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Emerson, Lake & Palmer (음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Emerson, Lake & Palmer》는 1970년에 발매된 동명의 밴드 Emerson, Lake & Palmer의 데뷔 앨범이다. 이 앨범은 키스 에머슨, 그렉 레이크, 칼 파머가 슈퍼 그룹으로 결성된 후 발표되었으며, 바르토크 벨러의 《알레그로 바르바로》, 레오시 야나체크의 《신포니에타》,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작품을 차용한 곡들을 포함하여 프로그레시브 록, 클래식 음악, 재즈, 컨트리 음악 등 다양한 장르를 융합한 음악 스타일을 선보였다. 앨범은 영국에서 4위, 미국 빌보드 200에서 18위를 기록하며 상업적으로 성공했고, 2012년에는 스티븐 윌슨에 의해 리믹스되어 재발매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머슨, 레이크 & 파머의 음반 - Works Volume 2
    Works Volume 2는 에머슨, 레이크 & 파머가 발표한 앤솔러지 음반으로, 멤버들의 작곡 능력과 다양한 음악적 시도를 보여주지만 상업적인 성공은 이전 앨범에 미치지 못했다.
  • 에머슨, 레이크 & 파머의 음반 - Tarkus
    에머슨, 레이크 & 파머의 두 번째 스튜디오 앨범 《Tarkus》는 20분이 넘는 동명의 모음곡을 A면에, 다양한 시도의 짧은 곡들을 B면에 담고 있으며, 아르마딜로와 탱크를 결합한 '타르쿠스'가 앨범 커버를 장식하여 상업적 성공과 함께 ELP의 대표작으로 평가받는다.
  • 1970년 데뷔 음반 - John Lennon/Plastic Ono Band
    존 레논의 1970년 솔로 데뷔 앨범 John Lennon/Plastic Ono Band는 아서 야노프 박사의 원초 요법 치료 경험을 바탕으로 그의 심리적 고통과 어린 시절 트라우마를 진솔하게 담아낸 앨범으로, "Mother", "Working Class Hero", "God" 등의 대표곡과 간결한 사운드, 솔직하고 강렬한 가사가 특징이다.
  • 1970년 데뷔 음반 - Black Sabbath (음반)
    《Black Sabbath》는 1970년 블랙 사바스의 데뷔 앨범으로, 헤비 메탈 장르의 선구적인 작품이며 토니 아이오미의 기타 연주와 어두운 분위기의 가사가 특징이다.
  • 아일랜드 레코드 음반 - Pop (U2의 음반)
    1997년 발매된 U2의 9번째 스튜디오 앨범 《Pop》은 전자 음악과 샘플링을 활용한 실험적인 사운드를 특징으로 하며, 긍정적 평가와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으나 멤버들은 최종 결과물에 실망했고, 앨범의 실험적인 시도는 U2의 음악적 경향에 영향을 미쳤다.
  • 아일랜드 레코드 음반 - Boy (음반)
    U2의 데뷔 음반 《소년 (Boy)》는 스티브 릴리화이트가 프로듀싱하고 10대의 사춘기 전환을 주제로 실험적인 사운드 효과를 특징으로 하며, "I Will Follow"와 같은 싱글을 통해 상업적인 성공과 비평가들의 호평을 받으며 U2의 독창적인 사운드를 확립했다.
Emerson, Lake & Palmer (음반) - [음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Emerson, Lake & Palmer 음반 표지
Emerson, Lake & Palmer 음반 표지
유형스튜디오 음반
아티스트Emerson, Lake & Palmer (에머슨, 레이크 & 파머)
발매일1970년 11월 20일
녹음일1970년 7월 ~ 9월
녹음 장소Advision, 런던
장르프로그레시브 록
하드 록
클래식
아트 록
길이41분 13초
레이블Island (영국)
Cotillion (미국)
프로듀서Greg Lake (그렉 레이크)
싱글
싱글 1Lucky Man"/"Knife-Edge
싱글 1 발매일1970년 12월
차트 성적
영국 오피셜 차트4위
미국 빌보드 20018위
일본 오리콘 차트66위
인증
RIAA골드
이전/다음 음반
이전 음반없음
다음 음반Tarkus (1971)

