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콜레라 범유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차 콜레라 범유행은 1830년 인도네시아와 필리핀에서 시작되어 아시아, 유럽, 아메리카 대륙으로 확산된 콜레라의 세계적 유행이다. 이 유행은 1820년대에 시작된 1차 콜레라 범유행과 유사하게 인도 갠지스 삼각주에서 시작되어 무역로를 따라 확산되었으며, 러시아를 거쳐 유럽과 북미 지역으로 퍼져나갔다. 2차 콜레라 범유행은 수십만 명의 사망자를 발생시켰고, 각국 정부는 검역 시스템을 강화하는 등 공중 보건 시스템 개선의 필요성을 느끼게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질병 발생 - 1770년~1772년 러시아 페스트
1770년부터 1772년까지 러시아에서 발생한 페스트는 흑사병 유행으로 러시아 제국에 큰 피해와 혼란을 야기했으며, 전쟁 중 발병하여 전국으로 확산되었고, 정부의 미흡한 대처와 사회적 혼란 속에서 예카테리나 2세의 개혁 시도와 의학 발전, 정치적 영향 등 광범위한 결과를 초래했다. - 프랑스의 질병 발생 - 마르세유 대역병
마르세유 대역병은 1720년에서 1722년까지 프랑스 마르세유에서 발생한 흑사병 대유행으로, 시리아에서 온 상선의 페스트균 오염 물품으로 인해 시작되어 검역 실패와 미흡한 의학 지식으로 막대한 인명 피해와 사회적 혼란을 야기했다. - 인도의 질병 발생 - 인도의 코로나19 범유행
인도의 코로나19 범유행은 2020년 1월 30일 케랄라주에서 시작되어 종교 행사 등으로 확산세가 가속화되었고, 정부는 봉쇄, 검사 확대, 백신 접종 등의 대응책을 추진했으나 빈곤, 인구 밀도, 의료 인프라 부족 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 인도의 질병 발생 - 1차 콜레라 범유행
1817년부터 1824년까지 인도 아대륙에서 시작되어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 등 전 세계로 확산된 1차 콜레라 범유행은 인구 이동, 무역, 종교 활동 등으로 인해 수많은 사망자와 사회적 혼란, 인종차별 등의 영향을 미쳤다.
| 2차 콜레라 범유행 | |
|---|---|
| 개요 | |
| 박테리아 균주 | 비브리오 콜레라 |
| 발원지 | 벵골 삼각주, 영국령 인도 |
| 확인된 사례 | 알 수 없음; 러시아에서 250,000건 |
| 위치 | 아시아, 유럽, 아메리카 |
| 기간 | 1826년–1837년 |
| 사망자 | 알 수 없음; 러시아에서 100,000명; 프랑스에서 100,000명; 런던에서 6,536명 |
2. 역사적 배경
2차 콜레라 범유행은 1차 콜레라 범유행에 이어 전 세계적으로 큰 영향을 미친 질병 확산 사건이다. 1차 콜레라 범유행과 마찬가지로, 2차 범유행 역시 인도 갠지스 삼각주 지역에서 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31] 이곳에서 발생한 콜레라는 무역로를 따라 인도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1828년에는 중국으로 전파되었고, 1826년과 1835년에 중국, 1831년에 일본에서 콜레라 발생이 보고되었다. 1829년에는 이란이 아프가니스탄으로부터 전파된 것으로 보고 있다.[31] 이처럼 콜레라는 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되었다.
2. 1. 1차 확산 (아시아)
1차 콜레라 범유행은 인도 갠지스 삼각주에서 시작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동인도에서의 콜레라 전파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지만, 많은 사람들은 이 전염병이 갠지스 삼각주를 따라 발병하면서 시작되었다고 생각한다.[31] 그곳에서 이 질병은 무역로를 따라 인도 대부분 지역으로 확산되었다. 1828년에는 중국으로 전파되었고, 1826년과 1835년에 중국, 1831년에 일본에서 콜레라 발생이 보고되었다. 1829년에는 이란이 아프가니스탄으로부터 전파된 것으로 보고 있다.[31] 이러한 중국과 일본에서의 콜레라 발생은 조선에도 경각심을 불러일으켰다.2. 2. 2차 확산 (러시아)
콜레라는 1829년 우랄산맥 남쪽에 상륙했다. 1829년 8월 26일 첫 콜레라 발병이 기록되었고, 이후 부울루마(11월 7일), 부구루슬란(12월 5일), 멘셀린스크(1830년 1월 2일), 벨레예프스크(1월 6일)에서 발병이 이어졌다. 오렌부르크 지방에서는 1830년 2월까지 865명의 사망자를 포함하여 3,500건의 콜레라 확진 사례가 기록되었다.[32]2차 콜레라 범유행은 러시아를 거쳐 유럽으로 확산되어 수십만 명의 목숨을 앗아갔다.[32] 1830년 8월에는 모스크바를 침공했고, 1831년까지 러시아 주요 도시들로 퍼져나갔다. 1831년 2월, 러시아 군인들은 폴란드에 콜레라를 전파했다.[32] 러시아에서만 콜레라 환자 250,000명, 사망자 100,000명이 보고되었다.[7]
1831년 초, 러시아에서 콜레라 유행이 확산된다는 보고가 잦아지자 영국 정부는 러시아에서 영국 항구로 오는 선박에 대해 검역 명령을 내렸다.[17]
2. 3. 3차 확산 (유럽, 아메리카)
