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하키 월드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6년 하키 월드컵은 2006년 9월 6일부터 9월 17일까지 독일 묀헨글라트바흐에서 개최된 국제 하키 연맹(FIH) 주최의 11번째 남자 하키 월드컵이다. 개최국 독일을 포함하여 12개 팀이 참가했으며, 조별 리그와 순위 결정전을 거쳐 독일이 결승에서 오스트레일리아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대한민국은 4강에 진출하여 최종 4위를 기록했다. 대회 MVP는 제이미 드와이어(오스트레일리아)가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키 월드컵 - 2006년 남자 하키 월드컵
2006년 남자 하키 월드컵은 2006년에 개최되었으며, 독일이 개최국 자격으로 참가하고 대한민국이 4위를 기록했다. - 독일에서 개최된 필드하키 대회 - 2006년 남자 하키 월드컵
2006년 남자 하키 월드컵은 2006년에 개최되었으며, 독일이 개최국 자격으로 참가하고 대한민국이 4위를 기록했다. - 2006년 필드하키 - 2006년 남자 하키 월드컵
2006년 남자 하키 월드컵은 2006년에 개최되었으며, 독일이 개최국 자격으로 참가하고 대한민국이 4위를 기록했다.
| 2006년 하키 월드컵 | |
|---|---|
| 대회 요약 | |
| 대회 명칭 | 2006년 하키 월드컵 |
| 다른 명칭 | Hockey Weltmeisterschaften 2006 |
![]() | |
| 개최국 | 독일 |
| 개최 도시 | 묀헨글라트바흐 |
| 경기장 | 바르슈타이너 호케파르크 |
| 개최 기간 | 2006년 9월 6일 – 2006년 9월 17일 |
| 참가 팀 수 | 12개국 |
| 참가 연맹 수 | 5개 |
| 우승국 | 독일 |
| 준우승국 | 오스트레일리아 |
| 3위 | 스페인 |
| 총 경기 수 | 42경기 |
| 총 득점 수 | 174골 |
| 최다 득점자 | 타케 타케마(네덜란드) |
| 최다 득점 | 11골 |
| 최고 선수 | 제이미 드와이어(오스트레일리아) |
| 이전 대회 | 2002년 남자 하키 월드컵 |
| 다음 대회 | 2010년 남자 하키 월드컵 |
2. 대회 개요
2006년 하키 월드컵은 2006년 9월 6일부터 9월 17일까지 독일 묀헨글라트바흐에서 개최되었다. 이 대회는 국제 하키 연맹(FIH)이 주최한 11번째 남자 하키 월드컵이었다.
2. 1. 대회 진행 방식
모든 시간은 중부 유럽 하계 시간 (UTC+02:00) 기준이다.3. 예선
5개 대륙 연맹의 각 대륙 챔피언과 개최국은 자동 출전권을 얻었다. 유럽 연맹은 FIH 세계 랭킹을 기준으로 추가로 한 자리를 배정받았다. 예선을 통해 진출한 5개 팀과 함께 총 12개 팀이 이 토너먼트에 참가했다.[2]
| 날짜 | 대회 | 개최지 | 출전권 | 예선 통과 팀 |
|---|---|---|---|---|
| 개최국 | 1 | 독일 | ||
| 2003년 9월 21일–28일 | 2003 하키 아시아컵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1 | 인도 |
| 2004년 5월 12일–23일 | 2004 팬아메리카컵 | 런던, 캐나다 | 1 | 아르헨티나 |
| 2005년 8월 28일–9월 4일 | 2005 유로하키 네이션스 챔피언십 | 라이프치히, 독일 | 2 | 스페인 네덜란드 |
| 2005년 10월 1일–8일 | 2005 하키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프리토리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 1 | 남아프리카 공화국 |
