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되었으며, 총 16개 팀이 참가하여 우승을 다퉜다. 스페인은 결승전에서 폴란드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고, 가나가 동메달을 차지했다. 대회 득점왕은 7골을 기록한 폴란드의 안제이 유스코비악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 - 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 선수 명단
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 선수 명단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올림픽 축구 종목에 참가한 각 국가별 U-23 대표팀 선수들의 명단과 감독 정보를 담고 있다. - 바르셀로나의 축구 - 1999 UEFA 챔피언스리그 결승전
1999 UEFA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은 1999년 5월 26일 캄 노우에서 열린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와 바이에른 뮌헨의 경기에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가 경기 종료 직전 연속 골로 2-1로 승리하며 잉글랜드 클럽 최초로 트레블을 달성한 경기이다. - 바르셀로나의 축구 - 인터시티스 페어스컵 트로피 플레이오프
인터시티스 페어스컵 트로피 플레이오프는 1971년 바르셀로나와 리즈 유나이티드 AFC의 경기이며, 바르셀로나가 2-1로 승리했다. - 1992년 하계 올림픽 경기 종목 - 1992년 하계 올림픽 야구
1992년 하계 올림픽 야구는 야구가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처음 채택된 대회로, 쿠바가 금메달, 중화 타이베이가 은메달, 일본이 동메달을 차지하며 아마추어 야구 최강국 쿠바의 실력과 아시아 야구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1992년 하계 올림픽 경기 종목 - 1992년 하계 올림픽 유도
1992년 하계 올림픽 유도는 바르셀로나에서 남자와 여자 각 7체급씩 총 14개 세부 종목으로 진행되었고, 여자 유도 종목이 처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대한민국은 김미정의 금메달과 윤현의 은메달을 획득했다.
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명칭 | 하계 올림픽 축구 토너먼트 |
연도 | 1992년 |
크기 | 220 |
개최국 | 스페인 |
기간 | 1992년 7월 24일 – 1992년 8월 8일 |
참가 팀 수 | 16 |
참가 연맹 | 6 |
경기장 수 | 5 |
개최 도시 수 | 4 |
결과 | |
우승 횟수 | 1 |
통계 | |
경기 수 | 32 |
총 득점 | 87 |
평균 관중 수 | null |
최다 득점자 | 안제이 유스코비아크 |
최다 득점 | 7골 |
대회 연혁 | |
이전 대회 | 1988 |
다음 대회 | 1996 (남자) |
2. 대회 예선
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에는 총 16개국이 본선에 진출했다. 개최국인 스페인을 제외하고, 각 대륙별 예선을 통해 진출 국가가 결정되었다.
대륙 연맹 | 예선 대회 | 진출국 |
---|---|---|
AFC | 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 아시아 지역 예선 | 카타르, 대한민국, 쿠웨이트 |
CAF | 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 아프리카 지역 예선 | 이집트, 가나, 모로코 |
CONCACAF | 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 북중미 지역 예선 | 멕시코, 미국 |
CONMEBOL | 1992년 CONMEBOL 올림픽 남자 축구 예선 | 콜롬비아, 파라과이 |
OFC | OFC-UEFA 플레이오프 | 오스트레일리아 |
UEFA | 1992년 UEFA U-21 축구 선수권 대회 | 이탈리아, 스웨덴, 덴마크, 폴란드 |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1위 팀인 오스트레일리아는 유럽 지역 예선 4위 팀인 네덜란드와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치렀다. 1차전은 1992년 5월 17일 시드니에서, 2차전은 1992년 5월 24일 위트레흐트에서 열렸으며, 합계 3-3으로 원정 다득점 원칙에 따라 오스트레일리아가 본선에 진출했다.
2. 1. 지역 예선
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에는 총 16개국이 본선에 진출했다. 개최국인 스페인을 제외하고, 각 대륙별 예선을 통해 진출 국가가 결정되었다.대륙 연맹 | 예선 대회 | 진출국 |
---|---|---|
AFC | 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 아시아 지역 예선 | 카타르, 대한민국, 쿠웨이트 |
CAF | 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 아프리카 지역 예선 | 이집트, 가나, 모로코 |
CONCACAF | 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 북중미 지역 예선 | 멕시코, 미국 |
CONMEBOL | 1992년 CONMEBOL 올림픽 남자 축구 예선 | 콜롬비아, 파라과이 |
OFC | OFC-UEFA 플레이오프 | 오스트레일리아 |
UEFA | 1992년 UEFA U-21 축구 선수권 대회 | 이탈리아, 스웨덴, 덴마크, 폴란드 |
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 경기는 4개 도시, 5개 경기장에서 개최되었다.