2. 결성 배경

ELP는 키스 에머슨이 더 나이스, 그레그 레이크가 킹 크림슨, 칼 파머아토믹 루스터 출신으로, 멤버 전원이 이미 상당한 경력과 지명도를 가진 "슈퍼 그룹"이었다. 각 멤버들의 높은 실력이 이미 증명되었기 때문에 결성이 발표되었을 때부터 주목을 받았다. 그 때문에 각 음반 회사에서 쟁탈전이 벌어졌고, 그 결과 영국에서는 아일랜드 레코드, 미국에서는 애틀랜틱 레코드[26], 일본에서는 애틀랜틱 계열의 워너 브라더스 파이오니아[27]가 발매를 담당하게 되었다.

3. 음반 제작 과정

ELP는 1970년 5월 30일에 결성이 공식 발표되었지만, 멤버들은 그해 4월경부터 곡 작업을 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6월 1일, 런던의 섬 웨스트 스튜디오에서 리허설을 시작했고, 7월에 무그 신시사이저를 받자 런던의 애드비전 스튜디오에 틀어박혀 본작을 녹음했다.[28] 8월 23일에는 플리머스 길드홀에서 데뷔 콘서트를 가졌다.

초기 앨범 제작은 실시간 원테이크 녹음에 약간의 오버 더빙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어, 복잡한 다중 녹음이나 정교한 스튜디오 작업은 많지 않았다.

「미개인」은 헝가리작곡가 바르토크 벨러[28]가 1911년에 발표한 피아노곡 『알레그로 바르바로』를 편곡한 기악곡이다.[29] 「나이프 엣지(Knife Edge)」는 모라비아 출신의 작곡가 레오시 야나체크가 1928년에 발표한 관현악 모음곡 『신포니에타』 제1악장과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가 1723년경 작곡한 『프랑스 모음곡 제1번』을 차용한 곡에, 레이크와 그의 친구인 작사가 리처드 프레이저가 가사를 붙였다.[30]

「운명의 세 여신」은 운명의 실을 잣는 그리스 신화의 세 자매 여신 모이라를 그린 에머슨 작의 3부작이다. 제1부 「클로소」는 로열 페스티벌 홀파이프 오르간 독주이다.[28] 제2부 「라케시스」는 스타인웨이 피아노[31] 독주이다. 제3부 「아트로포스」는 파머의 퍼커션이 새기는 라틴 리듬을 배경으로 두 대의 피아노 연주를 더빙한 작품으로, 미국의 재즈 피아니스트 레니 트리스타노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31]

레이크 작의 「석재를 가져가라」는 컨트리 음악의 요소를 도입한 작품[32]이다. 같은 레이크 작의 「럭키 맨」은 그가 12세 때 쓴 곡[28]으로, ELP 최초의 싱글로 발표되었으며, 미국의 라디오 음악 프로그램에서는 ELP의 대표곡 중 하나로 오랫동안 방송되어 왔다.

본작에서는 에머슨과 파머의 공동 작품인 「탱크」와 「럭키 맨」에서 무그 신시사이저 솔로[28]가 선보여졌다. 에머슨은 1970년 2월 7일, 이미 해산이 결정된 더 나이스가 로열 페스티벌 홀에서 콘서트를 열었을 때 무그 신시사이저를 처음 사용했으나,[28] 스튜디오 녹음에 사용하는 것은 본작이 처음이었다. 발명가인 로버트 무그는 「럭키 맨」의 솔로를 듣고 강한 인상을 받았다고 한다.[28] 본작은 무그 신시사이저의 이정표이기도 하며, 이 악기와 ELP가 맺어간 깊은 관계의 첫걸음이기도 했다.

