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리그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1년 리그컵은 K리그의 리그컵 대회로, AFC 챔피언스 리그에 출전하는 팀을 제외한 12개 팀이 조별 예선에 참가했다. 조별 예선은 A조와 B조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각 조 1, 2위 팀이 본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본선 토너먼트는 8강부터 결승까지 단판 승부로 진행되었으며, K리그 2010 성적과 FA컵 우승팀 자격으로 4팀이 8강에 직행했다. 결승전에서 울산 현대가 부산 아이파크를 3-2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으며, 김신욱은 11골로 최다 득점, 최재수는 4도움으로 최다 도움을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리그컵 시즌 - 2006년 리그컵
2006년 리그컵은 K리그 컵 대회로 FC 서울이 우승했으며, 최성국이 득점왕, 두두가 도움왕을 차지했다. - 대한민국 리그컵 시즌 - 2010년 리그컵
2010년 리그컵(포스코컵)은 K리그 15개 구단이 참가하여 조별 예선과 결선 토너먼트를 통해 우승팀을 가리는 대회로, FC 서울이 전북 현대를 꺾고 우승했으며 데얀이 최다 득점자가 되었다. - 2011년 축구 - 이광종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이자 감독이었던 이광종은 선수 시절 프로 선수로 활동했고, 은퇴 후에는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여러 연령별 대표팀 감독을 맡아 2014년 아시안 게임 금메달 획득 등의 업적을 남겼으며 유소년 축구 발전에 크게 기여했으나 급성 백혈병으로 사망했다. - 2011년 축구 - 이종호 (축구 선수)
이종호는 전남 드래곤즈 U-18 출신의 대한민국 축구 선수로, 전남, 전북, 울산 등에서 활약했으며, 대한민국 U-17, U-20 월드컵과 2014년 아시안 게임 금메달, 2015년 동아시안컵 우승 경력이 있다. - 2011년 대한민국 - 한진중공업 사태
한진중공업 사태는 2010년 12월, 400명 규모의 정리해고 발표로 시작되어 사회적 파장을 일으켰고, 노동자 권익 보호와 관련된 전국적인 논의를 촉발한 사건이다. - 2011년 대한민국 - 아덴만 여명 작전
아덴만 여명 작전은 2011년 1월 대한민국 해군 특수전여단이 소말리아 해적에게 피랍된 삼호 주얼리호 선원 21명을 구출하는 과정에서 교전 끝에 해적 사살 및 생포에 성공했으나, 석해균 선장이 중상을 입었고 엠바고 위반, 부상 경위 의혹, 과도한 홍보 논란 등이 있었다.
2011년 리그컵 | |
---|---|
대회 정보 | |
대회 명칭 | 러시앤캐시컵 |
연도 | 2011년 |
국가 | 대한민국 |
기간 | 2011년 3월 16일 – 2011년 7월 13일 |
참가 팀 수 | 16 |
경기 수 | 37 |
총 득점 | 89 |
평균 득점 | 경기당 2.41골 |
총 관중 | 168,677명 |
결과 | |
우승 팀 | 울산 현대 |
우승 횟수 | 5회 |
준우승 팀 | 부산 아이파크 |
최다 득점자 | 김신욱 (11골) |
이전 시즌 및 다음 시즌 | |
이전 시즌 | 2010년 |
2. 대회 구성
2011년 대회는 2011년 AFC 챔피언스 리그에 참가하는 구단을 제외한 모든 K리그 구단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를 진행했다.
2. 1. 예선 조별 리그
AFC 챔피언스 리그에 출전하는 4팀(FC 서울, 제주 유나이티드, 전북 현대 모터스, 수원 삼성 블루윙즈)을 제외한 12개 구단이 조별 예선에 참가했다. 12개 팀은 6개 팀씩 A조와 B조로 나뉘어 팀당 5경기씩 치렀다. 각 조 1, 2위 팀이 본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1]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
1 | 포항 스틸러스 | 5 | 4 | 0 | 1 | 11 | 3 | +8 |
2 | 경남 FC | 5 | 3 | 1 | 1 | 7 | 2 | +5 |
3 | 성남 일화 천마 | 5 | 2 | 2 | 1 | 4 | 3 | +1 |
4 | 인천 유나이티드 | 5 | 1 | 2 | 2 | 5 | 6 | -1 |
5 | 대구 FC | 5 | 1 | 2 | 2 | 2 | 5 | -3 |
6 | 대전 시티즌 | 5 | 0 | 1 | 4 | 1 | 11 | -10 |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
1 | 부산 아이파크 | 5 | 4 | 0 | 1 | 7 | 3 | +4 |
2 | 울산 현대 | 5 | 4 | 0 | 1 | 8 | 5 | +3 |
3 | 전남 드래곤즈 | 5 | 3 | 1 | 1 | 4 | 1 | +3 |
4 | 강원 FC | 5 | 1 | 1 | 3 | 7 | 6 | +1 |
5 | 상주 상무 | 5 | 1 | 0 | 4 | 6 | 9 | -3 |
6 | 광주 FC | 5 | 1 | 0 | 4 | 4 | 12 | -8 |
2. 2. 본선 토너먼트
지난해와 똑같은 방식으로 본선 토너먼트는 8강전부터 결승전까지 모두 단판 승부로 진행되었다.[1] AFC 챔피언스 리그에 출전한 4팀은 8강에 자동 진출했다.3. 러시앤캐시컵 2011의 참가팀
AFC 챔피언스 리그에 진출한 FC 서울, 전북 현대 모터스, 제주 유나이티드, 수원 삼성 블루윙즈는 8강에 직행했다. 나머지 12개 팀은 K리그 2010 순위에 따라 A조와 B조로 나뉘어 조별 예선을 치렀고, A조에서는 포항 스틸러스가, B조에서는 부산 아이파크가 우승했으며, 경남 FC와 울산 현대는 각각 준우승을 차지했다.
