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3저 호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3저 호황은 1980년대 중반 국제 유가 하락, 저금리, 엔화 강세라는 세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대한민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시기를 일컫는다. 이 시기, 플라자 합의로 인한 엔화 강세는 한국 제품의 가격 경쟁력을 높였고, 국제 유가 하락과 저금리는 경제 성장에 기여했다. 그 결과 1986년부터 1988년까지 연평균 12.1%의 높은 경제 성장률을 기록했으며, 경상수지 흑자, 외채 감소, 서울 아시안 게임 및 서울 올림픽 성공적 개최 등의 긍정적인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3저 호황은 1989년 미국의 검은 월요일과 일본 버블 붕괴로 인한 세계 경제 침체, 원화 절상에 따른 수출 경쟁력 약화, 과잉 투자, 그리고 주식 및 부동산 투기로의 자금 쏠림으로 인해 붕괴되었고, 한국 경제는 IMF 외환 위기를 겪게 되는 요인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6년 경제 - 금융 빅뱅
    금융 빅뱅은 1986년 런던 증권 거래소의 규제 완화를 통해 금융 시장 구조를 혁신적으로 변화시킨 조치로, 고정 수수료 폐지, 거래소 회원 자격 개방, 겸업 허용 등을 포함하며 런던을 국제 금융 중심지로 부상시키는 데 기여했지만, 윔블던 현상, 빈부 격차 심화, 금융 위기 영향 등 논쟁도 존재한다.
3저 호황
개요
시기1980년대 중반 ~ 1980년대 후반
원인저금리
저유가
저달러
특징대한민국 경제의 고도 성장
3저 현상
저금리선진국의 금리 인하 정책
국제 유가 하락
대한민국 경제 성장률 둔화
저유가석유 생산량 증가
석유 수요 감소
달러 가치 하락
저달러미국의 경상수지 적자 확대
일본독일의 경상수지 흑자 확대
긍정적 영향
경제 성장대한민국 경제의 고도 성장
물가 안정물가 상승률 억제
국제 수지 개선경상수지 흑자 확대
부정적 영향
부동산 투기부동산 가격 폭등
소득 불균형 심화빈부격차 확대
자원 배분 왜곡비효율적인 투자 증가
평가
긍정적 평가대한민국 경제의 구조조정선진국 진입의 발판 마련
부정적 평가경제 거품 형성 및 경제 위기 가능성 증대

2. 배경

이란 혁명 여파로 제2차 오일쇼크가 발생하였다. 곧이어 이란-이라크 전쟁이 발발하면서 유가는 배럴당 40달러 선까지 치솟았다. 그러자 영국의 북해유전, 미국 알래스카 프루도 만 유전, 말레이시아, 소련, 멕시코 등 비OPEC국가들의 원유 생산량들이 급격히 늘어났다. OPEC는 이에 대응해 1983년 감산에 합의하고 가격도 배럴당 34달러에서 29달러로 완만하게 인하하는데 성공했으나, OPEC회원국 간 합의가 도출되지 않아 1980년대 석유 공급과잉으로 이어졌다. 1985년 ~ 86년 사이 국제원유가는 배럴당 28달러에서 14달러로 폭락했고 급기야 배럴당 7달러까지 폭락했다.[2]

국제 유가가 폭락하는 사이에 미국의 연방준비제도는 2차 오일 쇼크 당시 인플레이션을 잡고 급작스럽게 불어난 달러를 미국 은행으로 회수하기 위해 폴 볼커 총재의 주도하에 금리를 21%까지 인상했다가, 유가 안정되자 경기부양 차원으로 기준금리를 10%대로 인하했다.

2차 세계대전 이후 황폐화된 상태에서 한국전쟁과 미국의 지원 등으로 피눈물을 쏟고 뼈를 깎는 노력을 하는 과정에서 산업화와 고도성장에 성공한 일본은 도요타 자동차 등 일본 자동차 기업들이 고효율 자동차를 잇따라 출시해서 미국 자동차시장에 진출했고 엔화 저평가에 의한 가격경쟁력으로 세계시장을 장악하고 있었다. 막대한 무역적자에 시달리고 일본 기업들의 독주를 경계하던 미국은 독일의 마르크화와 일본의 엔화의 가치를 대폭 높이고(1달러 250엔 → 150엔) 달러화의 가치를 상대적으로 낮추는 (저달러) 내용의 플라자 합의를 체결했다.

