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7년 민권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57년 민권법은 1950년대 미국에서 흑인의 투표권 보호를 강화하기 위해 제정된 법안이다. 이 법은 대법원의 학교 통합 판결에 대한 남부 백인들의 저항과 흑인에 대한 폭력 증가, 낮은 흑인 유권자 비율 등의 역사적 배경 속에서 추진되었다. 법안은 시민권 위원회 설치, 법무부 차관보 신설, 투표권 보호 조항, 연방 배심원 자격 요건 등을 포함했지만, 앤더슨-아이켄 수정안과 배심원 재판 수정안 통과, 스트롬 서먼드의 필리버스터 등으로 인해 당초 목표했던 흑인 참정권 보호 효과는 제한적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법은 미국 연방 정부가 시민권 문제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기 시작했다는 상징적인 의미를 지니며, 이후 시민권 운동과 1960년 시민권법, 1964년 시민권법, 1965년 투표권법 제정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85대 미국 의회 - 프라이스 앤더슨 법
프라이스 앤더슨 법은 미국 내 원자력 시설 사고 발생 시 책임과 보상 체계를 규정하는 연방법으로, 원자력 산업 발전을 위해 사업자 책임을 제한하고 피해자 보상 기금을 조성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합헌 판결을 받았지만 책임 제한 등으로 비판도 있다. - 제85대 미국 의회 - 스트롬 서먼드의 1957년 민권법 필리버스터
스트롬 서먼드의 1957년 민권법 필리버스터는 사우스캐롤라이나 출신 상원 의원 스트롬 서먼드가 1957년 민권법 통과를 막기 위해 24시간 18분 동안 진행한 기록적인 필리버스터였다.
1957년 민권법 | |
---|---|
지도 정보 | |
법률 정보 | |
법률 명칭 | 1957년 민권법 |
전체 법률 명칭 | 미국 관할 내 개인의 민권을 더욱 보장하고 보호하는 수단을 제공하기 위한 법률 |
제정 의회 | 제85대 미국 의회 |
발효일 | 1957년 9월 9일 |
공개 법률 URL | 85-315 |
수정된 법률 | 1960년 민권법 1964년 민권법 |
제안된 법안 | 하원 법안 H.R. 6127 |
하원 위원회 | 미국 하원 법사위원회 |
하원 통과 | 1957년 6월 18일 |
하원 통과 투표 | 286–126 |
상원 통과 | 1957년 8월 7일 |
상원 통과 투표 | 72–18 |
하원 합의 | 1957년 8월 27일 |
하원 합의 투표 | 279–97 |
상원 합의 | 1957년 8월 29일 |
상원 합의 투표 | 60–15 |
대통령 서명 |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
서명일 | 1957년 9월 9일 |
관련 정보 |
2. 역사적 배경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 내 흑인들의 시민권 운동이 활발해졌다. 1954년, 미국 대법원은 브라운 대 교육위원회 판결을 통해 공립학교 내 인종 분리의 위헌성을 인정했다. 그러나 남부 백인들은 이에 강력하게 반발하며 '대대적 저항' 운동을 전개했고, 흑인에 대한 폭력과 테러가 증가했다.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은 리틀록 사태에 연방군을 투입하여 흑인 학생들을 보호해야 했다.[3]
2. 1. 남부의 저항과 아이젠하워의 대응
브라운 대 교육위원회 판결 이후 공립학교 통합이 이루어지자,[3] 남부 백인들은 "대대적 저항" 운동을 시작했다. 흑인에 대한 폭력이 증가했고, 아칸소주 리틀록에서는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이 리틀록 나인(공립학교에 진학한 9명의 흑인 청소년)을 보호하기 위해 제101공수사단의 미군 병력을 투입하는 명령을 내렸다. 이는 재건 시대 이후 남부에서 시민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방군이 배치된 첫 사례였다.[3] 남부에서는 활동가로 의심되는 사람들에 대한 폭행과 학교 및 교회 폭파 사건이 계속 발생했다. 아이젠하워 대통령은 더 광범위한 개혁 요구를 무마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흑인의 투표권 보호를 강화하는 시민권 법안을 제안했다.1957년 당시 흑인 유권자는 약 20%에 불과했다. 남부의 여러 군(county)과 선거구(congressional districts)에서 흑인이 다수를 차지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흑인들은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에 남부 민주당이 집중적으로 제정하고 시행한 차별적인 유권자 등록 규칙과 법률 때문에 사실상 참정권을 박탈당했다. 시민권 단체들은 읽기 및 이해력 시험, 인두세 부과와 같은 차별적인 관행에 대한 증거를 수집했다. 각 주는 유권자 등록 및 선거에 대한 규칙을 제정할 권한이 있었지만, 연방 정부는 시민들이 대통령과 부통령 선거인단 및 미국 의회 의원 선출이라는 헌법상의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감독해야 할 역할이 있었다.
