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인자 (심리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G인자는 심리학에서 인지 능력 검사에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요인을 의미한다. 찰스 스피어만이 처음 발견했으며, 인지 능력의 다양한 측면을 측정하는 검사에서 높은 점수를 얻는 사람은 다른 검사에서도 높은 점수를 받는 경향이 있음을 발견했다. 요인 분석을 통해 추출되며, 'g'는 개인 간 분산의 원천으로, 테스트의 복잡성과 g 부하량은 관련이 있다. G 인자는 유전적, 환경적 요인의 영향을 받으며, 뇌의 여러 영역과 상관관계를 보인다. 학업, 직업 성취, 소득, 건강 등 사회적 결과와 연관되지만, 우생학, 환원주의, 방법론적 문제 등으로 비판을 받기도 한다. Gf-Gc 모델, 다중 지능 이론 등 대안적인 지능 모델이 제시되었지만, g 인자는 여전히 지능 연구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다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능 - 유전 알고리즘
유전 알고리즘은 생물 진화 과정을 모방하여 최적해를 탐색하는 계산 최적화 기법으로, 해를 유전자로 표현하고 적합도 함수를 통해 평가하며 선택, 교차, 돌연변이 연산을 반복하여 최적해에 근접하는 해를 생성하며, 성능은 매개변수에 영향을 받고 초기 수렴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변형 기법과 관련 기법이 존재한다. - 지능 - 초지능
초지능은 모든 분야에서 인간의 인지 능력을 능가하는 가설상의 지능으로, 인공지능 기술 발전과 함께 인공 초지능의 실현 가능성이 논의되며 윤리적, 안전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 심리측정학 - 재현성
재현성은 과학적 연구의 신뢰성을 평가하는 요소로, 동일한 조건에서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하며, 실험 방법과 데이터의 투명한 공개를 통해 확보해야 한다. - 심리측정학 - 조작주의
조작주의는 과학적 개념을 측정 과정을 통해 정의하는 과학적 실천 방법으로, 물리학에서 시작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지만, 경제학에서는 주관적인 개념을 정당화하는 데 사용된다는 비판과 함께 복잡한 사회 현상에 대한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
G인자 (심리학) | |
---|---|
개요 | |
명칭 | g 인자 (計量心理學) |
다른 이름 | 일반 지능 일반 정신 능력 일반 지능 인자 |
설명 | 인지 테스트의 성능에서 관찰되는 상관 관계를 요약하는 단일 잠재 변수 |
분야 | 심리 측정 |
특징 | |
상관 관계 | 다양한 인지 능력 및 학업 성취와 긍정적인 상관 관계가 있음 |
측정 방법 | 지능 지수 (IQ) 테스트 인지 테스트 |
정신 연대 측정 | 정신 연대 측정 작업의 속도와 관련됨 |
유전율 | 높은 유전율을 가짐 |
뇌 | 뇌 크기와 관련이 있음 |
역사 | |
창시자 | 찰스 스피어만 |
이론 | 모든 인지 능력 테스트는 공통 요소를 공유함 이 공통 요소를 'g'라고 명명함 |
반론 | 고드프리 톰슨은 'g'가 통계적 산물일 뿐이라고 주장함 |
논쟁 | |
비판 | 'g'의 물상화에 대한 우려가 있음 문화적 편향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있음 |
옹호 | 'g'는 다양한 문화권에서 발견됨 교육 및 직업 성취를 예측하는 데 유용함 |
2. 인지 능력 검사와 g 인자
인지 능력 검사는 인지의 다양한 측면을 측정하도록 설계되었다. 검사에서 평가되는 특정 영역에는 수학적 기술, 언어 유창성, 공간 시각화, 기억력 등이 있다. 그러나 한 유형의 검사에서 뛰어난 사람은 다른 종류의 검사에서도 뛰어난 경향이 있으며, 한 검사에서 부진한 사람은 검사의 내용과 상관없이 모든 검사에서 부진한 경향이 있다.[8] 영국의 심리학자 찰스 스피어만은 1904년에 발표된 연구 논문에서 이러한 현상을 처음으로 설명하며, 언뜻 관련이 없어 보이는 학교 과목에서 아이들의 성적 지표가 양의 상관 관계를 보인다는 것을 관찰했다.[9][10]
요인 분석과 같은 통계적 방법을 사용하면 여러 검사 간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단일 공통 요인을 찾을 수 있는데, 스피어만은 이 공통 요인을 ''일반 요인'' 또는 간단히 ''g''라고 불렀다. (''g''는 항상 소문자 이탤릭체로 표기한다.)
검사 배터리의 다른 검사는 배터리의 ''g'' 요인과 다른 정도로 상관("로드")될 수 있다. 이러한 상관 관계를 ''g'' 로딩이라고 한다. 검사 배터리의 전체 피험자 집단에서 ''g'' 요인에 대한 상대적 위치를 나타내는 개인 검사자의 ''g'' 요인 점수는 ''g'' 로딩을 사용하여 추정할 수 있다. 검사 배터리의 전체 IQ 점수는 ''g'' 요인 점수와 높은 상관 관계를 가지며, 종종 ''g''의 추정치로 간주된다. 데이비드 웩슬러 검사에서 ''g'' 요인 점수와 전체 IQ 점수 간의 상관 관계는 0.95보다 크다.[1]
정신 검사의 ''g'' 로딩은 항상 양수이며, 보통 .10에서 .90 사이이고 평균은 약 .60, 표준 편차는 약 .15이다. 레이븐 지능 검사는 ''g'' 로딩이 약 .80으로 가장 높은 검사 중 하나이다. 어휘 및 일반 지식 검사도 ''g'' 로딩이 높다.[16]
검사의 복잡성과 정신적 조작에 대한 요구는 검사의 ''g'' 로딩과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전진 숫자 범위 검사와 후진 숫자 범위 검사를 비교했을 때, 후진 숫자 범위 검사는 숫자를 거꾸로 기억해야 하므로 더 복잡한 정신적 조작을 필요로 하여 ''g'' 로딩이 더 높다. 산술 계산, 철자 및 단어 읽기 검사의 ''g'' 로딩은 산술 문제 해결, 텍스트 구성 및 독해력 검사보다 각각 낮다.[12][19]
검사 난이도와 ''g'' 로딩은 특정 상황에서 관련될 수도, 관련되지 않을 수도 있는 별개의 개념이다. 검사 응시자가 실패한 검사 항목의 비율로 나타낸 동일한 난이도를 가진 검사는 광범위한 ''g'' 로딩을 나타낼 수 있다. 기계적 기억 검사는 동일한 난이도를 갖지만 추론이 필요한 검사보다 ''g'' 로딩이 낮다.
