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뇌파는 뇌의 전기적 활동을 나타내는 복잡한 패턴으로, 1875년 최초로 기록된 이래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뇌파는 주파수에 따라 델타파, 세타파, 알파파, 베타파, 감마파 등으로 분류되며, 각 파형은 뇌의 특정 영역과 기능적 연관성을 갖는다. 뇌파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제어 신호로 활용되거나, 뇌전증, 파킨슨병 등 뇌 질환의 진단 및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경 회로 - 신경가소성
신경가소성은 뇌의 구조와 기능이 경험, 학습, 손상에 따라 변화하는 능력이며, 시냅스 가소성, 구조적 가소성으로 나뉘어 뇌졸중, 학습 장애 등의 치료와 재활, 명상, 예술 활동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신경 회로 - 신경 경로
신경 경로는 뉴런들이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형성하는 연결망으로, 뇌의 특징을 기준으로 명명되다가 기원과 종착지 기준으로 명명되는 경향이 있으며, 행동 조절에 관여하는 피질-대뇌 기저핵-시상-피질 회로와 도파민 경로에 의해 조절된다. - 계산신경과학 - 인공 신경망
- 계산신경과학 - 인공 일반 지능
인공 일반 지능(AGI)은 추론, 지식 표현, 학습 등의 능력을 갖춘 인공지능 시스템을 의미하며, 기아와 빈곤 해결 등의 이점을 제공하지만 통제력 상실과 같은 위험도 존재한다. - 뇌 - 마음
마음은 의식, 사고, 지각, 감정, 동기, 행동, 기억, 학습 등을 포괄하는 심리적 현상과 능력의 총체이며,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인간 삶의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 뇌 - 뇌하수체
뇌하수체는 터키안에 위치한 콩알 크기의 기관으로, 전엽, 중엽, 후엽으로 구성되어 인체의 생리 기능을 조절하는 호르몬을 분비하며, 시상하부의 조절을 받고 기능 이상 시 질병을 유발하고 외배엽과 신경외배엽에서 발생한다.
| 뇌파 | |
|---|---|
| 개요 | |
| 정의 | 중추신경계에서 뉴런 집단이 동기화되어 발생하는 반복적인 신경 활동 패턴 |
| 특징 | 신경 활동의 리듬 또는 진동 |
| 측정 방법 | 뇌파, 뇌자도 등을 통해 측정 |
| 기능 | 인지, 감정, 행동 조절에 관여 |
| 뇌파 종류 | |
| 델타파 (δ) | 주파수: 0.5-4 Hz 특징: 깊은 수면 상태에서 주로 나타남 |
| 세타파 (θ) | 주파수: 4-8 Hz 특징: 졸음, 명상 상태에서 주로 나타남 |
| 알파파 (α) | 주파수: 8-12 Hz 특징: 눈을 감고 휴식할 때 주로 나타남, 각성 상태와 관련 |
| 뮤파 (µ) | 주파수: 8-13 Hz 특징: 운동 피질에서 발생, 운동 억제와 관련 |
| 베타파 (β) | 주파수: 12-30 Hz 특징: 깨어 있는 상태, 인지 활동과 관련 |
| 감마파 (γ) | 주파수: 30-100 Hz 특징: 고도의 인지 처리, 주의 집중과 관련 |
| 생리학적 중요성 | |
| 수면 | 수면 단계 조절에 관여 (델타파, 세타파) |
| 인지 기능 | 주의 집중, 기억, 학습 등에 관여 (알파파, 베타파, 감마파) |
| 감정 조절 | 감정 상태에 따라 뇌파 패턴 변화 |
| 의식 상태 | 의식 수준 변화에 따라 뇌파 패턴 변화 |
| 임상적 중요성 | |
| 뇌 질환 진단 | 뇌전증, 수면 장애, 뇌졸중 등 뇌 질환 진단에 활용 |
| 신경 피드백 | 뇌파 조절을 통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DHD) 등 치료에 활용 |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 뇌파를 이용하여 컴퓨터나 장치 제어 |
| 연구 동향 | |
| 인지 신경 과학 | 뇌파를 이용한 인지 과정 연구 |
| 신경 공학 | 뇌파 기반 기술 개발 |
| 의학 | 뇌 질환 진단 및 치료 기술 개발 |
| 참고 문헌 | |
2. 역사
리버풀의 내과의사 리처드 카튼(Richard Caton, 1842년~1926년)은 1875년 토끼와 원숭이의 대뇌반구에서 전기적 현상을 발견하여 보고하였는데, 이것이 현재 알려진 뇌파에 대한 가장 최초의 기록이다.[3] 아돌프 베크는 1890년에 토끼와 개의 뇌 표면에 직접 전극을 배치하여 감지한 빛에 의해 변화하는 리듬 진동을 포함하는 자발적인 뇌 전기 활동에 대한 관찰 결과를 발표했다.[4] 1913년, 러시아 생리학자 블라디미르 블라디미로비치 프라디치-레민스키(Vladimir Vladimirovich Pravdich-Neminsky)는 최초의 뇌전도와 포유류(개)의 유발 전위(evoked potential)를 보고하였다.[5]
뇌파는 뇌 영역별 세포 구조와 신경세포 종류의 차이로 인해 복잡한 패턴을 보인다. 주파수 조성과 기능도 영역별로 다르다. 따라서 뇌파는 파형 자체보다 주파수별로 분류하는 파워 스펙트럼 분석이나 사건 관련 전위 연구를 통해 분석한다.
