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바덴뷔르템베르크 주의회 선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1년 바덴뷔르템베르크 주의회 선거는 2006년부터 기민련과 자민당의 연립 정부가 집권하고 있는 상황에서 치러졌다. 선거는 혼합형 비례대표제로 진행되었으며, 주요 이슈로는 슈투트가르트 21 프로젝트, 원자력 발전, 교육 정책, EnBW 주식 재매입 문제 등이 있었다. 선거 결과, 녹색당과 사민당이 과반수를 확보하여 정권 교체가 이루어졌고, 빈프리트 크레취만이 독일 최초의 녹색당 소속 주 총리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1년 독일의 선거 - 2011년 베를린 주의회 선거
2011년 베를린 주의회 선거는 사민당-좌파당 연정 하에 치러진 선거로, 사회민주당이 제1당을 유지했으나 녹색당 약진, 해적당의 원내 진입, 자유민주당의 의석 상실 등의 변화 속에 사회민주당이 기독교민주연합과 대연정을 구성했다. - 2011년 독일의 선거 - 2011년 함부르크 주의회 선거
2011년 함부르크 주의회 선거는 연정 붕괴로 인한 조기 선거로, 사회민주당이 압승하여 단독 정부를 구성했으며, 개정된 선거법에 따라 혼합식 비례대표제를 통해 의원을 선출했다는 특징이 있다. - 바덴뷔르템베르크주 - 하이델베르크
하이델베르크는 독일 바덴뷔르템베르크주 네카르 강변에 위치한 도시로, 유서 깊은 대학교와 하이델베르크 성, 아름다운 구시가지, 낭만주의 역사를 자랑하는 국제적인 문화 관광 중심지이다. - 바덴뷔르템베르크주 - 바일데어슈타트
바일데어슈타트는 바덴뷔르템베르크주 뵈블링겐군에 속한 독일 도시로, 중세 시대 자유제국도시이자 요하네스 케플러와 요하네스 브렌츠의 출생지로 유명하며, 슈투트가르트 S반 종착역과 파스넷 카니발 축제로도 알려져 있다.
2011년 바덴뷔르템베르크 주의회 선거 | |
---|---|
선거 정보 | |
선거 이름 | 2011년 바덴뷔르템베르크 주의회 선거 |
국가 | 바덴뷔르템베르크 |
선거 유형 | 주의회 |
투표율 | 4,983,719 (66.2%) 증가 12.8% |
진행 여부 | 아니오 |
이전 선거 | 2006년 바덴뷔르템베르크 주의회 선거 |
이전 선거 연도 | 2006 |
다음 선거 | 2016년 바덴뷔르템베르크 주의회 선거 |
다음 선거 연도 | 2016 |
선출 의석 수 | 바덴뷔르템베르크 주의회의 전체 138석 |
과반 의석 수 | 70 |
선거 날짜 | 2011년 3월 27일 |
지도 | |
![]() | |
주요 정당 및 지도자 | |
![]() | |
![]() | |
![]() | |
![]() | |
선거 결과 | |
기독교민주연합 득표수 | 1,942,404 |
기독교민주연합 득표율 | 39.0% |
기독교민주연합 의석수 | 60 |
녹색당 득표수 | 1,205,508 |
녹색당 득표율 | 24.2% |
녹색당 의석수 | 36 |
사회민주당 득표수 | 1,151,859 |
사회민주당 득표율 | 23.1% |
사회민주당 의석수 | 35 |
자유민주당 득표수 | 262,520 |
자유민주당 득표율 | 5.3% |
자유민주당 의석수 | 7 |
좌파당 득표율 | 2.8% |
해적당 득표율 | 2.1% |
기타 정당 득표율 | 3.5% |
정부 변동 | |
선거 이전 주총리 | 슈테판 마푸스 |
선거 이전 소속 정당 | 기독교민주연합 |
선거 이후 주총리 | 빈프리트 크레치만 |
선거 이후 소속 정당 | 녹색당 |
2. 선거 이전 상황
2006년 주의회 선거 이후 기민련과 자민당이 연립정부를 구성해 집권하고 있다. 2006년부터 2010년까지는 귄터 외팅어가 주지사로서 주 정부를 이끌었고, 2010년부터 슈테판 마푸스가 주지사직을 이어받았다. 사민당과 녹색당은 주의회 내에서 의석을 가지고 야당 역할을 하고 있다.
2011년 5월 1일 임기가 시작되는 바덴뷔르템베르크 주의회는 다음과 같은 변화가 있었다.