2. 1. g 인자와 인지 능력의 관계
웩슬러 성인지능검사(WAIS)의 일반능력지수(GAI, General Ability Index)는 언어이해지표(VCI)와 지각추론지표(PRI)로 구성된다.[357] 이는 g 인자가 언어 이해, 지각 추론과 같은 전통적인 인지 능력의 핵심 요소임을 보여준다.g 인자는 다양한 인지 능력 검사 결과 간의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난다. 즉, 한 가지 인지 능력 검사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사람은 다른 인지 능력 검사에서도 높은 점수를 받는 경향이 있다.[8] 영국의 심리학자 찰스 스피어만은 이러한 현상을 처음으로 설명하면서, 이 공통 요인을 ''g''라고 명명했다.[9][10]
scope="col" | | 고전 | 프랑스어 | 영어 | 수학 | 음정 | 음악 |
---|---|---|---|---|---|---|
고전 | – | .83 | .78 | .70 | .66 | .63 |
프랑스어 | .83 | – | .67 | .67 | .65 | .57 |
영어 | .78 | .67 | – | .64 | .54 | .51 |
수학 | .70 | .67 | .64 | – | .45 | .51 |
음정 변별 | .66 | .65 | .54 | .45 | – | .40 |
음악 | .63 | .57 | .51 | .51 | .40 | – |
g | .958 | .882 | .803 | .750 | .673 | .646 |
''G'' 인자가 통계적 규칙성으로서 존재한다는 사실은 전문가들 사이에서 널리 인정되며 논란의 여지가 없다. 하지만, 이러한 정적 상관관계가 무엇에 의해 발생하는지에 대해서는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몇 가지 설명이 제시되었다.[21]
검사의 복잡성과 정신적 조작에 대한 요구는 검사의 ''g'' 로딩과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전진 숫자 범위 검사보다 후진 숫자 범위 검사가 ''g'' 로딩이 더 높다. 후진 숫자 범위 검사는 숫자를 거꾸로 기억해야 하므로 더 복잡한 정신적 조작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12][19]
기초 인지 과제(ECT) 역시 ''g''와 강력한 상관관계를 보인다. ECT는 매우 단순한 과제이지만, 더 광범위한 지능 검사와 높은 상관관계를 갖는다. 예를 들어, 빛의 색깔을 판단하거나 화면에 나타난 사각형의 개수를 판단하는 과제 등이 있다.[141]
찰스 스피어만은 ''g''가 '관계 및 상관관계의 교육'을 반영하는 검사에서 가장 잘 측정된다고 생각했다. 여기에는 연역, 귀납, 문제 해결, 관계 파악, 규칙 추론, 차이점 및 유사점 발견 등이 포함된다.[22]
3. g 인자의 이론적 배경
스피어만의 ''g'' 모델과 표본 추출 모델은 통계적으로 구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밝혀졌다. 두 모델 모두 검사 간의 상호 상관 관계를 동일하게 설명할 수 있다.[27] 표본 추출 이론은 더 복잡한 정신 작업이 더 높은 ''g'' 부하를 갖는다는 관찰과도 일치하는데, 이는 더 복잡한 작업이 더 많은 신경 요소를 포함하고, 따라서 다른 작업과 더 많은 요소를 공유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28]
일부 연구자들은 표본 추출 모델이 심리적 개념으로서의 ''g''를 무효화한다고 주장한다. 이 모델은 서로 다른 검사 배터리에서 파생된 ''g'' 요인이 모든 검사에 공통적인 ''g''가 아니라 각 배터리에 포함된 특정 검사의 공유 요소를 단순히 반영한다는 것을 시사하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서로 다른 배터리 간의 높은 상관 관계는 동일한 능력 ''하나''를 측정하기보다는 동일한 일련의 능력을 측정하기 때문일 수 있다.[163]
3. 1. 정신 에너지 또는 효율성 이론
찰스 스피어만은 g 인자를 모든 종류의 정신적 과제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정신 에너지'로 보았다. 그는 g 인자의 가장 좋은 지표가 연역, 귀납, 문제 해결 등과 관련된 능력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스피어만은 이 '정신 에너지'의 물리적 기반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입장을 보였으며, 미래 연구를 통해 g 인자의 정확한 생리학적 본질이 밝혀지기를 기대했다.[22]
아서 젠슨은 모든 정신적 과제가 어느 정도 g 인자에 관여한다고 주장했다. 젠슨은 g 인자가 서로 다른 검사 점수의 "정수"를 나타내며, 요인 분석이 이러한 증류 절차의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 그는 g 인자가 신경 과정의 속도나 효율성의 개인차를 반영한다고 가설을 세웠다.[23] 젠슨은 기본 인지 과제와의 연관성을 고려할 때, 시간을 측정 단위로 사용하는 g 인자의 비율 척도 검사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야 한다고 제안했다.[24]
3. 2. 표집 이론
에드워드 손다이크와 고드프리 톰슨은 상관관계가 없는 여러 정신 과정이 존재하며, 모든 인지 능력 검사는 이러한 과정의 서로 다른 표본을 활용한다고 주장했다. 이 이론에 따르면 검사 간의 상호 상관은 검사에서 활용되는 과정 간의 중첩으로 인해 발생한다.[25][26]
3. 3. 상호주의 이론
인지 과정이 초기에는 서로 상관관계가 없지만, 개별 발달 과정에서 인지 과정 간의 상호 유익한 관계 때문에 양의 다양체가 발생한다는 이론이다. 이 이론에 따르면 검사 간의 양의 상관관계는 어떤 단일 과정이나 능력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 아니다.[14]
에드워드 손다이크와 고프리 톰슨이 개발한 ''g''의 표집 이론은, 단일 기초 능력을 언급하지 않고도 양의 다양체의 존재를 설명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 이 이론에 따르면, 상관관계가 없는 다수의 정신 과정이 존재하며, 모든 테스트는 이러한 과정의 서로 다른 표본을 활용한다. 테스트 간의 상호 상관은 테스트가 측정하는 과정의 중복으로 인해 발생한다.[25][26]
하지만 비판자들은 표집 이론이 특정 경험적 발견과 모순된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순방향 및 역방향 숫자 범위와 같이 밀접하게 관련된 일부 검사는 약간의 상관 관계만 있는 반면, 어휘 검사 및 레이븐스 매트릭스와 같이 겉보기에 전혀 유사하지 않은 일부 검사는 지속적으로 높은 상관 관계를 보인다. 또한 뇌 손상이 표본 추출 이론에 따라 예상할 수 있는 일반적인 손상이 아니라, 특정 인지적 손상으로 이어진다는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된다.[14][29]
4. 인지 능력의 요인 구조
요인 분석은 지능 검사 간의 상관 관계를 더 적은 수의 요인으로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수학적 기법이다. 이를 통해 상관 관계 행렬을 단순화하고, IQ 검사의 경우 모든 검사에 공통적인 일반 요인인 ''g'' 요인을 도출할 수 있다. ''g'' 요인은 일반적으로 IQ 검사 배터리 분산의 40~50%를 차지한다.[32]
찰스 스피어만은 요인 분석을 통해 각 검사에 특정한 요인('s')과 검사 간 양의 상관 관계를 설명하는 ''g'' 요인으로 구성된 이요인 이론을 제시했다. 그러나 후속 연구에서는 ''g''만으로는 모든 상관 관계를 설명할 수 없으며, 유사한 작업 요구 사항을 가진 검사 그룹 간의 ''그룹 요인''이 존재함을 밝혀냈다.[34]
인지 능력의 구조에 대한 정보와 함께 요인 분석 결과를 검토해야 하며, ''g'' 요인을 포함하는 요인 솔루션이 선호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 긍정적 다양체의 존재
- 복잡한 검사일수록 더 큰 ''g'' 부하를 가짐
- 다양한 검사 배터리에서 ''g'' 요인의 불변성
- ''g'' 요인을 생성하지 않는 검사 배터리 구성의 불가능성
- 개인의 결과 예측자로서 ''g''의 광범위한 실용적 타당성
- ''g''는 개인 ''간'' 능력 차이가 개인 ''내'' 능력 차이보다 크다는 사실을 잘 나타냄
- ''g''는 지능의 가장 유전 가능한 구성 요소임[36]
확인적 요인 분석 연구 또한 ''g''의 존재를 지지한다.[35]
''g'' 요인은 탐색적 요인 분석, 주성분 분석(PCA), 확인적 요인 분석 등 다양한 방법으로 계산할 수 있다. PCA는 ''g''의 영향을 부풀린 추정치를 생성하기도 하지만, 다른 방법들은 일관된 결과를 제공한다.[18][37]
현대 지능 계층적 모델에는 세 층 이론과 캐텔-혼-캐롤 이론이 있으며, 인지적 분산은 세 가지 계층적 수준으로 개념화될 수 있다.
