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008년 하계 올림픽 레슬링 남자 자유형 120kg급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8년 하계 올림픽 레슬링 남자 자유형 120kg급 경기는 중국 베이징에서 개최되었으며, 중국 농업대학 체육관에서 진행되었다. 러시아의 바흐티야르 아흐메도프가 금메달을 획득했으나, 우즈베키스탄의 아르투르 타이마조프가 도핑 테스트에서 양성 반응을 보여 메달이 박탈되었다. 최종 순위는 바흐티야르 아흐메도프가 금메달, 슬로바키아의 다비드 무술베스가 은메달, 쿠바의 디즈니 로드리게스와 카자흐스탄의 마리드 무탈리모프가 동메달을 획득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8년 하계 올림픽 레슬링 - 2008년 하계 올림픽 레슬링 여자 자유형 55kg급
    2008년 하계 올림픽 레슬링 여자 자유형 55kg급은 8월 16일에 진행된 경기이며, 요시다 사오리가 금메달, 쉬 리가 은메달, 토냐 베르비크와 재클린 렌테리아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 2008년 하계 올림픽 레슬링 - 2008년 하계 올림픽 레슬링 여자 자유형 48kg급
    2008년 하계 올림픽 레슬링 여자 자유형 48kg급 경기는 2008년 8월 16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렸으며, 캐럴 윈이 금메달을, 마리야 스타드니크와 이리나 메를레니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 올림픽 레슬링 - 2008년 하계 올림픽 레슬링 여자 자유형 55kg급
    2008년 하계 올림픽 레슬링 여자 자유형 55kg급은 8월 16일에 진행된 경기이며, 요시다 사오리가 금메달, 쉬 리가 은메달, 토냐 베르비크와 재클린 렌테리아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 올림픽 레슬링 - 2008년 하계 올림픽 레슬링 여자 자유형 48kg급
    2008년 하계 올림픽 레슬링 여자 자유형 48kg급 경기는 2008년 8월 16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렸으며, 캐럴 윈이 금메달을, 마리야 스타드니크와 이리나 메를레니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 올림픽 레슬링에 관한 - 2008년 하계 올림픽 레슬링 여자 자유형 55kg급
    2008년 하계 올림픽 레슬링 여자 자유형 55kg급은 8월 16일에 진행된 경기이며, 요시다 사오리가 금메달, 쉬 리가 은메달, 토냐 베르비크와 재클린 렌테리아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 올림픽 레슬링에 관한 - 2008년 하계 올림픽 레슬링 여자 자유형 48kg급
    2008년 하계 올림픽 레슬링 여자 자유형 48kg급 경기는 2008년 8월 16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렸으며, 캐럴 윈이 금메달을, 마리야 스타드니크와 이리나 메를레니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2008년 하계 올림픽 레슬링 남자 자유형 120kg급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대회 정보
종목남자 120kg급 자유형 레슬링
대회2008년 하계 올림픽
베이징 2008 레슬링
자유형 96-120kg 남자
경기장중국 농업대학 체육관
날짜2008년 8월 21일
참가 선수20명
참가 국가20개국
이전 대회2004년
다음 대회2012년
메달 정보
금메달바흐티야르 아흐메도프
금메달 국가RUS
은메달다비드 무술베스
은메달 국가SVK
동메달디스니 로드리게스
동메달 국가CUB
동메달 2마리드 무탈리모프
동메달 국가 2KAZ

2. 경기장

2008년 하계 올림픽 레슬링 남자 자유형 120kg급 경기는 베이징에 있는 중국 농업대학 체육관에서 열렸다.

도시경기장비고
베이징중국 농업대학 체육관전 경기


3. 경기 일정

경기 시간은 중국 표준시 (UTC+8) 기준이다.