- 지금까지 명예직 의회였던 의회가 세비(급여)가 지급되는 의회로 전환되었다.
- 의원에 대해 국가가 지원하는 노령 보상금이 폐지되어, 노령 연금에 대해 의원이 직접 부담해야 한다.
바덴뷔르템베르크 주의회 선거는 앙겔라 메르켈 총리에게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여겨졌다. 바덴뷔르템베르크 주는 거의 60년 동안 기민련의 텃밭이었다.[1]
다음 표는 바덴뷔르템베르크 주의회에서 활동했던 정당들을 나열한 것이다.
이름 | 이념 | 대표 | 2006년 결과 | |||
---|---|---|---|---|---|---|
득표율(%) | 의석 | |||||
CDU | 독일 기독교민주연합 Christlich Demokratische Union Deutschlands|크리슈틀리히 데모크라티셰 우니온 도이칠란츠de | 기독교 민주주의 | 슈테판 마푸스 | 44.2% | ||
SPD | 독일 사회민주당 Sozialdemokratische Partei Deutschlands|조치알데모크라티셰 파르타이 도이칠란츠de | 사회 민주주의 | 닐스 슈미트 | 25.2% | ||
FDP | 자유민주당 Freie Demokratische Partei|프라이에 데모크라티셰 파르타이de | 고전적 자유주의 | 울리히 골 | 10.7% | ||
Grüne | 동맹 90/녹색당 Bündnis 90/Die Grünen|뷘트니스 90/디 그뤼넨de | 녹색 정치 | 빈프리트 크레취만 | 11.7% |
바덴뷔르템베르크 주의회 선거에는 혼합형 비례대표제가 사용된다. 하지만 다른 주나 연방하원 선거와 달리 1인 2표제가 아닌 1인 1표제로 시행된다. 유권자는 1표를 행사해 5년 임기의 주의원 120명을 선출한다.
2011년 바덴뷔르템베르크 주의회 선거는 앙겔라 메르켈 총리에게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었다. 바덴뷔르템베르크 주는 거의 60년 동안 기민당의 텃밭이었기 때문이다.[1]
3. 선거 제도
먼저 70개 지역구의 단순다수 득표자들이 주의회 의원이 된다. 정당 득표율이 5%가 넘는 정당에게는 120명의 의석을 상트라귀 방식으로 배정한다. 이렇게 배정한 정당별 의석을 4개의 광역행정단위(Bezirk)별로 다시 상트라귀 방식으로 배정한다. 광역행정단위 정당에 배정된 의석이 지역구 당선자보다 적은 경우에는 낙선한 소속 정당 지역구 후보 중 다득표순으로 당선자를 결정한다.
광역행정단위 정당에 배정된 의석수보다 지역구 당선자가 많은 경우에는 초과의석으로 정원을 늘려 인정한다. 이때 손해를 보는 정당에는 보정의석이 배정된다.
4. 주요 이슈
이번 선거의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았다.
슈투트가르트 21 논란은 정부 투명성 문제를 야기했다.[3] 슈테판 마푸스의 기민당 정부는 이 프로젝트를 지지하며 시위대에 최루 가스와 물대포를 사용하며 강제 해산시켰다. 사회민주당 지도부 또한 슈투트가르트 21을 지지했지만, 당내 반대로 인해 명확한 입장을 취하지 못했다. 자유민주당도 이 프로젝트를 지지했으며 시위대 진압을 용인하여 비판을 받았다. 슈투트가르트 21에 대한 반대는 바덴뷔르템베르크에서 동맹 90/녹색당의 지지율 상승을 이끌었다.[2]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 사고 이후, 앙겔라 메르켈 총리는 1980년 이전에 건설된 독일의 7개 원자력 발전소의 임시 폐쇄를 발표하고, 원자력 발전 폐지 계획을 앞당기겠다고 밝혔다.[1]
4. 1. 슈투트가르트 21
슈투트가르트 21 프로젝트는 슈투트가르트 중앙역과 고속철도 노선을 지하화하는 대규모 사업으로, 2010년 후반부터 많은 주민들의 반대에 부딪혀 주요 선거 쟁점이 되었다.[2] 이 프로젝트에 반대하는 여러 차례의 시위가 열렸다.