3. 법안 제정 과정
민주당의 상원 원내대표였던 린든 B. 존슨은 상원에서 법안 통과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임을 알고 있었다.[4] 그러나 이 법안은 당내 분열을 야기할 수 있었다. 남부 민주당원들은 민권에 강력하게 반대했고, 북부 민주당원들은 강력하게 찬성했기 때문이다. 존슨은 법안을 상원 사법위원회로 보냈는데, 이 위원회는 미시시피주 출신의 민주당 상원의원 제임스 이스트랜드가 이끌고 있었고, 그는 법안을 수정했다.[5] 조지아주 출신의 민주당 상원의원 리처드 러셀 주니어는 연방 정부가 주에 법을 부과하려 한다며 이 법안을 비난했다. 존슨은 민권 옹호자들의 지지와 반(反)민권 민주당원들의 지지를 모두 얻고자 했다.[6]
링컨의 당으로서 민권에 대한 일반적이면서도 모호한 지지를 표명했던 공화당은 이것이 흑인 공화당원 유권자 수를 늘리는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알았다. 민주당 남부 의원 연합의 법안 저지가 명백해질 것이기 때문이다. 그들은 존슨처럼 민주당의 남부와 북부를 분열시킬 가능성도 인지했다. 이것은 상원 의장직을 맡을 수 있는 헌법적 권한을 가진 리처드 닉슨과 같은 자유주의적이지만 강경한 공화당 인사들이 이 법안에 큰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권에 대한 남부의 주장에 공감하는 보수적인 공화당 상원의원들은 당론에 따라 투표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 반면 공화당은 흑인과 자유주의 유권자들이 민주당을 범죄자로 인식할 가능성이 더 높다면 남부 민주당의 방해를 조용히 허용할 의향이 있었다.[7]
이후, 법안은 앤더슨-아이켄 수정안, 배심원 재판 수정안을 거치고, 스트롬 서먼드의 필리버스터를 거쳐 통과되었다.
3. 1. 앤더슨-아이켄 수정안
상원 다수당 원내대표였던 린든 B. 존슨은 클린턴 앤더슨(클린턴 앤더슨 상원의원 (민주당-뉴멕시코주))을 설득하여 법안의 제3조 집행 조항을 삭제하는 수정안을 제출하게 했다. 앤더슨 의원은 처음에는 반시민권 진영과 연관되는 것을 주저했지만, 존슨의 권유에 따라 공화당의 조지 아이켄(조지 아이켄 상원의원 (공화당-버몬트주))과 함께 수정안을 제출했다.제3조에 대한 지지가 약화된 중요한 원인은 조지아주 출신 민주당 상원의원이자 비공식적인 남부 의원 연합 지도자였던 리처드 러셀(리처드 러셀 상원의원)의 연설이었다. 러셀 의원은 제3조가 새로운 법이 아니라 미국법전 42편 1985조의 수정안이며, 여기에는 법안에 언급되지 않았던 재건 시대의 법률인 미국법전 42편 1993조의 적용도 포함되어 있다고 지적했다. 이 조항은 대통령이 ''브라운 대 교육위원회'' 판결을 포함한 사법 판결을 집행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조항이었다. 이러한 국내 정치에 대한 군사 개입 가능성은 버크 히켄루퍼(버크 히켄루퍼 상원의원 (공화당-아이오와주))와 같은 온건파와 폴 더글러스(더글러스 의원)와 같은 강력한 지지자들까지도 우려하게 만들었다.[8] 아이젠하워 대통령은 러셀 의원의 주장에 대한 직접적인 질문에 대해 3조의 "정확한 표현"과는 거리를 두었다.