사람의 뇌전도에 대한 연구를 본격적으로 시작한 인물은 독일의 생리학자 한스 베르거이다. 그는 1920년 인간 뇌전도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였다. '뇌전도'라는 용어도 그가 처음 제안하였다. 그의 연구는 후에 에드가 더글라스 아드리안(Edgar Douglas Adrian)에 의해 확장된다.
1950년대 영국 내과의사 윌리엄 그레이 월터(William Grey Walter)는 뇌전도 지도(EEG topography)라는 장치를 만들어냈다. 이것은 뇌의 표면에 걸친 전기적 활동을 지도로 만들어준다. 뇌전도 지도는 1980년대 짧은 인기를 누렸으며, 정신의학을 위한 것처럼 보였다. 당시 신경학자들은 이것을 받아들이지 않았으나 현재는 신경학자, 심리학자, 신경과 의사 등 각개의 전문가들에 의해 중요한 연구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3. 뇌파의 종류
뇌파는 주파수에 따라 델타파, 세타파, 알파파, 베타파, 감마파로 구분된다. 학자와 연구 목적에 따라 주파수 구분 기준은 달라진다.3. 1. 델타파 (0-4 Hz)
델타파는 0~4 Hz 구간의 뇌파이다. 가장 낮은 주파수이기 때문에 사람의 움직임 등에 의해 신호가 오염되는 경우가 잦다. 수면 시 발생하기 때문에 "수면파"라고도 불린다. 의식이 사라질 때 델타파의 진폭이 높아지는 현상이 주로 관찰된다.[118] 델타파는 서로 멀리 떨어져 있는 영역 사이의 정보 전달에 사용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3. 2. 세타파 (4-8 Hz)
세타파는 4 Hz ~ 8 Hz 구간의 뇌파를 말한다. 잠에 빠져들 때 나타나기 때문에 "졸음파" 또는 "서파수면파(徐波睡眠波)"라고도 부른다.[1] 학계에서는 해마에서 나타나는 세타파의 기능적인 역할에 주목하고 있다.[1] 해마에서 세타파와 감마파의 동조가 기억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밝혀져 있다.[1]
3. 3. 알파파 (8-13 Hz)
알파파는 8Hz에서 13Hz 사이의 주파수를 가진 뇌파를 말한다. 주로 몸과 마음이 안정되고 정신 활동이 적을 때 나타난다. 주의를 집중하거나 고등 인지 활동을 할 때 알파파는 감소한다. 눈을 감았을 때 후두엽에서 알파파의 진폭이 크게 증가하는 특징이 있어, 정신 기능과의 연관성이 가장 먼저 주목받고 기록되었다. 이 때문에 가장 먼저 보고되었기 때문에 알파파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운동 영역에서는 알파파를 세분화하여 뮤파와 SMR파(Sensorimoter Wave)로 구분하기도 한다.
알파파 발생에 대한 가설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앤더슨(Andersen) 등의 가설에서는 피질의 알파파가 시상으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발생한다고 본다. 이 가설에 따르면 시상에 존재하는 일종의 페이스메이커가 뇌파를 형성하고, 시상의 반회성 억제 뉴런의 활동이 주파수를 결정한다. 즉, 시상 뉴런군에서 발생하는 탈분극, 과분극으로 이루어진 시냅스후전위의 율동성 진동에 의해 알파파가 만들어진다. 뇌파 율동 주파수는 시상 뉴런의 막전위 수준에 의존한다.
