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3식 전투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3식 전투기는 1940년 일본 육군이 가와사키에 개발을 요구하여 제작된 중저고도용 전투기이다. Ki-60의 실패 이후, Ki-61은 1942년 8월 제식 채용되었다. 도이 타케오와 오와다 신이 설계했으며, 다임러-벤츠 DB 601 엔진을 기반으로 제작되었고, 가와사키가 라이선스 생산한 Ha-40 엔진을 탑재했다. 1943년 실전 투입되었으나, 화력 부족, 엔진 문제, 장갑 방호력 부족 등의 문제점을 보였고, 미군의 신예기 투입으로 성능적 열세에 놓였다. 다양한 변형 및 개량형이 존재하며, 일본 육군 항공대 외에 중화민국, 중국, 인도네시아 등에서도 운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1년 첫 비행한 항공기 - 더글러스 C-47 스카이트레인
    더글러스 C-47 스카이트레인은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활약한 미국의 수송기로, 더글러스 DC-3 여객기를 군용으로 개조하여 병력, 화물, 부상병 수송 등 다양한 임무에 투입되었고, 전후에는 민간 항공기로 개조되어 널리 사용되었으며 영국에서는 '다코타'라고 불렸다.
  • 1941년 첫 비행한 항공기 - 그루먼 TBF 어벤저
    그루먼 TBF 어벤저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 해군의 주력 뇌격기로, 항공모함 수납을 극대화하는 날개 접이 방식과 큰 폭탄창, 튼튼하고 안정적인 기체로 조종사들에게 높은 평가를 받으며 미국 해군 외 여러 국가에서 운용되었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일본 전투기 - 0식 함상전투기
    0식 함상전투기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 해군 항공대에서 운용된 함상 전투기로, 제로센 또는 레이센으로 불리며 태평양 전쟁 초기에 활약했으나, 방탄 장비 부족과 연합군 신형 전투기 등장으로 점차 열세에 놓여 가미카제 특공에 활용되기도 했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일본 전투기 - 96식 함상전투기
    96식 함상전투기는 일본 제국 해군이 운용한 해군 최초의 전금속제 저익 단엽 전투기로, 고속 성능과 공중전 기동성을 중시하여 설계되어 중일 전쟁 초기 활약했으나, 이후 미쓰비시 A6M 제로에 의해 대체되어 태평양 전쟁 초기까지 일부 운용, 전쟁 말기 가미카제 공격에도 사용되었다.
  • 대만 - 직물
    직물은 날실과 씨실을 교차시켜 만든 것으로, 의류, 인테리어, 산업용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며 평직, 능직, 새틴 직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제작된다.
  • 대만 -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는 대한민국 동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MICE 산업, 금융, 서비스업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발전하며, 세계적인 무역항인 부산항을 중심으로 다양한 문화 유적과 관광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3식 전투기
기본 정보
타이완 쑹산 비행장 주둔, 제37교육비행대 소속의 3식 전 1형 갑 (키61-I 갑, 1944년 3월 촬영)
명칭가와사키 키61 히엔 3식 전투기
원어 명칭일본어: 川崎 キ61 三式戦闘機「飛燕」
로마자 표기: Kawasaki Ki-61 Sanshiki Sentōki "Hien"
한국어: 3식 전투기
일본어: 三式戦闘機
로마자 표기: 산시키센토우키
종류전투기
분류전투기
개발
설계자도이 다케오
개발 기반가와사키 Ki-60
파생가와사키 Ki-100
생산
제조사가와사키 항공기
생산 대수3,078대
생산 시작1942년
운용
운용 국가일본 (육군)
중화민국 공군
인도네시아 공군 (IPSF)
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최초 비행1941년 12월
도입1942년
퇴역1945년
상태퇴역
기타
비고미국군의 P-51, 이탈리아군의 MC.202와 같은 설계임.
일본 육군 최후의 제식 전투기임.