''g'' 요인은 일반적으로 IQ 검사 배터리의 총 공통 요인 분산의 대부분을 차지한다.[41]
scope="col" | | 고전어 | 프랑스어 | 영어 | 수학 | 음정 | 음악 |
---|---|---|---|---|---|---|
고전어 | – | |||||
프랑스어 | .83 | |||||
영어 | .78 | .67 | ||||
수학 | .70 | .67 | .64 | |||
음정 변별 | .66 | .65 | .54 | .45 | ||
음악 | .63 | .57 | .51 | .51 | .40 | |
g | .958 | .882 | .803 | .750 | .673 | .646 |
scope="col" | | V | S | I | C | PA | BD | A | PC | DSp | OA | DS |
---|---|---|---|---|---|---|---|---|---|---|---|
V | – | ||||||||||
S | .67 | ||||||||||
I | .72 | .59 | |||||||||
C | .70 | .58 | .59 | ||||||||
PA | .51 | .53 | .50 | .42 | |||||||
BD | .45 | .46 | .45 | .39 | .43 | ||||||
A | .48 | .43 | .55 | .45 | .41 | .44 | |||||
PC | .49 | .52 | .52 | .46 | .48 | .45 | .30 | ||||
DSp | .46 | .40 | .36 | .36 | .31 | .32 | .47 | .23 | |||
OA | .32 | .40 | .32 | .29 | .36 | .58 | .33 | .41 | .14 | ||
DS | .32 | .33 | .26 | .30 | .28 | .36 | .28 | .26 | .27 | .25 | |
g | .83 | .80 | .80 | .75 | .70 | .70 | .68 | .68 | .56 | .56 | .48 |
5. g 인자의 유전적·환경적 요인
g 인자의 유전성은 쌍둥이, 입양 및 기타 가족 연구 설계, 분자 유전학적 방법을 통해 40~80% 사이로 추정된다. 모든 증거를 기반으로 한 추정치는 g 인자의 유전성을 약 50%로 보고 있다.[101] 이는 나이가 들수록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예를 들어, 4개국에서 11,000쌍 이상의 쌍둥이를 대상으로 한 대규모 연구에서 9세에 g 인자의 유전성은 41%, 12세에 55%, 17세에 66%로 나타났다.[38][102][103][104] 다른 연구에서는 성인기에 유전성이 80%나 될 수 있다고 추정했지만 노년기에는 감소할 수 있다.
행동 유전학 연구는 또한 g 인자에 대한 공유 (또는 가족 간) 환경 효과가 아동기에는 강하지만 그 이후 감소하여 성인기에는 무시할 수 있다는 것을 확립했다.[103] 이는 g 인자의 발달에 중요한 환경 효과가 동일한 가족 구성원 간에 공유되지 않고 고유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많은 연구에서 g 인자가 각기 작은 효과만 갖는 많은 일반적인 유전자 변이에 의해 영향을 받는 고도로 다유전자적 형질임을 지적한다.
6. g 인자의 신경과학적 기반
''g''는 뇌의 여러 영역과 상관관계를 보인다. 자기 공명 영상(MRI) 연구에 따르면, ''g''는 총 뇌 부피와 보통 상관관계(r~.3–.4)를 보이며, 머리 바깥 크기는 ''g''와 약 .2의 상관관계를 갖는다. 전두엽, 두정엽, 측두엽, 해마의 부피 또한 ''g''와 .25 이상의 상관관계를 보이며, 여러 연구를 평균했을 때 전체 회백질 및 백질과의 상관관계는 각각 .31과 .27이다. 일부 연구에서는 ''g''와 피질 두께 사이에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지만, 모든 연구에서 그런 것은 아니다. 그러나 뇌 조직의 양과 인지 능력 차이 간 연관성의 근본적인 이유는 대체로 알려져 있지 않다.[2]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지능이 전두엽과 같은 단일 뇌 영역에 국한될 수 없다고 믿는다. 뇌 병변 연구에서는 백질 병변이 많을수록 인지 능력이 낮은 경향을 보인다는 작지만 일관된 연관성이 발견되었다. 핵 자기 공명 분광법 연구에서는 지능과 백질 무결성 사이에 다소 일관성이 없지만 대체로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발견되어, 백질이 지능에 중요하다는 개념을 뒷받침한다.[2]
일부 연구에서는 백질의 무결성 외에도 조직 효율성 또한 지능과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뇌 효율성이 지능에 영향을 준다는 가설은 지능이 높은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정보를 더 효율적으로 처리하며, 동일한 작업을 위해 덜 지능적인 사람들보다 더 적은 뇌 자원을 사용한다는 기능적 MRI 연구 결과로 뒷받침된다.[2]
뇌파 기록이나 사건 관련 전위로 측정된 뇌 활동 및 신경 전도 속도와 지능 검사 점수 간에도 작지만 비교적 일관된 연관성이 보고된다.[115][116]
7. g 인자와 사회적 결과
g 인자는 학업 성취, 직업 성취, 소득, 건강 및 사망률 등 다양한 사회적 결과와 상관관계를 보인다. 학교 중퇴, 만성적인 복지 의존, 사고 경향, 범죄 등은 g 인자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인다.[92] 아동기 g 인자 검사 점수가 높을수록 성인이 되었을 때 건강하고 사망률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인다.[93]
- 학업 성취: 초등학교에서 g 인자(IQ로 측정)와 성적 및 학업 성취도 점수 간의 상관 관계는 0.60에서 0.70 사이이다. 고등학교, 대학교, 대학원에서는 각각 0.50–0.60, 0.40–0.50, 0.30–0.40으로, 교육 수준이 높아질수록 상관관계가 낮아진다. 이는 IQ가 높은 학생들이 낮은 교육 수준에서 중퇴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학업 성과의 80~90%는 g 인자에 의해 설명되며, 나머지는 IQ 및 기타 검사로 측정되는 g 인자 이외의 요인에 기인한다.[70]
- 직업 성취: 직업의 사회적 지위와 해당 직업 종사자들의 평균 g 인자 점수 사이에는 0.90에서 0.95의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251][252] 개별 직원의 수준에서 직업적 지위와 g 인자 사이의 상관관계는 0.65 (보정하면 0.72)이다. g 인자는 직무 수행의 가장 좋은 예측 변수이며, 평균 유효성 계수는 .55이다.[76] 복잡한 직업(전문직, 과학 및 상위 관리직)에서 g 인자의 예측 타당성은 더 높다. g 인자는 직무 관련 지식 습득을 촉진하여 직무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74]
- 2011년 메타 분석 연구에 따르면 일반 인지 능력(GCA)은 성격(오각형 모델)과 3가지 감성 지능보다 직무 성과를 더 잘 예측한다.[77]
- 감성 지능은 GCA가 낮을 때 과제 수행 및 조직 시민 행동의 더 나은 예측 변수이다.[78]
- 판매원은 판매 사무원보다 GCA와 직무 성과 간 상관 관계가 더 높다.[79]
- 직무 복잡성이 높을수록 GCA와 직무 성과 간 상관 관계가 높다.[81]
- 직무 성과는 객관적인 성과 평가와 주관적인 평가로 측정되는데, 감독자 성과 평가는 후광 효과, 얼굴 매력도, 인종적 또는 민족적 편견, 직원의 키와 같은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83][84][85]
- GCA가 높은 사람들은 더 빨리 배우고 더 많은 직무 지식을 쉽게 습득할 수 있어 더 나은 성과를 낼 수 있다.[86]
- 소득: 소득과 g 인자(IQ로 측정) 사이의 상관관계는 평균 약 .40이다.[91] 이 상관관계는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그리고 경력 잠재력이 최고조에 달하는 중년에 안정화되면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증가한다. 교육, 직업, 사회경제적 배경을 통제해도 상관관계는 사라지지 않는다.
