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FK 슬라비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FK 슬라비야는 1908년 사라예보에서 창단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축구 클럽이다. 유고슬라비아 왕국 시절에는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에서 준우승을 한 차례 기록했고, 1993년 재창단 이후에는 스릅스카 공화국 1부 리그 우승,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컵 우승을 차지했다. 2004년부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프리미어 리그에 참가하고 있으며, UEFA 인터토토컵과 UEFA 유로파 리그에도 출전한 경험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축구단 - FK 루다르 프리예도르
    FK 루다르 프리예도르는 1928년 창단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축구 클럽으로, 유고슬라비아 시대를 거쳐 현재 이름으로 활동하며 스릅스카 공화국 1부 리그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프리미어리그에서 경쟁하고, 스릅스카 공화국 1부 리그 3회 우승, 스릅스카 공화국 컵 1회 우승, 유고슬라비아 컵 준결승 진출 경력을 가지고 있다.
  • 1908년 설립된 축구단 - CA 우라칸
    클럽 아틀레티코 우라칸은 1903년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창단되어 항공 개척자의 기구에서 영감을 얻은 이름과 유니폼을 사용하며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활동, 아마추어 시대 황금기와 '메노티 혁명' 시대를 거쳐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준결승에 진출하기도 했으나 재정난 등으로 부침을 겪었고, 코파 아르헨티나 우승와 프리메라 디비시온 승격으로 부활했으며 CA 산 로렌소 데 알마그로와 중요한 라이벌 관계를 가진 축구 클럽이다.
  • 1908년 설립된 축구단 - CA 산로렌소
    CA 산 로렌소 데 알마그로는 1908년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창단되어 로렌소 마사 신부의 지원으로 발전한 아르헨티나 축구 클럽으로,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15회 우승 및 국제 대회 우승 경력을 보유한 명문 클럽이며 "엘 시클론"이라는 애칭으로 불린다.
FK 슬라비야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FK 슬라비야 사라예보 로고
전체 이름Fudbalski klub Slavija Sarajevo
별칭Sokolovi (매)
창단1908년
경기장그라드스키 SRC 슬라비야, 이스토치노 사라예보
수용 인원6,000명
회장Zdravko Šavija
감독Milan Muminović
리그 정보
리그스릅스카 공화국 1부 리그
시즌2023–24
순위스릅스카 공화국 1부 리그, 9/18위
클럽 정보
웹사이트FK 슬라비야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FK 슬라비야의 역사는 1908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치하의 사라예보에서 시작되어 현재에 이르기까지 여러 번의 변화와 부침을 겪었다.

FK 슬라비야의 역사는 크게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 창단 초기 (1908년 ~ 1919년)
  • 유고슬라비아 왕국 시대 (1920년대 ~ 1930년대)
  • 제2차 세계 대전과 해체 (1941년 ~ 1945년)
  • 재건과 현재 (1993년 ~ 현재)


각 시대별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조하면 된다.

2. 1. 창단 초기 (1908년 ~ 1919년)

1908년 사라예보오스트리아-헝가리에 속해있던 시기에, 사라예보 체육관 학생들이 'Đački sportski klub'(ĐSK) 또는 'Srednjoškolski sportski klub'(SSK)라는 이름으로 스포츠 클럽을 창단했다.[1] 이 클럽은 축구뿐만 아니라 다양한 스포츠 활동을 하는 단체의 일부였다. 당시 사라예보의 문화 및 사회 활동은 대부분 호텔 에브로파와 체육관을 중심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스포츠 클럽을 만들자는 아이디어도 그 건물에서 나왔다. 그해 초, 일부 학생들이 자그레브를 방문하여 축구를 접하고 사라예보로 첫 번째 공을 가져왔다.

