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4년 하계 올림픽 유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64년 하계 올림픽 유도는 일본 도쿄에서 열린 1964년 하계 올림픽의 유도 종목이다. 일본무도관에서 경기가 진행되었으며, 남자 4개 체급(68kg급, 80kg급, 80kg이상급, 무제한급)으로 나뉘어 총 27개국 72명의 선수가 참가했다. 일본이 금메달 3개, 은메달 1개로 종합 1위를 차지했고, 네덜란드, 독일 연합, 캐나다, 스위스, 소련 등이 메달을 획득했다. 유도는 이 대회를 통해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처음 채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4년 하계 올림픽 경기 종목 - 1964년 하계 올림픽 육상
1964년 하계 올림픽 육상은 10월에 걸쳐 남자 20개, 여자 12개의 세부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남자 경기에서는 미국이 종합 1위를, 여자 경기에서는 여러 국가가 금메달을 획득했다. - 1964년 하계 올림픽 경기 종목 - 1964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
1964년 도쿄 하계 올림픽 다이빙은 남자 3m 스프링보드, 남자 10m 플랫폼, 여자 3m 스프링보드, 여자 10m 플랫폼의 4가지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미국이 최다 메달을 획득하고 21개국이 참가했다. - 1964년 하계 올림픽에 관한 - 1964년 하계 올림픽 육상
1964년 하계 올림픽 육상은 10월에 걸쳐 남자 20개, 여자 12개의 세부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남자 경기에서는 미국이 종합 1위를, 여자 경기에서는 여러 국가가 금메달을 획득했다. - 1964년 하계 올림픽에 관한 - 1964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
1964년 도쿄 하계 올림픽 다이빙은 남자 3m 스프링보드, 남자 10m 플랫폼, 여자 3m 스프링보드, 여자 10m 플랫폼의 4가지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미국이 최다 메달을 획득하고 21개국이 참가했다.
1964년 하계 올림픽 유도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종목 | 유도 |
관할 기구 | 국제 올림픽 위원회 |
연도 | 1964년 |
대회 종류 | 하계 올림픽 |
경기장 | 일본무도관 |
위치 | 도쿄, 일본 |
기간 | 1964년 10월 20일 ~ 10월 23일 |
참가 선수 | 72명 |
참가 국가 | 27개국 |
세부 종목 | |
라이트급 | 남자 |
미들급 | 남자 |
헤비급 | 남자 |
오픈 | 남자 |
2. 경기장
모든 유도 경기는 일본 도쿄도 지요다구에 위치한 일본무도관에서 열렸다.
1964년 하계 올림픽 유도의 세부 종목은 아래와 같다.
3. 세부 종목
경기는 도쿄도 지요다구에 있는 일본 무도관에서 실시되었다. 1964년 도쿄 올림픽에서 처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유도였지만, 남자 4개 체급 경기만 열렸다. 당시 국제 규정이 아직 마련되지 않아 고도칸 유도 시합 심판 규정에 따라 경기가 진행되었다.
체급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68kg 이하급 | 나카야 유키 (일본) | 에리크 헤니 (스위스) | 아론 보고류보프 (소련) |
올레그 스테파노프 (소련) | |||
80kg 이하급 | 오카노 이사오 (일본) | 볼프강 호프만 (독일) | 제임스 브레그먼 (미국) |
김의태 (대한민국) | |||
80kg 초과급 | 이노쿠마 이사무 (일본) | 더그 로저스 (캐나다) | 파르나오즈 치크빌라제 (소련) |
안조르 키크나제 (소련) | |||
무제한급 | 안톤 헤싱크 (네덜란드) | 가미나가 아키오 (일본) | 테오도르 보로노프스키 (오스트레일리아) |
클라우스 그란 (독일) |
4. 참가국
총 27개국에서 72명의 유도 선수가 도쿄 올림픽에 참가했다.[1]
국가 | 선수 수 |
---|---|
아르헨티나 | 3 |
오스트레일리아 | 4 |
오스트리아 | 3 |
브라질 | 1 |
캐나다 | 1 |
코스타리카 | 2 |
프랑스 | 4 |
독일 연합 | 4 |
영국 | 4 |
아일랜드 | 1 |
이탈리아 | 2 |
일본 | 4 |
말레이시아 | 2 |
멕시코 | 3 |
네덜란드 | 4 |
파나마 | 1 |
필리핀 | 4 |
포르투갈 | 1 |
중화민국 | 4 |
대한민국 | 4 |
소련 | 4 |
스위스 | 1 |
태국 | 3 |
튀니지 | 1 |
미국 | 4[3] |
베네수엘라 | 1 |
베트남 공화국 | 3 |
5. 메달리스트
wikitext
종목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남자 68kg급 | 나카타니 다케히데 (JPN) | 에릭 헨니 (SUI) | 아론 보골류보프 (URS) |
올레크 스테파노프 (URS) | |||
남자 80kg급 | 오카노 이사오 (JPN) | 볼프강 호프만 (EUA) | 제임스 브래그먼 (USA) |
김의태 (KOR) | |||
남자 80kg이상급 | 이노쿠마 이사오 (JPN) | 더그 로저스 (CAN) | 파르나오스 체크발리제 (URS) |
안조르 키크나제 (URS) | |||
남자 무제한급 | 안톤 헤싱크 (NED) | 가미나가 아키오 (JPN) | 시어도어 보로노브스키스 (AUS) |
클라우스 글란 (EUA) |
6. 메달 집계
(내용 없음)
6. 1. 최종 순위
wikitext
참조
[1]
웹사이트
Judo at the 1964 Tokyo Summer Games
https://www.sports-r[...]
2018-05-07
[2]
웹사이트
Why Vladimir Putin would have struggled to be a black belt in the Soviet Union
https://www.rbth.com[...]
2019-05-29
[3]
웹사이트
Olympic.org search
http://www.olympic.o[...]
[4]
서적
詳解 柔道のルールと審判法 2004年度版
大修館書店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