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크라이오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라이오바는 루마니아 남서부에 위치한 도시로, 돌지 주의 주도이다. 다키아와 로마 시대의 도시 펠렌다바가 있던 자리에 위치하며, 올테니아 지역의 역사적 수도였다. 크라이오바는 슬라브어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1395년 왈라키아 공 미르체아 1세가 오스만 제국에 승리한 장소로도 알려져 있다. 19세기에는 경제, 문화적으로 발전하여 상업과 공공 서비스의 중심지가 되었고, 20세기에는 자동차, 항공우주, 화학 등 다양한 산업의 중심지로 성장했다. 현재는 루마니아에서 7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이며, 대중교통, 철도, 국제공항을 갖춘 교통의 요지이다. 크라이오바는 다양한 문화 명소와 스포츠 시설을 보유하고 있으며,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루마니아의 도시 - 부쿠레슈티
    부쿠레슈티는 루마니아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덤보비차 강 연안에 위치하며, 왈라키아 공국, 루마니아 공국을 거쳐 루마니아 왕국의 수도가 되었고, '기쁨의 도시'라는 뜻과 함께 '동방의 파리'라는 별칭을 가졌으나, 2차 세계 대전과 차우셰스쿠 정권 시기를 거쳐 현대화와 역사 지구 복원 사업을 통해 발전하고 있다.
  • 루마니아의 도시 - 시비우
    시비우는 루마니아 중부에 위치한 도시로, 독일인 이민자들이 건설하여 중세 시대 상업 중심지로 번성했으며, 트란실바니아 공국의 수도를 거쳐 유럽 문화 수도로 지정되면서 관광 도시로 발전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크라이오바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크라이오바 문장
문장
공식 명칭크라이오바
별칭Ban의 성채 (루마니아어: Cetatea Băniei)
인구 통계크라이오베안, 크라이오베안커 (루마니아어: craiovean, craioveancă)
행정 구역
국가루마니아
돌지 주
지위주도
정치
시장 (2020–2024)리아 올구차 바실레스쿠
소속 정당사회민주당
지리
고도100m
총 면적81.41km²
수도권 면적1498.6km²
인구
인구 (2021년)234,140명
인구 밀도2,877명/km²
수도권 인구356,544명
시간대
시간대EET
협정 세계시 (UTC) 오프셋+2
하계 시간 (DST)EEST
하계 시간 (DST) 협정 세계시 (UTC) 오프셋+3
기타 정보
우편 번호200xxx
지역 번호(+40) 251
차량 등록 번호DJ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2. 어원 및 명칭

크라이오바라는 이름에는 두 가지 어원이 있다. 하나는 고대 슬라브어 ''kral'' ("왕")에서 유래하여 루마니아어로 ''crai''로 차용된 경우이고, 다른 하나는 슬라브어 ''krajina'' ("국경" 또는 "가장자리")이다.[8] 1475년 이전의 자료에는 도시가 언급되어 있지 않으므로, 두 단어 중 어느 것이 실제 어원인지 알 수 없다.[8] 이 이름은 역사적인 토착 소수 민족이 존재했기에, 아마도 세르비아 기원일 것이다.

헝가리어로는 아르파드 왕조 시대에 도시가 헝가리의 지배를 받았던 흔적인 Királyihu라고 불리거나,[9] Krajovahu라고 불린다.[10] 독일어로는 Krajowade라고 한다.[11]

3. 역사

크라이오바는 다키아인이 점령했던 곳으로, 로마 제국의 속주 다키아의 도시 펠렌다바가 된 후 올테니아의 수도가 되었다. 왈라키아 국가의 고위 보야르(봉건 영주)는 반 칭호를 가졌고, 처음에는 크라이오베슈티 가문 출신이었다. 반은 자신의 초상과 함께 화폐에 인장을 찍을 권리를 가졌으며, 이것이 루마니아 레우의 보조 통화 '반'의 어원이 되었다.

16세기 말 크라이오베슈티 가문의 경제력은 약 100개 마을(182개 재산)에 달했다. 이 힘은 그들에게 정치적 자치 지위를 부여하여, 당시 통치하던 호스포다르들이 이 강력한 가문과의 동맹 없이는 권력을 유지할 수 없었다. 크라이오베슈티 가문에서는 네아고에 바사라브, 라두 데 라 아푸마티, 라두 세르반 (1602–1611), 마테이 바사라브, 콘스탄틴 세르반, 세르반 칸타쿠지노, 콘스탄틴 브란코베아누 등 많은 호스포다르가 선출되어 국가를 통치했다.