2. 개발

1940년, 일본 육군은 가와사키에 고고도용 중전투기와 중저고도용 전투기 개발을 요구했다. 이에 따라 고고도용 중전투기 Ki-60과 중저고도용 Ki-61 (3식 전투기) 개발이 시작되었다.[5] Ki-60은 시제품 3대만 제작된 후 실패작으로 평가되었지만, Ki-61은 Bf 109나 나카지마 Ki-44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어 1942년 8월에 제식 채용되었다.[7][8][9][10]

Ki-61은 도이 타케오와 그의 부관 오와다 신이 설계했으며, DB 601 엔진을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양산 기종은 가와사키가 라이선스 생산한 DB 601인 Ha-40 엔진을 탑재했다.[5] Ha-40 엔진은 일본의 기술력 부족과 자원 부족으로 인해 생산 및 유지보수에 어려움을 겪었다.[23][11]

3식 전투기 1형(키61-I)


Ki-61의 동체는 반 모노코크 구조로, 3개의 스파를 가진 금속 합금 날개를 가졌다. 엔진 지지대는 전방 동체의 일부로 제작되었으며, 정비를 위해 상단 및 하단 카울링 패널만 제거할 수 있었다. 과급기 공기 흡입구는 좌현 카울링에 위치했다.[5] 조종석 뒤에는 165L 용량의 자가 봉쇄 연료 탱크가 있었고, 조종사 뒤에는 13mm 장갑판이 설치되었다.[5]

1941년 12월, 가카미가하라 비행장에서 첫 시험 비행이 이루어졌다.[6] 시험 조종사들은 자가 봉쇄 연료 탱크, 우수한 급강하 성능에 만족했지만, 당시 일본 육군은 여전히 가볍고 기동성이 뛰어난 전투기를 선호했기 때문에 146.3kg/m2의 높은 날개 하중은 회의적인 반응을 얻었다.[7]

이러한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가와사키는 Ki-61과 Ki-43-I, Ki-44-I, LaGG-3, Bf 109E-7, P-40E 워호크 간의 비교 시험을 주최했다. Ki-61은 Ki-43을 제외한 모든 기종보다 빠른 속도를 기록하며 우수한 성능을 입증했다.[7][8][9][10]

하지만 실전 배치 후, Ki-61은 장갑 방호력 부족과 엔진 문제 등의 단점이 드러났다. 특히 Ha-40 엔진은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보였으며,[23][11] 남태평양 전역에서는 고온으로 인해 연료 펌프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12]

1936년, 독일에서 개발된 DB 601 엔진은 유체 커플링을 채용한 과급기와 연료 분사 장치를 갖춘 선진적인 엔진이었다. 일본 육군과 해군은 이 엔진의 라이선스를 각각 구매하여 생산을 진행했다. 가와사키는 1940년 12월, Ha-40 엔진을 완성했다.

Ki-61은 시제기 당시 Bf109E를 능가하는 성능을 보였다. 1942년 가을, 후쿠시에서 실시된 비교 시험에서 Ki-61은 속도 우세와 함께 작은 선회 반경으로 외국 기종에 비해 격투전에서 유리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Ki-61의 강하 제한 속도는 850km/h로, 매우 튼튼한 기체였다. 그러나 출력 부족으로 인해 상승력이 부족했고, 연료 만재 시에는 호위해야 할 폭격기보다도 못한 상승력을 보였다.

Ki-61은 P-40과는 대등하거나 그 이상으로 싸울 수 있었지만, P-38과의 전투에서는 화력 면에서 불리함을 겪었다. 미군의 일격 이탈 전법은 격투전 자체를 어렵게 만들었고, Ki-61은 기습 외에는 이길 방법이 없는 상황이었다.

