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레미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레미우는 1903년 창단된 브라질의 축구 클럽으로, 인터콘티넨털컵 1회,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3회, 레코파 수다메리카나 2회 우승을 기록했다.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이 A에서 2번,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이 B에서 1번, 코파 두 브라질에서 5번, 수페르코파 두 브라질에서 1번 우승했으며, 캄페오나투 가우슈에서는 43번 우승했다. 현재 아레나 두 그레미우를 홈 구장으로 사용하며, 팬들은 "그레미스타스" 또는 "트리콜로레스"로 불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레미우 - 아레나 두 그레미우
아레나 두 그레미우는 브라질 포르투알레그리에 위치한 그레미우의 홈 구장으로, 에스타디오 올림피코 모누멘탈을 대체하기 위해 건설되어 2012년 개장한 축구 경기장이자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코파 아메리카 등 주요 경기와 콘서트가 열리는 다목적 경기장이다. - 캄페오나투 가우슈 구단 - SC 인테르나시오나우
SC 인테르나시오나우는 브라질 히우그란지두술 주 포르투알레그리를 연고로 하는 축구 클럽으로, 캄페오나투 가우슈 45회 우승을 포함하여 국내외 주요 대회에서 여러 차례 우승하며 남미를 대표하는 클럽 중 하나이다. - 캄페오나투 가우슈 구단 - EC 상조제
EC 상조제는 1913년 브라질 포르투알레그리에서 창단된 축구 클럽으로, 캄페오나투 가우슈 세리이 B에서 두 차례 우승했으며 수륙양용 비행기를 이용한 원정 기록과 13,000명 수용 홈 경기장을 보유하고 있다. - 히우그란지두술주의 축구단 - EC 주벤투지
EC 주벤투지는 1913년 브라질 카시아스두술에서 창단된 축구 클럽으로, 1994년 세리에 A 승격과 1999년 코파 두 브라질 우승을 통해 전국적인 인지도를 얻었으며, 알프레도 자코니 경기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하며 꾸준한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 히우그란지두술주의 축구단 - SC 인테르나시오나우
SC 인테르나시오나우는 브라질 히우그란지두술 주 포르투알레그리를 연고로 하는 축구 클럽으로, 캄페오나투 가우슈 45회 우승을 포함하여 국내외 주요 대회에서 여러 차례 우승하며 남미를 대표하는 클럽 중 하나이다.
그레미우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정식 명칭 | 그레미우 풋-볼 포르투 알레그렌시 |
별칭 | 이모르탈 트리콜로르 (불멸의 삼색) 트리콜로르 두스 팜파스 (팜파스의 삼색) 클루비 지 토두스 (모두의 클럽) |
창단일 | 1903년 9월 15일 |
홈 구장 | 아레나 두 그레미우 |
수용 능력 | 55,662명 |
회장 | 알베르투 게라 |
감독 | 페드루 카이시냐 |
리그 |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이 A 캄페오나투 가우슈 |
시즌 | 2024 2024 |
현재 순위 |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이 A: 20개 팀 중 14위 캄페오나투 가우슈: 12개 팀 중 1위 (우승) |
현재 시즌 | 2024 그레미우 FBPA 시즌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클럽 식별 | |
약칭 | 그레미우 |
전체 이름 | Grêmio Foot-Ball Porto Alegrense |
애칭 | |
별명 | Imortal Tricolor Tricolor dos Pampas Clube de Todos |
경기장 | |
경기장 | 아레나 두 그레미우 |
수용인원 | 60,540 |