누네즈(Nunez) 등의 가설에서는 피질과 피질 사이를 연결하는 긴 연합 섬유에 의해 알파파가 생긴다고 본다.
3. 4. 베타파 (13-30 Hz)
베타파는 13~30 Hz 구간의 뇌파를 의미한다. 일상적으로 깨어 있는 상태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운동 영역에서는 베타파의 ERD(event-related desynchronization, 사건 관련 탈동기화)가 나타난다.[1]
3. 5. 감마파 (30 Hz 이상)
30 Hz 이상의 뇌파를 감마파라고 한다. 감마파부터는 교류전류로부터 발생한 60 Hz 정수배 신호의 노이즈가 섞여 들어간다. 고주파로 갈수록 개별 활동전위를 반영하는 것으로 여겨지며, 이들을 HGA (high gamma activity)라 한다. 100 Hz|100 헤르츠영어 이상에서는 두개외 뇌전도로 측정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병리학적으로는 리플(ripple)과 패스트 리플(fast ripple)로 구분하기도 하는데, 이들을 HFO (high-frequency oscillation)라고 하며 뇌전증 발작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1]
4. 뇌파의 생리학적 기전
뇌파는 중추신경계 아래쪽부터 위쪽까지 모든 영역에서 관찰되는 특정한 진동 활동의 결과이다. 이러한 진동은 단일 뉴런 수준(미시적 관점), 국소적인 뉴런 집단 수준(중간적 관점), 그리고 여러 뇌 영역 간의 상호작용 수준(거시적 관점)에서 설명할 수 있다.[119]
뇌 진동은 활동 전위(스파이크 열차), 국소 전위, 뇌파검사법(EEG)으로 측정할 수 있는 대규모 진동을 포함한다. 이러한 진동은 주파수, 진폭, 위상으로 특징지을 수 있으며, 시간-주파수 분석을 통해 신경 기록에서 추출할 수 있다. 대규모 진동에서 진폭 변화는 신경 앙상블 내 동기화 변화, 즉 국소 동기화의 결과로 나타난다. 멀리 떨어진 신경 구조(단일 뉴런 또는 신경 앙상블) 간 진동 활동도 동기화될 수 있다. 뉴런 동기화의 반대 현상은 신경 격리인데, 이는 뉴런의 전기적 활동이 시간적으로 동기화되지 않는 상태로, 신호가 다음 뉴런으로 전파될 확률이 낮아져 인지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뇌 진동은 대규모 뉴런 그룹의 활동에서 가장 널리 연구되었으며, EEG와 같은 기술로 측정할 수 있다. EEG 신호는 핑크 노이즈와 유사한 광범위한 스펙트럼을 가지지만,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는 진동 활동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대표적인 주파수 대역은 알파파(8–12 Hz), 델타파(1–4 Hz), 세타파(4–8 Hz), 베타파(13–30 Hz), 감마파(30–150 Hz) 등이다. 감마파와 같이 빠른 리듬은 인지 처리와 관련이 있으며, 수면 중에는 EEG 신호가 극적으로 변화하여 수면 단계를 구분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뇌 진동은 뇌-컴퓨터 인터페이스와 같이 외부 장치를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4. 1. 미시적 관점
개별 뉴런은 막전위 변화에 따라 활동 전위를 생성한다. 이를 스파이크열(spike train)이라고 하며, 신경 부호화(neural coding)의 기초가 된다.[120] 스파이크열은 규칙적인 활동이나 버스팅(bursting) 등 다양한 패턴을 보이며, 종종 진동 활동을 나타낸다. 뉴런의 진동 활동은 역치를 넘지 않는 막전위 변화에서도 관찰된다. 이는 시냅스로부터 받은 동기화된 입력에 의한 시냅스후 전위나 뉴런 자체의 특성 때문에 발생한다.뉴런의 스파이킹 패턴은 흥분성(excitability)에 따라 Class I과 Class II로 나뉜다.
- Class I 뉴런: 입력 강도에 따라 임의의 낮은 주파수로 활동 전위를 생성할 수 있다.