1831년, 콜레라는 러시아 제국에서 유럽 전역으로 확산되어 수십만 명의 생명을 앗아갔다.[11] 러시아에서는 25만 명의 콜레라 환자와 10만 명의 사망자가 보고되었고,[7] 헝가리 왕국에서도 최대 10만 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12]
폴란드-러시아 전쟁 중에는 러시아군에 의해 폴란드와 동프로이센으로 콜레라가 전파되었고, 프로이센은 국경을 폐쇄하기도 했다.[34] 러시아에서는 차르 정부의 콜레라 대응 조치에 반발하여 "콜레라 폭동"이 일어나기도 했다.[15][16]
1831년 12월, 콜레라는 영국 선덜랜드에 상륙했으며, 발트해에서 배를 타고 온 것으로 추정된다.[21] 게이츠헤드와 뉴캐슬에도 전염병이 퍼졌다. 런던에서는 6,535명이 사망했고, 파리에서는 20,000명(인구 65만 명 중), 프랑스 전역에서는 약 10만 명이 사망했다.[36] 1832년에는 캐나다의 퀘벡, 온타리오, 노바스코샤에서도 콜레라가 발생했다.[30] 이 유행병은 1848년 영국의 1848년 공중 보건법 제정을 이끌었다.[7]
1831년 9월부터 1832년 1월까지, 유프라테스 강과 티그리스 강 하류 지역(현재의 이라크와 이란)을 휩쓴 콜레라 유행으로 슈슈타르에서는 도시 주민의 약 절반이 사망했다. 만다교 신자들은 특히 큰 타격을 입어 모든 사제들이 사망했고, 이후 1,500명만이 살아남았다.[20]
2. 3. 1. 영국의 대응
1831년 초, 러시아에서 콜레라 유행이 빈번하게 보고되자 영국 정부는 러시아에서 영국으로 향하는 모든 선박에 대해 검역 명령을 내렸다.[17] 늦여름까지 질병이 영국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커지자, 당시 지배적이었던 악취설에 따라 낡은 천, 밧줄, 종이, 헌 옷 등을 제거하고, 의류와 가구는 물에 흠뻑 적셔 잿물에 삶고, 배수구와 변소는 염화석회로 청소하며, 집과 가구에 신선한 공기를 최소 일주일 동안 지속적으로 유입시키는 등의 예방 조치를 취했다.[18]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콜레라 유행을 관찰한 두 영국 의사의 보고서를 바탕으로, 영국 보건 위원회는 콜레라 증상과 발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발표했다. 이 설명에 따르면, 콜레라는 어지럼증, 메스꺼움, 신경 흥분, 불규칙하고 약한 맥박, 경련 등의 증상을 보이며, 쌀뜨물 같은 설사나 구토를 동반한다. 또한, 피부가 차갑고 축축해지며, 혀는 흐물거리고 차가워지며, 목소리가 거의 사라지고 호흡이 불규칙해지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19]
2. 3. 2. 미국의 상황
1832년, 뉴욕과 디트로이트 등 미국의 주요 도시에서 콜레라가 발생했다.[30] 이 콜레라는 캐나다의 퀘벡, 온타리오, 노바스코샤를 거쳐 미국으로 유입되었다. 당시 미국에서는 콜레라가 최근 이민자, 특히 아일랜드 이민자들에 의해 유입되었다는 인식이 있었다. 1832년 중반, 필라델피아 서쪽 30마일 떨어진 더피 컷이라는 철도 구간을 건설하던 57명의 아일랜드 이민자들 역시 콜레라로 사망했다.[23]
이러한 콜레라의 확산은 미국 사회에 공중 보건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켰으며, 이후 공중 보건 개선을 위한 노력으로 이어졌다.
3. 원인
프랑스에서는 의사들이 콜레라가 특정 지역 사회의 빈곤이나 열악한 환경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했다. 러시아에서는 이 질병이 전염성이 있다고 믿었지만, 어떻게 전파되는지는 알지 못했다. 미국에서는 콜레라가 최근 이민자, 특히 아일랜드인에 의해 유입되었다고 믿었으며, 역학자들은 그들이 영국 항구에서 질병을 옮겨온 것으로 이해했다. 마지막으로, 영국에서는 이 질병이 신의 개입으로 발생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24]
4. 영향 및 유산
2차 콜레라 범유행은 전 세계적으로 공중 보건 시스템 개선의 필요성을 일깨웠다. 영국에서는 1831년 10월, 콜레라가 선덜랜드에 상륙하면서[21] 큰 피해를 입었고, 이는 1848년 공중 보건법 제정의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7]
오스만 제국과 이집트는 2차 콜레라 범유행에 대응하여 서구 지중해 모델을 따라 검역 시스템을 개혁했다. 1831년 이집트 검역 위원회가 설립되었고, 1833년에는 알렉산드리아에 이집트 최초의 현대식 격리 시설(나자렛토)이 건설되었다. 같은 해 오스만 정부는 이스탄불에 최초의 영구적인 검역 시설을 설치했으며, 1838년에는 59개의 검역소를 감독하는 최고 보건 위원회를 설립했다. 이러한 검역소는 콜레라 자체에는 큰 효과가 없었지만, 흑사병 방어 체계를 강화하는 데 기여했다.[28]
의학적으로는 정맥 내 수액 보충 요법이 개발되는 중요한 발전이 있었다. 에든버러 근처 레이스 출신의 토머스 래타 박사는 혈액 연구를 통해 생리식염수 수액이 환자의 상태를 크게 개선하고 탈수를 예방하여 많은 생명을 구할 수 있음을 밝혀냈다.[29]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전염병의 범유행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국제적인 협력이 중요하며, 백신과 치료제 개발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한다.