초창기 클럽 활동은 매우 산발적이고 비밀리에 이루어졌다. 보스니아 위기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점령 당국이 모든 종류의 조직적인 모임을 금지했기 때문이다. 주요 인물은 호텔 에브로파 소유주의 아들인 Zdravko Jeftanović, Feodor Lukač, Emil Najšul, Sveto Gerovac, Stevo Jokanović 등이었다.[1]

1909년 초, 축구팀은 첫 번째 축구화를 갖게 되었고, 사라예보 폴리에 있는 훈련장(정확히는 Čengić vila 지역에 있는 Egzercir라는 군사 훈련 시설)에서 정기적으로 연습했다. 하지만 운동장에 골대가 없었기 때문에, 학생들은 매번 연습과 경기를 위해 골대를 도시에서 직접 운반해야 했다. ĐSK/SSK는 SK 슬라비아 프라하를 본받아 클럽 색상을 빨간색과 흰색으로 정했다. Karl Harmer라는 오스트리아 국가대표 공격수를 에서 영입하여 팀의 첫 번째 감독으로 임명했다.[2]

1911년, ĐSK는 군인 선발팀을 상대로 첫 경기를 치러 4–2로 승리했다.

1912년에는 남슬라브족이 거주하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지역에서 친선 경기를 가졌다. 첫 원정 경기는 크로아티아 스플리트에서 현지 팀인 Hajduk과 치렀다. 1912년 4월 7일 첫 경기에서는 하이두크가 4–1로 승리했지만, 다음 날인 4월 8일에는 ĐSK가 2–1로 승리했다. 스플리트에서 경기를 알리는 포스터에 ĐSK를 "'''오스만'''"으로 표기했는데, 이는 클럽 이름이 선수들 사이에서도 비공식적으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스플리트 측에서 즉석에서 지은 이름으로 보인다.[3]

1912년 가을부터 두 번의 발칸 전쟁제1차 발칸 전쟁이 오스트리아-헝가리의 동쪽 국경 너머에서 격렬하게 시작되면서, ĐSK는 범슬라브주의 정서를 키우기 시작했고, 유고슬라비아 사상(남슬라브족의 통일)을 더욱 강화했다. 발칸 동맹 회원국(세르비아 왕국, 그리스 왕국, 불가리아 왕국, 몬테네그로 왕국)이 오스만 제국의 마지막 잔재를 제거하는 동안, 오스트리아-헝가리 국경 내 슬라브족은 자신들의 점령자, 즉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큰 타격을 가하려는 열망을 품었다.

1913년 중반까지 발칸 전쟁은 슬라브족(세르비아인과 몬테네그로인)의 압도적인 승리로 끝났고, 드리나강 건너편 국경 너머에서 승리했다. 이는 보스니아의 슬라브족(특히 세르비아인)에게 엄청나게 고무적인 영향을 미쳤다. 오스트리아-헝가리 당국은 이러한 전개를 간과하지 않았고, 억압은 더욱 강화되었다.

1913년 하반기에, ĐSK 조직 내에서 민족 분열이 발생하여, 일부 크로아티아계 회원들이 ĐSK를 떠나 나중에 SAŠK가 된 흐르바츠키 스포츠키 클럽을 결성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다른 사람들은 클럽에 남아 곧 ĐSK의 이름을 '''스릅스키 스포츠키 클럽'''(SSK)으로 변경했다. 새롭게 개명된 이 단체는 존재를 대중에게 알리고 공식화하려고 시도했지만, 오스트리아-헝가리 당국은 조직적인 모임에 대한 금지를 확고하게 유지했다. 1913년 말까지 코셰보 지역의 추르치치 빌라에 홈 구장을 건설했지만, 오래 사용하지는 못했다.

1914년 6월 가브릴로 프린치프의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 암살은 제1차 세계 대전의 발발로 이어졌다. 보스니아 내 세르비아인의 입지는 점점 더 어려워졌다. SSK 회원들도 예외는 아니어서, 많은 사람들이 체포되거나 오스트리아-헝가리군에 강제 징집되었다. 추르치치 빌라에 새로 건설된 구장은 약탈당하고 불태워졌다.