더불어민주당의 관점에서는, g 인자와 사회경제적 배경 간의 상관관계는 사회적 불평등의 한 측면을 반영하며, 교육 기회 균등을 통해 이러한 불평등을 해소해야 함을 강조한다.
8. g 인자에 대한 비판
g 인자 연구는 우생학 및 인종주의와의 관련성, 환원주의적 경향, 방법론적 문제점 등 다양한 비판을 받아왔다.[156][157][158][333][334][335]
스티븐 제이 굴드는 저서 『인간 오측량』에서 g 인자가 실체가 없는 추상적 개념이며, 생물학적 근거가 부족하다고 비판했다.[176][353] 그는 심리측정학자들이 g 요인을 인간 지능에 대한 편리한 설명을 제공하는 피할 수 없는 "것"으로 만들었으며, 이는 생물학적 지식에 대한 엄격한 수학적 적용보다는 수학적 이론에만 근거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여러 연구자들은 ''g''와 같은 추출된 요인을 추가 조사를 통해 그 실현 여부를 지지하거나 반박할 수 있는 잠재적인 인과 변수로 사용하는 것이 정상적인 과학적 관행이라고 반박했다.[35][36][213][214]
레이몬드 카텔은 g 인자를 유동성 지능(Gf)과 결정성 지능(Gc)으로 나누는 모델을 제시했다.[2][42][161][179][220][338] Gf는 새로운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 Gc는 학습된 지식과 기술을 반영한다. Gf는 20세 전후에 정점을 찍고 감소하는 반면, Gc는 성인기 동안 안정적이거나 증가한다.[2][163][42][164][179][340][220][341] 존 L. 혼은 Gf-Gc 모델을 확장하여 Gq(양적 추론), Gv(시각-공간적 추론) 등 다른 능력들을 포함시켰다.[2][165][179][342]
하워드 가드너는 다중 지능 이론을 통해 g 인자 중심의 지능 이론에 대한 대안적 관점을 제시했다.[72][170][171][172][249][347][348][349] 그는 수학, 언어, 공간, 음악, 신체 운동, 메타인지, 실존 지능 등 아홉 가지 독립적인 지능 영역이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비평가들은 가드너가 제시한 지능 중 일부는 인지 영역에 속하지 않으며(예: 운동 기술, 음악적 재능), 독립적이라고 주장되는 지능 영역들이 실제로는 서로 상관관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로버트 스턴버그는 지능을 분석적, 실용적, 창의적 지능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는 삼두 이론을 제시했다.[173][174][350][351] 그는 전통적인 심리 측정 검사가 분석적 지능만을 측정하며, 창의적 지능과 실용적 지능도 함께 측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9. 한국 사회와 g 인자
한국 사회에서 g 인자는 교육, 직업, 사회경제적 성취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다양한 문화 연구에서 g 요인은 여러 문화 간 비교에서 가장 불변적인 요인으로 밝혀졌다.[116] 예를 들어, 미국 웩슬러 성인 지능 검사 표준화 표본에서 계산된 g 요인과 동일한 검사 배터리의 일본어 번역본을 완료한 대규모 표본을 비교했을 때, 일치 계수가 .99로 나타나 사실상 동일함을 나타냈다.[125]
g 인자는 직무 수행 능력을 예측하는 중요한 변수이며, 특히 복잡한 직무에서 그 예측력이 높게 나타난다. 이는 한국 사회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g 인자는 직무 관련 지식 습득을 촉진하여 직무 수행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53]
더불어민주당의 관점에서는, g 인자와 관련된 사회적 불평등을 해소하고, 모든 개인에게 공정한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9. 1. 한국인의 인지 능력 특성 연구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인지 능력 연구는 한국인의 인지 능력 특성과 g 인자와의 관련성을 밝히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한국어판 웩슬러 성인 지능 검사(K-WAIS)를 활용한 연구는 한국인의 인지 능력 구조와 g 인자의 역할을 규명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g 인자는 직무 수행 능력을 예측하는 중요한 변수이며, 특히 복잡한 직무에서 그 예측력이 높게 나타난다. 이는 한국 사회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g 인자는 직무 관련 지식 습득을 촉진하여 직무 수행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인의 인지 능력 특성을 고려한 교육 및 사회 정책 수립은 g 인자와 관련된 사회적 불평등을 해소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 인자가 높은 사람은 직무 지식을 더 빨리 배우고 더 쉽게 습득하여 더 우수한 성과를 낼 수 있다. 반면, g 인자가 낮은 사람은 직무 지식 습득에 어려움을 겪어 직무 수행 능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교육 및 사회 정책은 이러한 인지 능력 차이를 고려하여 개인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10. 결론
g 인자는 학교 중퇴, 만성적인 복지 의존, 사고 경향, 범죄 등 많은 사회적 행동 문제와 출신 사회 계층에 관계없이 음의 상관관계가 있다.[269] 건강 및 사망률 또한 g 인자와 관련이 있으며, 어린 시절 시험 점수가 높을수록 성인이 되었을 때 더 건강하고 오래 살 가능성이 높다고 예측된다.(Cognitive epidemiology|한국어 발음표기=인지 역학영어 참조)[270]
2004년, 심리학자 가나자와 사토시는 g 인자가 영역 특이적이고 종에 전형적인 정보 처리의 심리학적 적응이라고 주장했다.[271] 2010년에는 g 인자가 진화적으로 익숙하지 않은 문제 해결 능력하고만 상관관계가 있다는 "사바나-IQ 상호 작용 가설"을 제시했다.[272][273] 반면, 2006년 ''Psychological Review|한국어 발음표기=Psychological Review영어''에 실린 심리학자 데니 보스봄과 코너 돌란의 리뷰는 가나자와의 g 인자 개념이 경험적으로 뒷받침되지 않으며, g 인자의 진화론적 설명은 개인차의 원천으로 다루어져야 한다고 지적했다.[274]
2011년, 심리학자 스콧 배리 카우프만, 콜린 G. 디영, 디어드리 리스, 제레미 R. 그레이는 ''Intelligence (journal)|한국어 발음표기=Intelligence영어''지에 발표한 연구에서, 112명의 피험자에게 와슨 선택 과제 컴퓨터 버전을 제시한 결과, "임의적이지 않은 진화적으로 익숙한 문제의 수행은 임의적이고 진화적으로 새로운 문제의 수행보다 일반 지능과 더 강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275][276][277] 이는 진화 심리학자 레다 코스미데스와 존 투비가 ''The Adapted Mind|한국어 발음표기=The Adapted Mind영어''에서 제안한 사회 관계 맥락과 관련이 있다.
