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스마일리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스마일리아는 1863년 수에즈 운하 건설 중에 세워진 이집트의 도시이다. 수에즈 운하청의 본사가 위치해 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영국 공군 기지가 주둔하기도 했다. 무슬림 형제단이 창설된 곳이며, 1952년 영국군 공격 사건은 이집트 혁명의 주요 원인이 되었다. 이스마일리아는 열대 사막 기후를 보이며, 매년 국제 영화제와 민속 예술 축제가 열린다. 이집트의 축구 클럽인 이스마일리 SC의 연고지이며, 여러 저명한 인물들의 출생지이기도 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에즈 운하 - 제2차 중동 전쟁
    제2차 중동 전쟁은 1956년 이집트의 수에즈 운하 국유화에 반발한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이 군사 개입하면서 발발했으며, 국제 사회의 압력으로 휴전하고 철수하면서 이집트는 수에즈 운하 통제권을 유지하고, 영국과 프랑스는 영향력을 상실했으며, 이스라엘은 안보를 강화한 사건이다.
  • 수에즈 운하 - 욤키푸르 전쟁
    욤키푸르 전쟁은 1973년 이집트와 시리아가 이스라엘을 기습 공격하며 시작된 제4차 중동 전쟁으로, 이스라엘은 초반 고전했으나 미국의 지원으로 반격에 성공하여 수에즈 운하 서쪽과 골란 고원을 확보했으며, 이집트-이스라엘 평화 협상으로 이어지는 계기가 되었다.
  • 이집트의 주도 - 알렉산드리아
    알렉산드리아는 기원전 331년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건설한 이집트 북부 지중해 연안의 도시로, 헬레니즘 시대에는 중심지로서 번영을 누렸으며 현재는 이집트의 주요 도시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 이집트의 주도 - 아스완
    아스완은 고대 이집트의 남쪽 국경 도시로, 석채석장, 군사 기지, 무역로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최근 고고학적 발견을 통해 프톨레마이오스 시대 유물이 발굴되었고, 사우스 벨리 대학교와 아스완 대학교가 위치한 교통의 요지이다.
  • 이집트의 도시 - 알렉산드리아
    알렉산드리아는 기원전 331년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건설한 이집트 북부 지중해 연안의 도시로, 헬레니즘 시대에는 중심지로서 번영을 누렸으며 현재는 이집트의 주요 도시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 이집트의 도시 - 엘 알라메인
    엘 알라메인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두 차례의 전투가 벌어져 북아프리카 전황을 바꾼 이집트의 지중해 연안 지역으로, 군사 묘지와 해변 휴양지로도 알려져 있다.
이스마일리아 - [지명]에 관한 문서
위치 정보
좌표30° 35' N 32° 16' E
일반 정보
공식 명칭الإسماعيلية (알-이스마일리야)
도시 유형도시
별칭없음
로마자 표기al-Ismāʻīlīyah
IPA (아랍어)lesmæʕiˈlejjæ
이미지
이스마일리아 전경
이스마일리아 전투 기념비
이스마일리아 풍경
수에즈 운하
이스마일리아 풍경
이스마일리아
행정 구역
국가이집트
이스마일리아 주
정부
정부 형태알려진 바 없음
리더 직함알려진 바 없음
리더 이름알려진 바 없음
리더 직함 1알려진 바 없음
리더 이름 1알려진 바 없음
설립
설립일알려진 바 없음
면적
총 면적68.8 km²
토지 면적알려진 바 없음
인구
2021년 기준 총 인구1,429,465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수도권 인구알려진 바 없음
민족 구성알려진 바 없음
인구 통계이스마일리야타
시간대
시간대EET
UTC 오프셋+2
하계 시간 (DST)알려진 바 없음
UTC 오프셋 (DST)알려진 바 없음
고도
해발 고도14m
기타 정보
우편 번호 유형알려진 바 없음
우편 번호알려진 바 없음
지역 번호(+20) 69 또는 (+20) 64
웹사이트알려진 바 없음