3. 실전과 문제점

3식 전투기(Ki-61)는 1943년 봄, 파푸아뉴기니에서 첫 실전을 치렀다.[18] 초기에는 연합군 조종사들에게 위협적이었는데, 이전까지 사용되었던 급강하하여 일본 전투기를 따돌리는 전술이 통하지 않았기 때문이다.[11] 그러나 곧 화력 부족 문제가 대두되었고,[23] 파푸아뉴기니를 시작으로 중국, 필리핀, 오키나와, 동남아시아 등 태평양 전쟁 전선 전체에서 사용되었다.

1943년 가을부터 연합군이 노스아메리칸 P-51/F-51 머스탱, P-47, 그러먼 F6F 헬캣 등 신예기를 투입하면서 3식 전투기는 성능적 열세에 놓였다.[11] 전쟁 말에는 가미카제 자살특공대용으로 사용되기도 했다.[24]

1945년 6월 미국 메릴랜드주 패턱슨 리버 해군 항공 시험 센터에서 테스트를 받은 노획된 가와사키 Ki-61 전투기


3식 전투기는 액랭식 엔진(Ha-40, Ha-140)을 장착했는데, 이는 일본의 낮은 공업력과 정비 미숙 등으로 인해 잦은 고장과 낮은 가동률을 보였다.[11][12] 특히, Ha-40 엔진은 현장에서 정비가 불가능하여 동부 인도네시아의 할마헤라에 있는 서비스 기지로 보내야 했다.[12] 크랭크 축을 비롯한 중요 부품은 니켈이 들어간 크롬 몰리브덴강으로 만들어졌어야 했지만, 일본 육군은 니켈 불사용을 지시했다. 당시 일본의 야금학 기술 부족으로 니켈이 첨가되지 않은 크롬 몰리브덴강은 표면에 미세한 금이 가 품질이 악화되었고, 이는 크랭크 축 절손 사고로 이어졌다.[50] 롤러 베어링의 정밀도 역시 부족하여 크랭크 축 파손의 원인이 되었다.[50]

원형이 된 DB 601 엔진. 사진은 Bf110에 탑재되어 있던 것


1944년, 항공기 충돌을 사용하여 미국의 보잉 B-29 슈퍼포트리스를 공격하는 전술이 처음 기록되었다.[25] 이후 개별 조종사들이 B-29를 파괴하는 방법으로 충돌 공격을 활용했고, 1944년 11월 7일, 제10 비행사단 사령관은 충돌 공격 비행대를 편성하여 충돌 공격을 정책으로 만들었다.[26] "''가미카제''"라는 용어는 이러한 공격을 수행하는 조종사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기도 했지만, 일본군에서 사용된 용어는 아니었다.

|thumb|left|1945년 후쿠오카에서 촬영된 제149 전투대 Ki-61. 꼬리 마크는 아케노 쿄도 히코시단과 제59 비행전대에서 유래하여 제149에 할당되었음을 나타낸다.]]

|thumb|1946년 인바 비행장에서 미 육군 항공대 장교가 촬영한, 전 제23 비행전대, 제2 비행대 Ki-61.]]

1945년 1월, 비행 제244전대본부소대(고바야시 테루히코 전대장기)의 삼식전 1형 병(키61-I병) 3295호


250px

4. 변형 및 개량형

3식 전투기(Ki-61)는 다양한 변형 및 개량형이 존재한다.


  • 3식 1형 갑(Ki-61-Ia): 초기 양산형으로, 날개에 7.7mm 기관총 2정, 기수에 12.7mm 기관총 2정을 장착했다.[23] 원래는 Ho-5 20mm 기관포 또는 독일제 MG-151 20mm 기관포를 장착할 예정이었으나, 1943년 8월까지 생산되지 않았다.

  • 3식 1형 을(Ki-61-Ib): 1형 갑의 화력 부족을 개선하기 위해 날개의 7.7mm 기관총을 12.7mm 기관총으로 교체했다.[23]

  • 3식 1형 병(Ki-61-I-KAIc): 1943년 8월, 독일에서 수입한 MG-151 20mm 기관포를 날개에 장착하고 동체를 190mm 연장했다.

