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002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2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는 예선 라운드와 조별 예선을 거쳐 16강 토너먼트로 진행되었다. 예선에서는 클루브 아메리카와 모나르카스 모렐리아가 조별 예선에 진출했으며, 조별 예선에서는 각 조 상위 두 팀이 16강에 진출했다. 16강부터 결승까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결승전에서는 클루브 올림피아가 AD 상카에타누를 승부차기 끝에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2년 축구 - 2002년 FIFA 월드컵
    2002년 FIFA 월드컵은 대한민국과 일본이 공동 개최하여 브라질이 우승했으며 아시아 축구 발전의 계기가 된 최초의 아시아 개최이자 2개국 이상 공동 개최 월드컵이다.
  • 2002년 축구 - 2002년 OFC 네이션스컵
    2002년 OFC 네이션스컵은 뉴질랜드에서 개최되어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등 8개국이 참가, 뉴질랜드가 결승에서 오스트레일리아를 꺾고 우승을 차지한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의 국제 축구 대회이다.
  •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시즌 - 1999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1999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는 2월 21일부터 6월 16일까지 열린 40번째 시즌으로, 브라질의 파우메이라스가 콜롬비아의 데포르티보 칼리를 승부차기 끝에 꺾고 우승했으며, 파우메이라는 8강에서 코린치안스를 승부차기로 이기는 이변을 낳았다.
  •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시즌 - 1998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1998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는 남미 축구 연맹이 주관한 39번째 대회로, 바스쿠 다 가마가 바르셀로나를 꺾고 우승했으며 멕시코와 베네수엘라 클럽들이 예선에 참가했다.
  • 스포츠에 관한 - 호프 솔로
    호프 솔로는 미국의 여자 축구 골키퍼로, 고등학교 시절 공격수로 활약하다 골키퍼로 전향하여 미국 여자 프로 축구 리그와 국가대표팀에서 활동하며 올림픽 금메달, 월드컵 우승 등을 기록했다.
  • 스포츠에 관한 - 토마스 바흐
    토마스 바흐는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펜싱 금메달리스트 출신으로, 변호사, 기업 임원 등을 거쳐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위원장으로 활동하며 올림픽 어젠다 2020을 추진했으나, 일부 논란으로 비판을 받기도 하고 2024년 파리 올림픽 이후 IOC 위원장직에서 물러날 예정이다.
2002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대회 정보
대회 명칭코파 리베르타도레스 데 아메리카
연도2002
다른 명칭2002 코파 도요타 리베르타도레스 데 아메리카
기간2002년 2월 5일 – 2002년 7월 31일
참가 팀 수32
참가 협회 수11
경기 수126
총 득점347
이전 시즌2001
다음 시즌2003
결과
우승올림피아
우승 횟수3
준우승상카에타누
득점왕호드리고 멘데스 (10골)
최우수 선수세르히오 오르테만

2. 예선 라운드

예선 라운드에서는 멕시코와 베네수엘라 팀들이 참가하여 조별 예선을 치렀다.[1]

2. 1. 예선 결과

preliminary roundes 결과는 다음과 같다.[1]

승점경기
아메리카136411155+10
모렐리아9630398+1
카라카스76213770
트루히야노스66204415-11



 AMEMORCARTRU
아메리카bgcolor="#CCCCCC"|2-01-07-1
모렐리아1-3bgcolor="#CCCCCC"|3-03-0
카라카스1-13-1bgcolor="#CCCCCC"|3-0
트루히야노스2-10-11-0bgcolor="#CCCCCC"|



멕시코의 아메리카와 모렐리아가 각각 1, 2위를 차지하며 조별 예선에 진출했다.[1]

3. 조별 예선

2002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조별 예선은 32개 팀이 4개 팀씩 8개 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각 조 상위 2개 팀이 16강에 진출했다.

이 대회에는 레알 포토시, 탈례레스, 툴루아, 12 데 옥투브레, 모렐리아가 처음으로 참가했다.

