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9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9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은 30개국이 참가하여 1차 예선을 거쳐 6개 팀이 최종 예선에 진출, 본선 진출팀을 가렸다. 1차 예선은 6개 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각 조 1위 팀이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최종 예선은 카타르 도하에서 풀리그 방식으로 진행되었고, 사우디아라비아와 대한민국이 본선에 진출했다. 대한민국은 최종전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승리하고, 일본이 이라크와 무승부를 기록하면서 극적으로 본선에 진출하여 '도하의 기적'으로 불렸으며, 일본은 경기 종료 직전 동점골을 허용하며 본선 진출에 실패하여 '도하의 비극'으로 불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4년 FIFA 월드컵 예선 - 1993년 잠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항공기 참사
    1993년 잠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항공기 참사는 1993년 4월 27일 가봉 리브르빌 인근 해상에서 잠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을 태운 항공기가 추락하여 30명이 사망한 사고이며, 조종사 실수로 인한 엔진 정지가 원인으로 밝혀졌다.
  • 1994년 FIFA 월드컵 예선 - 1994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
    1994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은 23개 팀이 참가하여 1992년부터 1993년까지 진행되었으며, 멕시코가 본선에 직행하고 캐나다는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하기 위해 카리브, 중앙 아메리카 지역 예선을 거쳐 최종 예선을 치렀다.
  •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 198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198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은 27개 팀이 참가하여 이라크와 대한민국이 본선에 진출했으며, 홍콩이 중국을 꺾는 이변과 대한민국이 일본을 꺾고 본선 진출을 확정지은 대회이다.
  •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은 아시아 축구 연맹 소속 국가들이 2026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을 위해 1차, 2차, 3차, 4차, 5차 예선(플레이오프)을 거쳐 본선 직행 8개 팀과 플레이오프를 통한 1개 팀을 선발하는 경기이다.
199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대회 정보
대회 명칭1994년 FIFA 월드컵 예선 (AFC)
참가 팀 수30개국
최고 득점자가즈요시 미우라(13골)
이전 대회1990년 FIFA 월드컵 예선 (AFC)
다음 대회1998년 FIFA 월드컵 예선 (AFC)
FIFA 월드컵 예선 (AFC) 연혁

2. 1차 예선

199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1차 예선에는 30개국이 참가하여 6개 조로 나뉘어 경기를 진행했다. 각 조는 4~5개 팀으로 구성되었으며,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팀당 6~8경기를 치렀다. 각 조 1위 팀은 2차 예선에 진출했다. 미얀마네팔은 기권했다.[1]

각 조 1위 팀은 다음과 같다.



A조에서는 이라크중국을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 이라크는 1990년대 초 걸프 전쟁과 국제사회의 제재 속에서도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1] B조에서는 이란시리아가 승점은 같았으나, 골득실에서 앞선 이란이 1위를 차지했다. 중화 타이베이는 전패를 기록했고, 미얀마는 기권했다.[2]

C조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1위를 차지했다. D조에서는 대한민국레바논 원정에서 승리하는 등 중동 원정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며 1위를 차지했다.[1] E조에서는 사우디아라비아가 1위를 차지했고, 네팔은 기권했다.[1] F조에서는 일본이 1위를 차지했다.

2. 1. A조 (이라크, 중국, 예멘, 요르단, 파키스탄)

승점경기
이라크138611284+24
중국128602184+14
예멘883231213-1
요르단782331215-3
파키스탄08008236-34



A조 1차전은 요르단 이르비드에서, 2차전은 중국 청두에서 진행되었다.

 width="30" |width="30" |width="30" |width="30" |width="30" |
이라크1-03-04-04-0
중국2-11-04-13-0
예멘1-61-01-15-1
요르단1-10-31-13-1
파키스탄0-80-50-30-5



경기일경기장소
1993년 5월 22일0 – 5이르비드
1993년 5월 22일1 – 1이르비드
1993년 5월 24일5 – 1이르비드
1993년 5월 24일1 – 1이르비드
1993년 5월 26일1 – 6이르비드
1993년 5월 26일0 – 3이르비드
1993년 5월 28일1 – 0이르비드
1993년 5월 28일0 – 8이르비드
1993년 5월 30일3 – 1이르비드
1993년 5월 30일1 – 0이르비드
1993년 6월 12일1 – 1청두
1993년 6월 12일3 – 0청두
1993년 6월 14일0 – 3청두
1993년 6월 14일4 – 0청두
1993년 6월 16일4 – 1청두
1993년 6월 16일3 – 0청두
1993년 6월 18일4 – 0청두
1993년 6월 18일1 – 0청두
1993년 6월 20일2 – 1청두
1993년 6월 20일0 – 5청두



이라크가 6승 1무 1패(승점 13점)로 2차 예선에 진출하였다. 중국은 이라크에 이어 2위를 기록했지만, 2차 예선 진출에는 실패했다. 이라크는 1990년대 초 걸프 전쟁과 그에 따른 국제사회의 제재로 인해 어려운 상황에 놓여 있었지만, 뛰어난 경기력을 보여주며 최종 예선 진출에 성공했다.[1]

2. 2. B조 (이란, 시리아, 오만, 중화 타이베이)

이란이 3승 3무(승점 9점)로 1위를 차지하며 2차 예선에 진출했다. 시리아는 이란과 승점이 같았지만, 골득실에서 밀려 2위를 기록, 2차 예선 진출에 실패했다. 중화 타이베이는 6전 전패를 당하며 조 최하위를 기록했다. 미얀마는 기권했다.[2]

2. 3. C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카타르,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베트남)

C조의 경기는 1차전은 카타르 도하, 2차전은 싱가포르에서 개최되었다.