2012년, 새로운 스테레오 믹스와 5.1 서라운드 믹스를 포함한 재발매가 이루어졌다.[33]

4. 곡 목록

Side 1
1.The Barbarian (버르토크 벨러 작곡, 키스 에머슨, 그렉 레이크, 칼 파머 편곡) – 4:27
2.Take a Pebble (그렉 레이크 작곡) – 12:32
3.Knife-Edge (레오시 야나체크,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작곡, 에머슨 편곡, 레이크, 리처드 프레이저 작사) – 5:04
Side 2
1.The Three Fates (에머슨 작곡) – 7:46
2.Tank (에머슨, 파머 작곡) – 6:49
3.Lucky Man (레이크 작곡) – 4:36


4. 1. Side One

미개인은 벨러 버르토크가 1911년에 작곡한 피아노 곡 알레그로 바르바로를 편곡한 것이다. 앨범 초판에는 작곡가가 그룹으로 표기되었으나, 버르토크의 미망인이 밴드에 연락하여 작곡가 표기를 수정해 줄 것을 요청했다.[6][4][5]

Take a Pebble영어그렉 레이크가 작곡한 곡으로, 키스 에머슨의 재즈 키보드 편곡이 주를 이루며, 중간에는 그렉 레이크의 포크 기타 연주와 칼 파머의 타악 효과음, 박수, 휘파람 소리가 더해진다.

Knife-Edge는 레오시 야나체크의 "신포니에타"(1926) 1악장을 바탕으로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프랑스 모음곡 1번 라단조, BWV 812의 알르망드 인용 부분을 오르간으로 연주한 것이 특징이다. 가사는 그렉 레이크와 리처드 프레이저가 썼다.

4. 1. 1. The Barbarian (미개인)

미개인은 헝가리작곡가 버르토크 벨러[28]1911년에 발표한 피아노곡 알레그로 바르바로를 편곡한 기악곡이다.[29] 앨범 초판에는 이 곡의 작곡가가 그룹으로 표기되었으나,[6][4] 버르토크의 미망인이 앨범 발매 직후 밴드에 연락하여 작곡가 표기를 수정해 줄 것을 요청했다.[5]

4. 1. 2. Take a Pebble (돌멩이를 줍다)

Take a Pebble영어그렉 레이크가 작곡한 곡으로, 키스 에머슨이 맡은 재즈 키보드 편곡이 주요 부분을 이루고 있다. 곡 중간에는 그렉 레이크의 포크 기타 연주에 칼 파머의 물소리 같은 타악 효과, 박수와 휘파람 소리가 더해진다.[6] 이 곡은 컨트리 음악의 요소를 도입한 작품이기도 하다.[32]

4. 1. 3. Knife-Edge (칼날)

레오시 야나체크의 오케스트라 작품 "신포니에타"(1926)의 1악장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4] 중간 부분에는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프랑스 모음곡 1번 라단조, BWV 812의 알르망드에서 인용한 부분이 오르간으로 연주된다(클라비코드나 피아노 대신). 그렉 레이크와 그룹의 로드 크루 멤버였던 리처드 프레이저가 가사를 썼다.[30]

4. 2. Side Two

Side two에는 〈The Three Fates〉, 〈Tank〉, 〈Lucky Man〉 총 3곡이 수록되어 있다.

〈The Three Fates〉는 키스 에머슨이 작곡하고 주로 연주한 3부작 모음곡이다.[6] 각 부분은 모이라이로 알려진 세 명의 운명의 여신, 클로토, 라케시스, 아트로포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클로토" 악장은 런던 로열 페스티벌 홀파이프 오르간으로,[31] "라케시스"는 바로크 음악과 재즈의 영향을 받은 스타인웨이 피아노 독주곡으로 웅장하고 광대한 아르페지오로 끝을 맺는다.[31] "아트로포스"는 칼 파머의 타악기 반주와 함께 7/8박자로 연주되는 피아노 뱀프를 바탕으로 하며,[7] 즉흥 연주 섹션이 이어지며 4/4박자로 다중 미터로 연주되는 반복 시퀀스로 변환된다. 마지막 코드의 울림은 폭발음으로 잘린다.

