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차이나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8년 차이나컵은 2018년 3월 중국 난닝에서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이다. 우루과이, 웨일스, 체코, 중국이 참가했으며, 우루과이가 결승에서 웨일스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대회 마스코트는 중국 용을 형상화한 '룽바오'였으며, 모든 경기는 광시 스포츠 센터에서 진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차이나컵 - 2017년 차이나컵
2017년 1월 10일부터 15일까지 난닝에서 중국, 칠레, 크로아티아, 아이슬란드가 참가한 차이나컵 국제 축구 대회가 열려 칠레가 아이슬란드를 꺾고 우승했다. - 차이나컵 - 2019년 차이나컵
2019년 차이나컵은 2019년 3월 중국 난닝에서 열린 축구 대회로, 우루과이가 결승에서 태국을 꺾고 우승했으며, 크리스티안 스투아니가 득점왕을 차지했다. - 중국에서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 - 2010년 AFC U-19 축구 선수권 대회
2010년 AFC U-19 축구 선수권 대회는 중국에서 개최되었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우승했고, 상위 4개 팀은 2011년 FIFA U-20 월드컵에 진출했다. - 중국에서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 - 2004년 AFC 아시안컵
2004년 AFC 아시안컵은 중국에서 개최되어 일본이 우승, 나카무라 슌스케가 MVP, 알라 후바일과 알리 카리미가 득점왕을 차지했으나, 반일 감정 표출과 심판 판정 논란이 있었던 아시아 축구 연맹 주관 국제 축구 대회이다. - 2018년 축구 - 2018년 아시안 게임 축구
2018년 아시안 게임 축구는 인도네시아에서 열린 아시안 게임의 축구 종목으로 남자부에서는 대한민국, 여자부에서는 일본이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남자부는 U-23, 여자부는 성인 대표팀이 참가했다. - 2018년 축구 - 2018년 AFC 챔피언스리그
2018년 AFC 챔피언스리그는 아시아 축구 클럽들이 참가하는 국제 대회로, 가시마 앤틀러스가 우승, 스즈키 유마가 최우수 선수, 바그다드 부네자가 득점왕을 차지했다.
2018년 차이나컵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명칭 | 차이나컵 |
연도 | 2018년 |
개최 도시 | 난닝 시, 광시 성 |
개최 국가 | 중국 |
대회 기간 | 3월 22일 ~ 3월 26일 |
참가 팀 수 | 4개국 |
참가 대륙 연맹 | 3개 대륙 연맹 |
경기장 수 | 1개 |
도시 수 | 1개 |
결과 | |
우승 횟수 | 1회 |
통계 | |
총 경기 수 | 4경기 |
총 득점 | 14골 |
평균 득점 | 3.5골 |
총 관중수 | 116201명 |
최다 득점 선수 | 개러스 베일 |
최다 득점 골 수 | 3골 |
최우수 선수 | 에딘손 카바니 |
대회 포스터 | |
![]() | |
이전 및 다음 대회 | |
이전 대회 | 2017년 |
다음 대회 | 2019년 |
2. 참가 팀
2018년 차이나컵에는 다음 4개 팀이 참가했다.[17][2]
대회 공식 마스코트는 '룽바오(龙宝|룽바오중국어)'였다. 룽바오는 중국 용을 형상화한 디자인으로, 힘, 행운, 상서로운 힘을 상징한다.[19][4]
모든 경기는 난닝에 있는 광시 스포츠 센터에서 개최되었다.
2018년 차이나컵에 배정된 심판진은 다음과 같다.
3. 마스코트
4. 개최지
경기장 수용 인원 광시 스포츠 센터 60,000
5. 심판진
주심 부심 |
5. 1. 주심
5. 2. 부심
6. 선수단 명단
2018년 3월 22일 대회 시작 기준 선수단 명단이다.