1821년 왈라키아 봉기 동안, 현재의 돌지 주 주민들은 투도르 블라디미레스쿠의 판두르에 대거 참여하여 부쿠레슈티 원정에 기여했다.[1] 19세기 초반 20년 동안, 크라이오바는 수공예 무역과 공공 서비스에 중점을 둔 경제적 번영을 누렸다.[1] 러시아 제국 점령과 초기 ''오가닉 법령'' 규칙(1828–1834) 동안, 이 도시는 경제적 생산량을 늘렸다.[1] 1832년에는 595개의 상점이 있었고, 그 중 197개는 병영, 398개는 벽돌집이었다.[1] 당시 크라이오바는 밀, 모피, 가죽, 가축 등을 오스트리아 제국오스만 제국으로 수출했다.[1]

크라이오바 시민 코스타케 로마네스쿠는 1848년 왈라키아 혁명 동안 임시 정부 지도자 중 한 명이었다.[1] 왈라키아의 마지막 두 통치자 게오르게 비베스쿠와 바르부 디미트리에 슈티르베이는 크라이오바에 거주한 중요한 보야르 가문인 비베스쿠 가문 출신이었다.[1]

1860년경 크라이오바에는 4,633개 건물(주택 3,220채, 교회 26개, 학교 11개, 공장 및 작업장 60개)이 있었다.[1] 이 도시에는 약 90개 산업 시설(제분소 12개, 양조장 3개, 가스 및 석유 공장 2개, 무두질 공장 4개, 인쇄기 2개 포함)이 있었다.[1] 돌지 주 전체 장인의 57%가 크라이오바에 살고 있었다(1,088명의 장인, 687명의 직공, 485명의 견습공).[1]

독립 전쟁 이후, 크라이오바는 경제적, 문화적으로 발전했다.[1] 19세기 말 크라이오바는 인구 40,000명으로, 화학 물질, 농업 유틸리티, 건축 자재를 생산하는 소규모 공장과 섬유 공장이 발달했다. 1896년 10월 26일, 크라이오바 발전소가 가동(AEG 장비, 310 CP, 39개 거리에 365개 가로등 공급, 30 km 길이 네트워크)되어, 내연 기관으로 전기를 공급받는 루마니아 최초 도시가 되었다.[1]

1900년, 크라이오바는 올테니아 산업 시설의 43.1%(924개 산업 회사, 1,078명 고용 대규모 산업 시설 20개 포함)를 차지했다.[1] 대규모 산업 시설 수는 1925년까지 40개로 늘었다.[1] 은행업도 20세기 초에 발전하여 6개 은행과 2개 환전소가 운영 중이었다.[1]

전쟁 기간 동안, 크라이오바는 농업 지역 중심지로서 산업화를 거의 겪지 못했고, 산업 노동자 수는 적게 유지되었다.[1] 1939년, 크라이오바에는 100명 이상 노동자를 고용한 산업 시설 7개(의류 회사 ''올테니아''와 ''스크리술 로마네스크''는 국내외에서 유명)가 있었다.[1] 크라이오바 조약은 1940년 9월 7일에 이곳에서 체결되어, 루마니아가 1913년 제2차 발칸 전쟁 이후 얻었던 남부 도브루자 영토를 불가리아에 양도했다.[1]

1960년대 초 공산주의 루마니아 치하에서, 크라이오바는 자동차, 엔진 제조, 항공우주 제조업체, 화학 산업, 식품 산업, 건설, 전기 공학, 광업, 전력 산업 중심지가 되었다.[1] 주택 단지 건설도 이 시기에 시작되어, 1967–1968년에 브라즈다 루이 노바크, 같은 해에 실로즈-발레 로시에가 건설되었다.[1] 1980년대에는 크라이오비차 노우, 로비네, 1 마이, 사라리, 라푸슈-아르게슈 주택 단지가 건설되었다.[1]

1989년 루마니아 혁명 이후 자유 시장 재건과 전반적인 관리 분권화로, 여러 산업이 민영화되었고, 시장은 개인 주도로 열렸다.[1] 산업은 경제적 변화에 영향을 받았지만, 크라이오바 생산량의 약 70%를 차지하는 중요한 분야로 남아있다.[1]

3. 1. 고대 및 중세

크라이오바는 다키아와 로마 도시인 ''펠렌다바''가 있던 곳에 위치했으며, 과거에는 올테니아의 수도였다. 그 고대 ''반''들은 왈라키아 국가의 최고위 보야르였으며, 처음에는 크라이오베슈티 가문 출신이었다. 이 ''반''들은 자신들의 도안이 새겨진 주화 주조의 권리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것이 루마니아어 단어 ''''이 주화로 사용되는 기원이 되었다.

1395년에 크라이오바는 왈라키아 공 미르체아 1세바예지드 1세, 오스만 제국술탄에게 승리한 장소였을 가능성이 높다(''로비네 전투' 참조).

16세기 전반기 이후 "도시"로 자주 언급되었으며, 크라이오바 지역은 항상 왈라키아와 루마니아 전체의 중요한 경제 지역으로 여겨졌다. 1718–1739년 합스부르크가 올테니아를 점령했을 때(크라이오바 바나트 참조), 크라이오바의 지위는 경제적 압박과 증가하는 집권 정부로 인해 하락했으며, 이는 부분적으로 크라이오바 보야르들의 항의와 병행하여 ''하지두크'' 행동의 증가로 이어졌다. 1761년, 콘스탄틴 마브로코르다토스 공작 아래에서, ''반''들은 부쿠레슈티로 이전하여, 크라이오바에 그들을 대표하는 ''카이마캄''들을 남겨두었다.

에마누엘 지아니 루세트 공작 아래에서, 왈라키아의 수도는 1768–1774년 러시아-터키 전쟁 중 피난처로 여겨졌던 크라이오바(1770–1771)로 옮겨졌다. 반란 파샤 오스만 파즈반토글루에 의해 도시의 많은 부분이 1800년에 불탔다.