협회 | |
대표 | 알베르투 게라 |
감독 | 레나투 가우슈 |
기타 정보 | |
별칭 (일본어) | Tricolor dos Pampas Imortal Tricolor Tricolor Gaúcho Rei de Copas Clube de Todos |
홈 색상 | 청색, 검정, 흰색 |
2. 역사
1903년 독일계 이민자들이 포르투알레그리에서 그레미우를 창단했다.[80] 캄페오나투 가우슈(히우그란지두술 주 선수권) 33회,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에 A 4회,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2회, 인터콘티넨탈컵 1회 우승을 기록했다.[80] 격렬하고 빠른 유럽 스타일의 플레이를 구사하며, SC 인테르나시오나우와의 경기는 "Gre-Nal"(그레-나우) 더비로 불린다.[80] 히우그란지두술 주에서 가장 인기 있는 클럽이다.[80]
1997년부터 2000년까지 J리그 가와사키 프론탈레와 제휴, 선수 교류를 진행했다.[80] 가와사키는 그레미우의 영향을 받아 유니폼과 엠블럼을 제작했고, 하늘색과 검은색을 팀 컬러로 사용한다.[80] 2013년부터 FC 오사카와 제휴 중이다.[80]
2021년 캄페오나투 가우슈 우승에도 불구하고,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에 A 17위로 2022년 세리에 B로 강등되었다.[80]
2. 1. 초창기 (1903~1930년대)
1903년 9월 15일, 칸디두 디아스를 포함한 32명의 사람들이 지역 식당에 모여 "그레미우 풋볼 포르투알레그렌시"를 창단하였다.[16] 창단 멤버 대부분은 도시의 독일계 주민 공동체였다.[16] 초대 회장으로는 카를루스 루이스 보헤르가 선출되었다.[17]1904년 3월 6일 푸스볼 포르투알레그리와의 첫 경기에서 승리하고, '완데르프레이스'라는 트로피를 획득했다.[18] 1909년 7월 18일, SC 인테르나시오나우와의 첫 경기에서 10-0 대승을 거두며 라이벌 관계가 시작되었다.
1910년 포르투알레그리 축구 리그 창설 멤버였으며, 1911년 해당 리그에서 첫 우승을 기록했다. 1912년 8월 25일, SC 나시오나우를 상대로 23-0 대승을 거두었으며, 이 경기에서 시송은 혼자서 14골을 기록하였다.
1918년 푼다상 히우그란덴시 지 데스포르치스의 창립 멤버였으며, 1921년 주 리그 첫 우승을 달성했다.
1931년 브라질 최초로 야간 경기를 개최한 축구팀이 되었다. 1932년 우루과이 클럽과의 원정 경기를 통해 구단의 첫 국제 경기를 가졌다. 1935년 산투스 FC를 꺾고 상파울루주 팀을 이긴 최초의 히우그란지두술주 팀이 되었다.
2. 2. 프로화와 국제 무대 진출 (1940~1970년대)
1946년 그레미우는 "그레미우가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지 그레미우와 함께"(Com o Grêmio onde o Grêmio estiverpt)라는 구단의 모토를 처음으로 정했다. 이 모토는 훗날 삼바-칸사오의 유명 작곡가 루피시니우 호드리게스가 작곡한 그레미우 공식 응원가의 가사로 사용되어 경기 때마다 불리고 있다.[19]1950년대 후반, 그레미우는 당시 브라질 전국 대회였던 타사 브라질에 참가하여 1959년, 1963년, 1967년에 준결승에 진출했다. 1954년에는 당시 브라질 최대의 사유 경기장이었던 이스타지우 올림피쿠 모누멘타우를 소유하게 되었다.
1953년부터 1954년까지 그레미우는 멕시코, 에콰도르, 콜롬비아를 방문하는 투어를 진행했으며, 이 투어는 "아메리카 정복기"라는 별칭으로 불렸다. 1959년 2월 25일에는 아르헨티나의 보카 주니어스를 라 봄보네라에서 4-1로 꺾고, 이곳에서 승리한 최초의 외국팀이 되었다.
1961년에는 구단 역사상 최초로 유럽 투어를 진행하여 프랑스, 루마니아, 벨기에, 그리스, 독일, 폴란드, 불가리아, 룩셈부르크, 덴마크, 에스토니아, 러시아 등 11개국에서 24경기를 치렀다.
1968년에는 브라질과 우루과이 축구팀이 참가한 국제 친선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하였다.