이 프로젝트는 슈투트가르트 중앙역을 종착역에서 지하 비종착역으로 바꾸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러나 여행 시간 단축에 비해 과도한 비용(40억유로에서 50억유로), 문화유산으로 여겨지는 오래된 역 건물의 해체 및 부분 파괴, 시내 공원("슐로스가르텐") 일부 파괴, 지질학적 위험, 유럽에서 두 번째로 큰 광천수와 온천 위협, 터널 위 건물 일부 붕괴 위험 등 여러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슈투트가르트 21에 대한 논란은 정부 투명성 문제로 이어졌다.[3]
슈테판 마푸스의 기민당 정부는 이 프로젝트를 지지하며 시위와 시민 불복종 운동에 맞서 경찰을 동원해 최루 가스와 물대포를 사용하며 강제 해산시켰다.
사회민주당 지도부 또한 슈투트가르트 21을 지지했지만, 2010년 초부터 지속적인 시위를 종식시키기 위해 이 문제에 대한 국민투표를 요구했다. 그러나 많은 당원들이 프로젝트에 반대하여 당내 명확한 입장을 취하지 못했다.
자유민주당도 슈투트가르트 21을 지지했으며, 2010년 늦여름 시위대에 대한 폭력적인 진압을 용인한 것에 대해 비판을 받았다.
슈투트가르트 21에 대한 반대는 바덴뷔르템베르크에서 동맹 90/녹색당의 지지율 상승을 이끌었다.[2]
4. 2. 원자력 발전
2001년 사민당과 녹색당 연립정부(적녹 연방정부)는 2022년까지 원자력 발전소를 완전 폐쇄하기로 결정했으나, 메르켈 정부는 원전 수명 연장을 추진했다.[12] 바덴뷔르템베르크 주에는 필립스부르크, 네카베스트하임, 오브리히하임 원자력 발전소가 위치해 있었다.
2011년 3월 11일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 사고 이후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성 문제가 선거의 핵심 쟁점으로 부상했다.[12] 같은 날 바덴뷔르템베르크 주에서는 6만 명이 원자력 발전 반대 시위에 참여했다.[13] 기민련과 자민당은 "중장기적" 원전 폐쇄 입장을 밝혔고, 사민당, 녹색당, 좌파당은 즉각적인 폐쇄를 주장했다.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 사고 이후, 앙겔라 메르켈 총리는 1980년 이전에 건설된 독일의 7개 원자력 발전소의 임시 폐쇄를 발표했다.[1] 또한 재검토된 원자력 발전 폐지 계획보다 더 빨리 핵 발전을 완전히 중단하겠다고 밝혔다.[1]
4. 3. 교육 정책
슈투트가르트 차이퉁의 여론조사에 따르면 교육 정책을 "중요하다 또는 매우 중요하다"라고 생각하는 유권자는 90%에 이른다. 이는 에너지-환경 정책(88%)과 경제 정책(86%)보다 앞서는 결과다.[14]
기민련과 자민당은 현재의 중등 교육 3원 체제를 유지하며, 종일 학교 도입을 통해 학생들의 종일 돌보기를 확대하고자 한다. 사민당과 녹색당은 종일 학교를 더 활성화시키고, 3원 중등 교육 체제를 단계적으로 없애고, 10년제 단일 학교(그 중 3년은 김나지움 과정)의 도입을 주장하고 있다.
대학 재정 지원을 위해 집권 연정은 등록금 인상을 추진하고 있다. 자민당은 졸업 후 납부 제도와 소득 연동제의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자민당 안이 도입되면 재학 중에는 등록금을 내지 않게 된다. 사민당과 녹색당은 대학 등록금 폐지를 주장하고 있다. 대학 재정은 주 정부 재원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한다.[15]
4. 4. (주)에너지 바덴뷔르템베르크 (EnBW)