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 선수 명단 문서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 1위 팀인 오스트레일리아는 유럽 지역 예선 4위 팀인 네덜란드와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치렀다. 1차전은 1992년 5월 17일 시드니에서, 2차전은 1992년 5월 24일 위트레흐트에서 열렸으며, 합계 3-3으로 원정 다득점 원칙에 따라 오스트레일리아가 본선에 진출했다.
3. 경기장
바르셀로나 발렌시아 캄프 누 에스타디 데 사리아 에스타디오 루이스 카사노바 수용 인원: 100,000 수용 인원: 42,000 수용 인원: 50,000 사바델 {{location map+|스페인|float=none|width=410|caption=|places= 에스타디 데 라 노바 크루 알타 수용 인원: 16,000 사라고사 에스타디오 라 로마레다 수용 인원: 43,001
4. 선수 명단
5. 조별 리그
width="10" bgcolor="#ccffcc" | 8강 진출 width="10" bgcolor="#cccccc" | 조별리그 탈락
각 조 상위 2개국이 8강에 진출할 수 있다.
※경기 시작 시각은 모두 중부유럽 표준시 (UTC+2)
=== A조 ===
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 A조에서는 폴란드가 2승 1무로 1위, 이탈리아가 2승 1패로 2위를 기록하며 8강에 진출했다. 미국은 1승 1무 1패, 쿠웨이트는 3패로 탈락했다.
=== B조 ===
B조에서는 스페인이 3전 전승으로 8강에 진출했고, 카타르가 1승 1무 1패로 그 뒤를 이었다. 이집트와 콜롬비아는 각각 1승 2패, 1무 2패로 탈락했다.
1992년 7월 24일, 스페인은 발렌시아의 루이스 카사노바에서 열린 콜롬비아와의 경기에서 과르디올라, 키코, 베르헤스, 엔리케의 득점에 힘입어 4-0으로 승리했다. 같은 날 사바델의 노바 크레우 알타 경기장에서 열린 이집트와 카타르의 경기는 무스타파의 결승골로 카타르가 1-0으로 승리했다.
7월 27일, 스페인은 루이스 카사노바에서 이집트를 상대로 솔로사발과 솔레르의 골로 2-0 승리를 거두었다. 같은 날 노바 크레우 알타 경기장에서는 콜롬비아와 카타르가 아리스티사발과 수피의 득점으로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7월 29일, 스페인은 루이스 카사노바에서 카타르를 상대로 알폰소와 키코의 골로 2-0 승리를 거두며 조 1위를 확정지었다. 같은 날 노바 크레우 알타 경기장에서 열린 콜롬비아와 이집트의 경기는 난타전 끝에 이집트가 4-3으로 승리했다. 콜롬비아는 가비리아와 파체코가 득점했지만, 이집트의 유세프, 엘마스리, 카샤바에게 실점하며 패배했다.
=== C조 ===
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 C조 조별 리그는 7월 26일부터 7월 30일까지 진행되었다. 스웨덴과 파라과이가 8강에 진출하였다.
- 1992년 7월 26일, 스웨덴과 파라과이는 사리아 경기장(바르셀로나)에서 맞붙어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 같은 날 모로코와 대한민국은 루이스 카사노바 경기장(발렌시아)에서 맞붙어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모로코의 바자가 선제골을 넣었지만, 대한민국의 정재권이 동점골을 넣었다.
- 7월 28일, 스웨덴은 노바 크레우 알타 경기장(사바델)에서 모로코를 4-0으로 대파했다. 브롤린이 2골, 밀드와 뢰들룬드가 각각 1골씩 기록했다.
- 같은 날 파라과이와 대한민국은 루이스 카사노바 경기장(발렌시아)에서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 7월 30일, 스웨덴과 대한민국은 사리아 경기장(바르셀로나)에서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대한민국의 서정원이 선제골을 넣었지만, 스웨덴의 뢰들룬드가 동점골을 넣었다.
- 같은 날 파라과이는 루이스 카사노바 경기장(발렌시아)에서 모로코를 3-1로 꺾었다. 아르세, 카바예로, 가마라가 득점했고, 모로코는 나이베트가 1골을 만회했다.