6. 1. 중국
中国队중국어는 마르첼로 리피 감독이 이끌었으며, 자국 리그 선수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20][21][22] 가오린, 펑샤오팅 등 경험 많은 선수들과 웨이스하오, 덩한원 등 젊은 선수들이 조화를 이루었다. 특히, 중국 슈퍼 리그에서 활약하는 선수들을 중심으로 팀을 구성하여 조직력을 강화하고자 했다.[5][6][7][8][9]포지션 | 이름 | 생년월일 (나이) | 출전 | 득점 | 소속 |
---|---|---|---|---|---|
GK | 쩡청 | 41 | 0 | 광저우 헝다 | |
GK | 옌쥔링 | 7 | 0 | 상하이 상강 | |
GK | 왕다레이 | 26 | 0 | 산동 루넝 | |
DF | 덩한원 | 7 | 2 | 광저우 헝다 | |
DF | 판샤오둥 | 3 | 0 | 창춘 야타이 | |
DF | 펑샤오팅 | 64 | 0 | 광저우 헝다 | |
DF | 허관 | 3 | 0 | 상하이 상강 | |
DF | 장즈펑 | 23 | 0 | 허베이 화샤싱푸 | |
DF | 리쉐펑 | 27 | 0 | 광저우 헝다 | |
DF | 류이밍 | 3 | 0 | 톈진 취안젠 | |
DF | 왕선차오 | 4 | 0 | 상하이 상강 | |
DF | 정정 | 14 | 2 | 산동 루넝 | |
MF | 차이후이캉 | 20 | 0 | 상하이 상강 | |
MF | 하오쥔민 | 66 | 12 | 산동 루넝 | |
MF | 황보원 | 43 | 3 | 광저우 헝다 | |
MF | 펑신리 | 0 | 0 | 충칭 리판 | |
MF | 우시 | 47 | 3 | 장쑤 수닝 | |
MF | 위한차오 | 50 | 9 | 광저우 헝다 | |
MF | 자오쉬르 | 73 | 2 | 톈진 취안젠 | |
MF | 탄룽 | 0 | 0 | 창춘 야타이 | |
MF | 웨이스하오 | 3 | 2 | 베이징 궈안 | |
FW | 우레이 | 48 | 8 | 상하이 상강 | |
FW | 샤오즈 | 8 | 2 | 광저우 푸리 | |
MF | 위다바오 | 45 | 17 | 베이징 궈안 | |
FW | 가오린 | 97 | 20 | 광저우 헝다 |
6. 2. 우루과이
오스카르 타바레스 감독이 이끄는 우루과이 대표팀은 루이스 수아레스, 에딘손 카바니 등 세계적인 공격수들을 앞세워 강력한 공격력을 선보였다. 디에고 고딘을 중심으로 한 수비진도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다.[23]번호 | 위치 | 선수 | 생년월일 (나이) | 출전 | 득점 | 소속 |
---|---|---|---|---|---|---|
1 | GK | 페르난도 무슬레라 | 94 | 0 | 갈라타사라이 | |
12 | GK | 마르틴 캄파냐 | 1 | 0 | 인데펜디엔테 | |
23 | GK | 마르틴 실바 | 11 | 0 | 바스쿠 다 가마 | |
2 | DF | 호세 히메네스 | 39 | 4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
3 | DF | 디에고 고딘 | 113 | 8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
4 | DF | 기예르모 바렐라 | 1 | 0 | 페냐롤 | |
13 | DF | 가스톤 실바 | 16 | 0 | 인데펜디엔테 | |
16 | DF | 막시 페레이라 | 124 | 3 | 포르투 | |
19 | DF | 세바스티안 코아테스 | 29 | 1 | 스포르팅 | |
5 | MF | 카를로스 산체스 | 34 | 1 | 몬테레이 | |
6 | MF | 로드리고 벤탕쿠르 | 4 | 0 | 유벤투스 | |
7 | MF | 크리스티안 로드리게스 | 102 | 11 | 페냐롤 | |
8 | MF | 나이탄 난데스 | 9 | 0 | 보카 주니어스 | |
10 | MF | 히오르히안 데 아라스카에타 | 12 | 1 | 크루제이루 | |
14 | MF | 루카스 토레이라 | 0 | 0 | 삼프도리아 | |
15 | MF | 마티아스 베시노 | 19 | 1 | 인테르 밀라노 | |
17 | MF | 디에고 라할트 | 3 | 0 | 제노아 | |
20 | MF | 가스톤 라미레스 | 42 | 0 | 삼프도리아 | |
9 | FW | 루이스 수아레스 | 95 | 49 | 바르셀로나 | |
11 | FW | 크리스티안 스투아니 | 38 | 5 | 지로나 | |
18 | FW | 막시 고메스 | 2 | 0 | 셀타 비고 | |
