 장악하면서 일칸국은 사실상 해체되었다.[9]

황하의 홍수는 원나라 행정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했다.


중국의 원나라는 지배 엘리트들 사이의 긴장과 같은 문제로 쇠퇴하고 있었다.[12] 1340년, 재상 바얀이 축출되고 토크토아가 그 자리를 대신했다.[13] 토크토아는 중앙집권적 정책을 펼쳤으나, 1344년 반란으로 사직했다.[15][17] 그의 후임 베르케 부카는 분권화 정책을 통해 지방 행정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했다.[18] 그러나 원나라는 세수 부족, 해상 곡물 수송량 감소, 해적 문제, 황하의 잦은 범람 등 여러 문제에 직면했다.[17][19][20] 1349년, 토크토아가 다시 재상으로 복귀하여 재중앙집권화를 추진했다.[20]

인도 중부에서는 1340년대에 바흐마니 왕국이 건국되었고, 북쪽의 무슬림들과 남쪽의 비자야나가라 제국 힌두교도들 사이에 전쟁이 일어났다. 1341년, 델리 술탄은 이븐 바투타를 중국으로 파견하는 외교 사절단의 단장으로 임명했다.

일본에서는 1348년에 사이조나와테 전투가 벌어졌다.

3. 2. 문화, 종교, 철학

1339년 교황 베네딕토 12세는 이탈리아 프란체스코회의 마리뇰리를 파견했다.[21] 마리뇰리는 몽골 평화(Pax Mongolica) 시대에 킵차크 칸국(Kipchak Khanate)과 차가타이 칸국(Chagatai Khanate)의 원 영토를 안전하게 통과하여 1342년 수도 대도(大都)에 도착했다.[21] 그는 토곤 테무르(Toghon Temür)와 면담을 가졌고, 그에게 유럽산 대형 말들을 선물했는데, J.J. 손더스(JJ Saunders)에 따르면 그 크기에 "스텝의 작고 질긴 동물들에 익숙한 중국인과 몽골인 모두 놀랐다"고 한다.[21] 마리뇰리는 5년 동안 중국에 머물렀고, 1347년 배를 타고 떠나 1353년 아비뇽(Avignon)으로 돌아왔다.[22]

3. 3. 군사 기술

시인 장선은 1341년에 화약과 대포의 파괴적인 사용을 자세히 묘사한 ''철포사건''(Iron Cannon Affair)을 저술했다.[23]

4. 아프리카



이집트에서는 마멜루크 술탄들이 빈번하게 교체되었다. 1347년에는 카이로에 푸른 모스크가 완공되었다.

아프리카의 뿔에서는 1340년대가 1314년부터 1468년까지 150년 동안 지속된 "중세 에티오피아의 황금기"의 일부였다. 이 시대는 암다 세욘 1세의 통치로 시작되었다.[101] 앞선 수십 년간 암다의 정복 전쟁에서 보여준 십자군 정신은 분열된 이슬람 주변국들에 대한 효과적인 에티오피아의 패권을 확립했지만, 그의 정복의 주된 목적은 무엇보다도 무슬림과 기독교인 모두를 위한 무역을 유지하는 것이었다.[102] 1344년 암다가 사망했을 때, 그의 기독교 제국의 크기는 1314년에 비해 두 배가 되었다.[103] 서부와 남서부 국경 지역에서는 상아와 기타 동물 제품의 무역이 번창했고, 고지대에서는 저지대와 해안 항구로 식량이 수출되었다.[104] 그는 장남 네와야 크레스토스에게 황제 자리를 물려주었는데, 그는 동쪽의 무슬림들에 대한 아버지의 정책을 따랐고, 그 대부분은 계속해서 에티오피아의 조공국으로 남았다.[105]

서아프리카의 말리 제국에서는 1341년에 즉위한 만사 술레이만이 말리를 재정적으로 회복하기 위해 엄격한 조치를 취하여 구두쇠라는 평판을 얻었다.[106] 그러나 그는 수많은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훌륭하고 강력한 통치자임을 증명했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풀라족의 타크루르 습격이 시작되었다. 또한 왕비(만딩어로 카사)와 여러 군 지휘관들이 그를 전복하기 위한 궁정 음모도 있었다.[106] 만사 술레이만의 장군들은 군사 침입을 성공적으로 막았고, 음모의 배후에 있던 수석 왕비는 투옥되었다. 말리는 당시 송하이 제국을 정복한 서아프리카의 지배적인 제국이었다. 송하이 제국은 30년 후에야 독립을 회복할 수 있었다.[107]

5. 아메리카

1340년대 아메리카 대륙에 대해서는 고고학적 발견 외에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북아메리카에서는 미시시피 문화가 쇠퇴를 거듭하고 있었다. 카호키아 도시는 13세기부터 자원 고갈, 기후 변화, 전쟁, 질병, 사회 불안, 정치 및 경제력 약화 등의 요인으로 점진적인 쇠퇴를 경험했다.[108] 도시가 최종적으로 버려진 시기는 1340년에서 1400년 사이일 가능성이 있다. 봉토 55호에서 나온 세척 물질에 대한 방사성탄소 연대 측정 결과 약 1350년경의 연대가 나왔는데, 이는 봉토가 마지막으로 사용된 시기로 볼 수 있다.[109]

1340년대부터 미시시피 문화의 쇠퇴가 가속화되었다.