각 조별 경기 결과 및 순위, 16강 진출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1조

승점경기
상카에타누126402144+10
코브렐로아126402128+4
세로 포르테뇨10631276+1
알리안사 리마16015116-15



브라질의 상카에타누와 칠레의 코브렐로아가 16강에 진출하였다.


3. 2. 2조

width="200"|GRECIEOCTORI
그레미우2 - 01 - 03 - 2
시엔시아노2 - 13 - 02 - 0
12 데 옥투브레1 - 01 - 03 - 2
오리엔테 페트롤레로2 - 43 - 11 - 0



순위승점경기승리무승부패배득점실점득실차
1 그레미우126402117+4
2 시엔시아노9630387+1
3 12 데 옥투브레9630357-2
4 오리엔테 페트롤레로662041013-3



브라질의 Grêmio|그레미우pt와 페루의 Cienciano|시엔시아노es가 16강에 진출하였다.

3. 3. 3조

순위승점경기
1Club Atlético Peñarol|CA 페냐롤es126402117+4
2Club Deportivo El Nacional|CD 엘 나시오날es126402106+4
3Club Atlético San Lorenzo de Almagro|CA 산 로렌소 데 알마그로es6620468-2
4Club Bamin Real Potosí|클루브 바민 레알 포토시es662041016-6



width="200" |페냐롤엘 나시오날산 로렌소레알 포토시
페냐롤3 - 01 - 04 - 0
엘 나시오날1 - 03 - 02 - 0
산 로렌소0 - 21 - 05 - 1
레알 포토시6 - 12 - 41 - 0



우루과이의 페냐롤과 에콰도르의 엘 나시오날이 16강에 진출했다.

3. 4. 4조

승점경기
아메리카 데 칼리116321103+7
올메도96303770
볼리바르862221113-2
아틀레치쿠 파라나엔시561231015-5



width="200" |AMEOLMBOLPAR
아메리카 데 칼리1 - 02 - 05 - 0
올메도1 - 04 - 12 - 1
볼리바르1 - 12 - 05 - 5
아틀레치쿠 파라나엔시1 - 12 - 01 - 2



콜롬비아의 아메리카 데 칼리와 에콰도르의 올메도가 16강에 진출하였다.[1]

3. 5. 5조

순위승점경기득점실점득실차
1 모렐리아146420157+8
2 나시오날1163211312+1
3 벨레스 사르스피엘드86222880
4 스포르팅 크리스탈06006514-9



width="200"|모렐리아나시오날벨레스 사르스피엘드스포르팅 크리스탈
모렐리아4 - 20 - 04 - 0
나시오날3 - 32 - 21 - 0
벨레스 사르스피엘드2 - 30 - 11 - 0
스포르팅 크리스탈0 - 13 - 42 - 3


3. 6. 6조

순위승점경기득점실점득실차
1 보카 주니어스13641172+5
2 몬테비데오 원더러스10631287+1
3 산티아고 원더러스96231660
4 에멜레크16015410-6



아르헨티나의 보카 주니어스와 우루과이의 몬테비데오 원더러스가 16강에 진출했다.[1]

width="200"|BOCMONSANEME
보카 주니어스2 - 00 - 01 - 0
몬테비데오 원더러스0 - 23 - 13 - 1
산티아고 원더러스1 - 01 - 12 - 1
에멜레크1 - 20 - 11 - 1


3. 7. 7조

7조에서는 멕시코의 클루브 아메리카와 아르헨티나의 리버 플레이트가 16강에 진출했다.