2. 역사

이스마일리아, 약 1870년


수에즈 운하 회사 엽서


1915년 이스마일리아 기차역 앞에 줄지어 선 인도 군인들


이스마일리아는 1863년 수에즈 운하 건설 과정에서 페르디낭 드 레셉스에 의해 세워졌으며, 도시 이름은 당시 이집트의 통치자였던 케디브 이스마일 파샤에게서 유래했다. 1882년 카프르 엘-다와르 전투 이후 영국군이 주둔 기지를 설치하면서 군사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수에즈 운하청의 본사가 위치하며, 운하 운영과 관련된 영국과 프랑스의 영향력이 남아있는 건물들이 다수 존재한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영국 공군 기지가 있었고, 인근에서 로마니 전투가 벌어졌다. 이 전투의 희생자를 기리는 이스마일리아 전쟁 묘지가 1919년경 조성되었다.[2] 1928년에는 하산 알 반나가 이 도시에서 무슬림 형제단을 창설하여 이슬람 정치 운동의 중요한 거점이 되기도 했다.

이스마일리아는 수에즈 운하의 중간 지점에 위치하여 카이로, 알렉산드리아, 포트사이드 등 주요 도시를 잇는 철도가 통과하는 교통의 요충지이다. 수에즈 운하를 통해 홍해와 지중해의 해산물이 모여드는 곳이기도 하다.

제3차 중동 전쟁 당시 이스라엘 군의 포격으로 큰 피해를 입고 수에즈 운하 폐쇄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으나, 1975년 운하 재개통 이후 다시 성장하고 있다. 1973년에는 이스마일리아 전투가 벌어지기도 했다. 현재는 시나이 반도 방면의 군사적 요충지로서 이집트 군의 엄중한 경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아름다운 풍경과 온화한 기후 덕분에 카이로 상류층의 피서지로도 알려져 있다. 또한 망고 산지로 유명하다.

2023년 10월에는 도시 보안국 건물에서 대형 화재가 발생하여 38명이 부상하고 1명이 사망하는 사건이 있었다.[3][4]

2. 1. 건설과 초기 역사



이스마일리아는 1863년 수에즈 운하 건설 과정에서 세워졌으며, 당시 이집트의 케디브였던 이스마일 파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운하 건설을 총괄한 페르디낭 드 레셉스는 이 지역에 거주하며 공사를 지휘했고, 그가 살았던 집은 현재까지 남아 있다.

1882년 카프르 엘-다와르 전투 이후 영국군은 이스마일리아에 군사 기지를 세웠다.

수에즈 운하청의 본사는 팀사 호수 기슭에 자리 잡고 있으며, 운하 운영에 영국과 프랑스가 관여하던 시기에 지어진 많은 건물이 남아 있다. 이 건물들은 현재 주로 운하 관련 직원들이 사용하고 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영국군이 이곳에 공군 기지를 운영했으며, 인근에서는 로마니 전투가 벌어졌다. 이 전투의 희생자들을 기리기 위해 1919년경 로버트 로리머 경의 설계로 이스마일리아 전쟁 묘지가 조성되었다.[2]

1928년에는 하산 알 반나가 이 도시에서 무슬림 형제단을 창설했다.

이스마일리아는 수에즈 운하의 거의 중간 지점에 위치하며, 이스마일리아 운하를 통해 카이로와 연결되고 철도 노선이 카이로, 알렉산드리아, 포트사이드 등 주요 도시로 이어지는 교통의 요충지이다.

2. 2. 제1차 세계 대전과 그 이후



제1차 세계 대전 중 영국군은 이스마일리아에 공군 기지를 두었으며, 로마니 전투가 인근에서 벌어졌다. 이 전투의 사상자를 기리기 위해 1919년경 로버트 로리머 경이 설계한 이스마일리아 전쟁 묘지가 세워졌다.[2]

1973년에는 이스마일리아 전투가 이 도시에서 벌어졌다.

