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되었으며, 총 16개 팀이 참가하여 우승을 다퉜다. 스페인은 결승전에서 폴란드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고, 가나가 동메달을 차지했다. 대회 득점왕은 7골을 기록한 폴란드의 안제이 유스코비악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 - 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 선수 명단
    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 선수 명단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올림픽 축구 종목에 참가한 각 국가별 U-23 대표팀 선수들의 명단과 감독 정보를 담고 있다.
  • 바르셀로나의 축구 - 1999 UEFA 챔피언스리그 결승전
    1999 UEFA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은 1999년 5월 26일 캄 노우에서 열린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와 바이에른 뮌헨의 경기에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가 경기 종료 직전 연속 골로 2-1로 승리하며 잉글랜드 클럽 최초로 트레블을 달성한 경기이다.
  • 바르셀로나의 축구 - 인터시티스 페어스컵 트로피 플레이오프
    인터시티스 페어스컵 트로피 플레이오프는 1971년 바르셀로나와 리즈 유나이티드 AFC의 경기이며, 바르셀로나가 2-1로 승리했다.
  • 1992년 하계 올림픽 경기 종목 - 1992년 하계 올림픽 야구
    1992년 하계 올림픽 야구는 야구가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처음 채택된 대회로, 쿠바가 금메달, 중화 타이베이가 은메달, 일본이 동메달을 차지하며 아마추어 야구 최강국 쿠바의 실력과 아시아 야구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1992년 하계 올림픽 경기 종목 - 1992년 하계 올림픽 유도
    1992년 하계 올림픽 유도는 바르셀로나에서 남자와 여자 각 7체급씩 총 14개 세부 종목으로 진행되었고, 여자 유도 종목이 처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대한민국은 김미정의 금메달과 윤현의 은메달을 획득했다.
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대회 정보
대회 명칭하계 올림픽 축구 토너먼트
연도1992년
이미지
크기220
개최국스페인
기간1992년 7월 24일 – 1992년 8월 8일
참가 팀 수16
참가 연맹6
경기장 수5
개최 도시 수4
결과
우승 횟수1
통계
경기 수32
총 득점87
평균 관중 수null
최다 득점자안제이 유스코비아크
최다 득점7골
대회 연혁
이전 대회1988
다음 대회1996 (남자)

2. 대회 예선

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에는 총 16개국이 본선에 진출했다. 개최국인 스페인을 제외하고, 각 대륙별 예선을 통해 진출 국가가 결정되었다.

대륙 연맹예선 대회진출국
AFC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 아시아 지역 예선카타르, 대한민국, 쿠웨이트
CAF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 아프리카 지역 예선이집트, 가나, 모로코
CONCACAF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 북중미 지역 예선멕시코, 미국
CONMEBOL1992년 CONMEBOL 올림픽 남자 축구 예선콜롬비아, 파라과이
OFCOFC-UEFA 플레이오프오스트레일리아
UEFA1992년 UEFA U-21 축구 선수권 대회이탈리아, 스웨덴, 덴마크, 폴란드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1위 팀인 오스트레일리아는 유럽 지역 예선 4위 팀인 네덜란드와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치렀다. 1차전은 1992년 5월 17일 시드니에서, 2차전은 1992년 5월 24일 위트레흐트에서 열렸으며, 합계 3-3으로 원정 다득점 원칙에 따라 오스트레일리아가 본선에 진출했다.

2. 1. 지역 예선

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에는 총 16개국이 본선에 진출했다. 개최국인 스페인을 제외하고, 각 대륙별 예선을 통해 진출 국가가 결정되었다.