SSK는 제1차 세계 대전 내내 활동하지 않았다. 전쟁이 끝나고 세르브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이 수립된 후, SSK는 1919년에 다시 활동을 시작했다.

2. 2. 유고슬라비아 왕국 시대 (1920년대 ~ 1930년대)

1921년, SSK는 '''SK 슬라비야'''로 이름을 변경하고 사라예보 하위 협회의 최상위 리그에서 경쟁했다. 이후 슬라비야는 사라예보의 마리인 드보르 지역에 4,000석 규모의 경기장을 건설했다. 학생 중심의 배경에 따라 클럽은 젊은 선수 육성에 역량을 집중했다.

슬라비야는 1924년에 처음으로 왕국의 최고 축구 대회에 참가했다. 이 대회는 7개 클럽만 참가했으며 컵 시스템으로 진행되었다. 슬라비야는 8강전에서 베오그라드의 SK 유고슬라비아를 만나 2-5로 패배했고, SK 유고슬라비아는 그 시즌 챔피언이 되었다.[3]

1930 시즌은 6개 클럽이 참가하는 리그 시스템으로 최상위 리그로 복귀했다. 슬라비야는 시즌을 2승 2무 6패로 5위를 기록했지만 강등을 면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다음 최상위 리그 진출 기회는 1932–33 시즌에 찾아왔다. 당시에는 경쟁 방식이 다시 바뀌어 가을-봄 리그 형식으로 진행되었고, 11개 클럽으로 확대되었다. 슬라비야는 7승 2무 11패로 리그 9위를 기록하며 가까스로 잔류에 성공했다.

유고슬라비아 왕국에서는 1933–34 시즌에 축구 경기가 열리지 않았고, 다음 기회는 1934–35 시즌에 찾아왔다. 리그는 10개 팀으로 진행되었고, 슬라비야는 다시 한 번 강등을 간신히 면하며 7승 1무 10패로 하위 3위를 기록했다.

1935–36 시즌은 슬라비야에게 획기적인 기회를 제공했다. 당시 상위 리그는 14개 클럽으로 구성되었고, 홈 앤 어웨이 컵 시스템이 부활했다. 밀란 라일리치와 슬라브코 자고라크가 선수로, 리스토 쇼시치가 감독으로 팀을 이끌며, 슬라비야는 먼저 체티네의 크르노고라크를 상대로 합계 5–4로 승리했다. 8강전에서는 스코페의 그라잔스키를 상대로 1차전 1–2 패배 후, 2차전에서 10–1의 대승을 거두었다. 준결승에서 노비사드의 NAK를 상대로 합계 4–2로 승리하며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전에서는 BSK와 맞붙어 1차전은 1–1로 비겼지만, 2차전에서 BSK가 0–1로 승리하여 슬라비야는 준우승을 차지했다.

1936–37 시즌의 경쟁은 10개 클럽과 리그 시스템으로 돌아갔다. 슬라비야는 7승 3무 8패를 기록하며 중위권인 5위로 시즌을 마감했다.

다음 시즌은 7승 4무 7패를 기록하며 다시 한 번 5위를 차지했다.

1940년, 클럽은 미트로파 컵에 참가했지만, 전쟁의 시작으로 인해 중단되었다. 슬라비야는 8강전에서 페렌츠바로시에 패했는데, 1차전에서 사라예보에서 3–0으로 승리한 후 부다페스트에서 헝가리 팀에게 11–1로 역전패했다.[4] 슬라비야는 헝가리 출신의 감독 빌모스 빌헬름의 지휘를 받았다.[5]

2. 3. 제2차 세계 대전과 해체 (1941년 ~ 1945년)