21 | FW | 에딘손 카바니 | 98 | 40 | 파리 생제르맹 |
6. 3. 웨일스
라이언 긱스 감독이 이끄는 웨일스 대표팀은 가레스 베일을 중심으로 공격을 전개했으며, 애슐리 윌리엄스, 조 앨런 등 경험이 풍부한 선수들이 팀의 중심을 잡았다.[24][8][13][14]번호 | 포지션 | 선수 | 생년월일 (나이) | 출전 수 | 득점 | 소속 | |
---|---|---|---|---|---|---|---|
1 | GK | 웨인 헤네시 | Wayne Hennessey|웨인 헤네시영어 | 1987년 1월 24일 (31세) | 73 | 0 | 크리스털 팰리스 |
12 | GK | 크리스 맥스웰 | Chris Maxwell|크리스 맥스웰영어 | 1990년 7월 30일 (27세) | 0 | 0 | 프레스턴 노스 엔드 |
21 | GK | 마이클 크로우 | Michael Crowe|마이클 크로우영어 | 1995년 11월 13일 (22세) | 0 | 0 | 입스위치 타운 |
6 | DF | 애슐리 윌리엄스 | Ashley Williams|애슐리 윌리엄스영어 | 1984년 8월 23일 (33세) | 76 | 2 | 에버턴 |
5 | DF | 제임스 체스터 | James Chester|제임스 체스터영어 | 1989년 1월 23일 (29세) | 29 | 0 | 애스턴 빌라 |
4 | DF | 벤 데이비스 | Ben Davies|벤 데이비스영어 | 1993년 4월 24일 (24세) | 36 | 0 | 토트넘 홋스퍼 |
3 | DF | 애덤 매슈스 | Adam Matthews|애덤 매슈스영어 | 1992년 1월 13일 (26세) | 13 | 0 | 선덜랜드 |
2 | DF | 크리스 건터 | Chris Gunter|크리스 건터영어 | 1989년 7월 21일 (28세) | 85 | 0 | 레딩 |
14 | DF | 데클런 존 | Declan John|데클런 존영어 | 1995년 6월 30일 (22세) | 2 | 0 | 레인저스 |
19 | DF | 코너 로버츠 | Connor Roberts|코너 로버츠영어 | 1995년 9월 23일 (22세) | 0 | 0 | 스완지 시티 |
23 | DF | 톰 로키어 | Tom Lockyer|톰 로키어영어 | 1994년 12월 3일 (23세) | 1 | 0 | 브리스틀 로버스 |
18 | DF | 크리스 메펌 | Chris Mepham|크리스 메펌영어 | 1997년 11월 5일 (20세) | 0 | 0 | 브렌트퍼드 |
7 | MF | 조 앨런 | Joe Allen|조 앨런영어 | 1990년 3월 14일 (28세) | 40 | 2 | 스토크 시티 |
15 | MF | 리 에번스 | Lee Evans|리 에번스영어 | 1994년 7월 24일 (23세) | 1 | 0 | 셰필드 유나이티드 |
8 | MF | 앤디 킹 | Andy King|앤디 킹영어 | 1988년 10월 29일 (29세) | 44 | 2 | 스완지 시티 |
20 | MF | 라이언 헤지스 | Ryan Hedges|라이언 헤지스영어 | 1995년 7월 8일 (22세) | 1 | 0 | 반즐리 |
17 | MF | 말리 왓킨스 | Marley Watkins|말리 왓킨스영어 | 1990년 10월 17일 (27세) | 1 | 0 | 노리치 시티 |
11 | FW | 가레스 베일 | Gareth Bale|가레스 베일영어 | 1989년 7월 16일 (28세) | 68 | 26 | 레알 마드리드 |
22 | FW | 벤 우드번 | Ben Woodburn|벤 우드번영어 | 1999년 10월 15일 (18세) | 6 | 1 | 리버풀 |
16 | FW | 해리 윌슨 | Harry Wilson|해리 윌슨영어 | 1997년 3월 22일 (21세) | 1 | 0 | 헐 시티 |
13 | FW | 빌리 보딘 | Billy Bodin|빌리 보딘영어 | 1992년 3월 24일 (25세) | 0 | 0 | 프레스턴 노스 엔드 |
9 | FW | 샘 보크스 | Sam Vokes|샘 보크스영어 | 1989년 10월 21일 (28세) | 56 | 8 | 번리 |
10 | FW | 톰 브래드쇼 | Tom Bradshaw|톰 브래드쇼영어 | 1992년 7월 27일 (25세) | 2 | 0 | 반즐리 |
6. 4. 체코
카렐 야롤림 감독이 이끄는 체코 대표팀은 파트리크 시크, 미할 크르멘치크 등 젊은 공격수들을 앞세워 빠른 공격을 시도했다. 블라디미르 다리다, 토마시 소우체크 등 미드필더진도 활발한 움직임을 보였다.[25]포지션 | 선수 | 생년월일 (나이) | 출전 | 득점 | 소속팀 |