순위승점경기득점실점득실차
1 클루브 아메리카16651092+7
2 리버 플레이트9623184+4
3 타예레스5612359-4
4 툴루아36105916-7



아메리카리버 플레이트타예레스툴루아
클루브 아메리카0 - 02 - 03 - 2
리버 플레이트0 - 10 - 02 - 0
타예레스0 - 11 - 12 - 1
툴루아0 - 22 - 54 - 2


3. 8. 8조

승점경기득점실점득실차
올림피아11632185+3
우니베르시다드 카톨리카10631298+1
온세 칼다스963031011-1
플라멩구4611469-3



올림피아우니베르시다드 카톨리카온세 칼다스플라멩구
올림피아1 - 13 - 22 - 0
우니베르시다드 카톨리카0 - 13 - 12 - 1
온세 칼다스2 - 13 - 01 - 0
플라멩구0 - 01 - 34 - 1



파라과이의 올림피아와 칠레의 우니베르시다드 카톨리카가 16강에 진출하였다.

4. 결선 토너먼트

2002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결선 토너먼트는 16강전부터 결승전까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16강전에서는 상카에타누우니베르시다드 카톨리카를 승부차기 끝에 꺾었고, 그레미우리버 플레이트를 대파했다. 올림피아코브렐로아와의 경기에서 관중 난동으로 CONMEBOL로부터 승리를 인정받았다.[1] 페냐롤몬테비데오 원더러스와 접전 끝에 승리했으며, 나시오날, 모렐리아, 보카 주니어스, 아메리카도 8강에 진출했다.

8강전에서는 상카에타누가 페냐롤을, 그레미우는 나시오날을 꺾었다. 아메리카는 모렐리아를, 올림피아는 보카 주니어스를 꺾고 준결승에 진출했다.

준결승전에서는 상카에타누가 아메리카를, 올림피아가 그레미우를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전에서는 올림피아가 상카에타누를 승부차기 끝에 꺾고 통산 세 번째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우승을 달성했다.

4. 1. 16강전

(승부차기 2 - 4)상카에타누1 - 11 - 1리버 플레이트1 - 6그레미우1 - 20 - 4몬테비데오 원더러스4 - 4
(승부차기 0 - 3)페냐롤2 - 22 - 2나시오날1 - 0아메리카 데 칼리1 - 00 - 0올메도2 - 8모렐리아0 - 52 - 3엘 나시오날0 - 2보카 주니어스0 - 00 - 2시엔시아노1 - 5아메리카0 - 11 - 4

4. 2. 8강전

( 1 - 3)상카에타누1 - 01 - 2그레미우2 - 1나시오날1 - 01 - 1모렐리아2 - 4아메리카1 - 21 - 2올림피아2 - 1보카 주니어스1 - 11 - 0


4. 3. 준결승전

팀 1합계팀 21차전2차전
상카에타누 3 - 1 아메리카2 - 01 - 1
올림피아 3 - 3 ( 5 - 4 ) 그레미우3 - 20 - 1

4. 4. 결승전

2002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결승전은 2002년 7월 24일7월 31일에 열렸다. 1차전은 파라과이 아순시온에스타디오 데펜소레스 델 차코에서, 2차전은 브라질 상파울루의 파카엠부 스타디움에서 개최되었다.

1차전에서는 상카에타누(브라질)가 아일톤의 골로 올림피아(파라과이)를 1-0으로 이겼다. 2차전에서는 올림피아가 코르도바와 바에스의 골로 아일톤이 한 골을 넣은 상카에타누를 2-1로 이겼다.

합계 2-2로 승부차기에 돌입했고, 올림피아가 4-2로 승리하여 2002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의 우승팀이 되었다. 이는 올림피아의 세 번째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우승이었다.

경기날짜시간 (UTC-3)경기장팀 1점수팀 2득점자 (팀 1)득점자 (팀 2)관중 수심판
1차전2002년 7월 24일21:45에스타디오 데펜소레스 델 차코 (아순시온)올림피아0–1상카에타누아일톤오라시오 엘리손도 (아르헨티나)
2차전2002년 7월 31일21:45파카엠부 스타디움 (상파울루)상카에타누1–2올림피아아일톤코르도바, 바에스32,000오스카 루이즈 (콜롬비아)
승부차기 결과
상카에타누2–4올림피아
아다오지뉴
마르코스 세나
말론
세르징요
colspan="3" |엔시소
오르테만
로페스
카바예로


5. 우승



'''3번째 우승'''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