- Class II 뉴런: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활동 전위를 생성하며, 입력 강도 변화에 덜 민감하다. 이들은 역치 이하 진동을 더 잘 나타낸다.[121]
4. 2. 중간적 관점
여러 개의 뉴런들이 시냅스를 통해 상호작용하며 규칙적인 진동 패턴을 생성한다. 서로 다른 뉴런들의 발화 패턴이 동기화되면, 그에 따른 전위 변화가 누적되어 국소장 전위(local field potential)의 대규모 진동이 발생한다. 이러한 진동은 두피 외부에서 뇌전도(EEG)나 뇌자도(MEG)를 통해 측정할 수 있다. EEG와 MEG는 수천 또는 수백만 개의 뉴런이 동시에 동기화될 때 발생하는 전위를 반영한다.[122]뉴런 집단의 진동은 흥분성 뉴런과 억제성 뉴런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내재적으로 발생한다. 특히 억제성 연합신경세포는 흥분성 뉴런의 발화율을 규칙적으로 조절하여 동기화를 유도한다.[123] 뇌 진동은 활동 전위(스파이크 열차), 국소 전위 및 뇌파검사법(EEG)으로 측정할 수 있는 대규모 진동을 포함한다.
4. 3. 거시적 관점
서로 연결된 뇌 영역들 간의 상호작용에서도 진동 활동이 발생한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구조적인 연결, 즉 커넥톰에 기반하며, 각 영역 사이의 전달 지연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124] 뇌 영역들은 상호 양방향으로 연결되어 피드백 고리를 형성한다. 특히 시상과 대뇌피질 간의 연결은 재발성 시상-피질 공명(recurrent thalamo-cortical resonance)이라는 진동 활동을 생성하는데, 이러한 네트워크는 알파파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이 잘 알려져 있다.[125][126]5. 뇌파의 활용
단일 뉴런과 뉴런 집단은 자발적으로, 또는 지각적 입력이나 운동 출력에 대한 반응으로 진동 활동을 생성할 수 있다. 뇌 전체 활동은 휴지기 상태에서도 진동을 나타내는데, 이러한 지속적인 리듬은 외부 자극에 의해 주파수, 진폭, 위상 등이 변하거나 일시적으로 중단될 수 있다.
신경 진동은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BCI)의 제어 신호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피에 부착된 전극으로 측정된 뇌파(EEG) 신호를 이용하여 외부 물체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뮤파 및 베타파 리듬과 같은 특정 주파수 대역의 진동 활동 진폭을 조절하여 장치를 제어하는 BCI도 있다.
특정 유형의 신경 진동은 파킨슨병이나 간질과 같은 질병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화된 간질 발작에서는 정상적인 수면 방추 진동과 유사한 스파이크 및 파동 진동이 나타난다. 본태성 진전이나 파킨슨병 진전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진전은 중추신경계의 신경 진동 및 말초 메커니즘의 영향을 받는다. 뇌전증은 뇌의 비정상적인 과동기화된 신경 활동으로 인해 발작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시상피질 이율배반 (TCD)에서는 정상적인 재발성 시상-피질 공명이 파괴되어 시상-피질 기둥의 주파수가 느려진다. 이는 시상절제술과 같은 신경외과적 방법으로 치료할 수 있다.
뇌파는 뇌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따라서 뇌파 기반 생체 지표는 임상 시험 및 전임상 연구에서 효과를 정량화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생체 지표는 정량적 뇌파 검사(qEEG)를 통해 정량화되며, 오픈 소스 도구 상자를 사용하여 뇌파에서 추출할 수 있다.
5. 1.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BCI)
신경 진동은 다양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BCI)에서 제어 신호로 활용된다.[112] 예를 들어, 전극을 두피에 부착하여 약한 전기 신호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비침습적 BCI를 만들 수 있다. 두개골이 전자기 신호를 약화시키고 흐릿하게 만들기 때문에, 비침습적 BCI로는 개별 뉴런의 활동을 기록할 수 없지만, 진동 활동은 여전히 안정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BCI는 1973년 비달(Vidal)에 의해 처음 소개되었으며,[113] 이는 뇌파(EEG) 신호를 사용하여 사람의 신체 외부 물체를 제어하는 도전을 제시했다.1988년에는 알파 리듬이 로봇과 같은 물리적 물체를 제어하기 위한 뇌 리듬 기반 BCI에 사용되었다.[114][115] 알파 리듬 기반 BCI는 로봇 제어를 위한 최초의 BCI였다.[116][117] 특히, 일부 BCI는 사용자가 뮤 및 베타 리듬을 포함한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진동 활동의 진폭을 조절하여 장치를 제어할 수 있게 한다.