1971년, 타사 브라질이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로 전환된 후, 대회 역사상 최초의 골은 그레미우의 아르헨티나인 축구 선수 네스토르 스코타가 이스타지우 두 모룸비에서 상파울루 FC를 상대로 기록했다.[19]
2. 3. 전성기 (1980~1990년대)
1981년 5월 3일 그레미우는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이 A 결승전에서 상파울루 FC를 상대로 1차전 홈 2-1, 2차전 원정 1-0 승리를 거두며 구단 역사상 최초로 전국 대회 우승을 차지했다.[20] 1983년에는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결승전에서 우루과이의 페냐롤을 꺾고(1차전 원정 1-1, 2차전 홈 2-1) 구단 역사상 최초로 대륙 대회 우승을 차지했다. 이어서 인터콘티넨털컵에서 독일의 함부르크 SV를 2-1로 꺾고 세계 챔피언에 등극했다. 이 경기에서 두 골을 모두 기록한 헤나투 포르탈루피는 클럽의 전설이 되었다.[23] 또한, 로스앤젤레스컵에서 멕시코의 클루브 아메리카를 꺾고 우승했다.1989년에는 코파 두 브라질 결승전에서 스포르트 헤시피를 상대로 종합 2-1 승리(1차전 원정 0-0, 2차전 홈 2-1)를 거두며 구단 역사상 최초로 코파 두 브라질 우승을 차지했다. 그러나 1991년 리그에서 부진한 성적으로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이 B로 강등되었으나,[24] 1992년 세리이 B에서 상위권을 기록하며 1년 만에 세리이 A로 복귀했다. 1994년에는 코파 두 브라질 결승전에서 세아라 SC를 종합 1-0(1차전 원정 0-0, 2차전 홈 1-0)으로 꺾고 두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1995년 루이스 펠리피 스콜라리 감독 지휘 하에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서 두 번째 우승을 달성했다. 결승전에서 콜롬비아의 아틀레티코 나시오날을 종합 4-2(1차전 홈 3-1, 2차전 원정 1-1)로 꺾었다. 1996년에는 레코파 수다메리카나에서 아르헨티나의 CA 인데펜디엔테를 4-1로 꺾고 우승했으며, 같은 해 12월 15일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이 A에서 두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1997년에는 코파 두 브라질 결승전에서 호마리우가 있던 CR 플라멩구를 꺾고(1차전 홈 0-0, 2차전 원정 2-2, 원정 다득점) 세 번째 우승을 달성했다.
2. 4. 재정비와 부활 (2000년대~현재)
2001년, 그레미우는 코파 두 브라질에서 네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26][27][28][29] 2004년,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이 A에서 부진한 성적을 거두며 최하위를 기록,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이 B로 강등되었다.[30] 그러나 2005년 11월 26일, 나우치쿠와의 경기에서 4명이 퇴장당하고 2번의 페널티킥을 허용하는 등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승리하며 세리이 B 우승과 함께 세리이 A로 복귀했다. 이 경기는 "아플리투스 전투"로 불린다.[29]2006년 4월 9일, 이스타지우 베이라-리우에서 열린 캄페오나투 가우슈 결승전에서 SC 인테르나시오나우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2007년에는 주벤투데를 꺾고 캄페오나투 가우슈에서 다시 한번 우승했다. 같은 해,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2007 결승전에 진출했으나, 보카 주니어스의 후안 로만 리켈메에게 밀려 준우승에 머물렀다.
2008년에는 코파 두 브라질 조기 탈락과 캄페오나투 가우슈 부진으로 바그네르 만시니 감독이 경질되고 세우수 로스 감독이 선임되었다. 리그에서는 2위를 기록했지만, 팬들의 기대에는 미치지 못했다.
2012년은 이스타지우 올림피쿠 모누멘타우를 사용하는 마지막 해였으며,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진출권을 획득하며 시즌을 마감했다. 이후 아레나 두 그레미우를 새로운 홈구장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2014년, 엔데르송 모레이라 감독 부임 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에 진출했으나, 16강에서 CA 산로렌소에게 패배했다. 루이스 펠리피 스콜라리 감독이 재선임되었지만, 코파 두 브라질에서 서포터들의 인종차별 행위로 인해 징계를 받았다.[83]
2015년, 호제르 마샤두 감독이 부임하여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이 A 3위를 기록,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2016 진출권을 획득했다. 그레나우 더비에서 5-0 대승을 거두기도 했지만, 2016 시즌 수비 불안으로 인해 헤나투 포르탈루피 감독으로 교체되었다. 이후 코파 두 브라질에서 아틀레티쿠 미네이루를 꺾고 우승하며, 대회 최다 우승팀(5회)이 되었다. 팬들은 그레미우를 ''컵의 제왕''(Rei de Copaspt)이라 불렀다.