국가승점경기 수득점실점득실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15871019613
카타르11851222814
싱가포르10850312120
인도네시아28107619-13
베트남28107418-14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최종 라운드에 진출하였다.

2. 4. D조 (대한민국, 바레인, 레바논, 홍콩, 인도)

국가승점경기 수득점실점득실차
대한민국158710231+22
바레인9833296+3
레바논8824289-1
홍콩58215919-10
인도38116822-14



대한민국은 7승 1무(승점 15점)로 1위를 차지하며 2차 예선에 진출했다. 특히 레바논과의 원정 경기에서 1:0으로 승리하는 등, 중동 원정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며 최종 예선 진출의 발판을 마련했다. 바레인은 2위를 기록했지만, 2차 예선 진출에는 실패했다.[1]

1차전은 레바논 베이루트에서, 2차전은 대한민국 서울에서 개최되었다.[1]

2. 5. E조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말레이시아, 마카오)

국가승점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
사우디아라비아10642020119
쿠웨이트8632121417
말레이시아662221679
마카오06006146-45



E조 1차전은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2차전은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개최되었다. 사우디아라비아가 4승 2무(승점 10점)로 1위를 차지하며 2차 예선에 진출하였다. 쿠웨이트는 2위를 기록했지만, 2차 예선 진출에는 실패했다. 네팔은 기권했다.[1]

2. 6. F조 (일본, 아랍에미리트, 태국, 방글라데시, 스리랑카)

199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F조는 일본이 7승 1무(승점 15점)로 1위를 차지하며 2차 예선에 진출했다. 아랍에미리트는 2위를 기록했지만, 2차 예선 진출에는 실패했다. 경기는 1차전은 일본 도쿄, 2차전은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서 열렸다.

국가승점경기 수득점실점득실차
일본15871028226
아랍에미리트13861119415
태국884041376
방글라데시48206728-21
스리랑카08008026-26


3. 2차 예선 (최종 예선)

1차 예선을 통과한 대한민국, 사우디아라비아, 일본, 이라크, 이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6개 팀이 카타르 도하에서 풀리그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각 팀은 5경기씩 치렀으며, 상위 2개 팀이 1994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1]

당시 이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이라크는 미국으로부터 경제 제재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이들 국가가 미국에서 열리는 월드컵에 출전할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미국에서 제기되었다.[1]

최종 라운드 결과, '''사우디아라비아'''와 '''대한민국'''이 본선에 진출하였다.

3. 1. 경기 결과 및 순위

순위경기득점실점득실차승점
1사우디아라비아523086+27
2대한민국522194+56
3일본522174+36
4이라크51319905
5이란5203811−34
6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5104512−72



사우디아라비아가 2승 3무(승점 7점)로 1위를 차지하며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1] 대한민국은 2승 2무 1패(승점 6점)로 2위를 차지하며 일본과 승점이 같았지만 골득실차에서 앞서 월드컵 본선 진출권을 획득했다. 대한민국은 최종전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3:0으로 승리하고, 같은 시각 일본이 이라크와 2:2 무승부를 기록하면서 극적으로 본선 진출에 성공했다. (도하의 기적한국어) 일본은 이라크와의 최종전에서 경기 종료 직전 동점골을 허용하며, 다 잡았던 월드컵 본선 진출권을 놓치고 말았다. (도하의 비극한국어) 이란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각각 4위와 6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1]

진출 자격진출 날짜FIFA 월드컵 역대 출전
사우디아라비아최종 라운드 우승팀1993년 10월 28일0 (첫 출전)
대한민국최종 라운드 준우승팀1993년 10월 28일3 (1954, 1986, 1990)


3. 2. 한국 대표팀의 최종 예선 경기 결과

대한민국 대표팀은 최종 예선에서 다음과 같은 경기를 치렀다.



최종 예선에서 대한민국 대표팀 선수들의 득점 기록은 다음과 같다.

참조

[1] 웹사이트 LIBYAN BAN RAISES CUP QUESTIONS https://www.chicagot[...] 2022-06-09
[2] 뉴스 辛홍기·洪명보 베스트11에 https://newslibrary.[...] Kyunghyang 1993-10-30
[3] 뉴스 辛홍기·洪명보「아시아베스트11」올라 https://newslibrary.[...] Maeil Business Newspaper 1993-10-30
[4] 웹사이트 No.26 レフェリーは大陸を超えて http://www.soccertal[...] 1993-10-26
[5] 뉴스 월드컵대표 최문식·차상해등 22명 확정 https://newslibrary.[...] 한겨레신문 2022-01-25
[6] 뉴스 ‘불운의 득점왕’ - 차상해② https://news.kbs.co.[...] KBS NEWS 2022-01-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