1350년경 이후 쇠퇴하기 시작한 다른 미시시피 유적지로는 킨케이드 봉토[110]와 마운드빌 유적지가 있다.[111] 마운드빌 유적지의 경우, 마을의 모습이 사라지고 상품 수입이 감소하면서 쇠퇴가 두드러졌다.[111] 유적지는 의례적 및 정치적 기능을 유지했지만, 일부 봉토는 버려졌고 다른 봉토는 종교적 중요성을 완전히 상실했다.[111]

중앙아메리카에서는 수세기 전에 심각한 쇠퇴를 겪었던 마야 문명이 유카탄 반도의 마야판이라는 수도에서 지배를 받았다. 그러나 다른 콜럼버스 이전 문명들은 부상하고 있었다. 아즈텍의 전신인 멕시카는 최근에 테노치티틀란 수도를 건설했다. 그들은 또한 근처의 믹스텍 문명과 간헐적으로 충돌했다.

6. 각주



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Artillery : a History. The History Press 2013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35] 서적
[36] 서적
[37] 서적
[38] 서적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42] 서적
[43] 서적 Encyclopedia of the Byzantine Empire McFarland
[44] 서적 The Armenian Kingdom and the Mamluks Brill
[45] 웹사이트 Primates of the Apostolic See of Antioch https://web.archive.[...] Primates of the Apostolic See of Antioch 2020-04-03
[46] 웹사이트 Louis I king of Hungary https://www.britanni[...] Encyclopaedia Britannica 2020-04-03
[47] 서적
[48] 서적
[49] 서적
[50] 서적
[51] 웹사이트 Reckless foundations, Natural disasters or Divine punishment in the 14th century Italian culture (the storm or tsunami of Amalfi in 1343) https://www.academia[...] 2020-06-18
[52] 서적
[53] 서적
[54] 서적
[55] 서적
[56] 서적
[57] 서적
[58] 서적
[59] 서적
[60] 서적
[61] 서적
[62] 서적
[63] 서적
[64] 서적
[65] 서적
[66] 서적
[67] 서적
[68] 서적
[69] 서적
[70] 서적
[71] 서적 Hollister
[72] 서적 Hollister
[73] 서적 Soto
[74] 서적 Toman
[75] 서적 Toman
[76] 서적 Toman
[77] 서적 Toman
[78] 서적 Toman
[79] 웹사이트 Käfigturm (Prison Tower) http://www.berninfo.[...] Berninfo.com 2008-07-11
[80] 서적 Toman
[81] 서적 Davies
[82] 웹사이트 A Historical University, Tradition and Progress since the 13th century http://www.universit[...] University of Valladolid 2008-07-11
[83] 웹사이트 The History of The Queen's College http://www.queens.ox[...] Queen's College, Oxford 2009-06-18
[84] 서적 Neillands
[85] 서적 Toman
[86] 서적 Toman
[87] 서적 Toman
[88] 서적 Toman
[89] 서적 Toman
[90] 서적 Toman
[91] 서적 Renaissance Profiles Harper & Row
[92] 서적 Nicolle
[93] 서적 Delbrück
[94] 서적 Nossov
[95] 서적 Rendina
[96] 웹사이트 William of Ockham, Philosopher of Nominalism http://www.crvp.org/[...] Council for Research in Values and Philosophy 2008-07-12
[97] 백과사전 William of Ockham – 1.3 Munich http://plato.stanfor[...] Stanford University 2008-07-12
[98] 백과사전 William of Ockham http://www.newadvent[...] Newadvent.org 2008-07-12
[99] 백과사전 Nicholas of Autrecourt http://plato.stanfor[...] Stanford University 2008-07-12
[100] 서적 The Forge of Vision: A Visual History of Modern Christianity
[101] 서적 Henze
[102] 서적 Henze
[103] 서적 Henze
[104] 서적 Henze
[105] 서적 Henze
[106] 문서 Stride
[107] 문서 Rees
[108] 웹사이트 Welcome to Cahokia Mounds http://www.cahokiamo[...] Cahokia Mounds State Historic Site 2009-06-18
[109] 웹사이트 Mound 55 https://archive.toda[...] Cahokia Mounds State Historic Site 2009-06-18
[110] 웹사이트 Kincaid Mounds – A Prehistoric Cultural and Religious Center In Southern Illinois https://web.archive.[...] Kincaid Mounds Organization 2009-06-18
[111] 웹사이트 An Archaeological Sketch of Moundville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Alabama 2009-06-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