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C 서울 2013 시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FC 서울은 2013 시즌을 앞두고 괌과 일본에서 전지훈련을 실시했다. K리그 클래식에서는 4위를 기록했으며, 데얀 다먀노비치가 득점 2위, 몰리나가 도움 1위를 차지했다. FA컵에서는 8강에서 탈락했고, AFC 챔피언스리그에서는 결승에서 광저우 헝다에 패하며 준우승을 기록했다. 시즌 총 관중은 451,845명으로 K리그 전체 2위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축구단 2013 시즌 - 전남 드래곤즈 2013 시즌
전남 드래곤즈 2013 시즌은 K리그 클래식에 참가한 전남 드래곤즈 축구단의 시즌으로, 코칭 스태프 구성, 김병지, 스테보, 알렉스 등을 포함한 선수단 소집 및 전지훈련, 김태호, 이슬찬 등 신인 선수 영입, 윤석영 이적, 이운재 은퇴, 김대호 임대, 김보강, 최효진 군 입대 등 선수 변동 사항을 포함한다. - 축구단 2013 시즌 - 수원 FC 2013 시즌
수원 FC 2013 시즌은 수원 FC가 프로로 전환하여 K리그 챌린지에 참가한 첫 시즌으로, 13승 8무 14패의 성적으로 4위를 기록하고 FA컵 8강에 진출했다. - FC 서울 시즌 - FC 서울 2010 시즌
FC 서울은 넬루 빙가다 감독 지휘 아래 2010년 K리그와 리그컵에서 우승하고 FA컵 16강에서 탈락했으며, 데얀 다미아노비치의 활약과 함께 K리그 시즌 총 관중 1위를 기록했다. - FC 서울 시즌 - FC 서울 2009 시즌
FC 서울 2009 시즌은 셰놀 귀네슈 감독 하에 K리그 5위, AFC 챔피언스리그 8강 진출, 이청용 이적, 안데르송 영입 등의 변화가 있었으며 K리그 챔피언십에 진출했으나 6강 플레이오프에서 탈락했다.
FC 서울 2013 시즌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시즌 | 2013년 |
감독 | 최용수 |
구단주 | 허창수 |
구단주 직책 | 구단주 |
연고지 | 서울특별시 |
경기장 | 서울월드컵경기장 |
시즌 성적 | |
리그 | K리그 클래식 |
리그 순위 | 4위 |
FA컵 | FA컵 |
FA컵 성적 | 8강 |
AFC 챔피언스리그 | AFC 챔피언스리그 |
AFC 챔피언스리그 성적 | 준우승 |
득점 정보 | |
리그 최다 득점자 | 데얀 (19골) |
시즌 최다 득점자 | 데얀 (27골) |
관중 정보 | |
홈 최다 관중 | 43,681 vs 수원 (리그, 8월 3일) |
홈 최소 관중 | 1,835 vs 연세대 (FA컵, 5월 8일) |
홈 평균 관중 | 16,607 |
유니폼 정보 | |
홈 유니폼 상의 패턴 | 빨간색 바탕에 검은색 줄무늬, 빨간색 테두리 |
홈 유니폼 상의 왼쪽 팔 | 검은색 |
홈 유니폼 상의 몸통 | 빨간색 |
홈 유니폼 상의 오른쪽 팔 | 검은색 |
홈 유니폼 하의 | 검은색 |
홈 유니폼 양말 | 빨간색 |
홈 유니폼 양말 상단 | 검은색 |
원정 유니폼 상의 패턴 | 검은색 하단, 얇은 검은색 옆면 |
원정 유니폼 상의 왼쪽 팔 | 연두색 |
원정 유니폼 상의 몸통 | 연두색 |
원정 유니폼 상의 오른쪽 팔 | 연두색 |
원정 유니폼 하의 | 검은색 |
원정 유니폼 양말 | 연두색 |
원정 유니폼 양말 상단 | 검은색 |
시즌 정보 | |
이전 시즌 | 2012 |
다음 시즌 | 2014 |
2. 시즌 준비
2013년 1월 3일 새해 첫 공식 훈련을 시작하여 1월 7일 괌으로 출국하여 1차 전지훈련을 마치고 26일 귀국하였다.[2] 2월 3일 가고시마, 일본으로 2차 전지훈련을 떠났으며 실전과 같은 7차례의 연습경기들을 치르며 전술 훈련에 매진하였다.[1]
2. 1. 프리시즌 경기 결과
FC 서울은 일본 가고시마에서 전지훈련을 하며 7차례 연습경기를 통해 경기력을 점검했다. 2월 5일 주빌로 이와타와의 경기에서 1-0으로 승리하고, 0-2 패배를 기록했다. 2월 8일 시미즈 에스펄스와는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2월 11일 로아소 구마모토를 상대로 4-0 승리를 거두었다. 2월 13일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와의 경기에서는 3-1로 승리했다. 2월 15일 교토 상가 FC에게 1-0으로 승리했다. 2월 16일 마쓰모토 야마가 FC에는 2-3으로 패배했다.3. 대회
3. 1. K리그 클래식
FC 서울은 K리그 클래식 2013에서 38경기 17승 11무 10패, 승점 62점으로 4위를 기록하였다. 데얀이 29경기 19골로 득점 2위를, 몰리나가 35경기 13도움으로 도움 1위를 차지하였다. 김진규는 35경기 6골을 기록하며 팀 내 득점 3위에 올랐다.3. 2. FA컵
FC 서울은 2013년 FA컵에서 32강전에서 연세대학교 축구부를 3-0으로 꺾고 16강에 진출했다. 16강전에서는 광주 FC를 2-1로 이겼으나, 8강전에서 부산 아이파크에 1-2로 패하며 탈락했다. 몰리나와 하대성이 각각 1골씩 기록했다.3. 3. AFC 챔피언스리그
FC 서울은 AFC 챔피언스리그 2013 조별 리그 E조에서 3승 2무 1패, 승점 11점으로 조 1위를 차지하며 16강에 진출했다. 장쑤 쑤닝(중국)을 상대로 2승, 부리람 유나이티드(태국)와 2무, 베갈타 센다이(일본)에는 1승 1패를 기록했다.16강에서 베이징 궈안(중국)을 1, 2차전 합계 3:1로 꺾고 8강에 진출했다. 8강에서는 알아흘리(사우디아라비아)를 합계 2:1, 4강에서는 에스테글랄(이란)을 합계 4:2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에서는 광저우 헝다(중국)와 1, 2차전 모두 무승부를 기록했으나, 원정 다득점 원칙에 따라 준우승을 차지했다.