3. 1. 조별 예선 자동 통과팀
다음 4팀은 K리그 2010 성적과 대한민국 FA컵 2010 우승팀 자격으로 조별 예선을 거치지 않고 8강에 직행했다.팀 | 결과 |
---|---|
FC 서울 | AFC 챔피언스 리그 진출팀 |
전북 현대 모터스 | |
제주 유나이티드 |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3. 2. 조별 예선 참가팀
조별 예선 자동 통과팀을 제외한 나머지 12개 팀은 K리그 2010 순위를 기준으로 A조와 B조에 배정되었다.A조 | 순위 | B조 | 순위 |
---|---|---|---|
성남 일화 천마 | 4 | 울산 현대 | 5 |
경남 FC | 6 | 부산 아이파크 | 8 |
포항 스틸러스 | 9 | 전남 드래곤즈 | 10 |
인천 유나이티드 | 11 | 강원 FC | 12 |
대전 시티즌 | 13 | 상주 상무 피닉스 | 14 |
대구 FC | 15 | 광주 FC | 신생 |
4. 예선 조별리그
2011년 리그컵 예선 조별리그는 A조와 B조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A조에는 포항 스틸러스, 경남 FC, 성남 일화 천마, 인천 유나이티드, 대구 FC, 대전 시티즌이, B조에는 부산 아이파크, 울산 현대, 전남 드래곤즈, 강원 FC, 상주 상무, 광주 FC가 속해 있었다.[1]
7월 6일 부산 아시아드 주경기장에서 열린 부산 아이파크와 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경기에서는 부산 아이파크가 2-1로 승리했다. 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양준아가 전반 7분에 선제골을 넣었지만, 부산 아이파크의 임상협이 전반 43분, 김한윤이 후반 90분에 득점하여 역전승을 거두었다. 같은 날 울산 문수 축구경기장에서 열린 울산 현대와 경남 FC의 경기에서는 울산 현대의 김신욱이 4골을 넣는 활약에 힘입어 4-2로 승리했다.
4. 1. A조
2011년 리그컵 A조에는 포항 스틸러스, 경남 FC, 성남 일화 천마, 인천 유나이티드, 대구 FC, 대전 시티즌이 속해 있었다.[1]4. 1. 1. 순위
순위 | 구단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 | 승점 |
---|---|---|---|---|---|---|---|---|---|
1 | 포항 스틸러스 | 5 | 4 | 0 | 1 | 11 | 3 | +8 | 12 |
2 | 경남 FC | 5 | 3 | 1 | 1 | 7 | 2 | +5 | 10 |
3 | 성남 일화 천마 | 5 | 2 | 2 | 1 | 4 | 3 | +1 | 8 |
4 | 인천 유나이티드 | 5 | 1 | 2 | 2 | 5 | 6 | −1 | 5 |
5 | 대구 FC | 5 | 1 | 2 | 2 | 2 | 5 | −3 | 5 |
6 | 대전 시티즌 | 5 | 0 | 1 | 4 | 1 | 11 | −10 | 1 |
4. 1. 2. 경기 결과
A조 순위는 다음과 같다.[1]순위 | 구단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 | 승점 |
---|---|---|---|---|---|---|---|---|---|
1 | 포항 스틸러스 | 5 | 4 | 0 | 1 | 11 | 3 | +8 | 12 |
2 | 경남 FC | 5 | 3 | 1 | 1 | 7 | 2 | +5 | 10 |
3 | 성남 일화 천마 | 5 | 2 | 2 | 1 | 4 | 3 | +1 | 8 |
4 | 인천 유나이티드 | 5 | 1 | 2 | 2 | 5 | 6 | −1 | 5 |
5 | 대구 FC | 5 | 1 | 2 | 2 | 2 | 5 | −3 | 5 |
6 | 대전 시티즌 | 5 | 0 | 1 | 4 | 1 | 11 | −10 | 1 |
A조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 포항 스틸러스 2-0 성남 일화 천마
- 포항 스틸러스 4-1 인천 유나이티드
- 포항 스틸러스 0-1 대구 FC
- 경남 FC 1-2 포항 스틸러스
- 경남 FC 1-0 인천 유나이티드
- 경남 FC 3-0 대전 시티즌
- 성남 일화 천마 0-0 경남 FC
- 성남 일화 천마 1-1 인천 유나이티드
- 성남 일화 천마 1-0 대전 시티즌
- 인천 유나이티드 0-0 대구 FC
- 인천 유나이티드 3-0 대전 시티즌
- 대구 FC 0-2 경남 FC
- 대구 FC 0-2 성남 일화 천마
- 대전 시티즌 0-3 포항 스틸러스
- 대전 시티즌 1-1 대구 FC
7월 13일 울산 문수 축구경기장에서 열린 울산 현대와 부산 아이파크의 경기에서는 울산 현대가 3-2로 승리하였다. 고창현이 38분, 설기현이 45+1분, 강진욱이 58분에 득점하여 울산 현대가 앞서나갔고, 부산 아이파크의 양동현이 71분과 77분에 득점하여 추격하였으나 경기는 울산 현대의 승리로 끝났다. 이날 경기에는 21,853명의 관중이 입장하였으며, 이민후 심판이 주심을 맡았다.