대륙 연맹예선 대회진출국
AFC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 아시아 지역 예선카타르, 대한민국, 쿠웨이트
CAF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 아프리카 지역 예선이집트, 가나, 모로코
CONCACAF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 북중미 지역 예선멕시코, 미국
CONMEBOL1992년 CONMEBOL 올림픽 남자 축구 예선콜롬비아, 파라과이
OFCOFC-UEFA 플레이오프오스트레일리아
UEFA1992년 UEFA U-21 축구 선수권 대회이탈리아, 스웨덴, 덴마크, 폴란드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1위 팀인 오스트레일리아는 유럽 지역 예선 4위 팀인 네덜란드와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치렀다. 1차전은 1992년 5월 17일 시드니에서, 2차전은 1992년 5월 24일 위트레흐트에서 열렸으며, 합계 3-3으로 원정 다득점 원칙에 따라 오스트레일리아가 본선에 진출했다.

3. 경기장

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 경기는 4개 도시, 5개 경기장에서 개최되었다.

바르셀로나발렌시아
캄프 누에스타디 데 사리아에스타디오 루이스 카사노바
수용 인원: 100,000수용 인원: 42,000수용 인원: 50,000
캄프 누
에스타디 데 사리아
에스타디오 루이스 카사노바
사바델{{location map+|스페인|float=none|width=410|caption=|places=
에스타디 데 라 노바 크루 알타
수용 인원: 16,000
에스타디 데 라 노바 크루 알타
사라고사
에스타디오 라 로마레다
수용 인원: 43,001
에스타디오 라 로마레다



4. 선수 명단

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 선수 명단 문서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5. 조별 리그

width="10" bgcolor="#ccffcc" |8강 진출
width="10" bgcolor="#cccccc" |조별리그 탈락



각 조 상위 2개국이 8강에 진출할 수 있다.

※경기 시작 시각은 모두 중부유럽 표준시 (UTC+2)

=== A조 ===

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 A조에서는 폴란드가 2승 1무로 1위, 이탈리아가 2승 1패로 2위를 기록하며 8강에 진출했다. 미국은 1승 1무 1패, 쿠웨이트는 3패로 탈락했다.

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폴란드321072+55
이탈리아320134-14
미국311165+13
쿠웨이트300316-50



=== B조 ===

B조에서는 스페인이 3전 전승으로 8강에 진출했고, 카타르가 1승 1무 1패로 그 뒤를 이었다. 이집트와 콜롬비아는 각각 1승 2패, 1무 2패로 탈락했다.

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스페인330080+86
카타르311123-13
이집트310246-22
콜롬비아301249-51



1992년 7월 24일, 스페인은 발렌시아루이스 카사노바에서 열린 콜롬비아와의 경기에서 과르디올라, 키코, 베르헤스, 엔리케의 득점에 힘입어 4-0으로 승리했다. 같은 날 사바델의 노바 크레우 알타 경기장에서 열린 이집트와 카타르의 경기는 무스타파의 결승골로 카타르가 1-0으로 승리했다.

7월 27일, 스페인은 루이스 카사노바에서 이집트를 상대로 솔로사발솔레르의 골로 2-0 승리를 거두었다. 같은 날 노바 크레우 알타 경기장에서는 콜롬비아와 카타르가 아리스티사발과 수피의 득점으로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7월 29일, 스페인은 루이스 카사노바에서 카타르를 상대로 알폰소키코의 골로 2-0 승리를 거두며 조 1위를 확정지었다. 같은 날 노바 크레우 알타 경기장에서 열린 콜롬비아와 이집트의 경기는 난타전 끝에 이집트가 4-3으로 승리했다. 콜롬비아는 가비리아와 파체코가 득점했지만, 이집트의 유세프, 엘마스리, 카샤바에게 실점하며 패배했다.

=== C조 ===

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 C조 조별 리그는 7월 26일부터 7월 30일까지 진행되었다. 스웨덴파라과이가 8강에 진출하였다.

