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대우 레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GM대우 레조는 대우자동차가 생산한 최초의 중형 미니밴으로, 2000년부터 2007년까지 판매되었다. 이탈리아의 피닌파리나가 디자인을 담당했으며, 2000년에 국내 자동차 판매 순위 5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1세대 레조는 2005년에 뉴 레조로 페이스리프트 되었으나, 엔진 결함 문제로 판매 부진을 겪으며 2007년 후속 모델 없이 단종되었다. 해외에서는 쉐보레 타쿠마, 쉐보레 비반트 등의 이름으로 판매되었으며, 1.6L, 1.8L, 2.0L 가솔린 엔진과 2.0L LPG 엔진이 탑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엠대우의 차종 - 한국GM 라보
한국GM 라보는 스즈키 캐리를 기반으로 1991년부터 2021년까지 생산된 경상용차로, 가솔린과 LPG 엔진을 거쳐 소상공인에게 인기를 얻었으나 배기가스 규제로 단종 후 JJ모터스에서 전기차 브라보로 출시되었으며 드라마에도 등장했다. - 지엠대우의 차종 - 한국GM 다마스
한국GM 다마스는 1991년부터 2021년까지 한국GM에서 생산한 경상용차로, 스즈키 에브리를 기반으로 개발되어 다양한 모델로 출시, 소상공인들의 생계 유지에 기여하며 '서민의 차'로 불렸으나 안전 및 배기가스 규제 문제로 단종되었다. - 2000년 도입된 자동차 - 닛산 X-트레일
닛산 X-트레일은 2000년에 처음 출시되어 4세대에 걸쳐 판매되는 닛산의 소형 SUV로, 오프로드 지향의 각진 디자인에서 르노-닛산 CMF 플랫폼을 적용한 온로드 지향으로 변화했으며, 2세대 e-POWER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을 제공한다. - 2000년 도입된 자동차 - 기아 리오
기아 리오는 기아에서 생산하는 소형차로, 1999년 1세대 출시 이후 여러 차례 세대 변경과 페이스리프트를 거쳐 2023년 단종되었다. - 대우자동차의 차종 - 대우 르망
대우 르망은 1986년 출시되어 독일 오펠의 설계를 기반으로 한국GM에서 생산된 소형차로, 대한민국 최초로 디지털 계기판과 공기역학적 디자인을 적용하여 큰 인기를 얻었으며, 다양한 모델 변형을 거쳐 해외에서도 판매되었다. - 대우자동차의 차종 - 대우 누비라
대우 누비라는 1997년 출시되어 세단, 스테이션 왜건, 해치백 모델로 판매되었으며, 이탈리아 디자인으로 개발되어 넓은 실내 공간과 다양한 엔진 라인업을 갖추었고, 2002년 후속 모델 출시와 함께 단종되었다.
GM대우 레조 - [자동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다른 이름 | 대우 레조 쉐보레 타쿠마 쉐보레 레조 쉐보레 비반트 |
제조사 | 대우 (제너럴 모터스) |
생산 기간 | 2000년–2008년 (대한민국) 2008년–2009년 (우즈베키스탄) 2008년–2011년 (베트남) |
후속 차종 | 쉐보레 올란도 쉐보레 스핀 |
차종 | 준중형 MPV |
차체 스타일 | 5도어 미니밴 |
휠베이스 | 2500 mm |
전장 | 4350 mm |
레이아웃 | 전륜구동 |
전폭 | 1755 mm |
전고 | 1580 mm |
중량 | 1350 kg–1395 kg |
관련 차종 | 대우 누비라 |
디자이너 | 피닌파리나 |
조립 공장 | 군산시, 대한민국 바르샤바, 폴란드 (FSO) 크라이오바, 루마니아 (Rodae) 아사카, 우즈베키스탄 (GM) 하노이, 베트남 (VIDAMCO) |
엔진 | |
엔진 종류 | 1.6 L DOHC E-TEC I4 1.8 L SOHC E-TEC I4 2.0 L DOHC D-TEC I4 2.0 L SOHC E-TEC LPG I4 |
변속기 | |
변속기 종류 | 5단 수동 4단 ZF 4HP16 자동 |
GM대우 레조 | |
차종 | 준중형 미니밴 |
제조사 | 한국GM |
별칭 | 대우 타쿠마 쉐보레 레조 쉐보레 타쿠마 쉐보레 비반트 |
생산 년도 | 2000년~2007년 |
조립 | 전라북도 군산시 |
후속 차량 | 쉐보레 올란도 |
차체 형식 | 스테이션 왜건 |
연료 | 휘발유 LPG |
2. 역사
2. 1. 1세대 (U100, 2000년~2007년)
2. 1. 1. 레조 (2000년 1월~2005년 7월)


대우자동차가 만든 첫 번째 중형 미니밴으로, 이탈리아의 디자인 업체인 피닌파리나에서 디자인을 담당하였다. 전라북도 군산시 소룡동에서 생산됐으며, 당시 경쟁 차종으로는 기아 카스타, 기아 카렌스, 현대 싼타모 등이 있었으며, 2000년에 대한민국 자동차 판매 순위 5위를 기록하였다.[9] 대한민국에서 판매되는 사양은 5인승 또는 7인승이나, 실제로는 3열 시트에 사람이 타기 어려울 정도로 매우 좁다. 2001년 5월 11일에 선보인 2002년형부터 운전석 에어백과 무릎 보호대가 기본 적용되었다.[10]
2. 1. 2. 뉴 레조 (2005년 7월~2007년 6월)
2005년 7월 11일에 라디에이터 그릴을 바꾸고, 메탈릭 색상의 루프 랙이 적용된 뉴 레조가 출시되었다.