데얀이 7골로 팀 내 최다 득점을 기록했고, 윤일록이 4골로 그 뒤를 이었다.
4. 경기 기록지와 경기 하이라이트
[https://www.fcseoul.com/matches/schresultList FC 서울 공식 웹사이트]에서 2013 시즌 모든 공식 경기의 경기 기록지와 하이라이트를 확인할 수 있다.
5. 시즌 통계
시즌 | 팀 | K리그 클래식 | FA컵 | AFC 챔피언스 리그 | 감독 |
---|---|---|---|---|---|
2013 | 14 | 4위 | 8강 | 준우승 | 최용수한국어 |
### 관중 기록
2013 시즌 총 관중은 451,845명으로 K리그 전체 2위를 기록하였다.[3][4] K리그 클래식 평균 관중은 16,607명이었으며, AFC 챔피언스리그 평균 관중은 17,766명이었다. FA컵 평균 관중은 3,982명을 기록하였다. K리그 클래식 객단가 1위(6,452원) 및 입장 수입 1위(약 20억원)를 기록했으며,[3] K리그 클래식 유료 관중 비율은 79%였다.[4]
### 선수 통계
순위 | K리그 클래식 | FA컵 | AFC 챔피언스리그 | 통합 | 비고 |
---|---|---|---|---|---|
1 | 데얀/데얀 다먀노비치MNE (19 / 29) | 하대성한국어 (1 / 1) 몰리나/마우리시오 몰리나COL (1 / 1) | 데얀/데얀 다먀노비치MNE (7 / 13) | 데얀/데얀 다먀노비치MNE (27 / 44) | |
2 | 몰리나/마우리시오 몰리나COL (9 / 35) | 김현성/김현성 (1989년)한국어 (1 / 2) 데얀/데얀 다먀노비치MNE (1 / 2) | 윤일록한국어 (4 / 10) | 몰리나/마우리시오 몰리나COL (11 / 49) | |
3 | 김진규/김진규 (축구 선수)한국어 (6 / 35) | 이상협/이상협 (1990년)한국어 (1 / 3) 한태유한국어 (1 / 3) | 김진규/김진규 (축구 선수)한국어 (2 / 11) | 김진규/김진규 (축구 선수)한국어 (8 / 47) | |
4 | 고요한한국어 (5 / 37) | N/A | 에스쿠데로/세르히오 에스쿠데로 (1988년)JPN (2 / 12) | 윤일록한국어 (6 / 41) | |
5 | 에스쿠데로/세르히오 에스쿠데로 (1988년)JPN (4 / 34) | N/A | 고명진한국어 (2 / 13 ) | 에스쿠데로/세르히오 에스쿠데로 (1988년)JPN (6 / 49) | |
순위 | K리그 | 통합 | 비고 |
---|---|---|---|
1 | 몰리나/마우리시오 몰리나COL (13 / 35) | 몰리나/마우리시오 몰리나COL (13 / 35) | |
2 | 에스쿠데로/세르히오 에스쿠데로 (1988년)JPN (7 / 34) | 에스쿠데로/세르히오 에스쿠데로 (1988년)JPN (7 / 34) | |
3 | 데얀/데얀 다먀노비치MNE (5 / 29) | 데얀/데얀 다먀노비치MNE (5 / 29) | |
4 | 차두리한국어 (3 / 30) | 차두리한국어 (3 / 30) | |
5 | 고요한한국어 (3 / 37) | 고요한한국어 (3 / 37) | |
- 득점수와 도움수가 동일할 경우 출장경기수가 적은 선수가 상위 순위가 된다.
5. 1. 관중 기록
2013 시즌 총 관중은 451,845명으로 K리그 전체 2위를 기록하였다.[3][4] K리그 클래식 평균 관중은 16,607명이었으며, AFC 챔피언스리그 평균 관중은 17,766명이었다. FA컵 평균 관중은 3,982명을 기록하였다. K리그 클래식 객단가 1위(6,452원) 및 입장 수입 1위(약 20억원)를 기록했으며,[3] K리그 클래식 유료 관중 비율은 79%였다.[4]5. 2. 선수 통계
챔피언스리그몰리나 (1 / 1)
데얀 (1 / 2)
한태유 (1 /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