1940년, 클럽은 미트로파 컵에 참가했지만, 전쟁의 시작으로 인해 중단되었다. 슬라비야는 8강전에서 페렌츠바로시에 패했는데, 1차전에서 사라예보에서 3-0으로 승리한 후 부다페스트에서 헝가리 팀에게 극적인 11-1 역전을 허용했다.[4] 슬라비야는 헝가리 출신의 유명한 감독 빌모스 빌헬름의 지휘를 받았다.[5]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나치 독일유고슬라비아 왕국 침공으로 클럽은 활동을 중단했다. 전쟁 후, SK 슬라비야는 새로운 공산주의 당국에 의해 어떠한 설명 없이 해산되었다. 마리진 드보르에 있던 경기장은 "Šesti april"로 이름이 바뀌었고 FK 젤레즈니차르와 새로 창단된 SD 토르페도의 홈 경기에 사용되었다. 결국 경기장은 철거되었고, 관중석은 건설 중이던 그르바비차 구장에서 사용하기 위해 FK 젤레즈니차르에게 넘겨졌다.

2. 4. 재건과 현재 (1993년 ~ 현재)

1993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이 해체되고 스릅스카 공화국 축구 협회가 설립된 후, FK 슬라비야가 재창단되었다. 1996년, 전쟁 전의 전통을 이어받아 새롭게 창설된 스릅스카 공화국 1부 리그에 참가하기로 결정되었다. 슬라비야는 시즌을 8위로 마쳤지만, 리그 시스템 개편으로 인해 다음 시즌부터 스릅스카 공화국 2부 리그에서 경쟁하게 되었고, 2000년에 다시 1부 리그로 복귀했다.[2] 그 시즌에 슬라비야는 19승 2무, 73-6의 골 득실차를 기록하며 1999-00 시즌 스릅스카 공화국 2부 리그에서 무패 우승을 차지했다.[2] 2004년까지 스릅스카 공화국 1부 리그에서 활동하다가 리그 챔피언이 되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프리미어 리그로 승격되었다.[2] 2004년, 클럽은 세 번째로 보스니아 컵 준결승에 진출했다.[2] 이후 클럽은 프리미어 리그의 정규 참가팀이 되었으며, 2008년에 창단 100주년을 기념했다.[2]

3. 클럽 문화

클럽의 조직적인 서포터들은 ''Sokolovi'' (''매'')로 알려져 있다.

3. 1. 서포터

2009년 5월 슬라비야의 주요 서포터 그룹 ''Sokolovi''.


클럽의 조직적인 서포터들은 ''Sokolovi'' (매)로 알려져 있다.

4. 역대 성적

FK 슬라비야는 리그와 컵 대회에서 다양한 성적을 기록했다. 리그에서의 주요 성과는 이미 하위 섹션에서 상세히 다루고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컵 대회와 유럽 대항전 성적을 중심으로 간략하게 정리한다.
컵 대회FK 슬라비야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컵과 스릅스카 공화국 컵에서 우승과 준우승을 기록했다.

FK 슬라비야 컵 대회 기록
대회우승 횟수준우승 횟수우승 시즌준우승 시즌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컵112008-092006-07
스릅스카 공화국 컵202005-06, 2007-08


유럽 대항전FK 슬라비야는 UEFA 인터토토컵과 UEFA 유로파 리그에 참가한 기록이 있다.

FK 슬라비야 유럽 대항전 기록
대회경기득점실점득실차
UEFA 인터토토컵 / UEFA 유로파 리그83231013−3
합계83231013–3



'''경기''' = 치른 경기 수; '''승''' = 승리; '''무''' = 무승부; '''패''' = 패배; '''득점''' = 득점; '''실점''' = 실점; '''득실차''' = 득실차.

FK 슬라비야 유럽 대항전 상세 기록
시즌대회라운드국가클럽원정합계
2007UEFA 인터토토컵1R산트 줄리아3–23–26–4
2RFC 오첼룰 갈라치0–00–30–3
2009–10UEFA 유로파리그2Q올보르 BK3–10–03–1
3QMFK 코시체0–21–31–5


4. 1. 리그

FK 슬라비야는 여러 리그에서 다양한 성적을 거두었다. 주요 리그 성적은 다음과 같다.