참조
[1]
뉴스
Cholera's seven pandemics
https://www.cbc.ca/n[...]
2008-12-11
[2]
논문
Sporadic regional re-emergent cholera: a 19th century problem in the 21st century
https://academic.oup[...]
2024-03
[3]
서적
Encyclopedia of Microbiology
https://www.scienced[...]
Academic Press
2009
[4]
논문
Cholera and the Environment in Nineteenth-Century Japan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19-05
[5]
웹사이트
Cholera's seven pandemics
https://www.cbc.ca/n[...]
cbc.ca
2008-12-02
[6]
웹사이트
Cholera – Cholera through history
https://www.britanni[...]
2020-12-10
[7]
웹사이트
Asiatic Cholera Pandemic of 1826-37
https://ph.ucla.edu/[...]
UCLA Fielding School of Public Health
2001-08-06
[8]
논문
Cholera studies. 1. History of the disease
1954
[9]
논문
Cholera studies. 1. History of the disease
1954
[10]
서적
Disease, Health Care and Government in Late Imperial Russia: Life and Death on the Volga, 1823-1914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0-12-15
[11]
서적
Epidemics and Pandemics: Their Impacts on Human History
https://archive.org/[...]
ABC-CLIO
[12]
뉴스
Asiatic Cholera Pandemic of 1826-37
https://www.ph.ucla.[...]
[13]
서적
Depesze z powstańczej Warszawy 1830–1831: raporty konsula francuskiego w Królestwie Polskim
Czytelnik
[14]
서적
Warszawa 1831
Dom Wydawniczy Bellona
[15]
서적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Revolution and Protest
https://www.unm.edu/[...]
Blackwell Publishing
2009
[16]
논문
The St. Petersburg Cholera Riot of 1831: Water Pollution and Social Tension
https://www.environm[...]
Rachel Carson Center for Environment and Society
2013
[17]
간행물
1831-05-27
[18]
간행물
1831-10-21
[19]
간행물
1831-10-21
[20]
서적
The great stem of souls: reconstructing Mandaean history
Gorgias Press
[21]
웹사이트
Cholera in Sunderland
http://parliament.uk[...]
[22]
서적
The Cholera Years: The United States in 1832, 1849, and 1866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7
[23]
서적
The Ghosts of Duffy's Cut
http://www.greenwood[...]
Praeger Publishers
[24]
서적
Epidemics and Pandemics: Their Impacts on Human History
ABC-CLIO
[25]
웹사이트
Pandemics Through Indian Literary Lens
https://www.peepultr[...]
Peepul Tree Stories
2024-09-17
[26]
논문
The Masses and the Elite: the Conception of Social Inequality in 1840s Scandinavian Literature
https://www.research[...]
2012-12
[27]
논문
Emerging viral threats and the simultaneity of the non-simultaneous: zooming out in times of Corona
2020
[28]
논문
Ottoman and Egyptian Quarantines and European Debates on Plague in the 1830s–1840s
2021
[29]
논문
Dr Thomas Aitchison Latta (cl796-1833): pioneer of intravenous fluid replacement in the treatment of cholera
https://doi.org/10.1[...]
2013-05
[30]
뉴스
Cholera's seven pandemics
http://www.cbc.ca/he[...]
2008-12-11
[31]
서적
Disease, health care and government in late Imperial Russia : life and death on the Volga, 1823-1914
https://www.worldcat[...]
Routledge
2011
[32]
서적
Epidemics and pandemics : their impacts on human history
https://www.worldcat[...]
ABC-CLIO
2005
[33]
서적
Depesze z powstańczej Warszawy 1830-1931 : raporty konsula francuskiego w Królewstwie Polskim
https://www.worldcat[...]
Czytelnik
1980
[34]
서적
Warszawa 1831
https://www.worldcat[...]
Dom Wydawniczy Bellona
1998
[35]
웹인용
The London Gazette. p. 1027.
https://www.thegazet[...]
1831-05-27
[36]
서적
The cholera years : the United States in 1832, 1849, and 1866
https://www.worldcat[...]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7
[37]
서적
Epidemics and Pandemics: Their Impacts on Human History.
Santa Barbara, CA: ABC-CLIO.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