2023년 10월, 도시 보안국 건물에서 큰 화재가 발생하여 건물 전체가 불에 탔다. 이 화재로 38명이 부상을 입고 1명이 사망했다.[3][4]

2. 3. 무슬림 형제단

무슬림 형제단1928년 3월 하산 알 반나에 의해 이스마일리아에서 창설되었다. 1940년대에는 주로 영국의 이집트 점령에 저항하기 위해 지하 준군사 조직이 결성되기도 했다. 1950년대 초, 이스마일리아에는 영국 군사 본부와 수에즈 운하 지대의 민간 행정 센터가 있었다. 1952년 1월 25일, 영국군이 보조 경찰 병력이 주둔하던 이집트 정부 청사와 군 막사를 공격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은 그해 말 파루크 1세 국왕의 축출과 이후 이집트 혁명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영국군은 1954년 이스마일리아에서 철수했다.

2. 4. 1952년 영국군 공격과 이집트 혁명

무슬림 형제단은 1928년 3월 하산 알 반나에 의해 이스마일리아에서 창설되었다. 1940년대에는 영국의 이집트 점령에 저항하기 위한 지하 준군사 조직이 결성되었다. 1950년대 초, 이스마일리아는 영국 군사 본부와 수에즈 운하 지대의 민간 행정 중심지였다.

1952년 1월 25일, 영국군은 보조 경찰 병력이 주둔하고 있던 이집트 정부 청사와 군 막사를 공격했다. 이 사건은 그해 말 파루크 1세 국왕이 축출되고 이집트 혁명이 일어나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영국군은 1954년에 이스마일리아에서 철수했다.

2. 5. 제3차 중동 전쟁과 그 이후

제3차 중동 전쟁 당시 이스라엘 군의 포격으로 큰 피해를 입었으며, 수에즈 운하가 폐쇄되면서 경제적으로도 어려움을 겪었다. 1973년에는 이스마일리아 전투가 이 도시에서 벌어졌다.

1975년 수에즈 운하가 다시 열린 후 도시는 다시 성장하기 시작했다. 현재 카이로-이스마일리아 사막 도로변에는 검문소와 이집트 군의 동부 방면대 본부가 위치해 있으며, 시나이 반도나 이스라엘 방면으로부터의 위협에 대비하여 엄중한 경비가 이루어지고 있다.

수에즈 운하에 면해 있어 풍경이 아름답고, 카이로보다 습하고 온화한 기후 덕분에 카이로 상류층 중 일부는 이곳을 피서지로 여기기도 한다. 또한 망고 재배로 유명하여, 망고 철이 되면 교외 도로변에 망고 노점상이 늘어선다. 이스마일리아산 망고는 카이로 시내에서 고급품으로 취급되며 높은 가격에 팔린다.

2023년 10월에는 도시 보안국에서 큰 화재가 발생하여 건물이 전소되고 38명이 부상했으며 1명이 사망하는 사건이 있었다.[3][4]

2. 6. 현대



이스마일리아는 1863년 수에즈 운하 건설이 시작되면서 페르디낭 드 레셉스에 의해 건설되었다. 레셉스는 이 지역에 거주하며 운하 건설을 지휘했으며, 당시 그가 살았던 집은 현재도 남아있다. 도시의 이름은 당시 이집트의 통치자였던 케디브 이스마일 파샤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1882년 카프르 엘-다와르 전투 이후 영국군은 이스마일리아에 기지를 세웠다. 수에즈 운하청의 본사는 팀사 호수 기슭의 이스마일리아에 위치해 있다. 이곳에는 운하 건설 및 운영과 관련된 영국과 프랑스의 영향력이 남아있는 시기에 지어진 많은 건물들이 있으며, 이 건물들의 대부분은 현재 운하 직원과 관계자들이 사용하고 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영국군은 이곳에 공군 기지를 두었으며, 도시 인근에서는 로마니 전투가 벌어졌다. 이 전투의 사상자들을 기리기 위해 1919년경 로버트 로리머 경이 설계한 이스마일리아 전쟁 묘지가 조성되었다.[2]

1928년에는 이 지역에서 하산 알 반나에 의해 무슬림 형제단이 결성되었다.