1930 시즌에는 6개 클럽이 참가하는 리그 시스템으로 최상위 리그에 복귀했지만, 2승 2무 6패로 5위를 기록하며 강등 위기를 맞았다. 1932-33 시즌에는 리그가 11개 클럽으로 확대되었고, 슬라비야는 7승 2무 11패로 9위를 기록하며 잔류에 성공했다.

유고슬라비아 왕국에서는 1933-34 시즌에 축구 경기가 열리지 않았고, 1934-35 시즌에 리그가 재개되어 10개 팀으로 진행되었지만, 슬라비야는 7승 1무 10패로 하위 3위를 기록하며 또다시 강등 위기를 넘겼다.

1935-36 시즌에는 14개 클럽이 참가하는 홈 앤 어웨이 컵 시스템으로 진행되었으며, 슬라비야는 결승까지 진출했지만 BSK에 패하며 준우승을 차지했다.

1936-37 시즌에는 10개 클럽이 참가하는 리그 시스템으로 돌아왔고, 슬라비야는 7승 3무 8패로 5위를 기록했다. 다음 시즌에도 7승 4무 7패로 5위를 기록했다.

1940년에는 미트로파 컵에 참가했지만, 전쟁으로 인해 중단되었다. 슬라비야는 8강전에서 페렌츠바로시에 패했다.[4]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FK 슬라비야는 1993년에 재창단되어 스릅스카 공화국 축구 협회 설립 후 스릅스카 공화국 1부 리그에 참가했다. 1996년에는 리그 시스템 개편으로 스릅스카 공화국 2부 리그에서 경쟁하게 되었고, 2000년에 다시 1부 리그로 복귀했다. 2003-04 시즌에는 스릅스카 공화국 1부 리그에서 우승하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프리미어 리그로 승격했다.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 참가 시즌 기록

시즌대회 방식순위경기승리무승부패배득점실점승점
1930리그5위/61022615236
1932-33리그9위/11207211374816
1934-35리그8위/10187110263415
1935-36토너먼트2위/1483322111-
1936-37리그5위/1018738364017
1937-38리그5위/1018747252818
1938-39리그7위/12227510344319
1939-40리그3위/610703141414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프리미어리그 참가 시즌 기록

시즌리그순위경기승리무승부패배득점실점승점UEFA 주최 대회
2004-05프리미어10위3012513363441
2005-06프리미어5위3012513414741
2006-07프리미어3위3017211413553
2007-08프리미어9위3014214394644UEFA 인터토토컵2회전
2008-09프리미어2위301578362852
2009-10프리미어14위3010515324635UEFA 유로파 리그예선 3회전


4. 2. 컵

FK 슬라비야 컵 대회 기록
대회우승 횟수준우승 횟수우승 시즌준우승 시즌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컵112008-092006-07
스릅스카 공화국 컵202005-06, 2007-08



FK 슬라비야 유럽 대항전 기록
대회경기득점실점득실차
UEFA 인터토토컵 / UEFA 유로파 리그83231013−3
합계83231013–3



'''경기''' = 치른 경기 수; '''승''' = 승리; '''무''' = 무승부; '''패''' = 패배; '''득점''' = 득점; '''실점''' = 실점; '''득실차''' = 득실차.

FK 슬라비야 유럽 대항전 상세 기록
시즌대회라운드국가클럽원정합계
2007UEFA 인터토토컵1R산트 줄리아3–23–26–4
2RFC 오첼룰 갈라치0–00–30–3
2009–10UEFA 유로파리그2Q올보르 BK3–10–03–1
3QMFK 코시체0–21–31–5


5. 선수 명단

FK 슬라비야의 선수 명단은 2023년 5월 23일 기준이다.[6]

FIFA 규정에 따라 선수들은 복수의 국적을 가질 수 있다.