  • 3식 1형 정(Ki-61-I-KAId): 일본 국산 Ho-5 20mm 기관포를 기수에 장착하고, 날개에는 12.7mm 기관총을 장착했다.

  • 3식 2형(Ki-61-II): 1,500마력(1,120kW)의 Ha-140 엔진으로 교체하고 날개 면적을 10% 늘린 개량형이다. 1943년 8월에 첫 비행을 했다.

  • 3식 2형 선행생산형(Ki-61-II-KAI): 1형의 날개를 다시 장착하고 동체 길이를 220mm 늘린 선행생산형으로, 30대가 생산되었다.

  • 3식 2형 생산형(Ki-61-II-KAIa): 날개에 12.7mm 기관총 2정, 기수에 20mm 기관포 2문을 장착했다.

  • Ki-61-II-KAIb: 20mm 기관포 4문을 장착했다.

  • Ki-61-III: Ki-100-I-Otsu에서 사용된 캐노피 디자인을 적용하고 후방 동체를 잘라낸 버전이다.


Ki-61-I 생산: 가와사키 항공기 주식회사(Kawasaki Kokuki K.K)[33]
연도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1942135101534
194322323137444053607087104130710
1944150156145142118236254198164174101531,891
19451919
총계2,654



Ki-61-II 생산: 가와사키 항공기 주식회사(Kawasaki Kokuki K.K)[33]
연도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194413260000126417170239
1945685615197165
총계404



Ki-61-II 374대 중 275대는 Ki-100 Ia로 완성되었다.[36]

5. 운용 국가

일본 제국 육군 항공대는 3식 전투기를 운용했다.[37]

공군과 중국 인민 해방군 공군은 노획한 3식 전투기를 운용했다.[37]

인도네시아 공군은 1945년 말랑의 부기스 공군 기지를 비롯한 여러 일본 공군 기지에서 6대의 3식 전투기를 노획했다. 노획한 항공기 중 적어도 한 대는 복원되었으며, 대부분의 항공기는 인도네시아 독립 전쟁 기간 동안 파괴되었다.[37]

6. 한국 관련 내용

1944년 6월 15일, B-29는 규슈 후쿠오카현의 야하타 제철소를 폭격했다. 이 폭격은 현재의 대한민국 영토와도 관련이 있는데, 당시 일제강점기였던 조선에서 강제 징용된 노동자들이 야하타 제철소에서 일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8월 20일, 3식 전투기는 B-29와의 첫 교전에서, 제59전대는 격추 확실 1, 격추 불확실 3, 격파 5를 보고했다. 일본군 전체로는 격추 확실 24, 격추 불확실 13, 격파 47로 보고했다.

이후, B-29는 안산의 쇼와 제강소를 공격 목표로 변경하기도 했다. 나가사키현 오무라의 제21해군항공창이 폭격당했을 때, 3식 전투기를 장비한 제56전대는 B-29의 귀로를 요격하여 격추 1대, 격파 6대 이상의 전과를 보고했다.

일제강점기 조선인 조종사 중 일부가 3식 전투기를 조종했을 가능성이 있으나, 구체적인 기록은 부족하다.

7. 제원 (3식 1형 정(Ki-61-I-KAId))

3식 전투기 1형 정(Ki-61-I-KAId)의 제원은 다음과 같다.[49]


  • 조종사: 1명
  • 길이: 8.94 m
  • 주익 길이: 12.00 m
  • 높이: 3.70 m
  • 주익 면적: 20.00 m²
  • 엔진: 가와사키 Ha-40 수냉식 14기통, 1,540마력 엔진
  • 최대 속도: 고도 5,000m에서 560km/h[64]
  • 항속거리: 580 km[49]
  • 실용 상승 한도: 13,200m[49]
  • 무장:
  • Ho-5 20mm 기관포 2문 (1문당 기관포탄 120발 탑재)[49]
  • Ho-103 12.7mm 기관총 2정 (1정당 12.7mm 기관총탄 200발 탑재)[49]
  • 250kg 폭탄 2발[49]