〈Tank〉는 키스 에머슨칼 파머가 공동으로 작곡한 곡으로, 첫 번째 섹션에서는 에머슨이 클라비넷과 피아노를 연주하고, 그렉 레이크가 베이스, 파머가 드럼을 연주한다. 중간 섹션은 드럼 솔로이며, 마지막 섹션에서는 에머슨이 클라비넷과 무그 신시사이저를 연주한다.[6]

〈Lucky Man〉은 그렉 레이크가 12살 때 어쿠스틱 기타로 작곡한 곡으로,[8] 마지막 부분에는 키스 에머슨포르타멘토를 자유롭게 사용한 즉흥적인 무그 신시사이저 솔로가 등장한다.[9][10] 이 곡은 ELP의 첫 싱글로 발매되었으며, 미국의 라디오 음악 프로그램에서 ELP의 대표곡 중 하나로 오랫동안 방송되었다. 5.1 서라운드 사운드 믹스는 2000년 ''브레인 샐러드 서저리''의 재발매판에 수록되었다.

4. 2. 1. The Three Fates (세 운명의 여신)

"세 운명의 여신"은 키스 에머슨이 작곡하고 주로 연주한 3부작 모음곡이다.[6] 각 부분은 모이라이로 알려진 세 명의 운명의 여신, 클로토, 라케시스, 아트로포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 "클로토"는 런던 로열 페스티벌 홀파이프 오르간 독주곡이다.[31]
  • "라케시스"는 스타인웨이 피아노 독주곡이다.[31] 바로크 음악과 재즈의 영향을 받은 짧은 곡으로, 웅장하고 광대한 아르페지오로 끝을 맺는다.
  • "아트로포스"는 칼 파머의 타악기 반주와 함께 7/8박자로 연주되는 피아노 뱀프를 바탕으로 한다.[7] 그 위에 즉흥 연주 섹션이 이어지며, 4/4박자로 다중 미터로 연주되는 반복 시퀀스로 변환된다. 마지막 코드의 울림은 폭발음으로 잘린다. 미국의 재즈 피아니스트 레니 트리스타노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31]

4. 2. 2. Tank (탱크)

"탱크"는 키스 에머슨칼 파머가 공동으로 작곡한 곡이다. 첫 번째 섹션에서는 에머슨이 클라비넷과 피아노를 연주하고, 그렉 레이크가 베이스, 파머가 드럼을 연주한다. 중간 섹션은 드럼 솔로이다. 마지막 섹션에서는 에머슨이 클라비넷과 무그 신시사이저를 연주한다.[6]

4. 2. 3. Lucky Man (행운아)

럭키 맨은 그렉 레이크가 12살 때 어쿠스틱 기타로 작곡한 곡이다.[8] 곡 마지막에는 키스 에머슨포르타멘토를 자유롭게 사용한 즉흥적인 무그 신시사이저 솔로가 나온다.[9][10] 이 곡은 ELP의 첫 싱글로 발매되었으며, 미국의 라디오 음악 프로그램에서 ELP의 대표곡 중 하나로 오랫동안 방송되었다.

5. 앨범 커버 아트

커버 아트는 영국 화가 닉 다트넬(Nic Dartnell)이 그린 것이다.[43] 원래 미국 그룹 스피릿을 위해 제작되었으며, 커버 왼쪽의 대머리 남자는 스피릿의 드러머 에드 캐시디라는 이야기가 있었지만, 작가는 RockPoP의 마이크 골드스타인과의 인터뷰에서 이를 부인했다.[43]