이스마일리아는 수에즈 운하의 거의 중간 지점에 위치한 교통의 요충지이다. 이스마일리아 운하를 통해 카이로와 연결되며, 철도는 카이로, 알렉산드리아, 포트사이드로 이어진다. 수에즈 운하의 관리를 담당하는 수에즈 운하청 본사가 이 도시에 있다. 수에즈 운하를 통해 수에즈에서는 홍해, 포트사이드에서는 지중해의 해산물이 모여들어, 운하에 연결된 호숫가 거리에는 생선 요리를 전문으로 하는 식당들이 많다.

제3차 중동 전쟁 당시 이스라엘 군의 포격으로 큰 피해를 입었으며, 수에즈 운하 폐쇄로 경제적으로도 어려움을 겪었다. 1973년에는 이스마일리아 전투가 벌어지기도 했다. 그러나 1975년 수에즈 운하가 재개통된 이후 다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현재 카이로-이스마일리아 사막 도로변에는 검문소와 이집트 군 동부 방면대 본부가 위치해 있으며, 시나이 반도나 이스라엘 방면으로부터의 위협에 대비하여 엄중한 경비가 이루어지고 있다.

수에즈 운하에 면해 경치가 아름답고, 카이로보다 습도가 낮고 기후가 온화하여 카이로의 상류층 사이에서는 피서지로도 알려져 있다. 또한 망고 재배로 유명하며, 망고 철이 되면 교외로 이어지는 도로변에 망고 노점들이 늘어선다. 이스마일리아산 망고는 카이로 시내에서 고급품으로 여겨져 높은 가격에 거래된다.

2023년 10월, 도시 보안국 건물에서 대규모 화재가 발생하여 건물 전체가 불타고 38명이 부상했으며 1명이 사망하는 사건이 있었다.[3][4]

3. 지리

이스마일리아는 수에즈 운하의 거의 중간 지점에 위치하며, 이스마일리아 운하를 통해 카이로와 연결된다. 또한 철도카이로, 알렉산드리아, 포트사이드로 이어지는 교통의 요충지이다. 수에즈 운하의 관리를 담당하는 수에즈 운하청 본부가 이 도시에 자리 잡고 있다.

수에즈 운하를 통해 수에즈에서는 홍해, 포트사이드에서는 지중해의 해산물이 각각 모여들어, 운하에 연결된 호숫가에는 생선 요리를 전문으로 하는 식당들이 많다. 또한, 망고 재배로 유명하며, 이 지역에서 생산된 망고는 카이로 등지에서 고급품으로 취급된다.

지리적으로 시나이 반도와 가까워, 카이로-이스마일리아 사막 도로변에는 검문소와 이집트 군의 동부 방면대 본부가 위치하고 있으며, 시나이 반도나 이스라엘 방면으로부터의 위협에 대비한 경비가 이루어지고 있다.

3. 1. 기후

쾨펜-가이거 기후 분류에 따르면 이스마일리아의 기후는 열대 사막 기후(BWh)로 분류된다.

이스마일리아의 기후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평균
역대 최고 기온 (°C)30364044444745414440373247
평균 최고 기온 (°C)19.220.923.328.631.834.835.735.333.130.025.420.928.2
일평균 기온 (°C)14.816.118.322.925.728.029.829.627.824.820.315.922.8
평균 최저 기온 (°C)7.68.310.314.116.419.521.321.519.716.612.78.914.7
역대 최저 기온 (°C)0.22.04.66.810.215.017.018.015.29.74.64.80.2
평균 강수량 (mm)76722000026537
평균 상대 습도 (%)57544943424648515455586051.4
평균 강수일수 (≥ 1.0 mm)1.10.50.70.30.20.00.00.00.00.00.20.53.5
출처 1: NOAA,[10] Climate Charts[11]
출처 2: Voodoo Skies (역대 최고/최저 기온)[12]