참조
[1]
논문
Kamphaus et al. 2005
[2]
논문
Deary et al. 2010
[3]
학술지
The myth of intelligence
https://psycnet.apa.[...]
2003
[4]
학술지
A Hierarchy Without a General Factor1
https://zenodo.org/r[...]
1916-09
[5]
논문
Jensen 1998, 545
[6]
인용
Adapted from Jensen 1998, 24. The correlation matrix was originally published in Spearman 1904, and it is based on the school performance of a sample of English children. While this analysis is historically important and has been highly influential, it does not meet modern technical standards. See Mackintosh 2011, 44''ff''. and Horn & McArdle 2007 for discussion of Spearman's methods.
[7]
인용
Adapted from Chabris 2007, Table 19.1.
[8]
논문
Gottfredson 1998
[9]
서적
Intelligence.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0]
논문
Spearman 1904
[11]
논문
Deary 2000, 6
[12]
논문
Jensen 1992
[13]
논문
Jensen 1998, 28
[14]
논문
van deer Maas et al. 2006
[15]
논문
Jensen 1998, 26, 36–39
[16]
논문
Jensen 1998, 26, 36–39, 89–90
[17]
논문
Jensen 2002
[18]
논문
Floyd et al. 2009
[19]
논문
Jensen 1980, 213
[20]
논문
Jensen 1998, 94
[21]
논문
Hunt 2011, 94
[22]
인용
Jensen 1998, 18–19, 35–36, 38. The idea of a general, unitary mental ability was introduced to psychology by [[Herbert Spencer]] and [[Francis Galton]] in the latter half of the 19th century, but their work was largely speculative, with little empirical basis.
[23]
논문
Jensen 1998, 91–92, 95
[24]
논문
Jensen 2000
[25]
논문
Mackintosh 2011, 157
[26]
논문
Jensen 1998, 117
[27]
논문
Bartholomew et al. 2009
[28]
논문
Jensen 1998, 120
[29]
논문
Jensen 1998, 120–121
[30]
논문
Mackintosh 2011, 157–158
[31]
논문
Rushton & Jensen 2010
[32]
논문
Mackintosh 2011, 44–45
[33]
학술지
A single g factor is not necessary to simulat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cognitive tests
2012
[34]
논문
Jensen 1998, 18, 31–32
[35]
논문
Carroll 1995
[36]
논문
Jensen 1982
[37]
논문
Jensen 1998, 73
[38]
논문
Deary 2012
[39]
논문
Mackintosh 2011, 57
[40]
논문
Jensen 1998, 46
[41]
서적
Carroll 1997. The total common factor variance consists of the variance due to the ''g'' factor and the group factors considered together. The variance not accounted for by the common factors, referred to as ''uniqueness'', comprises subtest-specific variance and measurement error.
[42]
논문
Davidson & Kemp 2011
[43]
간행물
Spearman's g found in 31 non-Western nations: Strong evidence that g is a universal phenomenon
http://psyarxiv.com/[...]
2019
[44]
논문
Mackintosh 2011, 151
[45]
논문
Jensen 1998, 31
[46]
논문
Mackintosh 2011, 151–153
[47]
논문
McGrew 2005
[48]
논문
Kvist & Gustafsson 2008
[49]
논문
Johnson et al. 2004
[50]
논문
Johnson et al. 2008
[51]
서적
Mackintosh 2011, 150–153. See also Keith et al. 2001 where the ''g'' factors from the [[Cognitive Assessment System|CAS]] and [[Woodcock–Johnson Tests of Cognitive Abilities|WJ III]] test batterie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indistinguishable, and Stauffer et al. 1996 where similar results were found for the [[Armed Services Vocational Aptitude Battery|ASVAB]] battery and a battery of cognitive-components-based tests.
[52]
웹사이트
G factor: Issue of design and interpretation
https://www.research[...]
[53]
간행물
Are cognitive g and academic achievement g one and the same g? An exploration on the Woodcock–Johnson and Kaufman tests
https://www.scienced[...]
[54]
논문
Jensen 1998, 88, 101–103
[55]
서적
The abilities of man
MacMillan
1927
[56]
간행물
Correlations of mental tests with each other and with cognitive variables are highest for low IQ groups
[57]
논문
Deary & Pagliari 1991
[58]
논문
Deary et al. 1996
[59]
논문
Tucker-Drob 2009
[60]
간행물
Spearman's Law of Diminishing Returns. A meta-analysis
[61]
간행물
The Great Debate: General Ability and Specific Abilities in the Prediction of Important Outcomes
2018-09
[62]
간행물
The Development of Talent and Excellence - Do Not Dismiss Psychometric Intelligence, the (Potentially) Most Powerful Predictor
https://www.research[...]
2014-01
[63]
논문
Jensen 1998, 270
[64]
논문
Gottfredson 2002
[65]
간행물
Non-g Factors Predict Educational and Occupational Criteria: More than g
2018-09
[66]
간행물
How Specific Abilities Might Throw 'g' a Curve: An Idea on How to Capitalize on the Predictive Validity of Specific Cognitive Abilities
2018-09
[67]
간행물
Specific Abilities in the Workplace: More Important Than g?
2017-04
[68]
논문
Sackett et al. 2008
[69]
논문
Jensen 1998, 272, 301
[70]
논문
Jensen 1998, 279–280
[71]
문서
Jensen 1998, 279
[72]
문서
Brody 2006
[73]
문서
Frey & Detterman 2004
[74]
문서
Schmidt & Hunter 2004
[75]
문서
Jensen 1998, 292–293
[76]
문서
Schmidt & Hunter 2004. These validity coefficients have been corrected for measurement error in the dependent variable (i.e., job or training performance) and for range restriction but not for measurement error in the independent variable (i.e., measures of ''g'').