아이젠하워 대통령은 제3조 조항에 대해 열의를 보이지 않았고, 기자 회견에서 "법률에서 너무 빨리 너무 멀리 나아가는 것"이라고 언급하며 4조의 투표권 조항을 강조했다. 이로 인해 공화당 의원들의 제3조에 대한 지지가 더욱 줄어들었다. 많은 공화당 의원들은 시민권 운동에 대한 동정심에도 불구하고 보수적인 입장에서 연방 정부 권한 확대에 반대했다.
앤더슨-아이켄 수정안은 52대 38로 가결되었다.[9] 수정안에 대한 투표는 당파적, 이념적 분열을 보이지 않았다. 보수적인 윌리엄 놀랜드(윌리엄 놀랜드 상원의원 (공화당-캘리포니아주))는 반대했고, 진보적인 프랭크 처치(프랭크 처치 상원의원 (민주당-아이다호주))는 찬성했다.
3. 2. 배심원 재판 수정안
조셉 C. 오마호니 상원의원이 주도한 배심원 재판 수정안은 시민권 침해 소송에서 배심원 재판을 받을 권리를 보장하는 내용이었다.[10] 이는 남부 백인 배심원들이 흑인 참정권 억압 가해자들에게 무죄를 선고할 가능성을 높여, 법안의 실효성을 약화시켰다.[10]서부 자유주의 민주당원들은 판사들이 서부 미국에서 노동 운동을 억압하는 데 과도한 권력을 행사한다는 인식에 대한 반감으로 배심원 재판 권리 확대를 지지했다.[10] 린든 존슨의 전기 작가 로버트 캐로는 존슨이 서부 자유주의 민주당원들이 민권에 대한 중요한 투표에서 남부와 함께 투표하는 대가로 남부의 지지를 얻어 헬스 캐니언 댐 건설에 대한 공공 참여를 확보하는 거래를 성사시켰다고 주장한다.[11]
일부 노조도 이 수정안이 노동 조합 관련 금지 명령을 중단시킬 것이라는 데 동의하며 지지했다. 이들의 지지는 웨스트버지니아와 같은 광산 주와 철도가 발달한 중서부 공화당 상원의원들이 수정안에 대한 반대를 풀게 된 주요 원인으로 여겨졌다.[10]
1957년 8월 2일, 상원은 북부와 남부 민주당 의원들의 다수 지지 속에 배심원 재판 수정안을 통과시켰다.[12] 소규모 정부를 이유로 앤더슨-아이큰 수정안에 찬성했던 몇몇 보수 공화당 상원의원들은 민권 노력을 약화시키려는 의도 때문에 배심원 재판 수정안에 반대했다. 아이더호 주 상원의원 헨리 드워샤크는 이것이 "실질적으로 효과적인 민권 법안을 통과시킬 희망을 사실상 좌절시켰다"고 비난했다.[13]
3. 3. 스트롬 서먼드의 필리버스터
스트롬 서먼드(Strom Thurmond)는 사우스캐롤라이나주(South Carolina) 출신의 인종차별(racial segregation) 옹호론자로, 당시 민주당 상원의원이었다. 그는 1957년 민권법 통과를 막기 위해 미국 역사상 가장 긴 1인 필리버스터(filibuster)를 진행했다.[14] 그의 필리버스터는 24시간 18분 동안 계속되었는데, 처음에는 각 미국 주(US state)의 선거법(election law)을 알파벳 순서대로 읽었다. 그 후, 미국 독립선언서(United States Declaration of Independence), 미국 권리장전(United States Bill of Rights), 조지 워싱턴의 고별사(George Washington's Farewell Address)를 낭독하며 시간을 끌었다.