2010년 12월 6일 주정부는 바덴뷔르템베르크 지역 전력 공급회사인 (주)에너지 바덴뷔르템베르크 (EnBW)의 주식 45.01%를 프랑스전력공사로부터 재매입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주지사 마푸스는 이후 주의회 비공개 재정상임위원회 회의에서 주식 매입에 46.7억유로보다 12억유로 더 많은 59억유로가 필요하다고 밝혔다.[16]
주정부는 의회의 동의 없이 주 재정부장관의 임시편성권을 이용해 주식을 매입했다. 이에 사민당과 녹색당은 주 최고법원에 제소했다.[17]
또한 사민당과 녹색당은 주식 매입을 주립은행인 LBBW나 바덴뷔르템베르크 은행연합 컨소시엄에 맡기지 않고, 미국 모건 스탠리 은행의 독일법인장인 디르크 노테이스가 주관하도록 한 것에 대해서도 비판하고 있다. 노테이스는 바덴뷔르템베르크 기민련 대표단에 속해 있으며, 주지사 마푸스의 결혼 증인으로 이 거래를 통해 주식매입액의 0.8%의 수수료를 받았다.[18]
주식 매입을 위한 대출금 이자는 EnBW의 배당으로 지불할 예정이다. 하지만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가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EnBW가 운영하고 있는 2기의 원자력 발전소를 폐쇄하겠다고 발표함에 따라, 외코 인스티튜트의 계산에 따르면 최소 월 4500만유로의 수입이 줄어들게 됐다. EnBW의 배당이 줄어들 경우, 대출금 이자를 주 재정(세금)으로 충당해야 할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19]
4. 5. 직접 민주주의
사민당, 녹색당, 자민당, 좌파당은 주민투표 요건 완화를 주장했다.[2] 특히 사민당과 녹색당은 슈투트가르트 21 프로젝트에 대한 주민투표 실시를 요구했다.[2]
5. 정당
2011년 바덴뷔르템베르크 주의회 선거에는 총 19개 정당과 6명의 무소속 후보가 참여했다. 주요 정당은 다음과 같다.[1]
정당명 | 약칭 | 출마 선거구 수 | 2006년 득표율 | 주지사 후보 |
---|---|---|---|---|
바덴뷔르템베르크 기독교 민주연합(CDU) | CDU | 70 | 44.2% | 슈테판 마푸스 |
바덴뷔르템베르크 사회민주당(SPD) | SPD | 70 | 25.2% | 닐스 슈미트 |
바덴뷔르템베르크 녹색당(Grüne) | GRÜNE | 70 | 11.7% | 빈프리트 크레취만 |
바덴뷔르템베르크 자유민주당(FDP)/민주국민당 | FDP | 70 | 10.7% | 울리히 골 |
바덴뷔르템베르크 좌파당(Die Linke) | Die LINKE | 70 | 3.1%1 | 마르타 아프리시오, 롤란드 함 |
바덴뷔르템베르크 공화당 | REP | 70 | 2.5% | |
바덴뷔르템베르크 해적당 | PIRATEN | 70 | - | |
독일 국가민주당 | NPD | 68 | 0.7% | Jürgen Schützinger |
생태민주당 | ÖDP | 63 | 0.6% | Bernd Richter |
혁신과 정의를 위한 동맹 | BIG | 16 | - | |
노동과 환경, 가족을 위한 정당 | AUF | 15 | - | |
성서에 충실한 기독교도 당 | PBC | 10 | 0.7% | |
영적 정치를 위한 보라색당 | Die Violetten | 8 | - | |
지금 당장…독일을 위한 동맹 | Volksabstimmung | 5 | <0.1%2 | |
민권운동 연대 | BüSo | 3 | - | |
독일 가족당 | FAMILIE | 2 | - | |
혁명적 사회주의자 동맹 | RSB | 2 | <0.1% | |
노동과 법치국가, 동물보호, 엘리트지원, 풀뿌리 민주주의 운동을 위한 정당 | Die PARTEI | 1 | <0.1% | |
독일 공산당 | DKP | 1 | - |
1WASG로 참여2약칭으로 ''Deutschland(독일)''을 쓰기도 함.