| 2005년 11월 15일–19일 | 2005 오세아니아컵 | 수바, 피지 | 1 | 호주 |
| 2006년 4월 12일–23일 | 인터컨티넨탈컵 | 창저우, 중국 | 5 | 뉴질랜드 대한민국 잉글랜드 파키스탄 일본 |
| 합계 | 12 | |||
3. 1. 참가국
thumb2006년 하키 월드컵에는 5개 대륙 연맹의 각 대륙 챔피언과 개최국인 독일이 자동 출전권을 얻었다. 유럽 연맹은 FIH 세계 랭킹을 기준으로 추가로 한 자리를 배정받았다. 예선을 통해 진출한 5개 팀과 함께 총 12개 팀이 이 대회에 참가했다.[2]
| 대회 | 출전권 | 예선 통과 팀 |
|---|---|---|
| 개최국 | 1 | |
| 2003 하키 아시아컵 | 1 | |
| 2004 팬아메리카컵 | 1 | |
| 2005 유로하키 네이션스 챔피언십 | 2 | |
| 2005 하키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1 | |
| 2005 오세아니아컵 | 1 | |
| 인터컨티넨탈컵 | 5 | |
| 합계 | 12 |
thumb과 스페인의 준결승 경기]]
4. 선수 명단
2006년 남자 하키 월드컵에 참가한 각국의 선수 명단은 2006년 남자 하키 월드컵 선수 명단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5. 심판
국제 하키 연맹은 2006년 하키 월드컵을 위해 14명의 심판을 임명했다. 심판 명단은 다음과 같다.
- 자비에르 아델(스페인)
- 크리스티안 블라스치(독일)
- 헨리크 엘러스(덴마크)
- 데이비드 젠틀스(호주)
- 머레이 그림(호주)
- 해미시 잼슨(잉글랜드)
- 김홍래(대한민국)
- 사틴더 쿠마르(인도)
- 데이비드 라이퍼(스코틀랜드)
- 앤디 메어(스코틀랜드)
- 수메쉬 푸트라(캐나다)
- 아마르지트 싱(말레이시아)
- 롭 텐 케이트(네덜란드)
- 존 라이트(남아프리카 공화국)
6. 조별 리그
2006년 하키 월드컵 A조에는 오스트레일리아, 스페인, 뉴질랜드, 파키스탄, 아르헨티나, 일본이 편성되었다. 조별 리그 결과 오스트레일리아와 스페인이 준결승에 진출했다.
|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결과 |
|---|---|---|---|---|---|---|---|---|---|---|
| 1 | 5 | 4 | 0 | 1 | 18 | 5 | +13 | 12 | 준결승 | |
| 2 | 5 | 3 | 2 | 0 | 13 | 7 | +6 | 11 | 준결승 | |
| 3 | 5 | 2 | 1 | 2 | 10 | 14 | -4 | 7 | ||
| 4 | 5 | 1 | 2 | 2 | 10 | 10 | 0 | 5 | ||
| 5 | 5 | 1 | 1 | 3 | 5 | 12 | -7 | 4 | ||
| 6 | 5 | 1 | 0 | 4 | 7 | 15 | -8 | 3 |
자료: [https://tms.fih.ch/competitions/107/reports/poolstandings 국제 하키 연맹(FIH)]
A조의 경기들은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 2006년 9월 6일, 아르헨티나는 뉴질랜드에 0-3으로 패배했다.
- 2006년 9월 7일, 파키스탄은 일본을 4-0으로 이겼고, 오스트레일리아는 스페인에 1-3으로 패배했다.
- 2006년 9월 8일, 뉴질랜드와 파키스탄은 4-4 무승부를 기록했고, 스페인과 아르헨티나는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 2006년 9월 9일, 일본은 뉴질랜드에 0-1로 패배했고, 아르헨티나는 오스트레일리아에 0-4로 패배했다.
- 2006년 9월 10일, 파키스탄과 스페인은 2-2 무승부를 기록했고, 오스트레일리아는 일본을 3-1로 이겼다.