등번호포지션국적선수 이름
1GK니노 네지보비치
2MF페타르 다비치
3MF슬로보단 부치니치
4DF데얀 제리치
5DF아마르 베시레비치
6DF고란 포포비치
7FW스테판 아르비냐
8MF바실리예 고이코비치
10MF니콜라 벨로스
11MF데니스 보구차닌
14MF조르제 아브달로비치
15MF함자 칼지치
17DF블라단 만디치
18FW루카 아센티치
19MF다니옐 에리치
20MF네마냐 츠보로
23GK아마르 시르코
25DF세르게이 토미치
MF타디야 스토야노비치


5. 1. 유명 선수



다음 선수들은 FK 슬라비야에서 선수 생활을 했고, 각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했다:[7]

1945년 이전1945년 이후


6. 역대 감독

이름국적재임 기간
카를 하르머Karl Harmer|카를 하르머de1908년–1911년
토니 사보Tony Szabó|토니 사보hu1924년–19xx년
한스 링거Hans Linger|한스 링거de1934년–1935년[8]
리스토 쇼시치Risto Šošish|리스토 쇼시}}1935년–1937년[9]
브라나 포로비치Brana Porobić|브라나 포로비치sh1937년–1938년[9]
프란츠 운슐트Franz Unschuld|프란츠 운슐트de1938년–1939년[9]
발터 콜리치Walter Kollmann|발터 콜리치de1939년–1940년[9]
빌모스 빌헤임Vilmos Wilhelm|빌모스 빌헤임hu1940년[10]
네델코 부가린Neđeljko Bugarin|네델코 부가린sh
슬로보단 루부라Slobodan Ljubura|슬로보단 루부라sh
조란 슈마르Zoran Šumar|조란 슈마르sh
보얀 밀리체비치Bojan Milićević|보얀 밀리체비치sh
두스코 페트로비치Duško Petrović|두스코 페트로비치sh
랑코 므르카이지치Ranko Mrkaić|랑코 므르카이지치sh
밀로미르 셰쉴리야Milomir Šešlija|밀로미르 셰쉴리야sh2002년 3월 20일 – 2003년 6월 13일
밀로미르 오도비치Milomir Odović|밀로미르 오도비치sh2005년 6월 3일 – 2007년 8월 20일
미르코 마르반Mirko Marvan|미르코 마르반sh2007년 8월 21일 – 2008년 4월 7일
조란 에르베즈Zoran Erbez|조란 에르베즈sh2008년 4월 8일 – 2009년 9월 20일
밀로미르 오도비치Milomir Odović|밀로미르 오도비치sh2009년 9월 21일 – 2010년 5월 4일
두샨 예브리치Dušan Jevrić|두샨 예브리치sr2010년 5월 5일 – 2010년 8월 1일
드라간 벨리카Dragan Veli|드라간 벨리카sh2010년 8월 7일 – 2011년 9월 12일
알렉산다르 시미치Aleksandar Simić|알렉산다르 시미치sh (임시)2011년 9월 12일 – 2011년 9월 23일
조란 에르베즈Zoran Erbez|조란 에르베즈sh2011년 9월 23일 – 2012년 1월 1일
밀란 구토비치Milan Gutović|밀란 구토비치sh2012년 1월 17일 – 2012년 3월 20일
블라도 차플리치Vlado Čapljić|블라도 차플리치sh2012년 3월 20일 – 2012년 11월 29일
밀로미르 셰쉴리야Milomir Šešlija|밀로미르 셰쉴리야sh2013년 1월 5일 – 2013년 7월 6일
드라간 라도비치Dragan Radović|드라간 라도비치sh2013년 7월 7일 – 2013년 10월 31일
슬라비샤 보지치치Slaviša Božičić|슬라비샤 보지치치sr2013년 11월 13일 – 2014년 3월 31일
밀란 구토비치Milan Gutović|밀란 구토비치sh2015년 2월 21일 – 2015년 8월 11일
다르코 보이보디치Darko Vojvodić|다르코 보이보디치sh2015년 8월 19일 – 2015년 12월 8일
벨코 도베단Veljko Dovedan|벨코 도베단sr2016년 2월 21일 – 2016년 3월 22일
밀코 지우로브스키Милчо Ѓуровски|밀코 지우로브스키mk2016년 3월 30일 – 2016년 5월 16일
브라니슬라프 베르얀Branislav Berjan|브라니슬라프 베르얀sh2016년 7월 1일 – 2016년 9월 19일
밀로미르 오도비치Milomir Odović|밀로미르 오도비치sh2016년 9월 22일 – 2017년 5월 28일
드라간 라도비치Dragan Radović|드라간 라도비치sh2017년 7월 12일 – 2018년 4월 2일
드라간 벨리카Dragan Veli|드라간 벨리카sh2018년 4월 18일 – 2018년 11월 11일
밀란 구토비치Milan Gutović|밀란 구토비치sh2019년 1월 26일 – 2020년 6월 1일
조란 에르베즈Zoran Erbez|조란 에르베즈sh2020년 7월 2일 – 2021년 4월 5일
보얀 레고예Bojan Regoje|보얀 레고예sh (임시)2021년 4월 6일 – 2021년 6월 30일
보얀 레고예Bojan Regoje|보얀 레고예sh2021년 7월 1일 – 2024년 4월 1일
모치로 스타니치Momčilo Stanić|모치로 스타니치sh2024년 4월 1일 – 2024년 6월 10일
밀란 무미노비치Milan Muminović|밀란 무미노비치sh2024년 6월 25일 – 현재