[77]
논문
The relation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job performance: A meta-analysis
2011
[78]
논문
Emotional Intelligence, Cognitive Intelligence and Job Performance
2006
[79]
논문
The validity of aptitude tests in personnel selection
1973
[80]
논문
A meta-analytic review of predictors of job performance for salespeople.
[81]
논문
Validity and utility of alternative predictors of job performance.
[82]
논문
The evaluation of alternative measures of job performance
1991
[83]
논문
Systematic distortions in memory-based behavior ratings and performance evaluations: Consequences for rating accuracy.
[84]
논문
The Effects of Physical Attractiveness on Job-Related Outcomes: A Meta-Analysis of Experimental Studies
2003-06-01
[85]
논문
The Existence and Nature of Racial Bias in Supervisory Ratings.
[86]
논문
The Role of General Cognitive Ability and Job Performance: Why There Cannot Be a Debate
2002-04-01
[87]
논문
The validity and utility of selection methods in personnel psychology: Pract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of 85 years of research findings.
[88]
논문
Ethnic Group Differences in Cognitive Ability in Employment and Educational Settings: A Meta-Analysis
2001-06-01
[89]
논문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liability of job performance ratings.
[90]
논문
Implications of direct and indirect range restriction for meta-analysis methods and findings
2006
[91]
문서
Jensen 1998, 568
[92]
문서
Jensen 1998, 271
[93]
문서
Gottfredson 2007
[94]
논문
General Intelligence as a Domain-Specific Adaptation
https://psycnet.apa.[...]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95]
논문
Why Liberals and Atheists Are More Intelligent
2010-02-16
[96]
논문
Evolutionary Psychology and Intelligence Research
http://personal.lse.[...]
2010-05
[97]
논문
Why ''g'' is not an adaptation: a comment on Kanazawa (2004)
[98]
서적
The Adapted Mind: Evolutionary Psychology and the Generation of Culture
Oxford University Press
[99]
논문
General intelligence predicts reasoning ability even for evolutionarily familiar content
https://scottbarryka[...]
2010-05
[100]
논문
Is General Intelligence Compatible with Evolutionary Psychology?
https://www.psycholo[...]
Sussex Publishers
2011-07-02
[101]
논문
Genetics and general cognitive ability (g)
2002-04
[102]
문서
Deary et al. 2006
[103]
문서
Plomin & Spinath 2004
[104]
문서
Haworth et al. 2010
[105]
논문
Heritability in the genomics era — concepts and misconceptions
https://www.nature.c[...]
2008-04
[106]
논문
Socioeconomic Status Modifies Heritability of IQ in Young Children
http://journals.sage[...]
2003-11
[107]
논문
Heritability in the genomics era — concepts and misconceptions
https://www.nature.c[...]
2008
[108]
문서
Kovas & Plomin 2006
[109]
문서
Penke et al. 2007
[110]
문서
Chabris et al. 2012
[111]
문서
Plomin 2003
[112]
문서
Ashton, M. C., & Lee, K. (2005). Problems with the method of correlated vectors. Intelligence, 33(4), 431–444.
[113]
문서
Flynn, J. R. (2010). The spectacles through which I see the race and IQ debate. Intelligence, 38(4), 363–366.
[114]
문서
Jensen 1998, 189–197
[115]
문서
Mackintosh 2011, 134–138
[116]
문서
Chabris 2007
[117]
논문
The evolution of primate general and cultural intelligence
[118]
문서
Locurto, C., & Durkin, E. Problem-solv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in mice (Mus musculus) using water reinforcement. J Comp Psychol.
[119]
문서
Locurto, C. & Scanlon, C. Individual differences and a spatial learning factor in two strains of mice (Mus musculus). J. Comp. Psychol. 112, 344–352 (1998).
[120]
논문
How general is cognitive ability in non-human animals? A meta-analytical and multi-level reanalysis approach
2020-12-09
[121]
문서
Anderson, B. (2000). The g factor in non-human animals. The nature of intelligence, (285), 79.
[122]
논문
Evidence for a Collective Intelligence Factor in the Performance of Human Groups
2010-10-29
[123]
논문
Collective Intelligence and Group Performance
2015-12-01
[124]
문서
Jensen 1998, 146, 149–150
[125]
문서
Jensen 1998, 87–88
[126]
서적
Human Intelligenc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7]
문서
Mackintosh 2011, 360–373
[128]
논문
Black Americans Reduce the Racial IQ Gap: Evidence from Standardization Samples
http://www.iapsych.c[...]
2006
[129]
논문
Group differences in IQ are best understood as environmental in origin
http://people.virgin[...]
2013-07-22
[130]
문서
Jensen 1998, 369–399
[131]
논문
Famous artefacts: Spearman's hypothesis
1997
[132]
논문
Some new results on the Spearman hypothesis artifact
1989-05-01
[133]
문서
Hunt 2011, 421
[134]
문서
Lynn 2003
[135]
논문
Large Cross-National Differences in Gene x Socioeconomic Status Interaction on Intelligence
2016-02
[136]
논문
African IQ and Mental Retardation
2006-03-01
[137]
서적
Minority and cross-cultural aspects of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Swets & Zeitlinger
[138]
간행물
Case for Non-Biased Intelligence Testing Against Black Africans Has Not Been Made: A Comment on Rushton, Skuy, and Bons (2004)
https://www.doi.org/[...]
International Journal of Selection and Assessment
2006-09
[139]
간행물
Culture-Fair Cognitive Ability Assessment
https://web.archive.[...]
Assessment
2005
[140]
웹사이트
The attack of the psychometricians
http://users.fmg.uva[...]
PSYCHOMETRIKA
2006-09
[141]
문서
Jensen 1998, 213
[142]
문서
Ackerman et al. 2005
[143]
문서
Mackintosh 2011, 158
[144]
문서
Weinberg 1989
[145]
문서
Lautrey 2002
[146]
문서
Humphreys et al. 1985
[147]
간행물
Meta-analytic relations between personality and cognitive ability
2023-06-06
[148]
서적
Of Anchors & Sails: Personality-Ability Trait Constellations
https://umnlibraries[...]
University of Minnesota
2023-11-20
[149]
문서
von Stumm et al. 2011
[150]
문서
von Stumm et al. 2009
[151]
서적
Our Constellations. A Primer for "Of Anchors & Sails: Personality-ability trait constellations"
Pleiades Press
2023-11-20
[152]
문서
Jensen 1998, 577
[153]
문서
Eysenck 1995
[154]
문서
Lubinski 2009
[155]
문서
Robertson et al. 2010
[156]
간행물
A Legacy of Eugenics Underlies Racial-Group Comparisons in Intelligence Testing
https://www.cambridg[...]
2012-06
[157]
간행물
The Pseudoscience of Psychometry and the Bell Curve
https://www.jstor.or[...]
2022-10-23
[158]
간행물
Sordid genealogies: a conjectural history of Cambridge Analytica's eugenic roots
2020
[159]
간행물
The Pseudoscience of Psychometry and The Bell Curve
1995
[160]
서적
Pseudoscience and Mental Ability: The Origins and Fallacies of the IQ Controversy
https://eric.ed.gov/[...]