2017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2017에서 CA 라누스를 꺾고 세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상파울루 FC, 산투스 FC와 함께 코파 리베르타도레스를 3회 우승한 브라질 클럽이 되었다. 2017 FIFA 클럽 월드컵에 출전했으나, 결승전에서 레알 마드리드 CF에 패하며 준우승했다.
2021년,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이 A에서 17위를 기록하며 2022년 세리이 B로 강등되었다.
3. 상징
그레미우는 파랑, 검정, 하양 세 가지 색을 상징으로 사용하며, 이는 세계 축구에서 흔하지 않은 조합이다. 이러한 이유로 "삼색 클럽(Tricolor)"이라고 불린다.
그레미우 엠블럼에는 세 가지 색의 별이 있다. 금색 별은 FIFA 클럽 월드컵(과거 인터콘티넨털컵) 우승[1], 은색 별은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우승[1], 동색 별은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이 A 우승[1]을 상징한다. 그레미우 깃발에는 1970년 FIFA 월드컵에서 우승한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중 유일한 그레미우 선수였던 에베랄두를 상징하는 금색 별도 있다.[1]
그레미우 응원가는 브라질에서 대표적인 응원가로 손꼽히며, 루피시니우 호드리게스가 작곡했다. 가사 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
"Até a pé nós iremos" (맨발으로도 가리)
"para o que der e vier" (어떤 장애물이 있던)
"mas o certo é que nós estaremos" (그러나 우리는 확실하지)
"com o Grêmio onde o Grêmio estiver" (그레미우가 있는 곳은 어디든지 그레미우와 함께할 것을)
3. 1. 유니폼
그레미우의 전통적인 유니폼 색상은 파랑, 검정, 하양 세 가지 색으로 구성되며, 이는 세계 축구에서 흔하지 않은 조합이다. 첫 유니폼은 잉글랜드의 엑서터 시티 FC에서 영감을 받았다. 초기에는 검은색 모자, 파란색과 하바나(갈색의 변형) 줄무늬 셔츠, 흰색 넥타이, 흰색 반바지, 검은색 양말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하바나 천이 부족해지면서 파란색과 검은색으로 변경되었고, 이후 흰색 세로 줄무늬가 추가되어 현재까지 사용되는 패턴이 만들어졌다.[56] 이러한 이유로 그레미우는 "삼색 클럽(Tricolor)"이라고 불린다.그레미우의 색상은 클럽 정관에 다음과 같이 명시되어 있다.
- 홈 색상 – 밝은 파란색과 검은색의 세로 줄무늬, 흰색 파이핑
- 원정 색상 – 흰색 바탕에 파란색과 검은색 디테일
- 대체 색상 – 짙은 파란색 또는 흰색 디테일의 파란색
3. 1. 1. 유니폼 변천사
그레미우의 삼색은 파랑, 검정, 하양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색 조합은 세계 축구에서 흔하지 않은 조합이다. 그레미우의 첫 유니폼은 잉글랜드의 축구팀 엑서터 시티 FC로부터 영감을 받았다. 당시에는 검은색 캡 모자와 파랑과 갈색의 줄무늬에 하얀 끈, 하얀색 바지와 검은색 양말로 색을 구성하였다.[84] 시간이 흐르며 갈색 염료가 부족해지자, 갈색을 검은색으로 교체하였다. 이후 검정과 파랑 사이에 하얀색 줄무늬가 더해지며, 오늘날까지 이어져 오는 색 구성이 만들어졌다.[84]{|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 그레미우의 유니폼 변천사[84]
|-
|
![]() ![]() ![]() ![]() ![]() |
![]() ![]() ![]() ![]() |
![]() ![]() ![]() |
|}
3. 2. 엠블럼의 별
그레미우의 엠블럼에는 세 가지 색의 별이 있다. 금색 별은 FIFA 클럽 월드컵(과거 인터콘티넨털컵) 우승을, 은색 별은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우승을, 동색 별은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이 A 우승을 상징한다.[1]금색 별은 FIFA 클럽 월드컵 우승, 은색 별은 남미 대회 3회 우승, 동색 별은 국내 대회 우승을 각각 나타낸다고 클럽에서 밝히고 있다.[1]
그레미우의 깃발에는 1970년 FIFA 월드컵 우승팀인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중 유일한 그레미우 선수였던 에베랄두를 상징하는 금색 별도 있다.[1]
3. 3. 응원가
그레미우의 응원가는 브라질에서 대표적인 응원가로 손꼽힌다. 루피시니우 호드리게스가 작곡했으며, 가사는 다음과 같다."Até a pé nós iremos"맨발으로도 가리
"para o que der e vier"어떤 장애물이 있던
"mas o certo é que nós estaremos"그러나 우리는 확실하지
"com o Grêmio onde o Grêmio estiver"그레미우가 있는 곳은 어디든지 그레미우와 함께할 것을
4. 경기장
현재 홈구장은 2012년에 개장한 아레나 두 그레미우이며, 수용 인원은 60,540명이다.[60] 이전에는 바이샤다 경기장(1904~1954년)과 올림피쿠 모누멘탈 경기장(1954~2012년)을 홈구장으로 사용했다.