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스웨덴312051+44
파라과이312031+24
대한민국30302203
모로코301228-61


  • 1992년 7월 26일, 스웨덴파라과이는 사리아 경기장(바르셀로나)에서 맞붙어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 같은 날 모로코대한민국은 루이스 카사노바 경기장(발렌시아)에서 맞붙어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모로코의 바자가 선제골을 넣었지만, 대한민국의 정재권이 동점골을 넣었다.
  • 7월 28일, 스웨덴은 노바 크레우 알타 경기장(사바델)에서 모로코를 4-0으로 대파했다. 브롤린이 2골, 밀드와 뢰들룬드가 각각 1골씩 기록했다.
  • 같은 날 파라과이와 대한민국은 루이스 카사노바 경기장(발렌시아)에서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 7월 30일, 스웨덴과 대한민국은 사리아 경기장(바르셀로나)에서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대한민국의 서정원이 선제골을 넣었지만, 스웨덴의 뢰들룬드가 동점골을 넣었다.
  • 같은 날 파라과이는 루이스 카사노바 경기장(발렌시아)에서 모로코를 3-1로 꺾었다. 아르세, 카바예로, 가마라가 득점했고, 모로코는 나이베트가 1골을 만회했다.


=== D조 ===

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 D조에서는 가나오스트레일리아가 8강에 진출했다. 가나는 1승 2무(승점 4점)로 조 1위를 차지했고, 오스트레일리아는 1승 1무 1패(승점 3점)로 조 2위를 기록했다. 멕시코는 3무(승점 3점)로 조 3위, 덴마크는 2무 1패(승점 2점)로 조 4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7월 26일, 사라고사에스타디오 데 라 로마레다에서 열린 덴마크와 멕시코의 경기는 1-1 무승부로 끝났다. 멕시코는 로트얀이 페널티킥으로 선제골을 넣었지만, 덴마크는 톰센이 후반전에 동점골을 기록했다. 같은 날 사바델의 노바 크레우 알타 경기장에서 열린 가나와 오스트레일리아의 경기는 가나가 3-1로 승리했다. 가나는 가르고와 아유의 골로 앞서갔고, 오스트레일리아는 비드마가 한 골을 만회했다.

7월 28일, 사라고사에스타디오 데 라 로마레다에서 열린 덴마크와 가나의 경기는 0-0 무승부로 끝났다. 같은 날 바르셀로나에스타디 데 사리아에서 열린 멕시코와 오스트레일리아의 경기는 1-1 무승부였다. 오스트레일리아는 아람바시치가 선제골을 넣었지만, 멕시코는 카스타녜다가 동점골을 기록했다.

7월 30일, 사라고사에스타디오 데 라 로마레다에서 열린 덴마크와 오스트레일리아의 경기는 오스트레일리아가 3-0으로 승리했다. 오스트레일리아는 마르코프스키, 모리, 비드마가 연속골을 기록했다. 같은 날 사바델의 노바 크레우 알타 경기장에서 열린 멕시코와 가나의 경기는 1-1 무승부로 끝났다. 멕시코는 로트얀이 선제골을 넣었지만, 가나는 아유가 동점골을 기록했다.

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가나312042+24
오스트레일리아311154+13
멕시코30303303
덴마크302114-32


5. 1. A조

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 A조에서는 폴란드가 2승 1무로 1위, 이탈리아가 2승 1패로 2위를 기록하며 8강에 진출했다. 미국은 1승 1무 1패, 쿠웨이트는 3패로 탈락했다.

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폴란드321072+55
이탈리아320134-14
미국311165+13
쿠웨이트300316-50

5. 2. B조

B조에서는 '''스페인/Españaes'''이 3전 전승으로 8강에 진출했고, '''카타르/قطر‎ar'''가 1승 1무 1패로 그 뒤를 이었다. 이집트와 콜롬비아는 각각 1승 2패, 1무 2패로 탈락했다.

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스페인330080+86
카타르311123-13
이집트310246-22
콜롬비아301249-51



1992년 7월 24일, 스페인은 발렌시아루이스 카사노바에서 열린 콜롬비아와의 경기에서 과르디올라, 키코, 베르헤스, 엔리케의 득점에 힘입어 4-0으로 승리했다. 같은 날 사바델의 노바 크레우 알타 경기장에서 열린 이집트와 카타르의 경기는 무스타파의 결승골로 카타르가 1-0으로 승리했다.