3식 전투기는 장대한 항속 거리를 가진 0식 함상 전투기에 필적하는 비행 능력을 가졌으며, 초기에는 820리터, 양산형에서는 755리터의 연료를 탑재했다.[52] 그러나 1943년 실전 부대에서는 엔진 문제 등으로 인해 항속력이 저하되는 경향을 보였다.[53]

가와사키 Ki-61의 3면도

8. 평가

3식 전투기(키61)는 시제기 당시 최고 속도, 상승력, 선회성에서 Bf109E를 능가했다. 특히 최고 속도는 30km/h 더 빨랐다. 1942년 가을, 일본 육군과 해군은 P-40E, 허리케인, Bf109E 등 외국 기종과 3식 전투기의 성능을 비교하는 시험을 실시했다. 3식 전투기는 속도 우세와 작은 선회 반경으로 격투전에서 유리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해군 측은 3식 전투기의 좌석, 안정성, 조종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했지만, 전방 시야와 상승 성능은 나쁘다고 평가했다. 조종성에는 특별한 문제가 없었으며, 보조익과 승강타 조작에는 로드식이, 방향타에는 와이어식이 채용되었다. 해군 조종사들은 3식 전투기의 조타 계통이 우수하다고 평가했으며, 이는 액랭식 전투기 특유의 동체 형상 때문으로 추정되었다.

3식 전투기는 강하 제한 속도가 850km/h로 매우 튼튼한 기체였다. 영식 함상 전투기 52형 이전 기종의 강하 제한 속도가 670km/h, 52형 갑형이 740km/h였던 것과 비교하면 상당한 수준이다. 그러나 출력 부족으로 인해 상승력이 부족했고, 연료 만재 시에는 호위해야 할 폭격기보다도 상승력이 떨어졌다. "전투기 연구회"에서도 해군 측은 3식 전투기의 상승력 부족을 지적했다.

3식 전투기가 배치될 무렵, 미군기도 고속·중무장화되어 3식 전투기는 성능적 우위를 잃게 되었다. P-40과는 대등하게 싸울 수 있었지만, P-38과의 공중전에서는 화력 면에서 불리했고, 미군기의 일격 이탈 전법에 고전했다. 3식 전투기가 이기기 위해서는 기습밖에 방법이 없었고, 미군기의 방탄 성능과 무선기 성능 부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미군 포로가 된 3식 전투기 조종사는 단독 공전에서는 P-38의 틈을 노릴 수 있지만, 편대 공전에서는 승산이 없다고 증언했다. 다케다 고로 대위는 3식 전투기의 결점으로 이륙 시 전방 시야 확보의 어려움과 느린 상승 속도를 지적했다.

미국군은 처음에 3식 전투기를 Bf 109나 마키 202의 복제품으로 오인하여 "토니"라는 코드네임을 붙였다. 이후 일본의 독자적인 기체임이 밝혀졌다. 미군 조종사들은 3식 전투기를 상대하기 쉬웠다고 평가했으며, P-40N과 전반적으로 대등한 성능을 가진 것으로 판단했다. P-38 조종사들은 3식 전투기가 다른 일본 전투기보다 약간 빠르지만 P-38의 최고 속도에는 미치지 못하고, 격투전도 서툴러 상대하기 쉬웠다고 평가했다. 특히 고도 6,000m 이상에서는 P-38이 훨씬 빨랐다. 그러나 뉴기니 방면의 P-38 조종사들은 3식 전투기가 수평 비행에서 P-38을 따라잡을 수 있다는 보고를 하기도 했다.