- 2006년 9월 11일, 스페인은 뉴질랜드를 3-1로 이겼고, 아르헨티나는 파키스탄을 1-0으로 이겼다.
- 2006년 9월 12일, 뉴질랜드는 오스트레일리아에 1-7로 패배했고, 일본은 아르헨티나를 4-3으로 이겼다.
- 2006년 9월 13일, 일본은 스페인에 2-4로 패배했고, 오스트레일리아는 파키스탄을 3-0으로 이겼다.
B조에는 독일, 대한민국, 네덜란드, 잉글랜드, 남아프리카 공화국, 인도가 속해 있었다. 조별 예선 결과 독일과 대한민국이 각각 3승 2무로 동률을 이루었으나, 골득실에서 앞선 독일이 조 1위, 대한민국이 조 2위로 준결승에 진출했다. 네덜란드는 3승 1무 1패로 조 3위를 기록했다.
대한민국은 2006년 9월 6일 네덜란드와의 첫 경기에서 3-2로 승리했다. 유효식이 두 골을 넣고, 서종호가 한 골을 추가하며 로날트 브라우어와 타커 타케마가 득점한 네덜란드를 상대로 승리했다. 9월 8일 잉글랜드와의 경기에서는 윤성훈의 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9월 10일 남아프리카 공화국과의 경기에서는 장종현과 유효식이 득점하여 2-2 무승부를 기록했다. 9월 11일 인도와의 경기에서는 장종현이 두 골을 넣어 2-1로 승리했다. 9월 13일 독일과의 마지막 경기에서는 득점 없이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독일은 인도와의 첫 경기에서 3-2로, 잉글랜드와의 경기에서 2-1로 승리하였다. 네덜란드와는 2-2, 남아프리카 공화국에게는 5-0으로 승리, 대한민국과는 0-0으로 비겼다. 네덜란드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2-0, 잉글랜드를 4-3, 인도를 6-1로 이겼다. 대한민국에게는 2-3 패배, 독일과는 2-2로 비겼다.
6. 1. A조
2006년 하키 월드컵 A조에는 오스트레일리아, 스페인, 뉴질랜드, 파키스탄, 아르헨티나, 일본이 편성되었다. 조별 리그 결과 오스트레일리아와 스페인이 준결승에 진출했다.|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결과 |
|---|---|---|---|---|---|---|---|---|---|---|
| 1 | 5 | 4 | 0 | 1 | 18 | 5 | +13 | 12 | 준결승 | |
| 2 | 5 | 3 | 2 | 0 | 13 | 7 | +6 | 11 | 준결승 | |
| 3 | 5 | 2 | 1 | 2 | 10 | 14 | -4 | 7 | ||
| 4 | 5 | 1 | 2 | 2 | 10 | 10 | 0 | 5 | ||
| 5 | 5 | 1 | 1 | 3 | 5 | 12 | -7 | 4 | ||
| 6 | 5 | 1 | 0 | 4 | 7 | 15 | -8 | 3 |
자료: [https://tms.fih.ch/competitions/107/reports/poolstandings 국제 하키 연맹(FIH)]
A조의 경기들은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 2006년 9월 6일, 아르헨티나는 뉴질랜드에 0-3으로 패배했다.
- 2006년 9월 7일, 파키스탄은 일본을 4-0으로 이겼고, 오스트레일리아는 스페인에 1-3으로 패배했다.
- 2006년 9월 8일, 뉴질랜드와 파키스탄은 4-4 무승부를 기록했고, 스페인과 아르헨티나는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 2006년 9월 9일, 일본은 뉴질랜드에 0-1로 패배했고, 아르헨티나는 오스트레일리아에 0-4로 패배했다.
- 2006년 9월 10일, 파키스탄과 스페인은 2-2 무승부를 기록했고, 오스트레일리아는 일본을 3-1로 이겼다.
- 2006년 9월 11일, 스페인은 뉴질랜드를 3-1로 이겼고, 아르헨티나는 파키스탄을 1-0으로 이겼다.