7월 27일, 스페인은 루이스 카사노바에서 이집트를 상대로 솔로사발솔레르의 골로 2-0 승리를 거두었다. 같은 날 노바 크레우 알타 경기장에서는 콜롬비아와 카타르가 아리스티사발과 수피의 득점으로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7월 29일, 스페인은 루이스 카사노바에서 카타르를 상대로 알폰소키코의 골로 2-0 승리를 거두며 조 1위를 확정지었다. 같은 날 노바 크레우 알타 경기장에서 열린 콜롬비아와 이집트의 경기는 난타전 끝에 이집트가 4-3으로 승리했다. 콜롬비아는 가비리아와 파체코가 득점했지만, 이집트의 유세프, 엘마스리, 카샤바에게 실점하며 패배했다.

5. 3. C조

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 C조 조별 리그는 7월 26일부터 7월 30일까지 진행되었다. 스웨덴과 파라과이가 8강에 진출하였다.

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스웨덴312051+44
파라과이312031+24
대한민국30302203
모로코301228-61


  • 1992년 7월 26일, 스웨덴파라과이는 사리아 경기장(바르셀로나)에서 맞붙어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 같은 날 모로코대한민국은 루이스 카사노바 경기장(발렌시아)에서 맞붙어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모로코의 바자가 선제골을 넣었지만, 대한민국의 정재권이 동점골을 넣었다.
  • 7월 28일, 스웨덴은 노바 크레우 알타 경기장(사바델)에서 모로코를 4-0으로 대파했다. 브롤린이 2골, 밀드와 뢰들룬드가 각각 1골씩 기록했다.
  • 같은 날 파라과이와 대한민국은 루이스 카사노바 경기장(발렌시아)에서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 7월 30일, 스웨덴과 대한민국은 사리아 경기장(바르셀로나)에서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대한민국의 서정원이 선제골을 넣었지만, 스웨덴의 뢰들룬드가 동점골을 넣었다.
  • 같은 날 파라과이는 루이스 카사노바 경기장(발렌시아)에서 모로코를 3-1로 꺾었다. 아르세, 카바예로, 가마라가 득점했고, 모로코는 나이베트가 1골을 만회했다.

5. 4. D조

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 D조에서는 가나오스트레일리아가 8강에 진출했다. 가나는 1승 2무(승점 4점)로 조 1위를 차지했고, 오스트레일리아는 1승 1무 1패(승점 3점)로 조 2위를 기록했다. 멕시코는 3무(승점 3점)로 조 3위, 덴마크는 2무 1패(승점 2점)로 조 4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7월 26일, 사라고사에스타디오 데 라 로마레다에서 열린 덴마크와 멕시코의 경기는 1-1 무승부로 끝났다. 멕시코는 로트얀이 페널티킥으로 선제골을 넣었지만, 덴마크는 톰센이 후반전에 동점골을 기록했다. 같은 날 사바델의 노바 크레우 알타 경기장에서 열린 가나와 오스트레일리아의 경기는 가나가 3-1로 승리했다. 가나는 가르고와 아유의 골로 앞서갔고, 오스트레일리아는 비드마가 한 골을 만회했다.

7월 28일, 사라고사에스타디오 데 라 로마레다에서 열린 덴마크와 가나의 경기는 0-0 무승부로 끝났다. 같은 날 바르셀로나에스타디 데 사리아에서 열린 멕시코와 오스트레일리아의 경기는 1-1 무승부였다. 오스트레일리아는 아람바시치가 선제골을 넣었지만, 멕시코는 카스타녜다가 동점골을 기록했다.

7월 30일, 사라고사에스타디오 데 라 로마레다에서 열린 덴마크와 오스트레일리아의 경기는 오스트레일리아가 3-0으로 승리했다. 오스트레일리아는 마르코프스키, 모리, 비드마가 연속골을 기록했다. 같은 날 사바델의 노바 크레우 알타 경기장에서 열린 멕시코와 가나의 경기는 1-1 무승부로 끝났다. 멕시코는 로트얀이 선제골을 넣었지만, 가나는 아유가 동점골을 기록했다.