'Monthly Review Press, 62 West 14th Street, New York, New York 10011 ($13'
1978
[161]
문서
Jensen 1998, 122–123
[162]
문서
Sternberg et al. 1981
[163]
문서
Horn & McArdle 2007
[164]
문서
Jensen 1998, 123
[165]
문서
Jensen 1998, 124
[166]
문서
Jensen 1998, 125
[167]
문서
Mackintosh 2011, 152–153
[168]
문서
Jensen 1998, 77–78, 115–117
[169]
문서
Mackintosh 2011, 52, 239
[170]
문서
Jensen 1998, 128–132
[171]
문서
Deary 2001, 15–16
[172]
문서
Mackintosh 2011, 236–237
[173]
문서
Hunt 2011, 120–130
[174]
문서
Mackintosh 2011, 223–235
[175]
문서
Flynn 2011
[176]
서적
The Mismeasure of Man
https://www.worldcat[...]
W.W. Norton & Company
[177]
간행물
Inheritance of general intelligence.
http://doi.apa.org/g[...]
1972
[178]
문서
Kamphaus et al. 2005
[179]
문서
Deary et al. 2010
[180]
간행물
The myth of intelligence
https://psycnet.apa.[...]
2003
[181]
간행물
A Hierarchy Without a General Factor1
https://zenodo.org/r[...]
1916-09
[182]
문서
Jensen 1998, 545
[183]
간행물
Spearman's g found in 31 non-Western nations: Strong evidence that g is a universal phenomenon
http://psyarxiv.com/[...]
2019
[184]
문서
Jensen 1998, 24より改変。この相関行列はもともとSpearman 1904で公表され、イギリスの子供たちのサンプルの学校でのパフォーマンスに基づいている。この分析は歴史的に重要で、大きな影響を与えてきたが、現代の技術基準を満たしていない。スピアマンの方法論の議論については、Mackintosh 2011, 44以降およびHorn & McArdle 2007を参照。
[185]
문서
Chabris 2007, 表19.1より改変。
[186]
문서
Gottfredson 1998
[187]
서적
Intelligence.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88]
문서
Spearman 1904
[189]
문서
Deary 2000, 6
[190]
문서
Jensen 1992
[191]
문서
Jensen 1998, 28
[192]
문서
van deer Maas et al. 2006
[193]
문서
Jensen 1998, 26, 36–39
[194]
문서
Jensen 1998, 26, 36–39, 89–90
[195]
문서
Jensen 2002
[196]
문서
Floyd et al. 2009
[197]
문서
Jensen 1980, 213
[198]
문서
Jensen 1998, 94
[199]
문서
Hunt 2011, 9
[200]
문서
Jensen 1998, 18–19, 35–36, 38. 一般的で単一の精神能力という考えは、19世紀後半に[[ハーバート・スペンサー]]と[[フランシス・ゴルトン]]によって心理学に導入されたが、彼らの研究は主に推測的なものであり、経験的根拠に乏しかった。
[201]
문서
Jensen 1998, 91–92, 95
[202]
문서
Jensen 2000
[203]
문서
Mackintosh 2011, 157
[204]
문서
Jensen 1998, 117
[205]
문서
Bartholomew et al. 2009
[206]
문서
Jensen 1998, 120
[207]
문서
Jensen 1998, 120–121
[208]
문서
Mackintosh 2011, 157–158
[209]
문서
Rushton & Jensen 2010
[210]
문서
Mackintosh 2011, 44–45
[211]
논문
A single g factor is not necessary to simulat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cognitive tests
2012
[212]
서적
1998
[213]
서적
1995
[214]
서적
1982
[215]
서적
1998
[216]
서적
2012
[217]
서적
2011
[218]
서적
1998
[219]
서적
1997
[220]
서적
2011
[221]
서적
2011
[222]
서적
1998
[223]
서적
2011
[224]
서적
2005
[225]
서적
2008
[226]
서적
2004
[227]
서적
2008
[228]
서적
2011
[229]
웹사이트
G factor: Issue of design and interpretation
https://www.research[...]
2024-03-16
[230]
논문
Are cognitive g and academic achievement g one and the same g? An exploration on the Woodcock–Johnson and Kaufman tests
https://www.scienced[...]
2012
[231]
서적
1998
[232]
서적
The abilities of man
New York: MacMillan
1927
[233]
논문
Correlations of mental tests with each other and with cognitive variables are highest for low IQ groups
1989
[234]
서적
1991
[235]
서적
1996
[236]
서적
2009
[237]
논문
Spearman's Law of Diminishing Returns. A meta-analysis
2017
[238]
논문
The Great Debate: General Ability and Specific Abilities in the Prediction of Important Outcomes
2018-09
[239]
논문
The Development of Talent and Excellence - Do Not Dismiss Psychometric Intelligence, the (Potentially) Most Powerful Predictor
https://www.research[...]
2014-01
[240]
서적
1998
[241]
서적
2002
[242]
논문
Non-g Factors Predict Educational and Occupational Criteria: More than g
2018-09
[243]
논문
How Specific Abilities Might Throw 'g' a Curve: An Idea on How to Capitalize on the Predictive Validity of Specific Cognitive Abilities
2018-09
[244]
논문
Specific Abilities in the Workplace: More Important Than g?
2017-04
[245]
서적
2008
[246]
문서
Jensen 1998, 272, 301
[247]
문서
Jensen 1998, 279–280
[248]
문서
Jensen 1998, 279
[249]
문서
Brody 2006
[250]
문서
Frey & Detterman 2004
[251]
문서
Schmidt & Hunter 2004
[252]
문서
Jensen 1998, 292–293
[253]
문서
Schmidt & Hunter 2004. これらの妥当性係数は、従属変数(すなわち、職務または訓練のパフォーマンス)の測定誤差と範囲制限について修正されているが、独立変数(すなわち、''g''の尺度)の測定誤差については修正されていない。
[254]
간행물
The relation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job performance: A meta-analysis
2011
[255]
간행물
Emotional Intelligence, Cognitive Intelligence and Job Performance
2006
[256]
간행물
The validity of aptitude tests in personnel selection
1973
[257]
간행물
A meta-analytic review of predictors of job performance for salespeople.
[258]
간행물
Validity and utility of alternative predictors of job performance.
[259]
간행물
The evaluation of alternative measures of job performance
1991
[260]
간행물
Systematic distortions in memory-based behavior ratings and performance evaluations: Consequences for rating accuracy.
[261]
간행물
The Effects of Physical Attractiveness on Job-Related Outcomes: A Meta-Analysis of Experimental Studies
2003-06-01
[262]
간행물
The Existence and Nature of Racial Bias in Supervisory Ratings.
[263]
간행물
The Role of General Cognitive Ability and Job Performance: Why There Cannot Be a Debate
2002-04-01
[264]
간행물
The validity and utility of selection methods in personnel psychology: Pract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of 85 years of research findings.
[265]
간행물
Ethnic Group Differences in Cognitive Ability in Employment and Educational Settings: A Meta-Analysis
2001-06-01
[266]
간행물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liability of job performance ratings.