닉 다트넬은 인터뷰에서 "위키피디아에 따르면 이 이미지가 LA 밴드 스피릿과 연관되어 있다는 소문을 불식시키고 싶습니다. 사실은, 제가 ELP 'Bird'를 그릴 당시, 저는 스피릿의 초상화도 그렸고, 그것을 LA에 있는 그들에게 보냈습니다. 그 그림의 구석에는 매우 유사한 새가 등장했습니다. 스피릿으로부터 그들이 제 그림을 제때 받았다면 ''Twelve Dreams of Dr. Sardonicus''의 뒷면에 넣었을 거라는 메시지를 받았습니다. 저는 여러 해 동안 랜디 캘리포니아와 친해졌고, 그의 1982년 12인치 EP ''All Along the Watchtower''에 있는 사진을 찍었습니다. 'Bird'의 대머리 이미지는 스피릿의 에드 캐시디와 아무 관련이 없으며 그와 전혀 닮지 않았습니다. 에드는 여전히 스피릿 초상화를 가지고 있습니다 – 제가 들은 바로는요."라고 밝혔다.[11]

6. 평가

이 음반은 발매 당시 여러 매체에서 다양한 평가를 받았다. ''롤링 스톤''의 로이드 그로스마스는 "이 음반은 정말 훌륭해서 전체적으로 듣는 것이 가장 좋다"라고 호평했다.[14] 반면, 로버트 크리스트가우는 1981년 ''크리스가우의 음반 가이드''에서 "이 앨범은 이 바보들이 좋아하는 템포, 시간, 키, 역동성의 변화가 가득한 키보드 쇼피스인 '야만인'으로 시작한다. ... 이러한 혼란에서 이러한 어색한 반 즉흥 연주와 야심 찬 톤 시만큼 둔탁한 음악이 흘러나온다"라고 비판적인 평가를 내렸다.[13]

회고적인 리뷰에서, ''올뮤직''의 브루스 에더는 "그룹이 가장 덜 과장되고 가장 음악적인 면모를 보여주었다"라고 긍정적으로 평가했고,[12] ''더 데일리 볼트''는 이 앨범을 "키보드 솔로, 놀라운 베이스 연주, 훌륭한 보컬, 강력한 드럼의 현기증 나는 조합"이라고 칭찬했다.[16] 폴 스텀프는 1997년 저서 ''프로그레시브 록의 역사''에서 이 앨범에 대해 "여전히 많은 사람들에게 이 밴드의 최고의 작품으로 칭송받고 있으며, 밴드의 '프로그레시브' 자격에 대한 과장된 칭찬에도 불구하고 거의 발전시키지 않은 음악 스타일의 청사진을 제시했다"라고 언급했다. 그러나 그는 '아트로포스'를 제외한 모든 곡에서 상당한 단점을 발견했으며, 이 곡을 앨범 최고의 트랙이라고 불렀다.[18]

매체평가
올뮤직[37]
크리스가우의 음반 가이드C[38]
롤링 스톤호평[39]
클래식 록 리비지티드A[40]
더 데일리 볼트A-[41]
사운드 & 비전[42]


7. 차트 성적

순위호주 앨범 (Kent Music Report)[19]9캐나다 앨범17네덜란드 앨범4독일 앨범7이탈리아 앨범 (Musica e Dischi)[20]20일본 앨범 (오리콘)[21]66노르웨이 앨범18영국 앨범4미국 빌보드 20018



차트 (2016)최고
순위
영국 인디펜던트 앨범45
영국 록 앨범35



''Emerson, Lake & Palmer'' 연말 차트 성적
차트 (1971년)순위
네덜란드 앨범 (앨범 탑 100)[22]46
독일 앨범 (오피셜 Top 100)[23]16



본 작품은 영국 차트에서 4위까지 상승했다. 레이크가 에머슨과 합류한 이유 중 하나는 "미국에서 킹 크림슨보다 높은 인기를 가진 밴드를 만들고 싶어서"였지만, 본 작품은 미국 차트에서 최고 18위를 기록하여 킹 크림슨의 『크림슨 킹의 궁전』의 최고 28위를 넘어섰다.