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가나312042+24
오스트레일리아311154+13
멕시코30303303
덴마크302114-32


6. 결선 토너먼트

'''8강전'''

1992년 8월 1일, 루이스 카사노바 경기장(발렌시아)에서 열린 스페인이탈리아의 경기에서 키코의 득점에 힘입어 스페인이 1-0으로 승리했다. 같은 날 캄 노우(바르셀로나)에서 열린 폴란드카타르의 경기는 코발치크와 야워하의 연속골로 폴란드가 2-0으로 승리했다.

8월 2일, 에스타디오 데 라 로마레다(사라고사)에서 열린 파라과이와 가나의 경기는 연장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가나가 4-2로 승리했다. 파라과이는 아체암퐁의 자책골과 캄포스의 득점으로 앞서갔으나, 가나의 아유가 세 골을 넣고 라만이 추가골을 넣어 승리했다. 같은 날 캄 노우(바르셀로나)에서 열린 스웨덴과 오스트레일리아의 경기는 오스트레일리아가 마르코프스키와 머피의 골로 2-1로 승리했다. 스웨덴은 안데르손이 한 골을 넣었지만 역부족이었다.

'''준결승전'''

1992년 8월 5일에 준결승전 두 경기가 열렸다.

스페인과 가나의 경기는 발렌시아의 에스타디오 루이스 카사노바에서 열렸으며, 아벨라르도베르헤스의 골로 스페인이 2-0으로 승리했다.

폴란드오스트레일리아의 경기는 바르셀로나캄 노우에서 열렸으며, 코발치크와 유스코비아크가 각각 2골, 3골을 넣고 머피의 자책골까지 더해 폴란드가 6-1로 크게 이겼다. 오스트레일리아는 베어트가 한 골을 넣었다.

'''동메달 결정전'''

1992년 8월 7일 20시, 바르셀로나캄 노우에서 열린 동메달 결정전에서는 가나가 아이작 아사레의 득점에 힘입어 오스트레일리아를 1-0으로 꺾었다.

'''결승전'''

1992년 8월 8일, 바르셀로나캄 노우에서 열린 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 결승전에서 스페인폴란드를 3-2로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폴란드는 코발치크와 스타니에크가 득점했고, 스페인은 아벨라르도와 키코가 득점했다. 특히 키코는 경기 막판 두 골을 넣어 스페인의 승리를 이끌었다.

6. 1. 8강전

1992년 8월 1일, 루이스 카사노바 경기장(발렌시아)에서 열린 스페인과 이탈리아의 경기에서 키코의 득점에 힘입어 스페인이 1-0으로 승리했다. 같은 날 캄 노우(바르셀로나)에서 열린 폴란드와 카타르의 경기는 코발치크와 야워하의 연속골로 폴란드가 2-0으로 승리했다.

8월 2일, 에스타디오 데 라 로마레다(사라고사)에서 열린 파라과이와 가나의 경기는 연장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가나가 4-2로 승리했다. 파라과이는 아체암퐁의 자책골과 캄포스의 득점으로 앞서갔으나, 가나의 아유가 세 골을 넣고 라만이 추가골을 넣어 승리했다. 같은 날 캄 노우(바르셀로나)에서 열린 스웨덴과 오스트레일리아의 경기는 오스트레일리아가 마르코프스키와 머피의 골로 2-1로 승리했다. 스웨덴은 안데르손이 한 골을 넣었지만 역부족이었다.

6. 2. 준결승전

1992년 8월 5일에 준결승전 두 경기가 열렸다.

스페인과 가나의 경기는 발렌시아의 에스타디오 루이스 카사노바에서 열렸으며, 아벨라르도베르헤스의 골로 스페인이 2-0으로 승리했다. 이 경기의 관중 수는 36,000명이었고, 아르투로 브리시오 카르테르가 주심을 맡았다.