5. 2. 뇌 질환 진단 및 치료
특정 유형의 신경 진동은 파킨슨병이나 간질과 같은 병리학적 상황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병리학적 진동은 종종 정상적인 진동의 비정상적인 형태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가장 잘 알려진 유형 중 하나는 일반화된 또는 결신성 간질 발작에 전형적이며 정상적인 수면 방추 진동과 유사한 스파이크 및 파동 진동이다.[109]
진전은 하나 이상의 신체 부위의 앞뒤 움직임을 포함하는, 자발적이고 다소 리듬적인 근육 수축과 이완이다. 이는 모든 불수의 운동 중 가장 흔하며 손, 팔, 눈, 얼굴, 머리, 성대, 몸통 및 다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대부분의 진전은 손에서 발생한다. 어떤 사람들에게 진전은 다른 신경학적 질환의 증상이다. 본태성 진전 또는 파킨슨병 진전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진전이 확인되었다. 진전은 중추 신경계의 신경 진동뿐만 아니라 반사 루프 공명과 같은 말초 메커니즘의 기여와 함께 다인자적 기원을 가질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된다.[109]

뇌전증은 발작을 특징으로 하는 흔한 만성 신경 질환이다. 이러한 발작은 뇌의 비정상적이고 과도하거나 과동기화된 신경 활동의 일시적인 징후 및/또는 증상이다.[110]
시상피질 이율배반(TCD)에서 정상적인 재발성 시상-피질 공명이 파괴된다. 시상의 입력 손실은 기계 학습에 의해 MEG 및 EEG로 확인된 바와 같이 시상-피질 기둥의 주파수를 세타 또는 델타 대역으로 늦추도록 한다.[111] TCD는 신경외과적 방법인 시상절제술과 같은 방법으로 치료할 수 있다.
뇌파는 뇌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약물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따라서 뇌파를 기반으로 하는 생체 지표는 임상 시험에서 보조 종말점으로, 전임상 연구에서 효과를 정량화하는 데 사용되는 지표로 부상하고 있다. 이러한 생체 지표는 종종 "뇌파 생체 지표" 또는 "신경 생리학적 생체 지표"라고 불리며, 정량적 뇌파 검사(qEEG)를 사용하여 정량화된다. 뇌파 생체 지표는 오픈 소스 신경 생리학적 생체 지표 도구 상자를 사용하여 뇌파에서 추출할 수 있다.
6. 뇌파 연구의 과제와 미래
뇌파는 복잡하고 다양한 패턴을 보이며, 아직까지 그 기전과 기능이 완전히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다.[1] 뇌파 연구는 뇌 기능을 이해하고, 뇌 질환을 극복하며, 인간의 인지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1] 뇌파 연구의 발전을 위해서는 뇌과학, 의학, 공학 등 다양한 분야의 융합 연구가 필요하다.[1]
뇌 진동은 활동 전위, 국소 전위, 뇌파검사법(EEG) 등 다양한 수준에서 관찰된다.[1] 대규모 뉴런 그룹의 활동은 EEG 신호로 측정될 수 있으며, 이 신호는 핑크 노이즈와 유사하지만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진동 활동을 나타낸다.[1] 알파파(8–12 Hz), 델타파(1-4 Hz), 세타파(4-8 Hz), 베타파(13-30 Hz), 감마파(30-70 Hz, 70-150 Hz) 등 다양한 주파수 대역이 존재하며, 이들은 인식 및 의식과 같은 인지 상태와 관련되어 있다.[1]
뇌 진동은 심장 주기와 같은 리듬 활동 생성, 감각 특징의 신경 결합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1] 또한, 뇌전증의 발작 활동, 파킨슨병 환자의 진전과 같은 신경 질환과도 관련이 있으며, 뇌-컴퓨터 인터페이스와 같은 외부 장치 제어에도 활용될 수 있다.[1]
단일 뉴런과 뉴런 집단은 자발적으로 진동 활동을 생성하거나, 지각적 입력 또는 운동 출력에 대한 진동 반응을 보일 수 있다.[1] 지속적인 뇌 활동은 휴지기 상태에서도 관찰되며, 외부 자극에 의해 주파수, 진폭, 위상 등이 변화하거나 일시적으로 중단될 수 있다.[1]
참조
[1]
논문
Activation Complexity: A Cognitive Impairment Tool for Characterizing Neuro-isolation
2020-03-03
[2]
논문
Intrinsic electrical properties of mammalian neurons and CNS function: a historical perspective
[3]
웹사이트
Caton, Richard - The electric currents of the brain
http://echo.mpiwg-be[...]