날짜시간경기
2008년 8월 21일09:30예선
16:00패자부활전
17:00결승전


4. 경기 결과


  • '''F''' — 폴에 의한 승리

4. 1. 본선

본선 경기는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예선 라운드를 시작으로 16강, 8강, 준결승을 거쳐 결승 진출자를 가렸다. 결승전에서는 우즈베키스탄아르투르 타이마조프러시아바흐티야르 아흐메도프가 맞붙었다. 타이마조프가 아흐메도프를 세트 스코어 2-0(3-0, 1-0)으로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4. 1. 1. 상위 절반

wikitext

상위 절반 경기 결과
라운드선수 1결과 (1P - 2P)선수 2결과 (1P - 2P)
16강알리 이사예프 (AZE)0 - 3아르투르 타이마조프 (UZB)2 - 4
라레슈 친토안 (ROU)0 - 0디스네이 로드리구에스 (CUB)5 - 4
다비드 무술베스 (SVK)3 - 6윌손 시에와리 (NGR)0 - 0
플로리안 테멘길 (PLW)0 - 1어우벨리 오토 (HUN)4 - 7
8강아르투르 타이마조프 (UZB)3 - 4디스네이 로드리구에스 (CUB)1 - 0
다비드 무술베스 (SVK)2 - 2어우벨리 오토 (HUN)1 - 0
준결승아르투르 타이마조프 (UZB)1 - 1다비드 무술베스 (SVK)0 - 0


4. 1. 2. 하위 절반

=== 예선 ===

  • Steve Mocco|스티브 모코eng(미국)가 Rajiv Tomar|라지브 타마르eng(인도)를 2-0(1-0, 3-0)으로 꺾었다.
  • 梁磊|량 레이zho(중국)가 Bartłomiej Bartnicki|바르트워미에이 바르트니츠키pol(폴란드)를 2-0(1-1, 2-2)으로 이겼다.
  • Бахтияр Шахабутдинович Ахмедов|바흐티야르 아흐메도프rus(러시아)가 Божидар Бояджиев|보지다르 보야지예프bul(불가리아)를 2-0(2-0, 2-0)으로 이겼다.
  • فردین معصومی|파르딘 마소우미fas(이란)가 Lawrence Langowski|라우렌세 란고우스키eng(멕시코)를 2-0(6-0, 6-0)으로 꺾었다.


=== 16강 ===

  • Марид Муталимов|마리드 무타리모프kaz(카자흐스탄)가 대한민국의 김재강을 2-0(1-1, 2-0)으로 이겼다. 이 경기 패배로 김재강은 탈락했다.
  • Aydın Polatçı|아이든 폴라트치tur(튀르키예)가 Іван Іщенко|이반 이슈첸코ukr(우크라이나)를 2-1(0-3, 1-0, 1-0)로 꺾었다.
  • Steve Mocco|스티브 모코eng(미국)가 梁磊|량 레이zho(중국)를 2-0(1-0, 3-0)으로 이겼다.
  • Бахтияр Шахабутдинович Ахмедов|바흐티야르 아흐메도프rus(러시아)가 فردین معصومی|파르딘 마소우미fas(이란)에게 폴승(F)을 거두었다.


=== 8강 ===

  • Марид Муталимов|마리드 무타리모프kaz(카자흐스탄)가 Aydın Polatçı|아이든 폴라트치tur(튀르키예)를 2-1(1-0, 1-2, 2-0)로 꺾었다.
  • Бахтияр Шахабутдинович Ахмедов|바흐티야르 아흐메도프rus(러시아)가 Steve Mocco|스티브 모코eng(미국)를 2-1(0-1, 1-0, 2-0)로 이겼다.


=== 준결승 ===

  • Бахтияр Шахабутдинович Ахмедов|바흐티야르 아흐메도프rus(러시아)가 Марид Муталимов|마리드 무타리모프kaz(카자흐스탄)를 2-0(6-0, 1-0)으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4. 2. 패자부활전

아르투르 타이마조프에게 패배한 선수들은 패자부활전을 통해 동메달 획득 기회를 얻었다.

패자부활전은 두 개의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각 조의 최종 승자가 동메달 결정전에 진출했다.

