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하계 올림픽 사격 남자 50m 소총 3자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20년 하계 올림픽 사격 남자 50m 소총 3자세는 2021년 8월 2일 일본 도쿄 아사카 사격장에서 열린 경기이다. 본선에서는 상위 8명의 선수가 결선에 진출했으며, 결선에서 중화인민공화국의 장창훙이 466.0점으로 세계 신기록을 세우며 금메달을 획득했다.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의 세르게이 카멘스키는 은메달, 세르비아의 밀렌코 세비치는 동메달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0년 하계 올림픽 사격 - 2020년 하계 올림픽 사격 남자 10m 공기권총
2020년 하계 올림픽 사격 남자 10m 공기권총은 2021년 도쿄 올림픽에서 자바드 포루기가 금메달, 다미르 미케츠가 은메달, 팡웨이가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자바드 포루기는 결선에서 올림픽 기록을 경신했다. - 2020년 하계 올림픽 사격 - 2020년 하계 올림픽 사격 여자 트랩
2020년 하계 올림픽 사격 여자 트랩은 2021년 7월 28일부터 29일까지 도쿄에서 열린 사격 세부 경기로, 주자나 레하크 슈테페체코바가 금메달, 케일 브라우닝이 은메달, 알레산드라 페릴리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 2020년 하계 올림픽 남자 종목 - 2020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2020년 하계 올림픽 남자 축구는 일본에서 16개 팀이 참가하여 브라질이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무관중 경기가 진행되고 비디오 판독 시스템이 처음 도입된 연령 제한 토너먼트이다. - 2020년 하계 올림픽 남자 종목 - 2020년 하계 올림픽 사격 남자 10m 공기권총
2020년 하계 올림픽 사격 남자 10m 공기권총은 2021년 도쿄 올림픽에서 자바드 포루기가 금메달, 다미르 미케츠가 은메달, 팡웨이가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자바드 포루기는 결선에서 올림픽 기록을 경신했다. - 올림픽 사격 - 2012년 하계 올림픽 사격
2012년 하계 올림픽 사격은 2012년 7월 28일부터 8월 6일까지 런던에서 개최되었으며, 대한민국은 금메달 3개로 종합 1위를 기록했다. - 올림픽 사격 - 2008년 하계 올림픽 사격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사격은 권총, 소총, 클레이 종목으로 진행되어 총 15개의 메달이 수여되었으며, 중국이 최다 메달을 획득하고 올림픽 신기록이 수립된 대회이다.
2020년 하계 올림픽 사격 남자 50m 소총 3자세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종목 | 남자 50m 소총 3자세 |
올림픽 | 2020년 하계 올림픽 |
경기장 | 아사카 주둔지 |
날짜 | 2021년 8월 2일 |
참가 선수 | 39 |
참가 국가 | 27 |
우승 점수 | 466.0 |
우승 점수 레이블 | 우승 점수 |
메달리스트 | |
금메달 | 장창훙 |
금메달 국가 | CHN |
은메달 | 세르게이 카멘스키 |
은메달 국가 | ROC |
동메달 | 밀렌코 세비치 |
동메달 국가 | SRB |
올림픽 연혁 | |
이전 대회 | 2016 |
다음 대회 | 2024 |
2. 기존 기록
이번 경기에 앞서 기존 세계 기록과 올림픽 기록은 다음과 같다.[5]
2. 1. 본선 기록
이번 경기에 앞서 기존 세계 기록과 올림픽 기록은 다음과 같다.[5]기록 종류 | 선수 | 점수 | 장소 | 날짜 |
---|---|---|---|---|
세계 기록 | 얀 로흐빌러 (SUI) | 1188 | 리우데자네이루, 브라질 | 2019년 8월 28일 |
올림픽 기록 | 세르게이 카멘스키 (RUS) | 1184 | 리우데자네이루, 브라질 | 2016년 8월 14일 |
2. 2. 결선 기록
이번 경기에 앞서 기존 세계 기록과 올림픽 기록은 다음과 같다.[5]기록 종류 | 선수 | 점수 | 장소 | 날짜 |
---|---|---|---|---|
세계 기록 | -- 양하오란 (CHN) | 465.3 | 뮌헨, 독일 | 2018년 5월 25일 |
올림픽 기록 | -- 니콜로 캄프리아니 (ITA) | 458.8 | 리우데자네이루, 브라질 | 2016년 8월 14일 |
모든 시각은 일본 표준시(JST, UTC+9:00) 기준이다.
중화인민공화국의 장창훙이 결선에서 466.0점을 기록하며 '''세계 신기록'''과 '''올림픽 신기록'''을 동시에 경신하며 금메달을 획득했다.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ROC) 소속의 세르게이 카멘스키가 은메달을, 세르비아의 밀렌코 세비치가 동메달을 차지했다.