=== D조 ===
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 D조에서는 가나와 오스트레일리아가 8강에 진출했다. 가나는 1승 2무(승점 4점)로 조 1위를 차지했고, 오스트레일리아는 1승 1무 1패(승점 3점)로 조 2위를 기록했다. 멕시코는 3무(승점 3점)로 조 3위, 덴마크는 2무 1패(승점 2점)로 조 4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7월 26일, 사라고사의 에스타디오 데 라 로마레다에서 열린 덴마크와 멕시코의 경기는 1-1 무승부로 끝났다. 멕시코는 로트얀이 페널티킥으로 선제골을 넣었지만, 덴마크는 톰센이 후반전에 동점골을 기록했다. 같은 날 사바델의 노바 크레우 알타 경기장에서 열린 가나와 오스트레일리아의 경기는 가나가 3-1로 승리했다. 가나는 가르고와 아유의 골로 앞서갔고, 오스트레일리아는 비드마가 한 골을 만회했다.
7월 28일, 사라고사의 에스타디오 데 라 로마레다에서 열린 덴마크와 가나의 경기는 0-0 무승부로 끝났다. 같은 날 바르셀로나의 에스타디 데 사리아에서 열린 멕시코와 오스트레일리아의 경기는 1-1 무승부였다. 오스트레일리아는 아람바시치가 선제골을 넣었지만, 멕시코는 카스타녜다가 동점골을 기록했다.
7월 30일, 사라고사의 에스타디오 데 라 로마레다에서 열린 덴마크와 오스트레일리아의 경기는 오스트레일리아가 3-0으로 승리했다. 오스트레일리아는 마르코프스키, 모리, 비드마가 연속골을 기록했다. 같은 날 사바델의 노바 크레우 알타 경기장에서 열린 멕시코와 가나의 경기는 1-1 무승부로 끝났다. 멕시코는 로트얀이 선제골을 넣었지만, 가나는 아유가 동점골을 기록했다.
5. 1. A조
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 A조에서는 폴란드가 2승 1무로 1위, 이탈리아가 2승 1패로 2위를 기록하며 8강에 진출했다. 미국은 1승 1무 1패, 쿠웨이트는 3패로 탈락했다.- 7월 24일, 이탈리아는 캄 노우에서 열린 미국과의 경기에서 멜리와 알베르티니의 골로 2-1 승리를 거두었다. 같은 날 라 로마레다에서 열린 폴란드와 쿠웨이트의 경기는 유스코비아크의 두 골로 폴란드가 2-0으로 승리했다.
- 7월 27일, 라 로마레다에서 미국은 브로즈, 라고스, 스노의 골로 쿠웨이트를 3-1로 꺾었다. 같은 날 사리아에서 열린 이탈리아와 폴란드의 경기는 유스코비아크, 스타니에크, 미엘차르스키의 연속골로 폴란드가 3-0 완승을 거두었다.
- 7월 29일, 라 로마레다에서 열린 미국과 폴란드의 경기는 2-2 무승부로 끝났다. 미국의 임러와 스노가 득점하고, 폴란드의 코지민스키와 유스코비아크가 득점하였다. 같은 날 사리아에서 열린 이탈리아와 쿠웨이트의 경기는 멜리의 결승골로 이탈리아가 1-0으로 승리했다.
5. 2. B조
B조에서는 '''스페인/Españaes'''이 3전 전승으로 8강에 진출했고, '''카타르/قطرar'''가 1승 1무 1패로 그 뒤를 이었다. 이집트와 콜롬비아는 각각 1승 2패, 1무 2패로 탈락했다.
1992년 7월 24일, 스페인은 발렌시아의 루이스 카사노바에서 열린 콜롬비아와의 경기에서 과르디올라, 키코, 베르헤스, 엔리케의 득점에 힘입어 4-0으로 승리했다. 같은 날 사바델의 노바 크레우 알타 경기장에서 열린 이집트와 카타르의 경기는 무스타파의 결승골로 카타르가 1-0으로 승리했다.