[1]상원이 휴회를 선언하여 필리버스터를 종료할 수 있는 정족수 확인 요구를 막기 위해, 인근 호텔에서 침대를 가져와 의원들이 잠을 잘 수 있도록 했다. 서먼드가 점점 더 관련 없고 모호한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동안이었다. 남부 의원 연합(Southern caucus)의 다른 의원들은 타협에 따라 이 법안에 대해 필리버스터를 하지 않기로 합의했기 때문에 서먼드에게 불만을 가졌다. 그들은 그의 행동이 유권자들에게 무능력하게 보일 것이라고 생각했다. 반면, 다른 유권자들은 상원의원들이 서먼드를 돕지 않는다고 여겨 상원의원들에게 분노했다.[15]
서먼드는 투표소에서 유권자를 거부하거나 위협하는 시민을 벌금이나 징역으로 처벌하는 연방법이 이미 있지만, 당시 심의 중이던 법안은 그러한 행위를 계속하는 사람들에게 배심원 재판을 받을 권리를 법적으로 거부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16]
4. 1957년 시민권법의 내용
이 법은 시민권 위원회와 시민권 담당 법무차관보 직책을 설립했다. 1957년 12월 9일, 윌리엄 P. 로저스 법무장관의 명령에 따라 시민권 담당국이 법무부 내에 설치되어 시민권 담당 법무차관보에게 명확한 지휘권을 부여했다. 이전에는 시민권 변호사들이 법무부 형사부에서 재건 시대 시민권 법을 집행해왔다.[21][20]
제1부(101조~106조)는 행정부에 6명의 위원으로 구성된 시민권위원회를 설치하여 피부색, 인종, 종교, 출신 국가에 따른 시민의 투표권 박탈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도록 했다. 또한 투표권과 관련된 연방 정부의 법적 배경, 법률, 정책도 조사했다. 위원회는 투표 등록의 어려움과 투표권 박탈에 대한 개인의 증언이나 서면 민원을 접수하고, 의회와 대통령에게 정기적으로 보고한 후 2년 안에 최종 보고서를 제출하고 해산될 예정이었다.
제2부 111조는 대통령이 임명하고 상원이 승인하는 법무부 차관보 1명을 추가로 설치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제3부 제121조는 미국법전 제28편 제1343조를 개정하여 시민권 관련 조항을 포함시켰고, 제122조는 미국법전 제42편 제1989조(1993년)를 폐지했다.
제4부 131조는 대통령 선거인단 및 연방 의회 의원 선거에서 유권자의 권리를 협박, 강압, 방해하는 행위를 금지했다. 미국 법무장관은 1,000달러 이하의 벌금과 6개월 이하의 징역형을 포함한 금지 명령 및 법정 모독 혐의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었다. 이 법은 피고인의 권리 보호를 위해 미국 연방 판사가 배심원 유무에 관계없이 사건을 심리할 수 있도록 했다.