3. 경기 일정
날짜 시각 경기 2021년 8월 2일 월요일 11:30 본선 2021년 8월 2일 월요일 16:50 결선
4. 경기 결과
4. 1. 본선
상위 8명의 선수가 결선에 진출했다. 대한민국의 김상도는 총점 1164점으로 24위를 기록했다.
순위 | 선수 | 국가 | 무릎쏴 | 엎드려쏴 | 서서쏴 | 총합[6] | 참조 |
---|---|---|---|---|---|---|---|
1 | 세르게이 카멘스키 |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 394 | 398 | 391 | 1183-78x | 결선 진출 |
2 | 장창훙 | 중화인민공화국 | 392 | 398 | 393 | 1183-67x | 결선 진출 |
3 | 욘 헤르만 헤그 | 노르웨이 | 395 | 397 | 389 | 1181-64x | 결선 진출 |
4 | 밀렌코 세비치 | 세르비아 | 394 | 399 | 387 | 1180-64x | 결선 진출 |
5 | 미란 마리치치 | 크로아티아 | 393 | 397 | 388 | 1178-66x | 결선 진출 |
6 | 세르히 쿨리시 | 우크라이나 | 393 | 398 | 387 | 1178-60x | 결선 진출 |
7 | 페타르 고르샤 | 크로아티아 | 392 | 397 | 387 | 1176-70x | 결선 진출 |
8 | 유리 스체르바세비치 | 벨라루스 | 392 | 398 | 386 | 1176-55x | 결선 진출 |
9 | 헨릭 라센 | 노르웨이 | 398 | 400 | 377 | 1175-70x | |
10 | 이슈트반 페니 | 헝가리 | 391 | 397 | 385 | 1173-64x | |
11 | 자오중하오 | 중화인민공화국 | 392 | 397 | 384 | 1173-64x | |
12 | 패트릭 선더맨 | 미국 | 393 | 398 | 381 | 1172-63x | |
13 | 파트리크 야니 | 슬로바키아 | 390 | 391 | 391 | 1172-61x | |
14 | 유리 유르코프 | 카자흐스탄 | 390 | 395 | 387 | 1172-60x | |
15 | 토마시 바르트니크 | 폴란드 | 394 | 394 | 383 | 1171-56x | |
16 | 이르지 프르지브라트스키 | 체코 | 385 | 396 | 388 | 1169-68x | |
17 | 페트르 님부르스키 | 체코 | 385 | 399 | 385 | 1169-62x | |
18 | 페클레르 절란 | 헝가리 | 393 | 395 | 381 | 1169-56x | |
19 | 마르코 데 니콜로 | 이탈리아 | 396 | 393 | 379 | 1168-60x | |
20 | 마햐르 세다가트 | 이란 | 388 | 392 | 388 | 1168-56x | |
21 | 아이슈와리 프라탑 싱 토마르 | 인도 | 397 | 391 | 379 | 1167-63x | |
22 | 올레흐 차리코우 | 우크라이나 | 388 | 396 | 382 | 1166-51x | |
23 | 밀루틴 스테파노비치 | 세르비아 | 387 | 391 | 386 | 1164-57x | |
24 | 김상도 | 대한민국 | 384 | 390 | 390 | 1164-53x | |
25 | 카롤리스 기룰리스 | 리투아니아 | 385 | 393 | 385 | 1163-50x | |
26 | 닉 모우러 | 미국 | 391 | 397 | 374 | 1162-63x | |
27 | 데인 샘슨 | 오스트레일리아 | 383 | 397 | 382 | 1162-45x | |
28 | 스테펜 올슨 | 덴마크 | 388 | 391 | 381 | 1160-53x | |
29 | 잭 로시터 | 오스트레일리아 | 382 | 392 | 386 | 1160-40x | |
30 | 로렌초 바치 | 이탈리아 | 384 | 392 | 383 | 1159-49x | |
31 | 오카다 나오야 | 일본 | 388 | 390 | 380 | 1158-44x | |
32 | 산지브 라지푸트 | 인도 | 387 | 393 | 377 | 1157-55x | |
33 | 호세 루이스 산체스 | 멕시코 | 387 | 391 | 376 | 1154-48x | |
34 | 알렉시스 에베라르드트 | 아르헨티나 | 382 | 391 | 379 | 1152-50x | |
35 | 하메드 알카트리 | 오만 | 382 | 392 | 374 | 1148-42x | |
36 | 외메르 아크귄 | 튀르키예 | 373 | 390 | 384 | 1147-40x | |
37 | 마쓰모토 다카유키 | 일본 | 373 | 391 | 381 | 1145-42x | |
38 | 오사마 엘사이드 | 이집트 | 367 | 392 | 380 | 1139-37x | |
39 | 훌리오 이에마 | 베네수엘라 | 376 | 388 | 368 | 1132-41x |
4. 2. 결선
중화인민공화국의 장창훙이 466.0점의 '''세계 신기록'''이자 '''올림픽 신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ROC)의 세르게이 카멘스키가 464.2점으로 은메달을, 세르비아의 밀렌코 세비치가 448.2점으로 동메달을 차지했다.순위 | 선수 | 시기 | 총합[7] | 비고 | ||||||||||||
---|---|---|---|---|---|---|---|---|---|---|---|---|---|---|---|---|