3. 3저 호황과 대한민국 경제

3. 1. 긍정적 영향

플라자 합의로 인한 엔고(円高)현상으로 일본제품의 가격경쟁력이 하락하자, 경쟁상품인 한국제품이 반사이득을 거두었다.[3] 때마침 국제유가 하락과 조달금리 하락으로 한국경제에 호재로 작용되었다.

경제성장률은 1986-1988년까지 연평균 12.1%를 기록했고 실업률도 4.0%에서 2.5%으로 떨어졌다. 1986년에 사상 처음으로 경상수지 46억달러 흑자로 전환했고 1987년 98억달러[4], 1988년 142억달러, 1989년 51억달러가량 흑자를 기록했다.[5]

4년 연속 경상수지 흑자 영향으로 1985년에는 총외채가 467억 6200만 달러(GNP대비 51.3%)에서 1989년 293억 7100만 달러로 줄어들면서 '''"외채망국론"'''을 사라지게 만들었다.[6]

경제규모가 커지면서 1986년 서울 아시안 게임, 1988년 서울올림픽을 성공적으로 치르렀고 임금 상승이 이루어지면서 구매력을 갖춘 중산층이 두텁게 형성된다.[7] 주식시장도 활황을 보여 종합주가지수가 85년의 130포인트에서 89년 3월의 1000포인트로 7배 넘게 상승하고 주식투자인구도 20배 넘게 늘어나는 대기록을 세웠다.[8]

3. 2. 부정적 영향

3저 호황은 미국의 검은 월요일과 일본의 버블 붕괴로 상징되는 세계 경제의 퇴조, 국내적으로는 원화 절상으로 인한 수출경쟁력 악화와 미국의 통상압력, 과잉투자로 인한 국제수지 악화로 1989년에 무너졌다.[9] 외채도 다시 늘어나고 외환보유고는 감소하기 시작했다.[10]

또한 3저 호황기에 벌어들인 막대한 이윤을 생산적 투자(연구개발등)가 아닌 주식 및 부동산 투기로 집중되는 바람에 단순조립형 저부가가치 산업구조를 고부가가치 첨단산업으로 전환할 좋은 기회를 놓쳐 훗날 IMF 외환위기로 이어지는 결과를 낳았다.

4. 평가 및 역사적 의의

참조

[1] 뉴스 "[역사속 경제리뷰] 3저 호황" http://www.financial[...] 파이낸셜 리뷰 2024-01-03
[2] 뉴스 국제유가 붕괴조짐 https://news.kbs.co.[...] KBS 9시뉴스 1988-11-04
[3] 뉴스 엔화 상승 우리나라 경제에 긍정적, 미 원화 평가절상 요구 https://imnews.imbc.[...] MBC뉴스데스크 1987-03-31
[4] 뉴스 87년 국제수지흑자 98억 달러, 올해 흑자폭 관리 시급 https://news.kbs.co.[...] KBS 9시뉴스 1988-02-08
[5] 뉴스 작년 경상흑자 51억불, 88년 3분의1에 머물러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1990-02-19
[6] 뉴스 빚으로 빚 갚은 외채구조, '눈 가리고 아웅' YS https://www.pressian[...] 프레시안 2012-07-30
[7] 뉴스 공권력으로 물가 잡고, 글로벌 3저 호황 겹쳐 경제성장 [전두환 1931~2021]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21-11-23
[8] 뉴스 "'주식불패 신화'에 국민 절반이 빚내 투자…짧고, 굵었던 '3低 호황 파티'" https://www.hankyung[...] 한국경제 2018-11-09
[9] 뉴스 경상수지 3년만에 적자 https://imnews.imbc.[...] MBC뉴스데스크 1989-09-28
[10] 뉴스 외환보유고 5개월째 감소 https://www.mk.co.kr[...] 매일경제 1990-03-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