161조는 연방 법원이 주 배심원 선정 규칙에서 벗어나 연방 법원 배심원의 자격을 명시했다. 21세 이상의 시민으로 영어를 읽고 쓸 수 있으며, 유죄 판결을 받았거나 심신 장애로 직무 수행이 불가능한 사람을 제외하고 해당 사법구에 1년 이상 거주한 사람은 배심원 자격이 주어졌다. 인종이나 성별은 자격 요건에 포함되지 않아 흑인과 여성도 연방 법원 재판에서 배심원으로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
제5부는 151조, 152조, 161조로 구성된다. 151조는 위원회 모독으로 판명된 사람에게 취할 징계 조치를 설명한다. 152조는 연방 배심원 후보 자격 기준으로, 주 또는 연방 법원에서 1년 이상 징역형을 선고받은 경우, 영어를 읽거나 쓰거나 말하거나 이해할 수 없는 경우, 정신적 또는 신체적 장애로 인해 불가능한 경우를 명시했다. 161조는 이 법을 "1957년 시민권법"으로 인용할 수 있음을 규정한다.
4. 1. 법안의 한계와 영향
법률 통과는 연방 정부의 시민권 운동에 대한 약속이 강화되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처럼 보였지만, 그 효과는 제한적이었다. 법안의 수정으로 인해 법률 집행이 어려워졌고, 1960년까지 흑인 유권자는 단 3%만 증가했다.[3] 법률 통과는 시민권을 지지하려는 의지의 정도가 다양함을 보여주었다. 이 법은 연방 선거 참여 보호에만 국한되었다.당시 28세였던 마틴 루터 킹 주니어는 미국 시민권 운동의 신흥 지도자였으며 백인 우월주의자들에 맞서 목소리를 높였다. 인종 차별주의자들은 교육과 유권자 등록 조직의 중심지였던 흑인 교회에 불을 지르고 여성을 포함한 흑인 운동가들을 물리적으로 공격했다. 킹은 아이젠하워에게 남부 주민들에게 연설을 하고 "대통령직의 무게를 이용하여 남부 주민들에게 이 문제의 도덕적 본질을 지적해 달라"고 요청하는 전보를 보냈다. 아이젠하워는 "지금 당장 또 다른 연설이 무슨 효과가 있을지 모르겠다"고 답했다.
실망한 킹은 아이젠하워에게 또 다른 전보를 보내 대통령의 발언은 "이 불가피한 사회 변화기에 진심으로 지도력과 안내를 기대하는 북부와 남부의 수백만 명의 선의를 가진 미국인들에게 큰 실망"이라고 말했다. 그는 대통령과의 면담을 시도했지만, 리처드 닉슨 부통령과 두 시간 동안 면담을 가졌다. 닉슨은 킹에게 깊은 인상을 받았고 나중에 킹을 만나는 것을 즐길지도 모른다고 아이젠하워에게 말했다고 전해진다.[25]
5. 이후의 시민권 운동과 추가 입법
1960년 시민권법은 1957년 법의 결점을 일부 해결하여 연방 판사의 투표권 보호 권한을 확대하고, 정부가 특정 집단에 대한 차별 패턴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지역 당국이 포괄적인 투표 기록을 유지하도록 했다.[22]
존 F. 케네디 대통령은 1963년 6월 11일 TV 연설인 시민권 연설[23]에서 "모든 미국인에게 공개된 시설(호텔, 레스토랑, 극장, 소매점 및 유사한 시설)에서 서비스받을 권리"와 "투표권에 대한 더 큰 보호"를 보장하는 법안을 요구했다. 케네디 대통령은 버밍햄 운동과 같은 일련의 시민권 운동 이후 이 연설을 했다.
1963년 여름, 시민권 운동의 일부는 미시시피주에서 유권자 교육 및 유권자 등록 운동을 공동으로 진행했다. 1964년 프리덤 서머 동안 미국 북부와 서부의 수백 명의 학생들이 유권자 운동과 지역 사회 조직에 참여했다. 특히 미시시피주 필라델피아 근처에서 벌어진 채니, 굿맨, 슈워너 살인 사건에 대한 폭력적인 반발에 대한 언론 보도는 시민권 법안에 대한 전국적인 지지를 얻는 데 기여했다.