2018-12-21
[4]
논문
Adolf Beck: a forgotten pioneer in electroencephalography
2014
[5]
논문
Ein Versuch der Registrierung der elektrischen Gehirnerscheinungen
[6]
논문
A mechanism for cognitive dynamics: neuronal communication through neuronal coherence
2005-10
[7]
논문
The role of phase synchronization in memory processes
2011-02
[8]
논문
Normal and pathological oscillatory communication in the brain
2005-04
[9]
논문
Neural mechanisms of object-based attention
2014-04
[10]
논문
Alpha-Band Oscillations Enable Spatially and Temporally Resolved Tracking of Covert Spatial Attention
2017-07
[11]
논문
Decoding object-based auditory attention from source-reconstructed MEG alpha oscillations
https://www.jneurosc[...]
2021-08
[12]
논문
Alpha Synchrony and the Neurofeedback Control of Spatial Attention
2020-02
[13]
논문
Uber das Elektroenkephalogramm des Menschen
[14]
논문
Neural mechanisms of object-based attention
2014-04
[15]
논문
Cyclic variations in EEG during sleep and their relation to eye movements, body motility, and dreaming
1957-11
[16]
논문
Temporal binding and the neural correlates of sensory awareness
2001-01
[17]
논문
The brainweb: phase synchronization and large-scale integration
2001-04
[18]
서적
Dynamical systems in neuroscience
The MIT Press
[19]
논문
Oscillatory activity of single units in a somatosensory cortex of an awake monkey and their possible role in texture analysis
[20]
논문
Oscillatory properties of guinea-pig inferior olivary neurones and their pharmacological modulation: an in vitro study
1986-07
[21]
논문
The oscillation score: an efficient method for estimating oscillation strength in neuronal activity
2008-03
[22]
논문
The neurodynamics of behavior. A phylobiological foreword
[23]
논문
Dynamics of pattern formation in lateral-inhibition type neural fields
https://doi.org/10.1[...]
1977-06-01
[24]
논문
Dynamic Pattern Generation in Behavioral and Neural Systems
https://www.science.[...]
1988-03-25
[25]
논문
Fully Implanted Brain-Computer Interface in a Locked-In Patient with ALS
2016-11
[26]
서적
Principles of brain functioning
Springer
[27]
논문
Neurophysiological and computational principles of cortical rhythms in cognition
2010-07
[28]
서적
Electric fields of the brain: The neurophysics of EEG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9]
논문
Driving fast-spiking cells induces gamma rhythm and controls sensory responses
2009-06
[30]
논문
The neuronal basis for consciousness
1998-11
[31]
논문
Neuronal mechanisms and attentional modulation of corticothalamic α oscillations
2011-03
[32]
논문
Computational model of thalamo-cortical networks: dynamical control of alpha rhythms in relation to focal attention
2001-12
[33]
논문
Exploring mechanisms of spontaneous functional connectivity in MEG: how delayed network interactions lead to structured amplitude envelopes of band-pass filtered oscillations
2014-04
[34]
논문
The intrinsic electrophysiological properties of mammalian neurons: insights into central nervous system function
1988-12
[35]
논문
In vitro neurons in mammalian cortical layer 4 exhibit intrinsic oscillatory activity in the 10- to 50-Hz frequency range
1991-02
[36]
논문
Decoding temporally encoded sensory input by cortical oscillations and thalamic phase comparators
[37]
논문
Asymmetry in pulse-coupled oscillators with delay
https://research.vu.[...]
2009-06-01
[38]
서적
Synchronization: a universal concept in nonlinear scienc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39]
웹사이트
2004
http://www.pnas.org/[...]