8. 재발매

2012년 5월, 포큐파인 트리스티븐 윌슨은 이 앨범을 리믹스하여 3 디스크 재발매판을 출시했다. 여기에는 원본 믹스, 윌슨의 리믹스, 5.1 서라운드 사운드 버전, 그리고 그의 스테레오 믹스의 고음질 버전이 포함되었다.[1]

리믹스 버전은 원본 앨범과 트랙 목록이 다르다. "세 운명의 여신"의 처음 두 부분("클로토"와 "라케시스")과 "탱크"는 멀티트랙 테이프를 구할 수 없어 생략되었고, 대신 미발매 자료가 추가되었다. "나이프 에지"는 확장된 엔딩을 포함한다. 원래 앨범의 테이프 속도 저하 엔딩을 디지털 방식으로 재현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윌슨은 오리지널 앨범 세션의 마지막 부분을 원래 속도로 포함하기로 결정했다. 5.1 리믹스에서는 "탱크" 대신 ''타르쿠스''의 "매스" 기악 섹션과 유사한 미발표 기악곡 "레이브 업"이 수록되었다.[1]

리믹스된 스테레오 버전에는 위에 언급된 모든 내용과 더불어 더 많은 미발매 자료가 추가되었다. 모데스트 무소르크스키의 "산책" 보컬 버전(전람회의 그림에 처음 수록된 라이브 버전)이 "세 운명의 여신"의 누락된 부분을 대체한다. 칼 팔머의 새로운 미발표 "드럼 솔로"("탱크"의 섹션과 유사하지만 동일하지 않음)가 "레이브 업"과 "럭키 맨" 사이에 추가되었다. "럭키 맨" 뒤에는 스튜디오 잡담과 함께 미완성된 "테이크 어 페블"의 대체 테이크, "나이프 에지"의 미발매 테이크(보컬과 마지막 섹션 부족), 그리고 두 가지 버전의 "럭키 맨"이 이어진다. 첫 번째는 그렉 레이크의 오리지널 데모이고, 두 번째는 미발매된 풀 밴드 버전이다.[1]