무릎쏴 | 엎드려쏴 | 서서쏴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
1 | 장창훙 (CHN) | 52.5 | 51.0 | 52.1 | 52.7 | 51.7 | 52.6 | 49.6 | 51.4 | 10.3 | 10.6 | 10.9 | 10.3 | 10.3 | 466.0 | 세계 신기록, 올림픽 신기록 |
52.5 | 103.5 | 155.6 | 208.3 | 260.0 | 312.6 | 362.2 | 413.6 | 423.9 | 434.5 | 445.4 | 455.7 | 466.0 | ||||
2 | 세르게이 카멘스키 (ROC) | 49.2 | 51.8 | 53.0 | 52.6 | 53.0 | 52.2 | 51.3 | 49.8 | 10.3 | 10.3 | 10.1 | 10.5 | 10.1 | 464.2 | rowspan=2| |
49.2 | 101.0 | 154.0 | 206.6 | 259.6 | 311.8 | 363.1 | 412.9 | 423.2 | 433.5 | 443.6 | 454.1 | 464.2 | ||||
3 | 밀렌코 세비치 (SRB) | 51.9 | 50.9 | 50.3 | 51.6 | 52.5 | 51.7 | 50.1 | 49.7 | 10.5 | 9.5 | 10.0 | 9.5 | 448.2 | rowspan=2| | |
51.9 | 102.8 | 153.1 | 204.7 | 257.2 | 308.9 | 359.0 | 408.7 | 419.2 | 428.7 | 438.7 | 448.2 | |||||
4 | 욘 헤르만 헤그 (NOR) | 50.5 | 51.6 | 51.0 | 51.4 | 53.1 | 51.7 | 50.0 | 49.1 | 9.5 | 10.1 | 10.0 | 438.0 | rowspan=2| | ||
50.5 | 102.1 | 153.1 | 204.5 | 257.6 | 309.3 | 359.3 | 408.4 | 417.9 | 428.0 | 438.0 | ||||||
5 | 페타르 고르샤 (CRO) | 49.3 | 51.4 | 50.4 | 51.8 | 51.5 | 52.0 | 49.8 | 51.0 | 10.2 | 9.8 | 427.2 | rowspan=2| | |||
49.3 | 100.7 | 151.1 | 202.9 | 254.4 | 306.4 | 356.2 | 407.2 | 417.4 | 427.2 | |||||||
6 | 미란 마리치치 (CRO) | 50.0 | 50.5 | 49.7 | 51.3 | 50.2 | 51.8 | 50.6 | 52.4 | 9.7 | 416.2 | rowspan=2| | ||||
50.0 | 100.5 | 150.2 | 201.5 | 251.7 | 303.5 | 354.1 | 406.5 | 416.2 | ||||||||
7 | 유리 스체르바세비치 (BLR) | 51.6 | 52.3 | 51.6 | 51.6 | 52.3 | 52.1 | 46.8 | 48.0 | 406.3 | rowspan=2| | |||||
51.6 | 103.9 | 155.5 | 207.1 | 259.4 | 311.5 | 358.3 | 406.3 | |||||||||
8 | 세르히 쿨리시 (UKR) | 50.0 | 52.1 | 52.6 | 52.8 | 51.3 | 51.8 | 40.7 | 50.9 | 402.2 | rowspan=2| | |||||
50.0 | 102.1 | 154.7 | 207.5 | 258.8 | 310.6 | 351.3 | 402.2 |
참조
[1]
웹사이트
Shooting Competition Schedule
https://tokyo2020.or[...]
Tokyo 2020
2020-12-14
[2]
웹사이트
Shooting – 50m Rifle 3 Positions Men – Qualification Results
https://olympics.com[...]
Tokyo Organising Committee of the Olympic and Paralympic Games
2021-08-02
[3]
웹사이트
Shooting – 50m Rifle 3 Positions Men – Final Results
https://olympics.com[...]
Tokyo Organising Committee of the Olympic and Paralympic Games
2021-08-02
[4]
웹인용
Shooting Competition Schedule
https://tokyo2020.or[...]
Tokyo 2020
2020-12-14
[5]
웹인용
Shooting - Olympic Records
https://olympics.com[...]
Tokyo 2020
2021-08-02
[6]
웹인용
Shooting – 50m Rifle 3 Positions Men – Qualification Results
https://olympics.com[...]
Tokyo Organising Committee of the Olympic and Paralympic Games
2021-08-02
[7]
웹인용
Shooting – 50m Rifle 3 Positions Men – Final Results
https://olympics.com[...]
Tokyo Organising Committee of the Olympic and Paralympic Games
2021-08-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