F6F 조종사들도 3식 전투기를 다른 일본기보다 상대하기 쉬웠다고 평가했다. P-40N 조종사들은 3식 전투기가 P-40N보다 낫지 않으며, 운동성이 높은 일식 전투기가 더 위협적이라고 평가했다. 반면, 오키나와 전투에서 미 해군 조종사들은 3식 전투기를 사식 전투기나 시덴보다 높게 평가했다. F6F 조종사는 3식 전투기의 운동성에 감명받았으며, 특정 조건에서는 F6F를 압도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미군은 노획한 3식 전투기를 평가하면서 "중무장과 양호한 방탄 성능을 갖춘 훌륭한 기체"라고 평가했다. 또한 일본 본토 요격전에서 가장 활발하게 활동한 기종으로 평가했다. 미 해군 항공 정보부는 3식 전투기가 미군 전투기에 비해 대부분의 성능에서 뒤떨어진다고 평가했지만, 강하 성능은 F6F보다 우수하다고 보았다. 3식 전투기는 조종이 용이하고 "비행하는 것이 즐거운 기체"라고 평가받았지만, 보조 날개의 조작이 무겁고 전방 시야가 나쁘며 정비가 복잡하다는 단점이 지적되었다.

참조

[1] Harvnb
[2] Harvnb
[3] Harvnb
[4] Harvnb
[5] Harvnb
[6] Harvnb
[7] Harvnb
[8] Harvnb
[9] Harvnb
[10] Harvnb
[11] Harvnb
[12] citation Japanese Army Fighters: New Guinea & the Solomons 1942-1944 Avonmore Books 2020
[13] Harvnb
[14] Harvnb
[15] tech report Project Ted http://www.wwiiaircr[...] 2010-03-23
[16] Harvnb
[17] Harvnb
[18] Harvnb
[19] Harvnb
[20] Harvnb
[21] 웹사이트 Shooting up Wewak https://www.mydigita[...] 2021-04-01
[22] Harvnb
[23] Harvnb
[24] Harvnb
[25] 웹사이트 Pacific War Chronology: August 1944. http://home.att.net/[...] 2008-06-12
[26] Harvnb
[27] 웹사이트 Photo of Nakano's Ki-61 http://markkaiser.co[...] 2010-10-26
[28] Harvnb
[29] 웹사이트 Bukosho described http://www.xavierb.n[...] 2008-06-03
[30] Harvnb
[31] 웹사이트 Japanese website dedicated to the Tokkotai JAAF and JNAF. http://www.tokkotai.[...] 2008-06-07
[32] Harvnb
[33] 간행물 https://archive.org/[...]
[34] 문서
[35] 문서
[36] 서적 Francillon, 1979, p. 120
[37] 웹사이트 Indonesian aviation 1945-1950 http://nei.adf-seria[...] 2005-11
[38] 기타 Harvnb|Sakaida|1997|pp=82–87.|Ref=none
[39] 기타 Harvnb|Bueschel1971|pp=47–49.|Ref=none
[40] 웹사이트 Ki-61 No. 640. http://www.pacificwr[...] 2008-06-08
[41] 웹사이트 Matsuyama airfield http://www.pacificwr[...] 2011-06-04
[42] 웹사이트 Ki-61-Ia Tony Manufacture Number 299 http://pacificwrecks[...] 2022-01-30
[43] 웹사이트 Ki-61-II Tony Manufacture Number 379 http://www.pacificwr[...] Pacific Wrecks Inc. 2016-05-03
[44] 웹사이트 Ki-61-II Tony Manufacture Number 640 http://www.pacificwr[...] Pacific Wrecks Inc. 2016-05-03