3. 2. 근세

크라이오바는 다키아와 로마 도시인 ''펠렌다바''가 있던 곳에 위치했으며, 과거에는 올테니아의 수도였다. 그 고대 ''반''들은 왈라키아 국가의 최고위 보야르였으며, 처음에는 크라이오베슈티 가문 출신이었다. 이 ''반''들은 자신들의 도안이 새겨진 주화 주조의 권리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것이 루마니아어 단어 ''''이 주화로 사용되는 기원이 되었다.

16세기 말 크라이오베슈티 가문의 경제력은 약 100개 마을(182개의 재산)에 달했다. 이 힘은 그들에게 정치적 자치 지위를 부여하여, 당시 통치하던 호스포다르들이 이 강력한 왕조와의 동맹 없이는 권력을 유지할 수 없었다. 크라이오베슈티 가문에서는 네아고에 바사라브, 라두 데 라 아푸마티, 라두 세르반 (1602–1611), 마테이 바사라브, 콘스탄틴 세르반, 세르반 칸타쿠지노, 콘스탄틴 브란코베아누등 많은 호스포다르가 선출되어 국가를 통치했다.

1395년에 크라이오바는 왈라키아 공 미르체아 1세바예지드 1세 (오스만 제국술탄)에게 승리한 장소였을 가능성이 높다(''로비네 전투' 참조).

16세기 전반기 이후 "도시"로 자주 언급되었으며, 크라이오바 지역은 항상 왈라키아와 루마니아 전체의 중요한 경제 지역으로 여겨졌다. 1718–1739년 합스부르크가 올테니아를 점령했을 때(크라이오바 바나트 참조), 크라이오바의 지위는 경제적 압박과 증가하는 집권 정부로 인해 하락했으며, 이는 부분적으로 크라이오바 보야르들의 항의와 병행하여 ''하지두크'' 행동의 증가로 이어졌다. 1761년, 콘스탄틴 마브로코르다토스 공작 아래에서, ''반''들은 부쿠레슈티로 이전하여, 크라이오바에 그들을 대표하는 ''카이마캄''들을 남겨두었다.

에마누엘 지아니 루세트 공작 아래에서, 왈라키아의 수도는 1768–1774년 러시아-터키 전쟁 중 피난처로 여겨졌던 크라이오바(1770–1771)로 옮겨졌다. 반란 파샤 오스만 파즈반토글루에 의해 도시의 많은 부분이 1800년에 불탔다.

3. 3. 근대

크라이오바는 다키아와 로마 도시인 ''펠렌다바''가 있던 곳에 위치했으며, 과거에는 올테니아의 수도였다. 그 고대 ''반''들은 왈라키아 국가의 최고위 보야르였으며, 처음에는 크라이오베슈티 가문 출신이었다. 이 ''반''들은 자신들의 도안이 새겨진 주화 주조의 권리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것이 루마니아어 단어 ''''이 주화로 사용되는 기원이 되었다.[1]

1395년에 크라이오바는 왈라키아 공 미르체아 1세바예지드 1세, 오스만 제국술탄에게 승리한 장소였을 가능성이 높다(''로비네 전투' 참조).[1]

16세기 전반기 이후 "도시"로 자주 언급되었으며, 크라이오바 지역은 항상 왈라키아와 루마니아 전체의 중요한 경제 지역으로 여겨졌다. 1718–1739년 합스부르크가 올테니아를 점령했을 때(크라이오바 바나트 참조), 크라이오바의 지위는 경제적 압박과 증가하는 집권 정부로 인해 하락했으며, 이는 부분적으로 크라이오바 보야르들의 항의와 병행하여 ''하지두크'' 행동의 증가로 이어졌다. 1761년, 콘스탄틴 마브로코르다토스 공작 아래에서, ''반''들은 부쿠레슈티로 이전하여, 크라이오바에 그들을 대표하는 ''카이마캄''들을 남겨두었다.[1]

에마누엘 지아니 루세트 공작 아래에서, 왈라키아의 수도는 1768–1774년 러시아-터키 전쟁 중 피난처로 여겨졌던 크라이오바(1770–1771)로 옮겨졌다. 1800년, 반란 파샤 오스만 파즈반토글루에 의해 도시의 많은 부분이 불탔다.[1]

1821년 왈라키아 봉기 동안, 현재의 돌지 주 주민들은 투도르 블라디미레스쿠의 판두르에 대거 참여하여 부쿠레슈티 원정에 기여했다. 19세기 처음 20년 동안, 크라이오바는 수공예 무역과 공공 서비스에 중점을 둔 경제적 번영을 목격했다. 러시아 제국의 점령과 초기 ''오가닉 법령'' 규칙(1828–1834) 동안, 이 도시는 경제적 생산량을 증가시켰다. 1832년에는 595개의 상점이 있었고, 그 중 197개는 병영으로, 398개는 벽돌로 지은 집이었다. 당시 크라이오바는 밀, 모피, 가죽, 가축 및 기타 제품을 오스트리아 제국오스만 제국으로 수출했다.[1]

크라이오바 시민인 코스타체 로마네스쿠는 1848년 왈라키아 혁명 동안 임시 정부의 지도자 중 한 명이었다. 왈라키아의 마지막 두 통치자, 게오르게 비베스쿠와 바르부 디미트리에 슈티르베이는 크라이오바에 거주하는 중요한 보야르 가문인 비베스쿠 가문 출신이었다.[1]