9. 인증

인증
국가인증
영국골드 [44]
미국골드


참조

[1] 웹사이트 ELP singles https://dutchcharts.[...] 2021-08-07
[2] 웹사이트 Official Charts Company ''Emerson, Lake & Palmer'' https://www.official[...] Official Charts Company 2011-08-03
[3] 웹사이트 The Billboard 200 http://www.allmusic.[...] AllMusic 2012-02-08
[4] 서적 Rocking the Classics: English Progressive Rock and the Counterculture: English Progressive Rock and the Countercultur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5] 서적 Endless Enigma: A Musical Biography of Emerson, Lake and Palmer Open Court
[6] 서적 Different Tracks: Music and Politics in 1970 https://books.google[...] Troubador
[7] 서적 Endless Enigma
[8] 서적 Mountains Come Out of the Sky: The Illustrated History of Prog Rock https://books.google[...] Backbeat Books
[9] 웹사이트 'Lucky Man' – Song Review https://www.allmusic[...] AllMusic 2019-06-29
[10] 웹사이트 Ultra-Mega-Exclusive Interview With Greg Lake http://horizonpressc[...] Horizon Press Company 2019-06-29
[11] 웹사이트 UnCovered Interview – artist Nic Dartnell on his album cover for ELP's debut LP http://rockpopgaller[...] 2014-01-26
[12] AllMusic ''Emerson, Lake & Palmer'' 2018-10-20
[13] 서적 Christgau's Record Guide: Rock Albums of the Seventies Ticknor & Fields 2019-02-24
[14] 간행물 Emerson, Lake & Palmer : Emerson, Lake & Palmer: Music Reviews : Rolling Stone https://www.rollings[...] 2012-09-03
[15] 웹사이트 ELP – Emerson Lake & Palmer and Tarkus Deluxe Editions Razor & Tie https://www.classicr[...] 2021-08-07
[16] 웹사이트 The Daily Vault Music Reviews: Emerson, Lake & Palmer http://dailyvault.co[...] 2019-01-28
[17] 웹사이트 ELP Reissue Series: Emerson, Lake & Palmer; Tarkus; Pictures at an Exhibition https://www.soundand[...] 2019-02-17
[18] 서적 The Music's All that Matters: A History of Progressive Rock Quartet Books Limited 1997
[19] 서적 Australian Chart Book 1970–1992 Australian Chart Book
[20] 웹사이트 Classifiche http://www.musicaedi[...] 2023-10-17
[21] 서적 Oricon Album Chart Book: Complete Edition 1970–2005 Oricon Entertainment
[22] 웹사이트 Jaaroverzichten – Album 1971 https://dutchcharts.[...] Hung Medien 2023-07-27
[23] 웹사이트 Top 100 Album-Jahrescharts https://www.offiziel[...] GfK Entertainment charts 2022-04-02
[24] 간행물 Emerson, Lake, Palmer – special concerts https://www.worldrad[...] 1971-11-06
[25] 문서 『オリコンチャート・ブックLP編(昭和45年‐平成1年)』(オリジナルコンフィデンス/1990年/ISBN 4-87131-025-6)p.93
[26] 문서 現ワーナーミュージック・ジャパン・ジャパン。
[27] 문서 ELPのCDは、2006年の時点では、イギリスではワーナー・ミュージック、アメリカではライノ・エンタテインメント、日本ではビクターエンタテインメントが発売していた。
[28] 문서 ハンガリー人の氏名は日本人の氏名と同様に、名字が先で名前が後である。しかし、英語圏では、Bartók Bélaではなく、英語の氏名表記に従ってBéla BartókまたはBela Bartokと記される。
[29] 문서 ELPは、この作品の作曲者をEmerson, Lake, and Palmerとして、バルトークの名前をアルバムのどこにも表記しなかった。そのため、直ぐに遺族との間で著作権の問題が発生して、訴訟沙汰になってしまった。
[30] 문서 発表当時、この作品の作者はEmerson, Lake, and Fraserとされ、ヤナーチェクとバッハの名前はアルバムのどこにも記されなかった。
[31] 문서 CD ''Hammer It Out – The Anthology'' (2005) に添付されたエマーソン自身による曲目解説より。
[32] 문서 ワーナー・パイオニア「エマーソン・レイク・アンド・パーマー」LPレコード付属の解説より
[33] 웹사이트 Emerson, Lake & Palmer – Emerson, Lake & Palmer (2012, CD) - Discogs https://www.discogs.[...] 2022-01-10
[34] 웹인용 Official Charts Company ''Emerson, Lake & Palmer'' https://www.official[...] Official Charts Company 2011-08-03
[35] 웹인용 The Billboard 200 http://www.allmusic.[...] allmusic.com 2012-02-08
[36] 웹인용 RPM Top 100 Albums - May 8, 1971 http://www.collectio[...] Library and Archives Canada 2018-11-26
[37] 올뮤직 "''Emerson, Lake & Palmer''" 2018-10-20
[38] 서적 "[[Christgau's Record Guide: Rock Albums of the Seventies]]" "[[Ticknor & Fields]]" 2019-02-24
[39] 웹인용 Emerson, Lake & Palmer: Emerson, Lake & Palmer : Music Reviews : Rolling Stone https://www.rollings[...] 1971-04-15
[40] 웹사이트 https://www.classicr[...]
[41] 웹인용 The Daily Vault Music Reviews : Emerson, Lake & Palmer http://dailyvault.co[...] 2019-01-28
[42] 웹인용 ELP Reissue Series: Emerson, Lake & Palmer; Tarkus; Pictures at an Exhibition https://www.soundand[...] 2019-02-17
[43] 웹인용 UnCovered Interview – artist Nic Dartnell on his album cover for ELP's debut LP http://rockpopgaller[...] 2014-01-26
[44] 간행물 Emerson, Lake, Palmer – special concerts https://www.worldrad[...] 2024-06-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