이름 | 이념 | 대표 | 2006년 득표율(%) | 2006년 의석 | |
---|---|---|---|---|---|
기독교 민주연합(CDU) | 기독교 민주주의 | 슈테판 마푸스 | 44.2% | 69석 | |
사회민주당(SPD) | 사회 민주주의 | 닐스 슈미트 | 25.2% | 38석 | |
자유민주당(FDP) | 고전적 자유주의 | 울리히 골 | 10.7% | 15석 | |
녹색당(Grüne) | 녹색 정치 | 빈프리트 크레취만 | 11.7% | 17석 |
6. 여론 조사
2010년 슈투트가르트 21을 둘러싼 논란으로 기민련의 지지율이 하락하고 녹색당의 지지율이 급등하여, 한때 녹색당 지지율이 기민련 지지율을 앞서기도 했다.[2] 하지만 선거 운동 기간 동안 기민련의 지지율이 회복세를 보였으나,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 사고 이후 녹색당의 지지율이 다시 상승했다. 대부분의 여론조사에서 녹색당과 사민당의 지지율 합이 기민련과 자민당의 지지율 합보다 높게 나타났다.[24]
여론조사 기관 | 현장 조사일 | 표본 크기 | 기민련 | 사민당 | 녹색당 | 자민당 | 좌파당 | 기타 | 격차 |
---|---|---|---|---|---|---|---|---|---|
[http://www.wahlrecht.de/news/2011/landtagswahl-baden-wuerttemberg-2011.htm 2011년 주 의회 선거] | 2011년 3월 27일 | – | 39.0 | 23.1 | 24.2 | 5.3 | 2.8 | 5.6 | 14.8 |
[http://www.wahlrecht.de/umfragen/landtage/baden-wuerttemberg.htm YouGov] | 2011년 3월 20–24일 | 1,003 | 36 | 22 | 26 | 6 | 5 | 5 | 10 |
[http://www.wahlrecht.de/umfragen/landtage/baden-wuerttemberg.htm Emnid] | 2011년 3월 18–24일 | 1,000 | 38 | 23 | 25 | 5 | 4 | 5 | 13 |
[http://www.wahlrecht.de/umfragen/landtage/baden-wuerttemberg.htm Forsa] | 2011년 3월 16–22일 | 1,025 | 38 | 24 | 24 | 5 | 4 | 5 | 14 |
[http://www.wahlrecht.de/umfragen/landtage/baden-wuerttemberg.htm Emnid] | 2011년 3월 17일 | 500 | 38 | 22 | 25 | 6 | 4 | 5 | 13 |
[http://www.wahlrecht.de/umfragen/landtage/baden-wuerttemberg.htm Forschungsgruppe Wahlen] | 2011년 3월 15–17일 | 1,382 | 38 | 22.5 | 25 | 5 | 4.5 | 5 | 13 |
[http://www.wahlrecht.de/umfragen/landtage/baden-wuerttemberg.htm Infratest dimap] | 2011년 3월 14–17일 | 1,250 | 39 | 22 | 24 | 5.5 | 4.5 | 5 | 15 |
[http://www.wahlrecht.de/umfragen/landtage/baden-wuerttemberg.htm Infratest dimap] | 2011년 3월 10–12일 | 1,001 | 42 | 22 | 21 | 6 | 4 | 5 | 20 |
[http://www.wahlrecht.de/umfragen/landtage/baden-wuerttemberg.htm Emnid] | 2011년 3월 4–10일 | 1,000 | 39 | 24 | 20 | 7 | 5 | 5 | 15 |
[http://www.wahlrecht.de/umfragen/landtage/baden-wuerttemberg.htm Forsa] | 2011년 3월 3–8일 | 1,004 | 40 | 26 | 20 | 5 | 4 | 5 | 14 |
[http://www.wahlrecht.de/umfragen/landtage/baden-wuerttemberg.htm Emnid] | 2011년 2월 24일 – 3월 1일 | 1,000 | 38 | 25 | 21 | 8 | 4 | 4 | 13 |
[http://www.wahlrecht.de/umfragen/landtage/baden-wuerttemberg.htm Forsa] | 2011년 2월 21–25일 | 1,001 | 39 | 26 | 19 | 6 | 4 | 6 | 13 |
[http://wwwahlrecht.de/umfragen/landtage/baden-wuerttemberg.htm Emnid] | 2011년 2월 18–24일 | 1,000 | 40 | 23 | 22 | 6 | 4 | 5 | 17 |
[http://www.wahlrecht.de/umfragen/landtage/baden-wuerttemberg.htm Customer Research 42] | 2011년 2월 8–19일 | 705 | 35.0 | 21.6 | 21.2 | 5.2 | 5.9 | 11.1 | 13.4 |
[http://www.wahlrecht.de/umfragen/landtage/baden-wuerttemberg.htm Uni Freiburg] | 2011년 1월 31일 – 2월 22일 | 1,126 | 41.1 | 22.7 | 24.2 | 6.0 | 2.8 | 3.2 | 16.9 |