- 2006년 9월 12일, 뉴질랜드는 오스트레일리아에 1-7로 패배했고, 일본은 아르헨티나를 4-3으로 이겼다.
- 2006년 9월 13일, 일본은 스페인에 2-4로 패배했고, 오스트레일리아는 파키스탄을 3-0으로 이겼다.
6. 2. B조
B조에는 독일, 대한민국, 네덜란드, 잉글랜드, 남아프리카 공화국, 인도가 속해 있었다. 조별 예선 결과 독일과 대한민국이 각각 3승 2무로 동률을 이루었으나, 골득실에서 앞선 독일이 조 1위, 대한민국이 조 2위로 준결승에 진출했다. 네덜란드는 3승 1무 1패로 조 3위를 기록했다.대한민국은 2006년 9월 6일 네덜란드와의 첫 경기에서 3-2로 승리했다. 유효식이 두 골을 넣고, 서종호가 한 골을 추가하며 로날트 브라우어와 타커 타케마가 득점한 네덜란드를 상대로 승리했다. 9월 8일 잉글랜드와의 경기에서는 윤성훈의 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9월 10일 남아프리카 공화국과의 경기에서는 장종현과 유효식이 득점하여 2-2 무승부를 기록했다. 9월 11일 인도와의 경기에서는 장종현이 두 골을 넣어 2-1로 승리했다. 9월 13일 독일과의 마지막 경기에서는 득점 없이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독일은 인도와의 첫 경기에서 3-2로, 잉글랜드와의 경기에서 2-1로 승리하였다. 네덜란드와는 2-2, 남아프리카 공화국에게는 5-0으로 승리, 대한민국과는 0-0으로 비겼다. 네덜란드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2-0, 잉글랜드를 4-3, 인도를 6-1로 이겼다. 대한민국에게는 2-3 패배, 독일과는 2-2로 비겼다.
7. 순위 결정전
5-8위전은 크로스오버, 7위 결정전, 5위 결정전으로 구성되었다. 2006년 9월 15일에 열린 크로스오버 경기에서 잉글랜드는 뉴질랜드를 4-3으로, 파키스탄은 네덜란드를 3-2로 이겼다. 잉글랜드는 쇼(29분), 아치볼드(33분), 차일드(54분)가 득점한 뉴질랜드를 상대로 S. 맨텔(35분, 60분), 커크햄(46분), 틴달(70분)이 득점하여 승리했다. 파키스탄은 아바시(10분), 아바스(33분), 주바이르(36분)의 득점으로 레커스(42분)와 타케마(47분)가 득점한 네덜란드를 이겼다.
2006년 9월 16일에 열린 7위 결정전에서 네덜란드는 뉴질랜드를 3-0으로 이겼다. 웨스트호프(34분, 49분)와 타케마(40분)가 네덜란드의 득점을 기록했다. 같은 날 열린 5위 결정전에서 잉글랜드는 존스(67분)의 득점에 힘입어 파키스탄을 1-0으로 이겼다.
9-12위전은 크로스오버, 11위 결정전, 9위 결정전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2006년 9월 16일,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일본의 경기에서는 일본이 5-2로 승리했다. 일본의 요시다는 페널티 코너로 경기 시작 7분 만에 득점하였고, A. 이토가 필드 골을 추가했다. 후쿠다는 47분과 67분에 필드 골을, M. 이토는 61분에 필드 골을 기록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시몬스는 37분과 58분에 페널티 코너로 득점했다. 같은 날, 아르헨티나와 인도의 경기에서는 아르헨티나가 3-2로 승리했다. 인도의 할라파가 경기 시작 3분 만에 필드 골을 넣었고, R. 싱이 54분에 필드 골을 추가했다. 아르헨티나의 M. 빌라는 41분과 62분에, 파레데스는 51분에 페널티 코너로 득점했다.