린든 존슨 대통령은 1964년 시민권법[24]과 1965년 투표권법, 그리고 인두세와 흑인과 빈민층이 투표 등록이나 투표를 하는 것을 막는 다른 수단을 폐지하고, 기록 보관 및 감독을 확립하며, 차별이나 저조한 투표율이 문서화된 지역에 대한 연방 집행을 규정한 미국 수정 헌법 제24조의 통과를 확보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참조
[1]
뉴스
The Civil Rights Act of 1957
https://history.hous[...]
U.S. House of Representative History, Art, and Archives
2022-04-13
[2]
서적
The Civil Rights Movement: Striving for Justice
Infobase Publishing
[3]
뉴스
An inside look at Eisenhower's civil rights record
http://articles.bost[...]
The Boston Globe
2007-11-21
[4]
웹사이트
Congress Approves Civil Rights Act of 1957
https://library.cqpr[...]
CQ Almanac
2022-04-13
[5]
웹사이트
The Civil Rights Act of 1957
https://history.hous[...]
US House of Representatives: History, Art & Archives
2022-02-20
[6]
서적
Master of the Senate: The Years of Lyndon Johnson
Knopf
2002
[7]
서적
Master of the Senate: The Years of Lyndon Johnson
Knopf
2002
[8]
서적
Master of the Senate
[9]
웹사이트
HR. 6127. CIVIL RIGHTS ACT OF 1957. AMENDMENT TO DELETE AUTHORITY FOR ATTORNEY GENERAL TO SEEK PREVENTIVE RELIEF IN CIVIL RIGHTS CASES UNDER THE 14TH AMENDMENT.
https://www.govtrack[...]
GovTrack.us
2022-02-20
[10]
서적
Master of the Senate: The Years of Lyndon Johnson
Knopf
2002
[11]
서적
Master of the Senate: The Years of Lyndon Johnson
[12]
웹사이트
HR. 6127. CIVIL RIGHTS ACT OF 1957. AMENDMENT TO GUARANTEE JURY TRIALS IN ALL CASES OF CRIMINAL CONTEMPT AND PROVIDE UNIFORM METHODS FOR SELECTING FEDERAL COURT JURIES.
https://www.govtrack[...]
GovTrack.us
2022-02-20
[13]
뉴스
The Strange Division On Civil Rights
https://lmtribune.co[...]
The Lewiston Tribune
2022-02-20
[14]
웹사이트
Senate.gov web site
https://www.senate.g[...]
2018-02-16
[15]
서적
Master of the Senate: The Years of Lyndon Johnson
Knopf
2002
[16]
웹사이트
Congressional Record
https://www.senate.g[...]
2020-01-22
[17]
웹사이트
HR 6127. CIVIL RIGHTS ACT OF 1957. – House Vote #42 – Jun 18, 1957
https://www.govtrack[...]
2019-08-15
[18]
웹사이트
HR. 6127. CIVIL RIGHTS ACT OF 1957. – Senate Vote #75 – Aug 7, 1957
https://www.govtrack[...]
2019-08-15
[19]
웹사이트
HR. 8601. PASSAGE OF AMENDED BILL.
https://www.govtrack[...]
GovTrack
2022-04-13
[20]
웹사이트
H.R. 6127 Civil Rights Act of 1957
https://www.eisenhow[...]
The National Archives
2024-03-29
[21]
웹사이트
Civil Rights Act of 1957
http://crdl.usg.edu/[...]
2020-04-15
[22]
웹사이트
Civil Rights Act of 1960
http://www.civilrigh[...]
2008-10-24
[23]
웹사이트
Transcript from the JFK library
https://web.archive.[...]
the JFK library
1963-06-11
[24]
웹사이트
Civil Rights Act of 1964
https://web.archive.[...]
2009-05-29
[25]
서적
A Matter of Justice: Eisenhower and the Beginning of the Civil Rights Revolution
Simon & Schuster
[26]
간행물
공민권법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