[http://www.wahlrecht.de/umfragen/landtage/baden-wuerttemberg.htm Emnid] | 2011년 2월 11–17일 | 1,000 | 40 | 20 | 23 | 7 | 5 | 5 | 17 |
[http://www.wahlrecht.de/umfragen/landtage/baden-wuerttemberg.htm Emnid] | 2011년 2월 4–10일 | 1,000 | 40 | 19 | 25 | 7 | 4 | 5 | 15 |
[http://www.wahlrecht.de/umfragen/landtage/baden-wuerttemberg.htm Forschungsgruppe Wahlen] | 2011년 1월 31일 – 2월 2일 | 1,146 | 41 | 19 | 25 | 6 | 4 | 5 | 16 |
[http://www.wahlrecht.de/umfragen/landtage/baden-wuerttemberg.htm Infratest dimap] | 2011년 2월 1–2일 | 1,000 | 39 | 21 | 24 | 6 | 5 | 5 | 15 |
[http://www.wahlrecht.de/umfragen/landtage/baden-wuerttemberg.htm Emnid] | 2011년 1월 24–17일 | 1,022 | 40 | 20 | 27 | 5 | 4 | 4 | 13 |
[http://www.wahlrecht.de/umfragen/landtage/baden-wuerttemberg.htm Emnid] | 2010년 12월 7–15일 | 1,001 | 41 | 19 | 29 | 4 | 4 | 3 | 12 |
[http://www.wahlrecht.de/umfragen/landtage/baden-wuerttemberg.htm Infratest dimap] | 2010년 12월 1일 | 1,010 | 39 | 18 | 28 | 5 | 5 | 5 | 11 |
[http://www.wahlrecht.de/umfragen/landtage/baden-wuerttemberg.htm Forschungsgruppe Wahlen] | 2010년 11월 22–24일 | 1,910 | 39 | 19 | 26 | 5 | 4 | 7 | 13 |
[http://www.wahlrecht.de/umfragen/landtage/baden-wuerttemberg.htm Allensbach] | 2010년 10월 1–15일 | 1,096 | 38.0 | 22.0 | 26.0 | 5.0 | 5.0 | 4.0 | 12.0 |
[http://www.wahlrecht.de/umfragen/landtage/baden-wuerttemberg.htm TNS Forschung] | 2010년 10월 6–7일 | 1,002 | 34 | 19 | 32 | 6 | 5 | 4 | 2 |
[http://www.wahlrecht.de/umfragen/landtage/baden-wuerttemberg.htm abs Marktforschung] | 2010년 10월 5–6일 | 968 | 28 | 17 | 36 | 8 | 7 | – | 8 |
[http://www.wahlrecht.de/umfragen/landtage/baden-wuerttemberg.htm Infratest dimap] | 2010년 9월 2–7일 | 1,000 | 35 | 21 | 27 | 5 | 5 | 7 | 8 |
[http://www.wahlrecht.de/umfragen/landtage/baden-wuerttemberg.htm Forsa] | 2010년 8월 16–27일 | 1,068 | 37 | 24 | 24 | 6 | 4 | 5 | 13 |
[http://www.wahlrecht.de/umfragen/landtage/baden-wuerttemberg.htm Infratest Politikforschung] | 2010년 7월 12–15일 | 1,000 | 37 | 25 | 20 | 7 | 5 | 6 | 12 |
[http://www.wahlrecht.de/umfragen/landtage/baden-wuerttemberg.htm Infratest Politikforschung] | 2010년 3월 23일 – 4월 13일 | 991 | 41 | 23 | 17 | 8 | 5 | 6 | 18 |
[http://www.wahlrecht.de/umfragen/landtage/baden-wuerttemberg.htm Allensbach] | 2010년 2월 24일 – 3월 8일 | 1,030 | 43 | 21 | 18 | 8 | 5.5 | 4.5 | 22 |
[http://www.wahlrecht.de/umfragen/landtage/baden-wuerttemberg.htm Infratest dimap] | 2010년 2월 17일 | 1,000 | 43 | 20 | 17 | 11 | 4 | 5 | 23 |
2009년 연방 선거 | 2009년 9월 27일 | – | 34.5 | 19.3 | 13.9 | 18.8 | 7.2 | 6.3 | 15.2 |
[http://www.wahlrecht.de/umfragen/landtage/baden-wuerttemberg.htm Infratest Sozialforschung] | 2009년 4월 20일 – 5월 3일 | 1,000 | 39 | 22 | 15 | 14 | 6 | 4 | 17 |
[http://www.wahlrecht.de/umfragen/landtage/baden-wuerttemberg.htm Infratest dimap] | 2009년 6월 2–3일 | 1,000 | 40 | 21 | 14 | 15 | 4 | 6 | 19 |