2006년 9월 17일, 11위 결정전에서 인도와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맞붙어 인도가 1-0으로 승리했다. 인도의 R. 싱이 페널티 코너로 득점했다. 같은 날, 9위 결정전에서는 일본과 아르헨티나가 경기를 펼쳐 일본이 2-1로 승리했다. 일본의 요시다는 페널티 스트로크로, A. 이토는 필드 골로 득점했다. 아르헨티나의 R. 빌라는 페널티 코너로 득점했다.
7. 1. 5-8위전
5-8위전은 크로스오버, 7위 결정전, 5위 결정전으로 구성되었다. 2006년 9월 15일에 열린 크로스오버 경기에서 잉글랜드는 뉴질랜드를 4-3으로, 파키스탄은 네덜란드를 3-2로 이겼다. 잉글랜드는 쇼(29분), 아치볼드(33분), 차일드(54분)가 득점한 뉴질랜드를 상대로 S. 맨텔(35분, 60분), 커크햄(46분), 틴달(70분)이 득점하여 승리했다. 파키스탄은 아바시(10분), 아바스(33분), 주바이르(36분)의 득점으로 레커스(42분)와 타케마(47분)가 득점한 네덜란드를 이겼다.2006년 9월 16일에 열린 7위 결정전에서 네덜란드는 뉴질랜드를 3-0으로 이겼다. 웨스트호프(34분, 49분)와 타케마(40분)가 네덜란드의 득점을 기록했다. 같은 날 열린 5위 결정전에서 잉글랜드는 존스(67분)의 득점에 힘입어 파키스탄을 1-0으로 이겼다.
7. 2. 9-12위전
9-12위전은 크로스오버, 11위 결정전, 9위 결정전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2006년 9월 16일,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일본의 경기에서는 일본이 5-2로 승리했다. 일본의 요시다는 페널티 코너로 경기 시작 7분 만에 득점하였고, A. 이토가 필드 골을 추가했다. 후쿠다는 47분과 67분에 필드 골을, M. 이토는 61분에 필드 골을 기록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시몬스는 37분과 58분에 페널티 코너로 득점했다. 같은 날, 아르헨티나와 인도의 경기에서는 아르헨티나가 3-2로 승리했다. 인도의 할라파가 경기 시작 3분 만에 필드 골을 넣었고, R. 싱이 54분에 필드 골을 추가했다. 아르헨티나의 M. 빌라는 41분과 62분에, 파레데스는 51분에 페널티 코너로 득점했다.
2006년 9월 17일, 11위 결정전에서 인도와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맞붙어 인도가 1-0으로 승리했다. 인도의 R. 싱이 페널티 코너로 득점했다. 같은 날, 9위 결정전에서는 일본과 아르헨티나가 경기를 펼쳐 일본이 2-1로 승리했다. 일본의 요시다는 페널티 스트로크로, A. 이토는 필드 골로 득점했다. 아르헨티나의 R. 빌라는 페널티 코너로 득점했다.
8. 결승 토너먼트
오스트레일리아는 대한민국과의 준결승 경기에서 4-2로 승리했다. 전반 31분 장종현이 페널티 코너로 선제골을 넣었으나, 38분 베반 조지가 페널티 코너로 동점골을 넣으며 전반전을 마쳤다. 후반전에서는 강성정의 필드골로 대한민국이 다시 앞서갔지만, 트래비스 브룩스와 제이미 드와이어의 연속 득점으로 오스트레일리아가 역전에 성공했고, 경기 종료 직전 마이클 맥캔이 쐐기골을 넣어 승리했다.
독일과 스페인의 경기는 연장전까지 2-2로 승부를 가리지 못했다. 비욘 에머링과 모리츠 퓌르스테가 독일의 득점을, 산티 프레이샤와 알렉스 파브레가스가 스페인의 득점을 기록했다. 승부차기에서 독일은 크리스토퍼 첼러, 티모 베스, 필리프 첼러가 성공하고 스페인은 에두아르드 투바우만이 성공하여 3-1로 독일이 결승에 진출했다.