1860년경 크라이오바에는 4,633개의 건물이 있었는데, 이는 3,220개의 주택, 26개의 교회, 11개의 학교, 60개의 공장 및 작업장이었다. 전체적으로 이 도시에는 약 90개의 산업 시설이 있었으며, 그 중 12개는 제분소, 3개는 양조장, 2개는 가스 및 석유 공장, 4개는 무두질 공장, 2개는 인쇄기; 돌지 주 전체 장인의 57%가 크라이오바에 살고 있었다(1,088명의 장인, 687명의 직공 및 485명의 견습공).[1]

독립 전쟁 이후의 기간은 경제적, 문화적 발전의 시기였다. 그 결과, 19세기 말에 크라이오바시는 40,000명의 주민과 함께 화학 물질, 농업 유틸리티 및 건축 자재를 생산하는 소규모 공장과 섬유 공장을 개발했다. 1896년 10월 26일, 크라이오바 발전소가 가동되었다(AEG 장비가 310 CP에서 작동하여 39개의 거리에 365개의 가로등을 공급하고 30 km 길이의 네트워크를 형성); 크라이오바는 내연 기관에 의해 전기를 공급받는 루마니아 최초의 도시였다.[1]

1900년에 크라이오바는 올테니아의 산업 시설의 43.1%를 차지했다. 이들은 924개의 산업 회사(1,078명의 근로자를 고용하는 20개의 대규모 산업 시설 포함)였다. 대규모 산업 시설의 수는 1925년까지 40개로 증가했다. 은행업 또한 20세기 초에 발전했다(6개의 은행과 2개의 환전소가 이미 운영 중).[1]

전쟁 기간 동안, 크라이오바는 농업 지역의 중심지로서 추가적인 산업화를 거의 경험하지 못했다; 산업 노동자의 수는 비교적 적게 유지되었다. 1939년, 크라이오바에는 100명 이상의 노동자를 고용한 7개의 산업 시설이 있었다: 의류 산업 회사인 ''올테니아''와 ''스크리술 로마네스크''는 국내외에서 잘 알려져 있었다. 크라이오바 조약은 1940년 9월 7일에 이곳에서 서명되었으며, 그 조항에 따라 루마니아는 1913년 제2차 발칸 전쟁 이후 루마니아가 얻었던 남부 도브루자 영토를 불가리아에 양도했다.[1]

3. 4. 현대

1395년, 크라이오바는 왈라키아 공 미르체아 1세오스만 제국의 술탄 바예지드 1세에게 승리한 로비네 전투가 벌어졌을 가능성이 높은 장소였다.[1]

16세기 전반기 이후 크라이오바는 "도시"로 자주 언급되었으며, 왈라키아와 루마니아 전체의 중요한 경제 지역으로 여겨졌다. 1718년부터 1739년까지 합스부르크 군주국이 올테니아를 점령했을 때(크라이오바 바나트 참조), 크라이오바의 지위는 경제적 압박과 중앙 집권 강화로 인해 하락했으며, 이는 크라이오바 보야르들의 항의와 하지두크 활동 증가로 이어졌다.[1] 1761년 콘스탄틴 마브로코르다토스 공작 아래, ''반''들은 부쿠레슈티로 이전하여 크라이오바에 그들을 대표하는 ''카이마캄''들을 남겨두었다.[1]

에마누엘 지아니 루세트 공작 아래, 왈라키아의 수도는 1768–1774년 러시아-터키 전쟁 중 피난처로 여겨졌던 크라이오바(1770–1771)로 옮겨졌다.[1] 1800년에는 반란을 일으킨 오스만 파즈반토글루에 의해 도시의 많은 부분이 불탔다.[1]

1821년 왈라키아 봉기 동안, 현재의 돌지 주 주민들은 투도르 블라디미레스쿠의 판두르에 대거 참여하여 부쿠레슈티 원정에 기여했다.[1] 19세기 처음 20년 동안, 크라이오바는 수공예 무역과 공공 서비스에 중점을 둔 경제적 번영을 목격했다.[1] 러시아 제국의 점령과 초기 ''오가닉 법령'' 규칙(1828–1834) 동안, 이 도시는 경제적 생산량을 증가시켰다.[1] 1832년에는 595개의 상점이 있었고, 그 중 197개는 병영으로, 398개는 벽돌로 지은 집이었다.[1] 당시 크라이오바는 밀, 모피, 가죽, 가축 및 기타 제품을 오스트리아 제국오스만 제국으로 수출했다.[1]

크라이오바 시민인 코스타체 로마네스쿠는 1848년 왈라키아 혁명 동안 임시 정부의 지도자 중 한 명이었다.[1] 왈라키아의 마지막 두 통치자인 게오르게 비베스쿠와 바르부 디미트리에 슈티르베이는 크라이오바에 거주하는 중요한 보야르 가문인 비베스쿠 가문 출신이었다.[1]

1860년경 크라이오바에는 4,633개의 건물이 있었는데, 이는 3,220개의 주택, 26개의 교회, 11개의 학교, 60개의 공장 및 작업장이었다.[1] 전체적으로 이 도시에는 약 90개의 산업 시설이 있었으며, 그 중 12개는 제분소, 3개는 양조장, 2개는 가스 및 석유 공장, 4개는 무두질 공장, 2개는 인쇄기였다.[1] 돌지 주 전체 장인의 57%가 크라이오바에 살고 있었다(1,088명의 장인, 687명의 직공 및 485명의 견습공).[1]