[http://www.wahlrecht.de/umfragen/landtage/baden-wuerttemberg.htm Uni Halle/Uni Stuttgart] | 2008년 9월 8–20일 | 1,000 | 39.9 | 26.0 | 17.2 | 10.2 | 4.8 | 1.9 | 13.9 |
[http://www.wahlrecht.de/umfragen/landtage/baden-wuerttemberg.htm Forsa] | 2007년 7월 2–24일 | 1,034 | 43 | 19 | 13 | 12 | 6 | 7 | 24 |
[http://www.wahlrecht.de/umfragen/landtage/baden-wuerttemberg.htm Forsa] | 2007년 4월 19일 | ? | 40 | 26 | 13 | 12 | 3 | 6 | 14 |
[http://www.wahlrecht.de/umfragen/landtage/baden-wuerttemberg.htm Infratest dimap] | 2007년 4월 16일 | 1,000 | 41 | 26 | 16 | 10 | 2 | 5 | 15 |
[http://www.wahlrecht.de/umfragen/landtage/baden-wuerttemberg.htm Infratest dimap] | 2007년 3월 26–27일 | 1,000 | 41 | 26 | 14 | 9 | 4 | 4 | 15 |
[http://www.wahlrecht.de/umfragen/landtage/baden-wuerttemberg.htm Forsa] | 2006년 11월 20일 – 12월 15일 | 1,220 | 44 | 20 | 13 | 12 | 4 | 7 | 24 |
[http://www.wahlrecht.de/umfragen/landtage/baden-wuerttemberg.htm Forsa] | 2006년 6월 12일 – 7월 4일 | 1,403 | 43 | 23 | 12 | 12 | 5 | 5 | 20 |
[http://www.wahlrecht.de/news/2006/bw-2006.htm 2006년 주 의회 선거] | 2006년 3월 26일 | – | 44.2 | 25.2 | 11.7 | 10.7 | 3.1 | 5.3 | 19.0 |
7. 선거 결과
주 선거관리위원회 잠정집계에 따르면 녹색당(36석)과 사민당(35석)이 71석을 얻어, 67석을 얻는데 그친 기민련과 자민당의 연정을 누르고 정권교체가 이루어질 예정이다.[10] 이에 따라 녹색당의 주지사후보인 빈프리트 크레취만은 독일 최초의 녹색당 소속 주지사가 될 예정이다. 녹색당은 70개 지역구 중에 프라이부르크, 슈투트가르트, 콘스탄츠, 튀빙엔, 하이델베르크, 만하임 등 9개 지역구에서 당선됐고, 사민당은 만하임 선거구에서 당선됐다. 나머지 60개 선거구에서는 기민련 후보가 지역구 당선자가 됐다.[11]
투표율은 아래와 같다.[10]
수 (2011) | 비율 (%, 2011) | 수 (2006) | 비율 (%, 2006) | 증감 | 증감률 (%) | |
---|---|---|---|---|---|---|
유권자 | 7,622,955 | 7,516,919 | +106,036 | |||
투표 | 5,049,157 | 66.2 | 4,012,441 | 53.4 | +1,036,716 | +12.8 |
무효표 | 69,043 | 1.4 | 51,826 | 1.3 | +17,217 | +0.1 |
유효표 | 4,980,114 | 98.6 | 3,960,615 | 98.7 | +1,019,499 | -0.1 |
70개 선거구, 선관위 잠정집계 결과는 아래와 같다.[10][11]
정당 | 득표 (2011) | 득표율 (%, 2011) | 의석 (2011) | 득표 (2006) | 득표율 (%, 2006) | 득실 | 득실율 (%) |
---|---|---|---|---|---|---|---|
기민련 | 1,942,404 | 39.0 | 60 | 1,748,766 | 44.2 | +193,638 | -5.2 |
녹색당 | 1,205,508 | 24.2 | 36 | 462,889 | 11.7 | +742,619 | +12.5 |
사민당 | 1,151,859 | 23.1 | 35 | 996,207 | 25.2 | +155,652 | -2.1 |
자민당 | 262,520 | 5.3 | 7 | 421,994 | 10.7 | -159,474 | -5.4 |
좌파당 | 139,606 | 2.8 | — | 121,753 | 3.1 | +17,853 | -0.3 |
해적당 | 103,392 | 2.1 | — | x | x | x | x |
8. 선거 이후
주 선거관리위원회의 잠정 집계 결과, 녹색당(36석)과 사민당(35석)이 총 71석을 얻어, 67석에 그친 기민련과 자민당 연립 정부를 누르고 정권 교체가 이루어졌다.[10] 이에 따라 녹색당의 빈프리트 크레치만 후보는 독일 최초의 녹색당 소속 주지사가 될 예정이었다. 녹색당은 70개 지역구 중 프라이부르크, 슈투트가르트, 콘스탄츠, 튀빙엔, 하이델베르크, 만하임 등 9개 지역구에서 승리했고, 사민당은 만하임 지역구에서 당선되었다. 나머지 60개 선거구에서는 기민련 후보가 당선되었다.[11]
선거 패배 이후, 슈테판 마푸스 주 총리는 바덴뷔르템베르크 기독교 민주 연합 대표직에서 사임했다.[4]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 연방 사민당 대표는 앙겔라 메르켈 총리가 바덴뷔르템베르크에서 기민련의 패배 이후 새로운 선거를 요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5]