폴란드와 오스트레일리아의 경기는 바르셀로나캄 노우에서 열렸으며, 코발치크와 유스코비아크가 각각 2골, 3골을 넣고 머피의 자책골까지 더해 폴란드가 6-1로 크게 이겼다. 오스트레일리아는 베어트가 한 골을 넣었다. 이 경기의 관중 수는 45,000명이었고, 마르시우 헤젠지 지 프레이타스가 주심을 맡았다.

6. 3. 동메달 결정전

1992년 8월 7일 20시, 바르셀로나캄 노우에서 열린 동메달 결정전에서는 가나가 아이작 아사레의 득점에 힘입어 오스트레일리아를 1-0으로 꺾었다. 관중 수는 15,000명이었으며, 심판은 스페인의 마누엘 디아스 베가가 맡았다.

6. 4. 결승전

1992년 8월 8일, 바르셀로나캄 노우에서 열린 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 결승전에서 스페인폴란드를 3-2로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폴란드는 코발치크와 스타니에크가 득점했고, 스페인은 아벨라르도와 키코가 득점했다. 특히 키코는 경기 막판 두 골을 넣어 스페인의 승리를 이끌었다. 경기는 호세 토레스 카데나 (콜롬비아) 심판이 주관하였으며, 95,000명의 관중이 경기장을 찾았다.

7. 우승

스페인
1번째 우승



'''금메달''' – 스페인

호세 에밀리오 아마비스카, 라파엘 베르헤스, 산티아고 카니사레스, 아베랄도 페르난데스 안투냐, 알베르토 페레르, 호셉 과르디올라, 미겔 에르난데스, 토니 히메네스, 미켈 라사 고이코에체아, 후안 마누엘 로페스, 하비에르 만하린, 루이스 엔리케, 키코, 알폰소 페레스, 안토니오 피니야, 프란시스코 소렐, 가브리엘 비달, 로베르토 솔로사르발, 다비드 비야보나, 파키 베사, 감독: 비센테 미에라

'''은메달''' – 폴란드

다리우슈 아담추크, 마렉 바욜, 예지 브젠체크, 마렉 코지민스키, 다리우슈 갼시오르, 마르친 야보하, 토마슈 바핀스키, 토마슈 바우도프, 알렉산데르 크왁, 안제이 코비란스키, 리샤르트 스타니에크, 보이체흐 코발치크, 안제이 유스코비악, 그제고시 미엘카르스키, 피오트르 시비엘체프스키, 미로스와프 발리그라, 다리우슈 코세와, 아르카디우시 오니슈코, 다리우슈 슈베르트, 토마슈 비에슈치츠키, 감독: 야누슈 뷔치크

'''동메달''' – 가나

조아킴 요, 사이먼 애드, 사미 아제이, 맥스웰 코나두, 마무드 아마두, 아이작 아사레, 프랭크 아만크워, 니이 람프티, 베르나르도 알리예, 콰메 아유, 모하메드 갈고, 모하메드 카릴루, 이브라힘 도시, 사뮤엘 쿠포, 사뮤엘 쿠마, 앤서니 멘서, 알렉스 냐르코, 야우 프레코, 샤모 쿠아예, 올리 라만, 감독: 샘 아데이

8. 메달

종목
남자 축구



금메달
'''금메달''' – : 호세 아마비스카, 라파엘 베르헤스, 산티아고 카니사레스, 아벨라르도, 알베르트 페레르, 펩 과르디올라, 미겔 에르난데스, 토니 히메네스, 미켈 라사, 후안마 로페스, 하비에르 만하린, 루이스 엔리케, 키코, 알폰소 페레스, 안토니오 피닐라, 파코 솔레르, 가브리엘 비달, 로베르토 솔로사발, 다비드 비야보나, 파키, 감독: 빈센테 미에라