---|---|---|---|---|---|
GK | 토마시 바츨크 | 18 | 0 | FC 바젤|바젤de | |
GK | 토마시 코우베크 | 6 | 0 | 스타드 렌|렌프랑스어 | |
GK | 이르지 파블렌카 | 4 | 0 | 베르더 브레멘|브레멘de | |
DF | 파벨 카데르자베크 | 30 | 2 | TSG 1899 호펜하임|호펜하임de | |
DF | 토마시 칼라스 | 11 | 0 | 풀럼 FC|풀럼영어 | |
DF | 테오도르 게브레 셀라시에 | 45 | 3 | 베르더 브레멘|브레멘de | |
DF | 미하엘 뤼프트네르 | 1 | 0 | FC 코펜하겐|코펜하겐da | |
DF | 마레크 수히 | 36 | 1 | FC 바젤|바젤de | |
DF | 얀 보르질 | 4 | 0 | 슬라비아 프라하|프라하cs | |
DF | 필리프 노바크 | 12 | 1 | 트라브존스포르|트라브존tr | |
DF | 야쿠프 유가스 | 0 | 0 | 슬라비아 프라하|프라하cs | |
MF | 루카시 마소푸스트 | 0 | 0 | FK 야블로네츠|야블로네츠cs | |
MF | 안토닌 바라크 | 7 | 5 | 우디네세 칼초|우디네세it | |
MF | 블라디미르 다리다 | 49 | 4 | 헤르타 BSC|헤르타 베를린de | |
MF | 마르틴 프리데크 | 5 | 0 | 스파르타 프라하|프라하cs | |
MF | 얀 코피츠 | 9 | 3 | 빅토리아 플젠|플젠cs | |
MF | 토마시 소우체크 | 8 | 1 | 슬라비아 프라하|프라하cs | |
MF | 미할 트라브닉 | 0 | 0 | FK 야블로네츠|야블로네츠cs | |
FW | 미할 크르멘치크 | 11 | 6 | 빅토리아 플젠|플젠cs | |
FW | 파트리크 시크 | 5 | 1 | AS 로마|로마it | |
FW | 스타니슬라프 테츨 | 1 | 0 | FK 야블로네츠|야블로네츠cs |
7. 경기 결과
2017년 12월 5일에 공식 대진표가 발표되었고,[15] 경기 일정은 2017년 12월 17일에 발표되었다.[16]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간(UTC+8) 기준이다.
7. 1. 대진표
공식 대진 추첨은 2017년 12월 5일에 진행되었다.[26] 일정은 2017년 12월 17일에 확정되었다.[27]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간(UTC+8) 기준이다.{| class="wikitable"
|-
! 준결승전 !! 결승전 !! 3·4위전
|-
|
||
3월 26일 - 난닝 | Wales|웨일스영어 | 0 | Uruguay|우루과이es | 1 |
||
3월 26일 - 난닝 | 中国|중국중국어 | 1 | Česko|체코cs | 4 |
|}
7. 2. 준결승전
공식 대진 추첨은 2017년 12월 5일에 진행되었다.[26] 일정은 2017년 12월 17일에 확정되었다.[27]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간(UTC+8) 기준이다.날짜 | 팀 1 | 결과 | 팀 2 | 경기장 | 관중 수 |
---|---|---|---|---|---|
0 – 6 | 광시 스포츠 센터, 난닝 | 36,573 | |||
2 – 0 | 광시 스포츠 센터, 난닝 | 22,757 |
- 2018년 3월 22일에 열린 중국과 웨일스의 경기에서는 베일이 해트트릭(hat trick영어)을 기록하고, 보크스가 2골, 윌슨이 1골을 넣어 웨일스가 6-0으로 대승을 거두었다.
- 2018년 3월 23일에 열린 우루과이와 체코의 경기에서는 수아레스가 페널티골로 선제골을 넣고, 카바니가 추가골을 넣어 우루과이가 2-0으로 승리하였다.
7. 3. 3위 결정전
2018년 3월 26일 15시 35분(현지 시간)에 광시 스포츠 센터에서 열린 중국과 체코의 3위 결정전에서는 체코가 중국을 4-1로 이겼다.[26][27]- 득점
이 경기의 심판은 호주의 크리스 비스가 맡았으며, 15,815명의 관중이 경기장을 찾았다.
7. 4. 결승전
2018년 3월 26일 19시 35분 (UTC+8) 난닝 광시 스포츠 센터에서 열린 웨일스와 우루과이의 결승전에서 카바니가 후반 49분에 득점하여 우루과이가 1-0으로 승리하였다. 관중 수는 41,056명이었으며, 주심은 카타르의 살만 아흐마드 팔라히였다.[26][27]8. 우승
우루과이
첫 번째 우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