7. 유럽 대항전 기록

대회경기득점실점득실차
UEFA 인터토토컵 / UEFA 유로파 리그83231013−3
합계83231013-3



'''경기''' = 치른 경기 수; '''승''' = 승리; '''무''' = 무승부; '''패''' = 패배; '''득점''' = 득점; '''실점''' = 실점; '''득실차''' = 득실차. 더 이상 개최되지 않는 대회는 이탤릭체로 표시.

시즌대회라운드상대팀원정합계
2007UEFA 인터토토컵1R산트 줄리아3–23–26–4
2007UEFA 인터토토컵2R오첼룰 갈라치0–00–30–3
2009–10UEFA 유로파리그2Q올보르 BK3–10–03–1
2009–10UEFA 유로파리그3QMFK 코시체0–21–31–5



시즌대회라운드상대팀어웨이합계
2007UEFA 인터토토컵1회전상 줄리아3-23-26-4
2007UEFA 인터토토컵2회전오첼룰 갈라치0-00-30-3
2009-10UEFA 유로파리그예선 2회전올보르 BK3-10-03-1
2009-10UEFA 유로파리그예선 3회전코시체0-21-31-5


참조

[1] 웹사이트 Burni vek u dnevniku jednog lekara http://www.vreme.com[...] 2012-12-27
[2] 웹사이트 History http://www.fkslavija[...]
[3] 웹사이트 ФК Славија: Фудбалски клуб Славија колијевка фудбала у Босни и Херцеговини https://web.archive.[...] 2009-07-24
[4] 웹사이트 1940 Mitropa Cup http://www.iffhs.de/[...] IFFHS
[5] 웹사이트 Match report http://www.iffhs.de/[...] IFFHS
[6] 웹사이트 SLAVIJA FUDBAL / MUŠKARCI https://sportdc.net/[...] 2021-04-17
[7] 웹사이트 FK Slavija http://www.national-[...] National-Football-Teams
[8] 웹사이트 Treneri kroz povijest http://povijest.gnkd[...] Povijest Dinama
[9] 서적 Fudbal u Kraljevini Jugoslaviji
[10] 웹사이트 Match report http://www.iffhs.de/[...] iffhs.de 2014-01-15
[11] 웹사이트 Shoot-out gives Slavija cup success https://www.uefa.com[...] UEFA.com 2009-05-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