독립 전쟁 이후의 기간은 경제적, 문화적 발전의 시기였다.[1] 그 결과, 19세기 말에 크라이오바시는 40,000명의 주민과 함께 화학 물질, 농업 유틸리티 및 건축 자재를 생산하는 소규모 공장과 섬유 공장을 개발했다. 1896년 10월 26일, 크라이오바 발전소가 가동되었는데, AEG 장비가 310 CP에서 작동하여 39개의 거리에 365개의 가로등을 공급하고 30 km 길이의 네트워크를 형성했다.[1] 크라이오바는 내연 기관에 의해 전기를 공급받는 루마니아 최초의 도시였다.[1]

1900년에 크라이오바는 올테니아의 산업 시설의 43.1%를 차지했다.[1] 이들은 924개의 산업 회사(1,078명의 근로자를 고용하는 20개의 대규모 산업 시설 포함)였다.[1] 대규모 산업 시설의 수는 1925년까지 40개로 증가했다.[1] 은행업 또한 20세기 초에 발전했다(6개의 은행과 2개의 환전소가 이미 운영 중).[1]

전쟁 기간 동안, 크라이오바는 농업 지역의 중심지로서 추가적인 산업화를 거의 경험하지 못했다.[1] 산업 노동자의 수는 비교적 적게 유지되었다.[1] 1939년, 크라이오바에는 100명 이상의 노동자를 고용한 7개의 산업 시설이 있었다.[1] 의류 산업 회사인 ''올테니아''와 ''스크리술 로마네스크''는 국내외에서 잘 알려져 있었다.[1] 크라이오바 조약은 1940년 9월 7일에 이곳에서 서명되었으며, 그 조항에 따라 루마니아는 1913년 제2차 발칸 전쟁 이후 루마니아가 얻었던 남부 도브루자 영토를 불가리아에 양도했다.[1]

1960년대 초 공산주의 루마니아 치하에서, 이 도시는 자동차 및 엔진 제조 산업뿐만 아니라 항공우주 제조업체, 화학 산업, 식품 산업, 건설, 전기 공학, 광업 및 전력 산업의 중심지가 되었다.[1] 주택 단지 건설도 이 시기에 시작되었으며, 1967–1968년에 브라즈다 루이 노바크가 처음 건설되었고, 같은 해에 실로즈-발레 로시에가 뒤따랐다.[1] 그 후 1980년대에는 크라이오비차 노우, 로비네, 1 마이, 사라리 및 라푸슈-아르게슈 주택 단지가 건설되었다.[1]

1989년 루마니아 혁명 이후 자유 시장의 재건과 전반적인 관리의 분권화가 이루어지면서, 여러 산업이 민영화의 대상이 되었고, 시장은 개인의 주도로 열렸다.[1] 산업은 경제적 변화의 영향을 받았지만, 크라이오바의 생산량의 약 70%를 차지하는 중요한 분야로 남아있다.[1]

4. 지리

크라이오바는 루마니아 남서부, 불가리아 국경 인근 지우 강 동쪽 연안의 해발 90m 지점에 위치한다. 이 도시는 남카르파티아산맥(북쪽 약 120km)과 다뉴브강(남쪽 약 50km) 사이의 중간 지점이다.[24][25]

크라이오바의 기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기후 문단을 참고하라.

4. 1. 기후

쾨펜 기후 구분에 따르면 크라이오바는 습윤 대륙성 기후( ''Dfa'')이며, 습윤 아열대 기후(쾨펜: ''Cfa'')에 가깝다. 이는 추운 겨울이 가끔 나타나지만, 영구적인 적설을 유지하기에는 너무 온화한 기후와 길고 더운 여름의 조합으로 나타난다.

크라이오바는 연간 64일의 안개가 발생하며, 다른 계절보다 겨울에 더 자주 발생한다. 또한, 이 도시는 연간 34일의 천둥과 1일의 우박이 발생한다.[13]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최고 기온 기록 (°C)16.821.428.431.835.338.840.440.840.134.423.518.440.8
평균 최고 기온 (°C)3.06.212.118.223.627.830.230.324.717.69.93.9-
평균 기온 (°C)-0.91.36.212.017.221.323.323.117.811.75.80.3-
평균 최저 기온 (°C)-4.1-2.31.76.711.415.116.916.912.47.42.6-2.5-
최저 기온 기록 (°C)-30.5-27.4-19.4-4.4-2.04.47.56.4-2.0-6.0-14.8-24.1-30.5
강수량 (mm)42.5mm33.9mm45.9mm48.8mm67.6mm74.5mm73.3mm47.5mm52.5mm51.9mm48.4mm50.2mm-
적설량 (cm)13.7cm11.7cm6.6cm2.5cm0cm0cm0cm0cm0cm2.5cm7.9cm10.2cm-
평균 강수일 (≥ 1mm)6.65.66.56.89.17.16.34.85.56.16.26.9-
평균 상대 습도 (%)89878175757573727380889180
평균 일조 시간941251772102542762992912191598975-



평년값은 1991년~2020년, 극값은 1931년~현재까지의 자료를 기준으로 한다.[24][25] 일부 극값과 상대습도는 1973년~1992년 독일 기상청 자료를 참고했다.[26]

5. 인구

크라이오바의 인구 변동
연도인구
1859[15]21,521
1900[16]45,438111.1%
1912[17]51,40413.1%
193063,21522.9%
1941[18]77,05121.9%
194884,5749.7%
195696,89714.5%
1966148,71153.4%
1977221,26148.7%
1992303,95937.3%
2002302,601−0.4%
2011년269,506−10.9%
2021년234,140−13.1%



2021년 현재, 234,140명의 주민이 시 경계 내에 거주하고 있으며,[2] 이는 2011년에 기록된 수치보다 감소한 것이다. 크라이오바는 루마니아에서 7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이다.