2. 2. 쉐보레 올란도 (2011년~)
3. 해외 시장
유럽, 남아메리카 등지에서 레조는 쉐보레 타쿠마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다.[6] 베트남에서는 VIDAMCO가 2008년 1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완전 분해 조립 방식(CKD)으로 "쉐보레 비방트"라는 이름으로 타쿠마를 생산했다.[6]
'''비반트'''(Vivant)는 레조가 남아프리카 공화국, 라틴 아메리카, 싱가포르, 베트남 등지에서 사용된 모델명이다. 베트남에서는 VIDAMCO가 2008년 1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완전 분해 조립 방식(CKD)으로 생산했다.[6]
3. 1. 타쿠마 (Tacuma)
유럽, 남아메리카 등지에서 사용된 모델명이다.[6] 베트남에서는 VIDAMCO가 2008년 1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완전 분해 조립 방식(CKD)으로 "쉐보레 비방트"라는 이름으로 타쿠마를 생산했다.[6]3. 2. 비반트 (Vivant)
'''비반트'''(Vivant)는 레조가 남아프리카 공화국, 라틴 아메리카, 싱가포르, 베트남 등지에서 사용된 모델명이다. 베트남에서는 VIDAMCO가 2008년 1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완전 분해 조립 방식(CKD)으로 생산했다.[6]
4. 엔진 라인업
GM대우 레조에는 1.6L, 1.8L, 2.0L 패밀리 1 및 패밀리 II 직렬 4기통 엔진이 제공되었다. 1.8L 엔진은 2005년까지 제공되었다. 5단 수동 변속기 또는 4단 자동변속기를 사용할 수 있었다. 대한민국에서는 2.0L 패밀리 II 엔진과 더불어 2.0L E-TEC SOHC 액화석유가스 (LPG) 엔진도 탑재되었다. 라틴 아메리카, 남아프리카 공화국, 싱가포르에서는 1.6L DOHC 패밀리 I E-TECH 직렬 4기통, 5단 수동 변속기 또는 2.0L DOHC 패밀리 II D-TECH 직렬 4기통, 자동 변속기가 제공되었다.
대한민국 시장에는 2.0L E-TEC SOHC 액화석유가스(LPG) 엔진이 탑재된 모델이 판매되었다. 2.0L 패밀리 II 직렬 4기통 엔진도 탑재되었다.
4. 1. 가솔린 엔진
GM대우 레조에는 1.6L, 1.8L, 2.0L 패밀리 1 및 패밀리 II 직렬 4기통 엔진이 제공되었다. 1.8L 엔진은 2005년까지 제공되었다. 5단 수동 변속기 또는 4단 자동변속기를 사용할 수 있었다. 대한민국에서는 2.0L 패밀리 II 엔진과 더불어 2.0L E-TEC SOHC 액화석유가스 (LPG) 엔진도 탑재되었다. 라틴 아메리카, 남아프리카 공화국, 싱가포르에서는 1.6L DOHC 패밀리 I E-TECH 직렬 4기통, 5단 수동 변속기 또는 2.0L DOHC 패밀리 II D-TECH 직렬 4기통, 자동 변속기가 제공되었다.4. 2. LPG 엔진
대한민국 시장에는 2.0L E-TEC SOHC 액화석유가스(LPG) 엔진이 탑재된 모델이 판매되었다. 2.0L 패밀리 II 직렬 4기통 엔진도 탑재되었다.5. 경쟁 차종
6. 디자인
7. 컨셉트 카
1999년에 레조 스타일 컨셉트와 레조 스포츠 컨셉트가 공개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양산형 레조가 출시되었다.[7][8]
8. 역대 슬로건
8. 1. 1세대 (U100)
레조의 광고 슬로건은 "안이 즐겁다", "생활이 즐겁다!", "스타일을 아는 차", "힘나는 스타일" 등이 사용되었다. 뉴 레조의 광고 슬로건은 "뉴 레저, 뉴 레조"였다.8. 2. 뉴 레조
9. 제원
1,630(루프랙 적용시)
자동 4단
(이후 95/4,800으로 변경)
(이후 128/5,200으로 변경)
(이후 15.8/2,400으로 변경)
(이후 18.6/4,000으로 변경)
16.5(자동 4단)
(이후 10.2(수동 5단)/
9.6(자동 4단),
9.4(수동 5단)/
7.5(자동 4단)로 변경)
17.2(자동 4단)
(이후 13.7(수동 5단)/
10.7(자동 4단),
12.6(수동 5단)/
9.9(자동 4단)로 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