가장 높은 기온 기록은 1944년 6월 14일에 기록된 47°C이며, 가장 낮은 기온 기록은 1월에 기록된 0.2°C이다.[7]

이스마일리아 기차역

4. 정치

(내용 없음)

4. 1. 콥트 가톨릭 교구

1982년 12월 17일, 동방 가톨릭교의 일원인 이스마일리아 교구가 알렉산드리아 콥트 가톨릭 총대주교청에서 분리되어 설립되었다. 이 교구는 알렉산드리아 전례콥트어를 사용하며,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가 관구 대주교를 겸임한다. 주교좌 성당은 성 마르코 대성당이다.

4. 1. 1. 역대 교구장

1982년 12월 17일, 동방 가톨릭교 교구인 이스마일리아 교구가 알렉산드리아 콥트 가톨릭 총대주교청에서 분리되어 설립되었다. 이 교구는 알렉산드리아 전례콥트어를 사용하며,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가 관구 대주교를 겸임한다. 주교좌 성당은 성 마르코 대성당이다.

이름재임 기간비고
아타나시오스 아바디르1982년 12월 17일 – 1992년 12월 25일이전 아피아의 명목 주교, 콥트 알렉산드리아의 총대주교 대리 (1976년 5월 18일 – 1982년 12월 17일) 역임. 선종.
유하네스 에자트 자카리아 바디르1992년 11월 23일 – 1994년 6월 23일이후 콥트 루크소르 교구장 주교 (1994년 6월 23일 – 2015년 12월 27일) 역임. 선종.
마카리오스 테우피크1994년 6월 23일 – 2019년 6월 29일사임.
다니엘 로트피 켈라2019년 6월 29일 – 2022년 9월 23일이후 총대주교 관리자 (2022년 9월 23일 – 2023년 3월 31일) 역임.
폴라 아유브 마타 우사마 샤피크 아크누크2023년 3월 31일 – 현재


5. 경제

이스마일리아는 수에즈 운하의 거의 중간 지점에 위치하며, 이스마일리아 운하를 통해 카이로와 연결되고 철도카이로, 알렉산드리아, 포트사이드로 이어지는 교통의 요충지이다. 이러한 지리적 이점 덕분에 수에즈 운하 관리를 담당하는 수에즈 운하청 본부가 이 도시에 자리 잡고 있다.

수에즈 운하뿐만 아니라, 수에즈에서는 홍해의 해산물이, 포트사이드에서는 지중해의 해산물이 각각 모여든다. 이 때문에 운하에 연결된 호숫가 거리 양쪽에는 생선 요리를 전문으로 하는 레스토랑이 많이 들어서 있다.

제3차 중동 전쟁 당시 이스라엘 군의 포격으로 도시가 큰 피해를 입었으며, 수에즈 운하가 폐쇄되면서 경제적으로도 큰 어려움을 겪었다. 그러나 1975년 운하가 다시 열리면서 도시는 다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현재 카이로-이스마일리아 사막 도로변에는 검문소와 이집트 군 동부 방면대 본부가 위치하여 시나이 반도나 이스라엘 방면으로부터의 위협에 대비하고 있다.

또한, 수에즈 운하에 면한 수려한 풍경과 카이로보다 습윤하고 온화한 기후 덕분에 카이로 상류층 사이에서 피서지로 인식되기도 한다. 망고 재배로도 유명하여, 제철이 되면 교외로 이어지는 간선도로변에 망고 노점상이 늘어서며, 이스마일리아산 망고는 카이로 시내에서 고급품으로 취급받아 높은 가격에 팔린다.