은메달
'''은메달''' – : 다리우슈 아담추크, 마렉 바요르, 예르지 브젠체크, 마렉 코즈민스키, 다리우슈 겐시오르, 마르친 야워하, 토마슈 라핀스키, 토마슈 바우도흐, 알렉산데르 크와크, 안제이 코빌란스키, 리샤르트 스타니에크, 보이치에흐 코발치크, 안제이 유스키아크, 그제고르즈 밀카르스키, 피오트르 스비에르체프스키, 미로스와프 발리구라, 다리우슈 코세와, 아르카디우슈 오니시코, 다리우슈 슈베르트, 토마슈 비에시치키, 감독: 야누슈 보이치크

동메달
'''동메달''' – : 요아힘 야우 아쳄퐁, 사이먼 아도, 새미 아제이, 맥스웰 코나두, 마무드 아마두, 아이작 아사레, 프랭크 아만크와, 니 램프테이, 버나드 아리, 콰메 아예우, 모하메드 가르고, 모하메드 칼리루, 이브라힘 도세이, 사무엘 쿠푸르, 사무엘 쿠마, 앤서니 멘사, 알렉스 냐르코, 야우 프레코, 샤모 쿠에이, 올리 라흐만, 감독: 샘 아르데이

9. 최종 순위

순위경기수득실차승점
1스페인6600142+1212
2폴란드6411176+119
3가나632196+38
4오스트레일리아6213812-45
5이탈리아420235-24
6스웨덴412163+34
7파라과이41215504
8카타르411225-33
9미국311165+13
10멕시코30303303
11대한민국30302203
12이집트310246-22
13덴마크302114-32
14콜롬비아301249-51
15모로코301228-61
16쿠웨이트300316-50

[7]

10. 득점 선수

대회 득점왕 안제이 유스코비악(Andrzej Juskowiak)


폴란드의 안제이 유스코비악(Andrzej Juskowiak)이 7골로 대회 득점왕에 올랐다. 총 57명의 선수가 87골을 기록했으며, 그중 2골은 자책골로 기록되었다.
7골
6골
5골4골
2골
1골
자책골

11. 심판

아프리카에서는 모하메드 센디드(Mohamed Sendid) (알제리ALG)와 림 키 충(Lim Kee Chong) (모리셔스MRI)이, 아시아에서는 다치 키이치로(Kiichiro Tachi) (일본JPN)와 알리 부자심(Ali Bujsaim) (아랍에미리트UAE)이 심판으로 참여했다. 남아메리카에서는 마르시오 레젠데 드 프레이타스(Márcio Rezende de Freitas) (브라질BRA), 호세 토레스 카데나(José Torres Cadena) (콜롬비아COL), 후안 프란시스코 에스코바르(Juan Francisco Escobar) (파라과이/1990PAR)가 심판을 맡았다.

북중미에서는 아르투로 브리시오 카터(Arturo Brizio Carter) (멕시코MEX)와 아르투로 앤젤레스(Arturo Angeles) (미국USA)가 심판으로 활동했다. 유럽에서는 루베 스파소프(Lube Spassov) (불가리아BUL), 필립 돈(Philip Don) (영국GBR), 마르쿠스 메르크(Markus Merk) (독일GER), 파비오 발다스(Fabio Baldas) (이탈리아ITA), 마누엘 디아스 베가(Manuel Díaz Vega) (스페인ESP)가 심판을 맡았다.

참조

[1] 웹사이트 Football at the 1992 Barcelona Summer Games https://www.sports-r[...] 2018-11-01
[2] 뉴스 FIFA SETS OLYMPICS AGE LIMIT https://www.washingt[...] 2024-03-01
[3] 뉴스 Sports News Briefs; Age Limit is Set For Games Soccer https://www.nytimes.[...] 1988-07-04
[4] 웹사이트 Who was the last goalkeeper to legally pick up a backpass? https://www.theguard[...] 2015-02-18
[5] 웹사이트 IOC to Welcome Palestine : Olympics: Two decades after Munich massacre, executive committee recommends membership. https://www.latimes.[...] 1993-09-19
[6] 웹사이트 Football Tournament 1992 Olympiad https://www.rsssf.or[...]
[7] 웹사이트 Football Tournament 1992 Olympiad https://www.rsssf.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