7월 27일, 스페인은 루이스 카사노바에서 이집트를 상대로 솔로사발과 솔레르의 골로 2-0 승리를 거두었다. 같은 날 노바 크레우 알타 경기장에서는 콜롬비아와 카타르가 아리스티사발과 수피의 득점으로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7월 29일, 스페인은 루이스 카사노바에서 카타르를 상대로 알폰소와 키코의 골로 2-0 승리를 거두며 조 1위를 확정지었다. 같은 날 노바 크레우 알타 경기장에서 열린 콜롬비아와 이집트의 경기는 난타전 끝에 이집트가 4-3으로 승리했다. 콜롬비아는 가비리아와 파체코가 득점했지만, 이집트의 유세프, 엘마스리, 카샤바에게 실점하며 패배했다.
5. 3. C조
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 C조 조별 리그는 7월 26일부터 7월 30일까지 진행되었다. 스웨덴과 파라과이가 8강에 진출하였다.- 1992년 7월 26일, 스웨덴과 파라과이는 사리아 경기장(바르셀로나)에서 맞붙어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 같은 날 모로코와 대한민국은 루이스 카사노바 경기장(발렌시아)에서 맞붙어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모로코의 바자가 선제골을 넣었지만, 대한민국의 정재권이 동점골을 넣었다.
- 7월 28일, 스웨덴은 노바 크레우 알타 경기장(사바델)에서 모로코를 4-0으로 대파했다. 브롤린이 2골, 밀드와 뢰들룬드가 각각 1골씩 기록했다.
- 같은 날 파라과이와 대한민국은 루이스 카사노바 경기장(발렌시아)에서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 7월 30일, 스웨덴과 대한민국은 사리아 경기장(바르셀로나)에서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대한민국의 서정원이 선제골을 넣었지만, 스웨덴의 뢰들룬드가 동점골을 넣었다.
- 같은 날 파라과이는 루이스 카사노바 경기장(발렌시아)에서 모로코를 3-1로 꺾었다. 아르세, 카바예로, 가마라가 득점했고, 모로코는 나이베트가 1골을 만회했다.
5. 4. D조
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 D조에서는 가나와 오스트레일리아가 8강에 진출했다. 가나는 1승 2무(승점 4점)로 조 1위를 차지했고, 오스트레일리아는 1승 1무 1패(승점 3점)로 조 2위를 기록했다. 멕시코는 3무(승점 3점)로 조 3위, 덴마크는 2무 1패(승점 2점)로 조 4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7월 26일, 사라고사의 에스타디오 데 라 로마레다에서 열린 덴마크와 멕시코의 경기는 1-1 무승부로 끝났다. 멕시코는 로트얀이 페널티킥으로 선제골을 넣었지만, 덴마크는 톰센이 후반전에 동점골을 기록했다. 같은 날 사바델의 노바 크레우 알타 경기장에서 열린 가나와 오스트레일리아의 경기는 가나가 3-1로 승리했다. 가나는 가르고와 아유의 골로 앞서갔고, 오스트레일리아는 비드마가 한 골을 만회했다.
7월 28일, 사라고사의 에스타디오 데 라 로마레다에서 열린 덴마크와 가나의 경기는 0-0 무승부로 끝났다. 같은 날 바르셀로나의 에스타디 데 사리아에서 열린 멕시코와 오스트레일리아의 경기는 1-1 무승부였다. 오스트레일리아는 아람바시치가 선제골을 넣었지만, 멕시코는 카스타녜다가 동점골을 기록했다.
7월 30일, 사라고사의 에스타디오 데 라 로마레다에서 열린 덴마크와 오스트레일리아의 경기는 오스트레일리아가 3-0으로 승리했다. 오스트레일리아는 마르코프스키, 모리, 비드마가 연속골을 기록했다. 같은 날 사바델의 노바 크레우 알타 경기장에서 열린 멕시코와 가나의 경기는 1-1 무승부로 끝났다. 멕시코는 로트얀이 선제골을 넣었지만, 가나는 아유가 동점골을 기록했다.
6. 결선 토너먼트
'''8강전'''
1992년 8월 1일, 루이스 카사노바 경기장(발렌시아)에서 열린 스페인과 이탈리아의 경기에서 키코의 득점에 힘입어 스페인이 1-0으로 승리했다. 같은 날 캄 노우(바르셀로나)에서 열린 폴란드와 카타르의 경기는 코발치크와 야워하의 연속골로 폴란드가 2-0으로 승리했다.