[45] 웹사이트 The Many Faces of TONY "5017" http://www.j-aircraf[...] 2004
[46] 웹사이트 Ki-61-II Kai Tony Manufacture Number 61217 Tail 17 http://www.pacificwr[...] Pacific Wrecks Inc. 2016-05-03
[47] 뉴스 Flying swallow WWII fighter restored to glory by Kawasaki http://www.asahi.com[...] The Asahi Shimbun Company 2016-10-14
[48] 웹사이트 Main exhibit room http://www.chiran-to[...] Chiran Peace Museum 2017-04-25
[49] 기타 Harvnb|Francillon|1979|pp=119–120.
[50] 서적 光人社 陸軍特攻の記録 村岡英夫
[51] 서적 戦闘機 飛燕 廣済堂 1977
[52] 간행물 モデルアート臨時増刊No428 飛燕/五式戦 モデルアート社
[53] 서적 光人社 陸軍特攻の記録 村岡英夫
[54] 서적 光人社 陸軍特攻の記録 村岡英夫
[55] 간행물 光人社 軍用機メカシリーズ【2】飛燕&五式戦/九九双軽
[56] 간행물 航空情報 1972-10
[57] 서적 液冷戦闘機「飛燕」 朝日ソノラマ
[58] 서적 液冷戦闘機「飛燕」 朝日ソノラマ
[59] 서적 戦史叢書
[60] 서적 陸軍三式戦闘機「飛燕」
[61] 기타 Harvnb|押尾一彦|2005|pp=104-105
[62] 서적 キ61「飛燕」初飛行70周年記念展図録『飛燕の時代 改訂版』 岐阜かかみがはら航空宇宙博物館監修 2016-10
[63] 서적 キ61「飛燕」初飛行70周年記念展図録『飛燕の時代 改訂版』
[64] 서적 日本の戦闘機・陸軍編 出版協同社 1961
[65] 서적 精密図面を読む10 日本陸軍戦闘機編 酣燈社 2006
[66] 서적 未知の剣 陸軍テストパイロットの戦場 文春文庫 2002
[67] 서적 太平洋戦争・陸海軍航空機 成美堂出版刊
[68] 문서 交野市発行「むかし探検」No.11(2012年2月1日) http://www.city.kata[...]
[69] 문서 殉国之碑 本土防空 中村純一陸軍中尉 https://www.asahi-ne[...]
[70] 서적 航空と文化 第114号 P.22~23 (一財)日本航空協会 2017-01-15
[71] 뉴스 「飛燕」お帰り 戦後70年、各務原で修復 http://www.gifu-np.c[...] 2015-09-09
[72] 뉴스 「飛燕ひと足先に一般公開」 日本経済新聞 1965-07-20
[73] 웹사이트 カワサキの情熱と技術力で三式戦闘機「飛燕」を復元! マニアたちの驚きのこだわりとは https://dot.asahi.co[...]
[74] 웹사이트 川崎重工、三式戦闘機「飛燕」を修復・復元した実機初公開 https://car.watch.im[...]
[75] 간행물 『航空ファン』 文林堂 2009-09
[76] 웹사이트 Pacific Wrecks Ki-61II 379 https://www.pacificw[...]
[77] 웹사이트 Pacific Wrecks Ki-61II 640 https://www.pacificw[...]
[78] 간행물 『月刊・丸』潮書房光人社2014年2月号エメラルドの海から海底に眠る飛燕
[79] 웹사이트 Pacific Wrecks 現存する残骸一覧 https://www.pacificw[...]
[80] 웹사이트 三式戦闘機「飛燕」茨城で蘇る 実機買ったけどあえて「レプリカつくろう」依頼人の思い https://trafficnews.[...] 乗りものニュース 2023-03-03
[81] 웹사이트 カワサキが誇る名機「飛燕」をドレミコレクションが初公開へ! 【Webike Festival 2023】 https://news.webike.[...] ヤングマシン 2023-08-10
[82] 웹사이트 西日本の新名所になるか 戦闘機「飛燕」のミュージアム開館日が決定! 見学方法は? https://trafficnews.[...] 2024-04-05
[83] 웹사이트 戦闘機「飛燕」実物大で再現 倉敷の企業、4月に県内で披露 https://www.sanyonew[...] 산양신문 2024-02-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