그레미우의 첫 번째 경기장은 1904년 포르투알레그리의 상류층 지역인 모이노스 데 벤토에 지어진 바이샤다 경기장이었다. 이 경기장은 이 지역에 집중되어 있던 도시의 성장하는 독일인들을 기쁘게 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두 번째 경기장은 올림피쿠 모누멘탈 경기장이었다. 1954년 9월 19일, 아젠하 지역에 위치한 에스타지우 올림피쿠로 개장했다. 1980년에는 올림피쿠에 2층이 추가되었고, 경기장 이름은 올림피쿠 모누멘탈로 변경되었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구단은 노후화된 올림피쿠를 대신하여 새로운 경기장을 짓기로 결정했다.[58] 이 프로젝트는 2008년에 승인되었고, 2010년 9월에 새로운 경기장 건설이 시작되었다.[59]
2012년, 그레미우는 포르투알레그리에 위치한 아레나 두 그레미우로 이전했다. 수용 인원은 55,225명이며 남아메리카에서 가장 현대적인 경기장 중 하나이다. 아레나의 개장 경기는 2012년 12월 8일 함부르크 SV와의 친선 경기였다.
구단은 또한 그라바타이시에 있는 에스타지우 안토니우 비에이라 라모스를 여자팀의 홈 경기장으로 임대하여 사용하고 있다.[61]
5. 선수단
[79]
2024년 12월 20일 기준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번호 | 포지션 | 이름 | 국적 | 비고 |
---|---|---|---|---|
1 | GK | 아구스틴 마르체신 | ||
97 | GK | 카이케 | ||
12 | GK | 가브리엘 그란도 | ||
31 | GK | 아드리엘 | ||
GK | 마르캉 | |||
4 | DF | 발테르 카네만 | 부주장 | |
5 | DF | 호드리구 엘리 | ||
18 | DF | 주앙 페드루 | ||
26 | DF | 마이크 | ||
28 | DF | 제메르손 | ||
36 | DF | 나탕 펠리페 | ||
53 | DF | 구스타부 마르틴스 | ||
10 | MF | 프랑코 크리스탈도 | ||
11 | MF | 미겔 몬살베 | ||
14 | MF | 나탕 | ||
15 | MF | 에데닐손 | ||
17 | MF | 도디 | ||
20 | MF | 마티아스 비야산티 | 주장 | |
23 | MF | 페페 | ||
35 | MF | 호날드 | ||
45 | MF | 밀라 | ||
MF | 가브리엘 실바 | |||
MF | 조수 | |||
MF | 펠리페 카르발로 | 2025년 6월 30일까지 뉴욕 레드불스 소속 | ||
9 | FW | 마티아스 아레소 | ||
16 | FW | 알렉산데르 아라베나 | ||
21 | FW | 크리스티안 파본 | ||
22 | FW | 마르틴 브레이스웨이트 | ||
32 | FW | 나탕 페르난데스 | ||
77 | FW | 안드레 | ||
FW | 프레디 노게라 | 2025년 7월 31일까지 보스턴 리버 소속 |
''최근 이적 사항은 2025년 그레미우 FBPA 이적을 참고하십시오.''