2011년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


  • 루마니아인: 241,176명 (89.5%)
  • 로마인: 5,291명 (2.0%)
  • 기타: 808명 (0.3%)
  • 데이터 미제공: 22,231명 (8.2%)


2021년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

  • 루마니아인: 190,634명 (81.4%)
  • 로마인: 2,639명 (1.1%)
  • 기타: 922명 (0.4%)
  • 데이터 미제공: 39,945명 (17%)


2002년 조사에서 크라이오바의 인구는 302,601명이었다. 그 중 루마니아인은 96.66%, 로마인은 2.91%였다. 그 외 헝가리인 0.07%, 독일인 0.06%, 세르비아인 0.01%, 이탈리아인 0.06%, 그리스인 0.06%, 우크라이나인 0.01%이다.

6. 경제

19세기 초 20년 동안 크라이오바는 경제 성장과 무역, 상업, 공공 서비스의 증가를 경험했다. 다른 대규모 도시 지역과 마찬가지로 상업, 행정 및 문화 중심지가 되었다. 차르 점령기(1828–1834) 동안 크라이오바는 상당한 경제 성장을 경험했는데, 1832년에는 595개의 상점이 있었고, 그 중 187개는 목재로, 398개는 돌담으로 만들어졌다. 이 도시는 올테니아의 상업 중심지였으며, 곡물, 가죽, 밀랍, 동물, 탤로우 및 서비스를 오스트리아와 터키로 수출했다. 수출에 대한 높은 수요로 인해 크라이오바는 1846년에 브러일라로의 다뉴브 강 곡물 운송 주식 회사를 위한 최초의 루마니아 사회의 본거지가 되었다.

1860년경 크라이오바에는 4633개의 건물이 있었고, 그 중 3220개는 주택, 26개는 교회, 11개는 학교, 60개는 공장 또는 작업장이었다. 또한 약 90개의 산업 시설이 있었는데, 그 중 12개는 풍차, 3개의 맥주 공장, 2개의 가스 및 석유 공장, 4개의 가죽 공장, 2개의 인쇄소였다. 통계에 따르면 크라이오바는 돌지 주 전체 장인의 57.7%가 거주하는 곳이었다. 19세기 말, 크라이오바 시는 화학 제품, 농업 기계, 그래픽 디자인, 가죽 제품, 섬유, 건축 자재 등을 생산하는 소규모 공장과 작업장을 갖추고 있었다. 1896년 10월 26일, 크라이오바의 발전소(AEG 장비 사용)가 가동을 시작하여 30km2 네트워크의 39개 거리의 365개의 램프에 전력을 공급했다. 크라이오바는 내연 기관을 기반으로 전기를 사용하는 루마니아 최초의 도시였다.

1900년, 크라이오바는 올테니아 산업 단위의 43.1%를 차지했으며, 924개의 산업체를 보유했다(그 중 20개 시설은 중공업에 속하며 1078명의 근로자를 고용). 1925년에는 중공업 시설의 수가 49개로 증가했고, 1930년에는 근로자 수가 5530명으로 증가했다. 은행 산업도 존재했는데, 20세기 초에는 6개의 은행과 2개의 환전소가 있었다.

전간기에는 크라이오바 시가 농업 지역에 위치해 있었고, 다른 루마니아의 도시 지역에 비해 산업화가 늦어지고 있다고 여겨졌다. 1939년에는 크라이오바에 100명 이상의 근로자를 고용하는 산업 단위가 단 7개 있었다. 다른 국가의 다른 중심지와 동일한 수준으로 발전한 유일한 산업 분야는 그래픽 아트였다. 두 개의 인쇄소는 루마니아 전역과 해외에서 유명했다.

1960년대부터 이 도시는 강력한 산업 중심지가 되었으며, 기계, 도구, 항공기, 화학 제품, 식품, 경공업, 건축 자재, 전자 제품, 추출 및 에너지 산업을 발전시켰다. 1989년 루마니아 혁명은 자유 시장의 도입과 모든 국가 경제 부문의 관리 분권화를 통해 경제에 중요한 변화를 가져왔다. 산업에서는 변화의 영향과 체제 변화에 따른 경제적 충격을 예측하지 못하여 전반적인 생산 능력 감소가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산업은 계속해서 도시 경제의 가장 큰 부문(70%)을 차지하고 있다.

루마니아 혁명 이후 원격 통신 서비스, 은행 및 보험업, 경영 컨설팅업이 확대되기 시작했다. 크라이오바 자동차 공장은 대우그룹이 정식으로 소유하고 있었으나, 2007년 9월에 포드 모터로 매각되었다.