=== 1조 ===

패자부활전 2라운드에서 CUB의 디스네이 로드리구에스가 AZE의 알리 이사예프를 세트 스코어 2-0(1-0, 4-0F)으로 꺾고 동메달 결정전에 진출했다. 동메달 결정전에서는 SVK의 다비드 무술베스가 로드리구에스를 세트 스코어 2-0(4-0, 4-2)으로 누르고 동메달을 획득했다.

라운드선수 1점수 (세트)선수 2결과
2라운드알리 이사예프 (AZE)0-1, 0-4F디스네이 로드리구에스 (CUB)로드리구에스 승
동메달 결정전디스네이 로드리구에스 (CUB)0-4, 2-4다비드 무술베스 (SVK)무술베스 동메달



=== 2조 ===

패자부활전 1라운드에서는 IRI의 파르딘 마소우미가 BUL의 보지다르 보야지예프를 세트 스코어 2-1(0-1, 2-0, 4-2)로 이겼다. 이어진 2라운드에서 마소우미는 USA의 스티브 모코를 세트 스코어 2-0(3-1, 4-1)으로 제압하고 동메달 결정전에 올랐다. 동메달 결정전에서는 KAZ의 마리드 무탈리모프가 마소우미를 세트 스코어 2-0(8-3, 1-1)으로 꺾고 동메달을 차지했다.

라운드선수 1점수 (세트)선수 2결과
1라운드보지다르 보야지예프 (BUL)1-0, 0-2, 2-4파르딘 마소우미 (IRI)마소우미 승
2라운드파르딘 마소우미 (IRI)3-1, 4-1스티브 모코 (USA)마소우미 승
동메달 결정전파르딘 마소우미 (IRI)3-8, 1-1마리드 무탈리모프 (KAZ)무탈리모프 동메달


4. 3. 결승전

결승전에서는 우즈베키스탄아르투르 타이마조프러시아바흐티야르 아흐메도프가 맞붙었다.

결승전 경기 결과
선수1세트2세트3세트
아르투르 타이마조프 (UZB)31-
바흐티야르 아흐메도프 (RUS)00-



경기 결과, 아르투르 타이마조프가 바흐티야르 아흐메도프를 세트 스코어 2-0 (3-0, 1-0)으로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하지만 이후 도핑 검사에서 금지 약물 양성 반응이 나와 타이마조프의 메달이 박탈되었다.

5. 메달리스트

메달이름소속 국가
금메달
바흐티야르 아흐메도프러시아
은메달
공석
동메달
다비드 무술베스슬로바키아
마리드 무타리모프카자흐스탄



원래 금메달을 획득했던 우즈베키스탄아르투르 타이마조프는 도핑 검사 결과 금지 약물인 클로로데히드로메틸테스토스테론과 스타노졸롤 양성 반응이 확인되어 실격 처리되었다. 이에 따라 원래 은메달리스트였던 러시아바흐티야르 아흐메도프가 금메달을 승계했으며, 은메달 자리는 공석이 되었다. 동메달은 슬로바키아의 다비드 무술베스와 카자흐스탄의 마리드 무타리모프가 획득했다.

6. 최종 순위

wikitext

순위선수
--바흐티야르 아흐메도프 (RUS)
--다비드 무술베스 (SVK)
--디즈니 로드리게스 (CUB)
--마리드 무탈리모프 (KAZ)
5파르딘 마수미 (IRI)
6스티브 모코 (USA)
7오토 아우벨리 (HUN)
8아이딘 폴라치 (TUR)
9량 레이 (CHN)
10이반 이슈첸코 (UKR)
11바르토미에이 바르트니키 (POL)
12보지다르 보야지예프 (BUL)
13알리 이사예프 (AZE)
14김재강 (KOR)
15플로리안 스킬랑 테멩길 (PLW)
16라지브 토마르 (IND)
17라레슈 친토안 (ROU)
17윌슨 시와리 (NGR)
19로렌스 랑고스키 (MEX)
실격아르투르 타마조프 (UZB)


  • 아르투르 타마조프 (UZB)는 원래 금메달을 획득했으나, 클로로데히드로메틸테스토스테론과 스타노졸롤 양성 반응으로 실격 처리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