6. 교육

이스마일리아에는 여러 공립 및 사립 학교가 있다. 1976년에는 수에즈 운하 대학교가 설립되었는데, 이는 중국 정부의 도움을 받아 수에즈 운하시나이 지역에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수에즈 운하 대학교는 현재 이집트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교육 기관 중 하나로 평가받으며, 해외에서 온 많은 학생이 공부하고 있다.

7. 문화

이스마일리아는 수에즈 운하와 관련된 역사적 배경과 더불어 다채로운 문화적 면모를 지닌 도시이다. 주요 문화 행사로는 매년 개최되는 국제 영화제민속 예술 축제가 있어 국내외 방문객들의 이목을 끈다. 또한, 수에즈 운하 건설과 관련된 역사적 건축물과 아름다운 호숫가 풍경은 관광 자원으로서의 가치를 더하며, 특히 이집트 내국인들에게 휴양지로 알려져 있다. 스포츠 분야에서는 이집트의 주요 축구 클럽 중 하나인 이스마일리 SC가 시민들의 열렬한 지지를 받으며 도시 문화의 중요한 축을 이루고 있다.

7. 1. 예술 및 축제

'운하의 수호자'로 알려진 성모 마리아 교회는 이스마일리아에 남아있는 프랑스풍 건축 양식의 여러 사례 중 하나이다.


이스마일리아에서는 매년 두 개의 중요한 축제가 열린다.

첫 번째는 6월에 개최되는 국제 다큐멘터리 및 단편 영화제이다.[5] 이 영화제는 2014년 6월에 17회를 맞이했다.

두 번째는 9월에 열리는 이스마일리아 국제 민속 예술 축제이다. 이 축제 기간에는 전 세계의 민속 예술 단체들이 이스마일리아에 모여 각국의 문화를 보여주는 민속 무용 공연을 펼친다.[6]

7. 2. 관광

페르디낭 드 레셉스의 집이자 이스마일리아에 있는 사무실, 수에즈 운하 근처


이스마일리아는 이집트 내국인 관광객을 주로 유치하며, 국제 관광객에게는 아직 주요 관광지로 널리 알려지지 않았다. 이 도시는 수도 카이로에서 자동차로 약 90분 거리에 위치해 있어 접근성이 좋은 편이다. 남시나이 반도의 유명 휴양지인 샤름 엘 셰이크까지는 차로 약 4시간, 타바 국경 검문소와 라파 국경 검문소까지도 각각 약 4시간이 소요된다.

주요 명소로는 1932년에 세워진 이스마일리아 박물관이 있다. 이곳에서는 텔 엘마스쿠타 등 이스마일리아 주와 북시나이, 상이집트 지역에서 발굴된 다양한 고고학 유물을 관람할 수 있다. 또한, 1863년 수에즈 운하 건설을 지휘했던 페르디낭 드 레셉스가 거주했던 집과 사무실이 현재까지 남아 있어 역사적인 의미를 더한다.

이스마일리아는 수에즈 운하의 거의 중간 지점에 위치하며, 운하 관리 업무를 담당하는 수에즈 운하청 본부가 자리 잡고 있다. 수에즈 운하와 연결된 호숫가 거리에는 수에즈에서 잡히는 홍해 해산물과 포트사이드에서 오는 지중해 해산물을 이용한 생선 요리 전문 레스토랑이 많다.

수에즈 운하에 인접하여 경치가 아름답고, 카이로보다 습도가 낮고 기후가 온화하여 카이로의 일부 상류층에게는 피서지로 인식되기도 한다. 이 지역은 망고 재배로도 유명한데, 망고 수확철이 되면 도시 외곽으로 이어지는 도로변에 망고를 판매하는 노점들이 늘어선다. 이스마일리아산 망고는 카이로 시내에서 시나이 반도산보다 고급품으로 취급받으며 더 높은 가격에 판매된다.