[40]
논문
Microglia contribute to neuronal synchrony despite endogenous ATP-related phenotypic transformation in acute mouse brain slices
2024-01-01
[41]
논문
Resting GABA concentration predicts peak gamma frequency and fMRI amplitude in response to visual stimulation in humans
2009-05-01
[42]
논문
Brain stem reticular formation and activation of the EEG
1949-11-01
[43]
논문
Neuronal oscillations in cortical networks
2004-06-01
[44]
논문
The Hodgkin-Huxley Heritage: From Channels to Circuits
2012-10-02
[45]
논문
Recherches quantitatives sur l'excitation electrique des nerfs
[46]
논문
Lapicque's introduction of the integrate-and-fire model neuron (1907)
[47]
논문
Inhibition-based rhythms: experimental and mathematical observations on network dynamics
2000-12-01
[48]
논문
Broadband macroscopic cortical oscillations emerge from intrinsic neuronal response failures
2015-01-01
[49]
논문
Relevance of nonlinear lumped-parameter models in the analysis of depth-EEG epileptic signals
2000-10-01
[50]
서적
Spontaneous pattern formation in primary visual cortex
[51]
서적
Chemical Oscillations, Waves, and Turbulence
Dover Publications
[52]
서적
An introduction to neural oscillators
[53]
논문
Generative models of cortical oscillations: neurobiological implications of the kuramoto model
[54]
논문
Role of local network oscillations in resting-state functional connectivity
https://zenodo.org/r[...]
2011-07-01
[55]
논문
Bistability and non-Gaussian fluctuations in spontaneous cortical activity
2009-07-01
[56]
논문
Spontaneous fluctuations in brain activity observed with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2007-09-01
[57]
논문
Electroencephalographic signatures of attentional and cognitive default modes in spontaneous brain activity fluctuations at rest
2003-09-01
[58]
논문
To see or not to see: prestimulus alpha phase predicts visual awareness
2009-03-01
[59]
논문
The phase of ongoing EEG oscillations predicts visual perception
2009-06-01
[60]
논문
Prestimulus oscillatory activity in the alpha band predicts visual discrimination ability
2008-02-01
[61]
논문
Oscillatory gamma activity in humans and its role in object representation
1999-04-01
[62]
논문
Event-related EEG/MEG synchronization and desynchronization: basic principles
1999-11-01
[63]
서적
Phase resetting in medicine and biology: stochastic modelling and data analysis
Springer-Verlag
[64]
논문
Dynamic brain sources of visual evoked responses
2002-01-01
[65]
논문
Auditory event-related responses are generated independently of ongoing brain activity
2005-02-01
[66]
논문
A novel mechanism for evoked responses in the human brain
2007-05-01
[67]
논문
Asymmetric amplitude modulations of brain oscillations generate slow evoked responses
2008-07-01
[68]
논문
Rhythmic pulsing: linking ongoing brain activity with evoked responses
[69]
논문
Magnetoencephalography - Theory, instrumentation, and applications to noninvasive studies of the working human brain
https://aaltodoc.aal[...]
[70]
논문
Neural Cross-Frequency Coupling: Connecting Architectures, Mechanisms, and Functions
https://www.scienced[...]
2015-11-01
[71]
논문
The Theta-Gamma Neural Code
2013-03-20
[72]
논문
Hippocampal Sequences During Exploration: Mechanisms and Functions
2019
[73]
논문
Synchronization of cortical activity and its putative role in information processing and learning
1993
[74]
논문
Visual feature integration and the temporal correlation hypothesis
1995
[75]
논문
Central pattern generators and the control of rhythmic movements
2001-11
[76]
논문
Evidence for a spinal central pattern generator in humans
1998-11
[77]
논문
Human spinal locomotor control is based on flexibly organized burst generators
2015-03
[78]
논문
Oscillatory integration windows in neurons
2016-12
[79]
논문
Thalamocortical loops as temporal demodulators across senses
2023
[80]
논문
A model for visual shape recognition
1974-11
[81]
논문
Oscillatory responses in cat visual cortex exhibit inter-columnar synchronization which reflects global stimulus properties
1989-03
[82]
논문
Coherent oscillations: a mechanism of feature linking in the visual cortex? Multiple electrode and correlation analyses in the cat
1988
[83]
논문
Odour encoding by temporal sequences of firing in oscillating neural assemblies
1996-11
[84]
논문
Distinct mechanisms for synchronization and temporal patterning of odor-encoding neural assemblies
1996-11
[85]
논문
Impaired odour discrimination on desynchronization of odour-encoding neural assemblies
1997-11
[86]
논문
Who reads temporal information contained across synchronized and oscillatory spike trains?