8월 2일, 에스타디오 데 라 로마레다(사라고사)에서 열린 파라과이와 가나의 경기는 연장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가나가 4-2로 승리했다. 파라과이는 아체암퐁의 자책골과 캄포스의 득점으로 앞서갔으나, 가나의 아유가 세 골을 넣고 라만이 추가골을 넣어 승리했다. 같은 날 캄 노우(바르셀로나)에서 열린 스웨덴과 오스트레일리아의 경기는 오스트레일리아가 마르코프스키와 머피의 골로 2-1로 승리했다. 스웨덴은 안데르손이 한 골을 넣었지만 역부족이었다.
'''준결승전'''
1992년 8월 5일에 준결승전 두 경기가 열렸다.
스페인과 가나의 경기는 발렌시아의 에스타디오 루이스 카사노바에서 열렸으며, 아벨라르도와 베르헤스의 골로 스페인이 2-0으로 승리했다.
폴란드와 오스트레일리아의 경기는 바르셀로나의 캄 노우에서 열렸으며, 코발치크와 유스코비아크가 각각 2골, 3골을 넣고 머피의 자책골까지 더해 폴란드가 6-1로 크게 이겼다. 오스트레일리아는 베어트가 한 골을 넣었다.
'''동메달 결정전'''
1992년 8월 7일 20시, 바르셀로나의 캄 노우에서 열린 동메달 결정전에서는 가나가 아이작 아사레의 득점에 힘입어 오스트레일리아를 1-0으로 꺾었다.
'''결승전'''
1992년 8월 8일, 바르셀로나의 캄 노우에서 열린 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 결승전에서 스페인은 폴란드를 3-2로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폴란드는 코발치크와 스타니에크가 득점했고, 스페인은 아벨라르도와 키코가 득점했다. 특히 키코는 경기 막판 두 골을 넣어 스페인의 승리를 이끌었다.
6. 1. 8강전
1992년 8월 1일, 루이스 카사노바 경기장(발렌시아)에서 열린 스페인과 이탈리아의 경기에서 키코의 득점에 힘입어 스페인이 1-0으로 승리했다. 같은 날 캄 노우(바르셀로나)에서 열린 폴란드와 카타르의 경기는 코발치크와 야워하의 연속골로 폴란드가 2-0으로 승리했다.8월 2일, 에스타디오 데 라 로마레다(사라고사)에서 열린 파라과이와 가나의 경기는 연장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가나가 4-2로 승리했다. 파라과이는 아체암퐁의 자책골과 캄포스의 득점으로 앞서갔으나, 가나의 아유가 세 골을 넣고 라만이 추가골을 넣어 승리했다. 같은 날 캄 노우(바르셀로나)에서 열린 스웨덴과 오스트레일리아의 경기는 오스트레일리아가 마르코프스키와 머피의 골로 2-1로 승리했다. 스웨덴은 안데르손이 한 골을 넣었지만 역부족이었다.
6. 2. 준결승전
1992년 8월 5일에 준결승전 두 경기가 열렸다.스페인과 가나의 경기는 발렌시아의 에스타디오 루이스 카사노바에서 열렸으며, 아벨라르도와 베르헤스의 골로 스페인이 2-0으로 승리했다. 이 경기의 관중 수는 36,000명이었고, 아르투로 브리시오 카르테르가 주심을 맡았다.
폴란드와 오스트레일리아의 경기는 바르셀로나의 캄 노우에서 열렸으며, 코발치크와 유스코비아크가 각각 2골, 3골을 넣고 머피의 자책골까지 더해 폴란드가 6-1로 크게 이겼다. 오스트레일리아는 베어트가 한 골을 넣었다. 이 경기의 관중 수는 45,000명이었고, 마르시우 헤젠지 지 프레이타스가 주심을 맡았다.
6. 3. 동메달 결정전
1992년 8월 7일 20시, 바르셀로나의 캄 노우에서 열린 동메달 결정전에서는 가나가 아이작 아사레의 득점에 힘입어 오스트레일리아를 1-0으로 꺾었다. 관중 수는 15,000명이었으며, 심판은 스페인의 마누엘 디아스 베가가 맡았다.6. 4. 결승전
1992년 8월 8일, 바르셀로나의 캄 노우에서 열린 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 결승전에서 스페인은 폴란드를 3-2로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폴란드는 코발치크와 스타니에크가 득점했고, 스페인은 아벨라르도와 키코가 득점했다. 특히 키코는 경기 막판 두 골을 넣어 스페인의 승리를 이끌었다. 경기는 호세 토레스 카데나 (콜롬비아) 심판이 주관하였으며, 95,000명의 관중이 경기장을 찾았다.7. 우승
스페인
1번째 우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