=== 3-4위전 ===
2006년 9월 17일 13시에 대한민국과 스페인의 경기가 진행되었다. 장종현(PC)이 42분에, 서종호(PC)가 60분에 득점하였다. 스페인의 에두아르드 투바우(FG)는 9분에, 산티 프레이샤(FG)는 40분에, 폴 아마트(FG)는 71분에 득점하였다. 연장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대한민국은 스페인에 2-3으로 패배했다. 주심은 데이비드 젠틀스(호주)와 데이비드 레이퍼(스코틀랜드)가 맡았다.
=== 결승전 ===
2006년 9월 17일, 독일은 오스트레일리아를 4-3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크리스토퍼 첼러는 18분과 54분에 득점하였고, 모리츠 퓌르스테와 뵨 에머링도 각각 46분과 49분에 득점하였다. 오스트레일리아는 마크 놀스가 19분, 매튜 네일러가 25분, 트로이 엘더가 38분에 득점하였다.
8. 1. 4강전
오스트레일리아는 대한민국과의 준결승 경기에서 4-2로 승리했다. 전반 31분 장종현이 페널티 코너로 선제골을 넣었으나, 38분 베반 조지가 페널티 코너로 동점골을 넣으며 전반전을 마쳤다. 후반전에서는 강성정의 필드골로 대한민국이 다시 앞서갔지만, 트래비스 브룩스와 제이미 드와이어의 연속 득점으로 오스트레일리아가 역전에 성공했고, 경기 종료 직전 마이클 맥캔이 쐐기골을 넣어 승리했다.독일과 스페인의 경기는 연장전까지 2-2로 승부를 가리지 못했다. 비욘 에머링과 모리츠 퓌르스테가 독일의 득점을, 산티 프레이샤와 알렉스 파브레가스가 스페인의 득점을 기록했다. 승부차기에서 독일은 크리스토퍼 첼러, 티모 베스, 필리프 첼러가 성공하고 스페인은 에두아르드 투바우만이 성공하여 3-1로 독일이 결승에 진출했다.
8. 2. 3-4위전
2006년 9월 17일 13시에 대한민국과 스페인의 경기가 진행되었다. 장종현(PC)이 42분에, 서종호(PC)가 60분에 득점하였다. 스페인의 에두아르드 투바우(FG)는 9분에, 산티 프레이샤(FG)는 40분에, 폴 아마트(FG)는 71분에 득점하였다. 연장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대한민국은 스페인에 2-3으로 패배했다. 주심은 데이비드 젠틀스(호주)와 데이비드 레이퍼(스코틀랜드)가 맡았다.8. 3. 결승전
2006년 9월 17일, 독일은 오스트레일리아를 4-3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크리스토퍼 첼러는 18분과 54분에 득점하였고, 모리츠 퓌르스테와 뵨 에머링도 각각 46분과 49분에 득점하였다. 오스트레일리아는 마크 놀스가 19분, 매튜 네일러가 25분, 트로이 엘더가 38분에 득점하였다.9. 최종 순위
대회 최종 순위는 위와 같다.