2011년 4월 27일, 녹색당과 사민당은 연정 협상을 마무리하고 "변화는 시작된다"라는 제목의 83페이지 분량의 연정 협약을 체결했다.[6] 닐스 슈미트 사민당 대표는 부주지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을 맡게 되었다.[6]
연정 협약에 따라, 적록 연합은 슈투트가르트 21에 대한 주민투표를 실시하기로 합의했다.[6] 또한 교육 시스템과 교통 정책의 "급진적인 변화"와 원자력 발전 단계적 폐지 가속화에 합의했다.[6] 기민련 사무총장 헤르만 그뢰에는 이 연정 협약을 "비난"했다.[6]
2011년 5월 12일, 빈프리트 크레치만이 바덴뷔르템베르크 주지사로 취임했다.[8] 크레치만은 독일 최초의 녹색당 출신 주지사가 되었다.[9][8] 주의회 주지사 투표에서 크레치만은 야당으로부터 최소 2표를 더 얻었다.[9]
참조
[1]
뉴스
German Greens hail state victory in vote overshadowed by Fukushima
https://www.theguard[...]
2011-03-27
[2]
뉴스
CDU wary after Stuttgart rail project approval
http://www.ft.com/cm[...]
2010-11-29
[3]
뉴스
Taxpayers face rising cost for Stuttgart 21
http://www.thelocal.[...]
The Local
2010-12-01
[4]
뉴스
Mappus legt Parteivorsitz nieder
http://www.mopo.de/n[...]
2011-03-28
[5]
뉴스
SPD-Chef Steinmeier fordert Neuwahlen in Deutschland
http://www.mopo.de/n[...]
2011-03-28
[6]
뉴스
Greens and SPD present coalition agreement in Baden-Württemberg
http://www.dw-world.[...]
2011-04-27
[7]
뉴스
'A Green Leader Has Risen' in[Baden-Württemberg
http://www.spiegel.d[...]
2011-04-28
[8]
뉴스
Greens make history as they take over Germany's conservative south-west
http://www.dw-world.[...]
2011-05-12
[9]
뉴스
Kretschmann erhält sogar zwei Oppositionsstimmen
https://www.welt.de/[...]
2011-05-12
[10]
웹사이트
Landtagswahl 2011, Landesergebnis Baden-Württemberg - Statistisches Landesamt Baden-Württemberg
http://www.statistik[...]
2011-03-27
[11]
웹사이트
Landtagswahl 2011, Gewählte Bewerberinnen und Bewerber - Statistisches Landesamt Baden-Württemberg
http://www.statistik[...]
2011-03-27
[12]
URL
http://www.welt.de/p[...]
[13]
URL
http://www.fr-online[...]
[14]
웹사이트
슈트투가르터 자이퉁(Stuttgarter Zeitung) 여론조사
http://www.stuttgart[...]
[15]
웹사이트
정당별 선거 공약(Wahlprogramme der Parteien)
http://www.landtagsw[...]
[16]
웹사이트
Die Zeit: EnBW Mappus und der milliardenschwere Rechenfehler
http://www.zeit.de/w[...]
[17]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staatsanz[...]
2011-03-16
[18]
웹사이트
Frankfurter Rundschau: Spätzle mit Geschmäckle
http://www.fr-online[...]
[19]
웹사이트
taz: Mappus' Atomfirma verliert Millionen
http://www.taz.de/1/[...]
[20]
웹사이트
"badische-zeitung.de: ''Wähler für Wechsel – doch Schwarz-Gelb ist knapp vorn'', vom 26. Februar 2011."
http://www.badische-[...]
[21]
URL
http://www.wahlrecht[...]
[22]
웹인용
Umfragen zu anstehenden Landtagswahlen: Rot-Grün in Hamburg bei 60 Prozent
http://www.rp-online[...]
2011-02-21
[23]
웹인용
Spiegel.de: Umfrage sieht Ländle-Grüne bei 32 Prozent
http://www.spiegel.d[...]
2011-02-21
[24]
웹사이트
Wahlumfragen zur Landtagswahl in Baden-Württemberg
http://www.wahlrech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