7. 3. 스포츠

이스마일리아 스타디움


이스마일리아는 이집트에서 세 번째로 성공적인 축구 클럽으로 평가받는 이스마일리 SC의 연고지이다. 이 클럽의 성적은 주요 정치적 문제로 여겨지기도 하며, 도시 전체의 분위기를 좌우하는 경향이 있다. 재정적인 어려움으로 인해 국내 및 국제 대회에서 경쟁력을 장기간 유지하기는 어렵지만, 여러 차례 중요한 성과를 거두었다.

이스마일리 SC는 이집트 프리미어 리그에서 3번(1967년, 1991년, 2002년) 우승했으며, 이집트 축구컵에서는 2번(1997년, 2000년)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또한 1969년에는 이집트와 아랍 클럽 중 최초로 CAF 챔피언스 리그에서 우승하는 역사를 만들었다. 이 팀의 홈 구장은 이스마일리아 스타디움이다.

8. 저명한 출신 인물


  • 하산 알반나: 무슬림 형제단의 창시자. 이스마일리아에서 교사로 활동했다.
  • 루이 셰디드: 프랑스의 가수 겸 작곡가. 작가 앙드레 셰디드의 아들이자 가수 마티유 셰디드의 아버지이다. 1948년 이스마일리아 출생.
  • 클로드 프랑수아: 프랑스의 팝 가수 겸 작곡가. 1939년 이스마일리아 출생.
  • 알리 가브르: 축구 선수.
  • 라가 알게다위 (1934년 ~ 2020년): 영화 배우, 모델. 타히야 카리오카의 조카이다.
  • 아흐메드 헤가지: 축구 선수.
  • 아우라 헤르초그: 이스라엘의 전 영부인. 전 대통령 하임 헤르초그의 부인이자 현 대통령 이츠하크 헤르초그의 어머니다. 1924년 이스마일리아 출생.
  • 타히야 카리오카: 이집트의 벨리 댄서이자 영화 배우. 1919년 이스마일리아 출생.
  • 야스민 클랏: 레바논의 배우.
  • 페르낭 레그로 (1931년 ~ 1983년): 미술상.
  • 오스만 아흐메드 오스만: 이집트의 영향력 있는 엔지니어, 건설업자, 기업가, 정치인. 아랍 콘트랙터스의 창업자이다. 1917년 이스마일리아 출생.
  • 모하메드 디아브: 이집트의 영화 감독.
  • 오마르 모와와드: 축구 선수.

참조

[1] 웹사이트 Egypt: Governorates, Major Cities & Towns - Population Statistics, Maps, Charts, Weather and Web Information https://citypopulati[...] 2023-03-17
[2] 문서 Dictionary of Scottish Architects: Robert Lorimer
[3] 웹사이트 One dead and dozens injured as fire engulfs police complex in Egypt's Ismailia https://www.thenatio[...] The 2023-10-02
[4] 웹사이트 Fire engulfs Ismailia Security Directorate, dozens injured - Dailynewsegypt https://www.dailynew[...] 2023-10-03
[5] 웹사이트 Ismailia Film Festival 21st version (2019)edition to be from 10 April to 16 April 2019 http://www.ismailiaf[...] 2014-08-04
[6] 웹사이트 Ismailia https://www.sis.gov.[...] 2017-08-27
[7] 웹사이트 Ismailia, Egypt http://voodooskies.c[...] Voodoo Skies 2013-07-05
[8] 웹사이트 Ismailia (A) Climate Normals 1961–1990 https://www.ncei.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3-10-04
[9] 웹사이트 Egypt: Governorates, Major Cities & Towns - Population Statistics, Maps, Charts, Weather and Web Information https://citypopulati[...] 2023-03-17
[10] 웹인용 Dabaa Climate Normals 1961–1990 ftp://ftp.atdd.noaa.[...] 미국 해양대기청 2015-04-05
[11] 웹인용 Ismailia, Egypt: Climate, Global Warming, and Daylight Charts and Data http://www.climate-c[...] Climate Charts 2013-07-05
[12] 웹인용 Ismailia, Egypt http://voodooskies.c[...] Voodoo Skies 2013-07-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