[267]
간행물
Implications of direct and indirect range restriction for meta-analysis methods and findings
2006
[268]
문서
Jensen 1998, 568
[269]
문서
Jensen 1998, 271
[270]
문서
Gottfredson 2007
[271]
간행물
General Intelligence as a Domain-Specific Adaptation
https://psycnet.apa.[...]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72]
간행물
Why Liberals and Atheists Are More Intelligent
2010-02-16
[273]
간행물
Evolutionary Psychology and Intelligence Research
http://personal.lse.[...]
2010-05
[274]
간행물
Why ''g'' is not an adaptation: a comment on Kanazawa (2004)
[275]
서적
The Adapted Mind: Evolutionary Psychology and the Generation of Culture
Oxford University Press
[276]
간행물
General intelligence predicts reasoning ability even for evolutionarily familiar content
https://scottbarryka[...]
2010-05
[277]
간행물
Is General Intelligence Compatible with Evolutionary Psychology?
https://www.psycholo[...]
Sussex Publishers
2011-07-02
[278]
간행물
Genetics and general cognitive ability (g)
2002-04
[279]
문서
Deary et al. 2006
[280]
문서
Plomin & Spinath 2004
[281]
문서
Haworth et al. 2010
[282]
논문
Heritability in the genomics era — concepts and misconceptions
https://www.nature.c[...]
2008-04
[283]
논문
Socioeconomic Status Modifies Heritability of IQ in Young Children
http://journals.sage[...]
2003-11
[284]
논문
Heritability in the genomics era — concepts and misconceptions
https://www.nature.c[...]
2008
[285]
문서
Kovas & Plomin 2006
[286]
문서
Penke et al. 2007
[287]
문서
Chabris et al. 2012
[288]
문서
Plomin 2003
[289]
문서
Ashton, M. C., & Lee, K. (2005). Problems with the method of correlated vectors. Intelligence, 33(4), 431–444.
[290]
문서
Flynn, J. R. (2010). The spectacles through which I see the race and IQ debate. Intelligence, 38(4), 363–366.
[291]
문서
Jensen 1998, 189–197
[292]
문서
Mackintosh 2011, 134–138
[293]
문서
Chabris 2007
[294]
논문
The evolution of primate general and cultural intelligence
[295]
문서
Locurto, C., & Durkin, E. Problem-solv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in mice (Mus musculus) using water reinforcement. J Comp Psychol.
[296]
문서
Locurto, C. & Scanlon, C. Individual differences and a spatial learning factor in two strains of mice (Mus musculus). J. Comp. Psychol. 112, 344–352 (1998).
[297]
논문
How general is cognitive ability in non-human animals? A meta-analytical and multi-level reanalysis approach
2020-12-09
[298]
문서
Anderson, B. (2000). The g factor in non-human animals. The nature of intelligence, (285), 79.
[299]
논문
Evidence for a Collective Intelligence Factor in the Performance of Human Groups
2010-10-29
[300]
논문
Collective Intelligence and Group Performance
2015-12-01
[301]
문서
Jensen 1998, 146, 149–150
[302]
문서
Jensen 1998, 87–88
[303]
서적
Human Intelligence
https://books.google[...]
ケンブリッジ大学出版局
[304]
문서
Mackintosh 2011, 360–373
[305]
논문
Black Americans Reduce the Racial IQ Gap: Evidence from Standardization Samples
http://www.iapsych.c[...]
2006
[306]
논문
Group differences in IQ are best understood as environmental in origin
http://people.virgin[...]
2013-07-22
[307]
문서
Jensen 1998, 369–399
[308]
논문
Famous artefacts: Spearman's hypothesis
1997
[309]
논문
Some new results on the Spearman hypothesis artifact
1989-05-01
[310]
문서
Hunt 2011, 421
[311]
문서
Lynn 2003
[312]
논문
Large Cross-National Differences in Gene x Socioeconomic Status Interaction on Intelligence
2016-02
[313]
논문
African IQ and Mental Retardation
2006-03-01
[314]
서적
Minority and cross-cultural aspects of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Swets & Zeitlinger
[315]
간행물
Case for Non-Biased Intelligence Testing Against Black Africans Has Not Been Made: A Comment on Rushton, Skuy, and Bons (2004)
https://www.doi.org/[...]
International Journal of Selection and Assessment
2006-09
[316]
웹사이트
Culture-Fair Cognitive Ability Assessment
https://web.archive.[...]
Steven P. Verney Assessment
2005
[317]
Webarchive
The attack of the psychometricians
http://users.fmg.uva[...]
DENNY BORSBOOM
2007-06-08
[318]
서적
Jensen 1998
[319]
서적
Ackerman et al. 2005
[320]
서적
Mackintosh 2011
[321]
서적
Weinberg 1989
[322]
서적
Lautrey 2002
[323]
서적
Humphreys et al. 1985
[324]
논문
Meta-analytic relations between personality and cognitive ability
2023-06-06
[325]
서적
Of Anchors & Sails: Personality-Ability Trait Constellations
https://umnlibraries[...]
University of Minnesota
2023-11-20
[326]
서적
von Stumm et al. 2011
[327]
서적
von Stumm et al. 2009
[328]
서적
Our Constellations. A Primer for "Of Anchors & Sails: Personality-ability trait constellations"
Pleiades Press
2023-11-20
[329]
서적
Jensen 1998
[330]
서적
Eysenck 1995
[331]
서적
Lubinski 2009
[332]
서적
Robertson et al. 2010
[333]
논문
A Legacy of Eugenics Underlies Racial-Group Comparisons in Intelligence Testing
https://www.cambridg[...]
2012-06
[334]
논문
The Pseudoscience of Psychometry and the Bell Curve
https://www.jstor.or[...]
2022-10-23
[335]
논문
Sordid genealogies: a conjectural history of Cambridge Analytica's eugenic roots
2020
[336]
논문
The Pseudoscience of Psychometry and The Bell Curve
1995
[337]
서적
Pseudoscience and Mental Ability: The Origins and Fallacies of the IQ Controversy
https://eric.ed.gov/[...]
Monthly Review Press, 62 West 14th Street, New York, New York 10011
1978
[338]
서적
Jensen 1998
[339]
서적
Sternberg et al. 1981
[340]
서적
Horn & McArdle 2007
[341]
서적
Jensen 1998
[342]
서적
Jensen 1998
[343]
서적
Jensen 1998
[344]
서적
Mackintosh 2011
[345]
서적
Jensen 1998
[346]
서적
Mackintosh 2011
[347]
서적
Jensen 1998
[348]
서적
Deary 2001
[349]
서적
Mackintosh 2011
[350]
서적
Hunt 2011
[351]
서적
Mackintosh
2011
[352]
서적
Flynn
2011
[353]
서적
The Mismeasure of Man
https://www.worldcat[...]
W.W. Norton & Company
[354]
논문
Inheritance of general intelligence.
http://doi.apa.org/g[...]
1972
[355]
서적
Thurstone
1947
[356]
서적
Spearman
1927
[357]
서적
The measurement of adult intelligence
Williams & Wilkins
1939
[358]
웹사이트
Creativity and Intelligence
https://link.springe[...]
[359]
서적
Kagan
198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