7. 정치

2020년 루마니아 지방 선거에서 선출된 크라이오바 시의회는 27명의 시의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당별 의석수는 다음과 같다.

정당의석 수
사회민주당 (PSD)10
국민자유당 (PNL)9
루마니아 구원 연합 (USR)5
루마니아 생태주의 정당 (PER)3


7. 1. 크라이오바 그룹

비셰그라드 그룹에서 영감을 얻은 크라이오바 그룹은 2015년 4월 24일 루마니아 크라이오바에서 루마니아, 불가리아, 세르비아에 의해 결성되었다.[20] 2017년에 그리스가 이 조직에 합류했다.[21]

8. 교육

카롤 1세 국립 칼리지


크라이오바 최초의 학교는 1759년 콘스탄틴 오베데아누에 의해 설립되었다. 1826년 봄, 오베데아누의 학교는 "Școala Naţională de Limba Română"(루마니아어 국립 학교)라는 이름을 얻었다. 이 학교는 부쿠레슈티의 성 사바 고등학교(1818년 설립)에 이어 두 번째로 설립된 루마니아 고등학교였다.

8. 1. 주요 고등학교



크라이오바의 주요 고등학교는 다음과 같다.

고등학교 이름
프라티 부제슈티 국립 칼리지
카롤 1세 국립 칼리지 (구 니콜라에 벌체스쿠 대중 칼리지)
엘레나 쿠자 국립 칼리지
스테판 벨로반 칼리지
앙리 코안더 칼리지
트라이안 부이아 칼리지
니콜라에 티투레스쿠 칼리지
스테판 오도블레자 컴퓨터 과학 칼리지
"콘스탄틴 브란쿠시" 예술 및 공예 기술 칼리지
투도르 아르게지 이론 칼리지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 신학 칼리지
마테이 바사라브 칼리지
게오르게 비비에스쿠 기술 칼리지
UCECOM 스피루 하레트 칼리지
마린 소레스쿠 예술 칼리지
자동차 운송 칼리지
게오르게 키투 경제 칼리지
에네르제틱 기술 칼리지
샤를 로지에 칼리지
페트라케 트리슈 스포츠 칼리지
코스틴 D. 네니테스쿠 기술 칼리지
식품 산업 기술 칼리지
스프. 스테판 생태 칼리지
자동차 기술 칼리지
철도 운송 산업 칼리지


8. 2. 대학교


  • 크라이오바 대학교
  • 크라이오바 의과대학 및 약학대학


크라이오바 최초의 학교는 1759년 콘스탄틴 오베데아누에 의해 개교했다. 1826년 봄, 오베데아누 학교는 국립 루마니아어 학교(Şcoala Naţională de Limba Română)가 되었다. 이 학교는 1818년에 설립된 성 사바 고등학교(부쿠레슈티) 다음으로 루마니아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학교이다.

9. 스포츠

이온 오브레멘코 경기장


크라이오바에 처음으로 축구팀이 등장한 것은 1921년으로, 크라이오반 크라이오바와 로비네 그리비차 크라이오바였다. 이들은 1940년에 합병하여 FC 크라이오바라는 팀을 결성했고, 이 팀은 비공식 전쟁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다. 이후 이 도시의 또 다른 팀인 우니베르시타테아 크라이오바는 1982-83년 UEFA컵에서 유럽 토너먼트 준결승에 진출한 최초의 루마니아 축구팀이 되었다.
: 두 클럽 모두 약 30,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스타디우눌 욘 오브레멘코를 홈 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10. 교통

6번 노선을 운행하는 크라이오바 시내 버스


크라이오바의 대중교통은 1948년 9월 부쿠레슈티에서 받은 2대의 버스로 시작되었다. 이 버스들은 크라이오바 기차역과 니콜라에 로마네스쿠 공원을 연결했다. 1987년에는 에너지 소비를 줄이려는 국가적 노력의 일환으로 18.4km 길이의 복선 트램이 처음 도입되었다.

현재 크라이오바의 대중교통은 3개의 트램 노선과 17개의 버스 노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청이 운영하는 RAT 크라이오바 (RAT Craiovaro)에서 운영하며, 현재 190대의 버스와 35대의 트램이 시내를 운행하고 있다.

크라이오바는 주요 철도 중심지이기도 하다. 루마니아 국영 철도(Căile Ferate Românero) 네트워크를 통해 루마니아의 다른 모든 주요 도시 및 지역 목적지와 연결된다.

다음은 크라이오바에서 매일 운행하는 기차 노선이다.

행선지소요 시간
부쿠레슈티3시간
브라쇼브6 – 8시간 (환승)
클루지나포카8 – 10시간 (환승)
시비우4 – 7시간
시기쇼아라8 – 11시간 (환승)
티미쇼아라5시간



크라이오바에는 최근 현대화된 크라이오바 공항이 있다.