5. 1. 현역 선수 명단 (2023년 10월 29일 기준)
번호 | 포지션 | 이름 | 국적 |
---|---|---|---|
1 | GK | 마르셀루 그로이 | |
20 | GK | 레오나르두 세자르 자르딩 | |
30 | GK | 브루누 그라시 | |
48 | GK | 파울루 빅토르 비도티 | |
3 | DF | 페드루 제루메우 (주장) | |
4 | DF | 왈테르 카네만 | |
6 | DF | 레오나르두 고메스 | |
15 | DF | 하파에우 티에리 | |
22 | DF | 브레상 | |
26 | DF | 마르셀루 올리베이라 | |
33 | DF | 브루누 호드리구 | |
DF | 파울루 미란다 | ||
DF | 가브리에우 블로스 | ||
5 | MF | 미셰우 페헤이라 | |
8 | MF | 마이콩 소자 (부주장) | |
10 | MF | 더글라스 두스 산투스 | |
17 | MF | 하미루 베네티 | |
25 | MF | 자이우송 마르키스 시케이라 | |
28 | MF | 카이우 시우바 멘지스 | |
35 | MF | 루이스 펠리피 마샤두 | |
MF | 타시아누 | ||
11 | FW | 이베르통 소아레스 | |
19 | FW | 베토 다 실바 | |
32 | FW | 페드루 호샤 |
5. 2. 역대 주요 선수
선수 | 포지션 | 기간 |
---|---|---|
에메르송 레온 | 1981-1983 | |
Danrlei de Deus Hinterholz|단를레이 지 데우스 인텔로우스pt | ||
지다 | 2013 | |
Hugo de León|우고 데 레온es | 1981-1984 | |
Francisco Arce|프란시스코 아르세es | 1994-1998 | |
아지우송 | 1995-1996 | |
마우루 가우봉 | 1996-1997 | |
제 카를루스 | 1999 | |
지우베르투 | 2002-2003 | |
에바우두 | 2006 | |
바치스타 | 1981-1983 | |
치타 | 1983 | |
바우두 | 1984-1987 | |
에지뇨 | 1989-1990 | |
에메르송 | 1992-1993 | |
만시니 | 1995 | |
호나우지뉴 | 1998-2001 | |
마르셀리뉴 | 2000-2001 | |
에두아르두 코스타 | 2000-2001, 2007-2008 | |
지뉴 | 2000-2001 | |
Leonardo Astrada|레오나르도 아스트라다es | 2000 | |
루카스 레이바 | 2005-2007 | |
Facundo Bertoglio|파쿤도 베르톨리오es | 2002-2013 | |
안데르송 | 2004-2006 | |
파울리뉴 | 2006-2008 | |
켈리 | 2007 | |
페르지난두 | 2010 | |
지우베르투 시우바 | 2011-2012 | |
제 로베르투 | 2012-2014 | |
레나토 가우쇼 | 1982-1986 | |
파울루 누네스 | ||
마리우 자르데우 | ||
그라우 | 1995-1997, 1999, 2001 | |
와싱톤 | 1997 | |
기예르미 | 1997 | |
Sebastián Abreu|세바스티안 아브레우es | 1998 | |
브란당 | 1998-2000 | |
페드루 주니오르 | 2005-2006 | |
아모로주 | 2007 | |
두글라스 코스타 | 2008-2010 | |
린스 | 2011 |
6. 역대 감독
1920, 1921, 1922, 1923, 1925, 1926, 1930, 1931 포르투알레그리 시립 선수권 대회
1931, 1932, 1933, 1935, 1937, 1938, 1939 포르투알레그리 시립 선수권 대회
1946, 1949 포르투알레그리 시립 선수권 대회
1956, 1957, 1958, 1959, 1960 포르투알레그리 시립 선수권 대회
1962 캄페오나투 가우슈
1983 인터컨티넨탈컵
1989 캄페오나투 가우슈
1990 캄페오나투 가우슈
1995 산와 뱅크 컵
1995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1995, 1996 캄페오나투 가우슈
1996 레코파 수다메리카나
1996 캄페오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 A
1999 캄페오나투 가우슈
2001 캄페오나투 가우슈
2006, 2007 캄페오나투 가우슈
2010 캄페오나투 가우슈
2017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2018 레코파 수다메리카나
2018, 2019, 2020 캄페오나투 가우슈
2019 레코파 가우샤
2021 레코파 가우샤
2022 레코파 가우샤
2023, 2024 캄페오나투 가우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