10. 수상
| 대회 MVP | 최다 득점자 | 대회 골키퍼 | 대회 신인 선수 | 페어플레이 트로피 |
|---|---|---|---|---|
| 제이미 드와이어/Jamie Dwyer영어 (오스트레일리아) | 타케 테케마/Taeke Taekemanl (네덜란드) | 울리히 부볼츠/Ulrich Bubolzde (독일) | 크리스토퍼 젤러 (독일) | 뉴질랜드 |
11. 득점 순위
| 순위 | 선수 | 국가 | 득점 |
|---|---|---|---|
| 1 | 테이케 테크마 | 11 | |
| 2 | 크리스토퍼 젤러 | 8 | |
| 3 | 산티아고 프레이샤 | 7 | |
| 4 | 사이먼 맨텔 | 5 | |
| 4 | 헤이든 쇼 | 5 | |
| 4 | 장종현 | 5 | |
| 7 | 제이미 드와이어 | 4 | |
| 7 | 트로이 엘더 | 4 | |
| 7 | 마이클 맥캔 | 4 | |
| 7 | 제임스 틴달 | 4 | |
| 7 | 쉬벤드라 싱 | 4 | |
| 7 | 이토 아키라 | 4 | |
| 7 | 소하일 아바스 | 4 | |
| 7 | 이안 시몬스 | 4 | |
| 7 | 폴 아마트 | 4 | |
| 7 | 에두아르드 투바우 | 4 | |
| 17 | 마티아스 빌라 | 3 | |
| 17 | 로드리고 빌라 | 3 | |
| 17 | 베번 조지 | 3 | |
| 17 | 리차드 맨텔 | 3 | |
| 17 | 모리츠 퓌르스테 | 3 | |
| 17 | 후쿠다 토시아키 | 3 | |
| 17 | 로데릭 웨스트호프 | 3 | |
| 17 | 사이먼 차일드 | 3 | |
| 17 | 샤킬 아바시 | 3 | |
| 17 | 레한 버트 | 3 | |
| 17 | 무하마드 주바이르 | 3 | |
| 17 | 유효식 | 3 | |
| 39 | 루카스 카마레리 | 2 | |
| 39 | 트래비스 브룩스 | 2 | |
| 39 | 루크 도어너 | 2 | |
| 39 | 러셀 포드 | 2 | |
| 39 | 매튜 네일러 | 2 | |
| 39 | 비욘 에머링 | 2 | |
| 39 | 올리버 헨첼 | 2 | |
| 39 | 마티아스 비트하우스 | 2 | |
| 39 | 딜립 티르키 | 2 | |
| 39 | 라즈팔 싱 | 2 | |
| 39 | 가타야마 게니치 | 2 | |
| 39 | 요시다 가즈오 | 2 | |
| 39 | 로날드 브라우어 | 2 | |
| 39 | 롭 레커스 | 2 | |
| 39 | 딘 쿠진스 | 2 | |
| 39 | 서종호 | 2 | |
| 54 | 마티아스 파레데스 | 1 | |
| 54 | 로버트 해먼드 | 1 | |
| 54 | 마크 놀스 | 1 | |
| 54 | 매튜 데일리 | 1 | |
| 54 | 마틴 존스 | 1 | |
| 54 | 글렌 커크햄 | 1 | |
| 54 | 세바스티안 비더락 | 1 | |
| 54 | 아르준 할라파 | 1 | |
| 54 | 이그나스 티르키 | 1 | |
| 54 | 이토 미츠루 | 1 | |
| 54 | 오자와 가즈유키 | 1 | |
| 54 | 사카모토 히로키 | 1 | |
| 54 | 마티스 브라우어 | 1 | |
| 54 | 헤르트-얀 데리크스 | 1 | |
| 54 | 테운 데 노이저 | 1 | |
| 54 | 라이언 아치볼드 | 1 | |
| 54 | 블레어 호핑 | 1 | |
| 54 | 미테시 파텔 | 1 | |
| 54 | 웨인 매드센 | 1 | |
| 54 | 룽기레 촐레킬레 | 1 | |
| 54 | 강성중 | 1 | |
| 54 | 윤성훈 | 1 | |
| 54 | 다비드 알레그레 | 1 | |
| 54 | 알렉스 파브레가스 | 1 | |
| 54 | 사비에르 리바스 | 1 |
총 42경기에서 174골이 나왔다.
12. 대한민국 대표팀
13. 기타
14.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Germany storm to World Cup win
http://www.fih.ch/en[...]
2012-11-06
[2]
웹사이트
Men’s World Cup field confirmed
http://www.fih.ch/en[...]
2012-11-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