11. 자매 도시

도시국가
쿠오피오Kuopio|쿠오피오fi (핀란드)
낭테르Nanterre|낭테르프랑스어 (프랑스)
리옹Lyon|리옹프랑스어 (프랑스)[27]
문틴루파Lungsod ng Muntinlupa|문틴루파tl (필리핀)
스옌시十堰市|스옌 시중국어 (중화인민공화국)
스코페Скопје|스코페mk (북마케도니아)
브라차Враца|브라차bg (불가리아)
웁살라Uppsala|웁살라sv (스웨덴)


12. 주요 명소

니콜라에 로마네스크 공원의 현수교


콘스탄틴 미하일 궁전 (현재 미술관)

  • '''마도나 두두 교회''' - 1750년부터 1756년에 걸쳐 건설되었으며, 1831년 지진으로 파괴된 후 1844년에 재건되었다. 벽화는 게오르게 타타레스쿠가 완성했다.
  • 성 데메트리우스 대성당
  • '''코슈나 수도원 교회''' - 1483년에 건축되었으며, 크라이오바에 보존된 가장 오래된 건물이다.
  • '''바니에이 하우스''' - 1699년에 건축되었으며, 크라이오바에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비종교 건물이다. 현재는 민족지학 및 민속 예술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 크라이오바 미술관 - 1896년 프랑스 건축가 폴 고테로가 설계한 건물이다. 콘스탄틴 브랑쿠시의 초기 조각 작품 6점이 전시되어 있다.
  • 올테니아 박물관 - 1915년에 설립되었으며 민족지학, 역사, 자연 과학의 세 부분으로 나뉜다. 1908년에 이루어진 기증을 기반으로 한다.
  • 니콜라에 로마네스크 공원 (구 비베스쿠 공원) - 크라이오바에서 가장 크고 잘 알려진 공원이다. 당시 크라이오바 시장이었던 니콜라에 로마네스크의 주도로 프랑스 건축가 에밀 렌돈이 설계했다. 1900년 만국 박람회에서 금메달을 수상했으며, 1901년에 공사가 시작되어 1903년에 완공되었다.
  • 식물원 - 식물학자 알렉산드루 부이아가 설계했으며 1952년에 개장했다.
  • 지우 초원

참조

[1] 웹사이트 Results of the 2020 local elections https://prezenta.roa[...] Central Electoral Bureau 2021-06-08
[2] 웹사이트 Populaţia rezidentă după grupa de vârstă, pe județe și municipii, orașe, comune, la 1 decembrie 2021 https://www.recensam[...] INSSE 2023-05-31
[3] 웹사이트 Date generale << Metropola Craiova http://www.metropola[...] 2016-02-27
[4] 사전 Craiova 2019-05-20
[5] 사전 Craiova http://www.lexico.co[...] Oxford University Press
[6] 사전 Craiova 2019-05-20
[7] 뉴스 Populația României în fiecare localitate din țară - Recensământul 2021 vs. 2011 https://www.hotnews.[...] hotnews.ro 2023-02-02
[8] 서적 At Europe's Borders: Medieval Towns in the Romanian Principalities Brill
[9] 논문 Az ezredéves térkép tájnevei http://lazarus.elte.[...] ELTE Térképtudományi és Geoinformatikai Intézet 2022-08-07
[10] 서적 Alkalmazott strukturális politikák Közép-Európában http://publicatio.ny[...] University of Sopron 2022-08-08
[11] 논문 Vom Balkanesel zum Verkaufsschlager https://www.hsu-hh.d[...] 2022-08-08
[12] 웹사이트 Craiova 1991–2020 normals https://www.nodc.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3-10-21
[13] 웹사이트 Craiova Climate Normals for 1961-1990 (WMO number:15450) https://www.ncei.noa[...] NOAA 2024-02-12
[14] 웹사이트 Klimatafel von Craiova (Krajowa), Walachei / Rumänien http://www.dwd.de/DW[...] Deutscher Wetterdienst 2016-11-23
[15] 문서 Analiza rezultatelor Recensamantului General al Populatiei Romaniei de la 1899 http://omeka.bjc.ro/[...]
[16] 백과사전 Encyclopædia Britannica Eleventh Edition
[17] 웹사이트 A Handbook of Roumania https://archive.org/[...] 2011-12-19
[18] 문서 Populatia RPR la 25 ianuarie 1948 https://sas.unibuc.r[...]
[19] 웹사이트 Population at 20 October 2011 http://www.recensama[...] INSSE 2013-07-05
[20] 뉴스 Bulgaria, Romania, Serbia Establish Craiova Group for Cooperation https://www.novinite[...] Novinite 2015-04-24
[21] 뉴스 Craiova Group – too late or better late than never? https://cep.org.rs/e[...] European Policy Centre 2018-12-06
[22] 웹사이트 Partner Cities of Lyon and Greater Lyon http://www.lyon.fr/v[...] © 2008 Mairie de Lyon 2009-07-17
[23] 문서 National Institute of Statistics, January 1, 2006. http://www.insse.ro/[...]
[24] 웹인용 Craiova 1991–2020 normals https://www.nodc.noa[...] 미국 해양대기청 2023-10-21
[25] 웹인용 Craiova Climate Normals for 1961-1990 (WMO number:15450) https://www.ncei.noa[...] 미국 해양대기청 2024-02-12
[26] 웹인용 Klimatafel von Craiova (Krajowa), Walachei / Rumänien http://www.dwd.de/DW[...] 독일 기상청 2016-11-23
[27] 웹인용 Partner Cities of Lyon and Greater Lyon http://www.lyon.fr/v[...] © 2008 Mairie de Lyon 2009-07-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