1998-10
[87]
논문
What makes us tick? Functional and neural mechanisms of interval timing
2005-10
[88]
서적
Advances in Neural Population Coding
2001
[89]
논문
Is gamma-band activity in the local field potential of V1 cortex a "clock" or filtered noise?
2011-06
[90]
논문
Event-related cortical desynchronization detected by power measurements of scalp EEG
1977-06
[91]
논문
Oscillatory activity in sensorimotor cortex of awake monkeys: synchronization of local field potentials and relation to behavior
1996-12
[92]
논문
Oscillations in local field potentials of the primate motor cortex during voluntary movement
1993-05
[93]
논문
Synchronization between motor cortex and spinal motoneuronal pool during the performance of a maintained motor task in man
1995-12
[94]
논문
Cortical control of human motoneuron firing during isometric contraction
1997-06
[95]
논문
Coherent oscillations in monkey motor cortex and hand muscle EMG show task-dependent modulation
1997-05
[96]
논문
Muscle networks: Connectivity analysis of EMG activity during postural control
2015-12
[97]
논문
Network structure of the human musculoskeletal system shapes neural interactions on multiple time scales
2018-06
[98]
논문
Propagating waves mediate information transfer in the motor cortex
2006-12
[99]
논문
The rhythms of steady posture: Motor commands as spatially organized oscillation patterns
2015
[100]
논문
A dendritic mechanism for decoding traveling waves: principles and applications to motor cortex
2013-10
[101]
논문
Neuronal mechanisms underlying physiological tremor
1978-05
[102]
논문
Organization of motor output in slow finger movements in man
1993-09
[103]
논문
The neural basis of intermittent motor control in humans
2002-02
[104]
서적
Rhythms of the brain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105]
논문
Functional role of gamma and theta oscillations in episodic memory
2010-06
[106]
논문
Human memory strength is predicted by theta-frequency phase-locking of single neurons
https://authors.libr[...]
2010-04-01
[107]
논문
Cortical source localization of sleep-stage specific oscillatory activity
2020-04-01
[108]
논문
Retinal waves are likely to instruct the formation of eye-specific retinogeniculate projections
2009-07-01
[109]
논문
Physiological and pathological tremors and rhythmic central motor control
2000-08-01
[110]
논문
From baseline to epileptiform activity: a path to synchronized rhythmicity in large-scale neural networks
2008-06-01
[111]
논문
Thalamocortical dysrhythmia detected by machine learning
2018-03-01
[112]
논문
Breaking the silence: brain-computer interfaces (BCI) for communication and motor control
2006-11-01
[113]
논문
Toward direct brain-computer communication
1973-01-01
[114]
서적
Proceedings of the Annual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IEEE Engineering in Medicine and Biology Society
IEEE
1988-11-01
[115]
서적
Proceedings of the IEEE International Workshop on Intelligent Motion Control
IEEE
1990-08-01
[116]
논문
Augmentation of sensorimotor functions with neural prostheses.
2016-01-01
[117]
논문
Brain-Machine Interfaces: From Basic Science to Neuroprostheses and Neurorehabilitation
2017-04-01
[118]
논문
Consciousness among delta waves: a paradox?
https://pubmed.ncbi.[...]
2021-09-04
[119]
서적
Principles of brain functioning
Springer
[120]
논문
Neurophysiological and computational principles of cortical rhythms in cognition
2010-07-01
[121]
서적
Dynamical systems in neuroscience
The MIT Press
[122]
서적
Electric fields of the brain: The neurophysics of EEG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23]
논문
Driving fast-spiking cells induces gamma rhythm and controls sensory responses
2009-06-01
[124]
논문
The neuronal basis for consciousness
1998-11-01
[125]
논문
Neuronal mechanisms and attentional modulation of corticothalamic α oscillations
2011-03-01
[126]
논문
Computational model of thalamo-cortical networks: dynamical control of alpha rhythms in relation to focal attention
2001-12-01
[127]
논문
Exploring mechanisms of spontaneous functional connectivity in MEG: how delayed network interactions lead to structured amplitude envelopes of band-pass filtered oscillations
2014-04-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