득점 순위는 다음과 같다.
순위 | 선수 | 클럽 | 골 |
---|---|---|---|
1 | 김신욱|金信煜한국어 | 울산 현대 | 11 |
2 | 김정우|金正友한국어 | 상주 상무 | 3 |
3 | 양동현|梁東賢한국어 | 부산 아이파크 | 2 |
로버트 콘스웨이트|Robert Cornthwaite영어 | 전남 드래곤즈 | ||
황일수|黃一琇한국어 | 대구 FC | ||
김영후|金永厚한국어 | 강원 FC | ||
서동현|徐東鉉한국어 | 강원 FC | ||
루시우 테오필루 다 실바|Lúcio Teófilo da Silvapt | 경남 FC | ||
윤빛가람|尹빛가람한국어 | 경남 FC | ||
아드리아누 추바|Adriano Neves Pereirapt | 포항 스틸러스 | ||
조찬호|趙澯鎬한국어 | 포항 스틸러스 | ||
정석민|鄭碩珉한국어 | 포항 스틸러스 | ||
김기동|金基東한국어 | 포항 스틸러스 | ||
김동현|金東炫한국어 | 상주 상무 | ||
이진호|李珍鎬한국어 | 울산 현대 | ||
설기현|薛琦鉉한국어 | 울산 현대 |
4. 2. B조
2011년 리그컵 B조에는 부산 아이파크, 울산 현대, 전남 드래곤즈, 강원 FC, 상주 상무, 광주 FC가 속해 있었다. 부산 아이파크와 울산 현대가 4승 1패로 좋은 성적을 거두어 각각 조 1, 2위로 8강 토너먼트에 진출했다.[1]4. 2. 1. 순위
순위 | 구단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1 | 부산 아이파크 | 5 | 4 | 0 | 1 | 7 | 3 | +5 | 12 |
2 | 울산 현대 | 5 | 4 | 0 | 1 | 8 | 5 | +3 | 12 |
3 | 전남 드래곤즈 | 5 | 3 | 1 | 1 | 4 | 1 | +3 | 10 |
4 | 강원 FC | 5 | 1 | 1 | 3 | 7 | 6 | +1 | 4 |
5 | 상주 상무 피닉스 | 5 | 1 | 0 | 4 | 6 | 9 | −3 | 3 |
6 | 광주 FC | 5 | 1 | 0 | 4 | 4 | 12 | −8 | 3 |
조별 리그에서 부산 아이파크와 울산 현대가 각각 1위와 2위로 본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1]
4. 2. 2. 경기 결과
순위 | 구단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1 | 부산 아이파크 | 5 | 4 | 0 | 1 | 7 | 3 | +5 | 12 |
2 | 울산 현대 | 5 | 4 | 0 | 1 | 8 | 5 | +3 | 12 |
3 | 전남 드래곤즈 | 5 | 3 | 1 | 1 | 4 | 1 | +3 | 10 |
4 | 강원 FC | 5 | 1 | 1 | 3 | 7 | 6 | +1 | 4 |
5 | 상주 상무 피닉스 | 5 | 1 | 0 | 4 | 6 | 9 | −3 | 3 |
6 | 광주 FC | 5 | 1 | 0 | 4 | 4 | 12 | −8 | 3 |
B조의 상세한 경기 결과는 기록되지 않았다.
5. 본선 토너먼트
2011년 6월 29일에 8강전이 시작되었고, 7월 6일에 준결승전이, 7월 13일에 결승전이 각각 개최되었다.[1]
5. 1. 대진표
경기일 | 장소 | 홈 팀 | 원정 팀 | ||
---|---|---|---|---|---|
6월 29일 | 포항 | 포항 스틸러스 | 1-2 | 부산 아이파크 | |
6월 29일 | 서귀포 | 제주 유나이티드 | 0 (2)-0 (4)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
6월 29일 | 창원 | 경남 FC | 1-0 | FC 서울 | |
6월 29일 | 울산 | 울산 현대 | 4-1 | 전북 현대 모터스 | |
7월 6일 | 부산 | 부산 아이파크 | 2-1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
7월 6일 | 울산 | 울산 현대 | 4-2 | 경남 FC | |
7월 13일 | 울산 | 울산 현대 | 3-2 | 부산 아이파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