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 누비라는 1997년 대우 에스페로의 후속으로 출시된 준중형차로, 1세대(J100)는 세단, 스테이션 왜건, 해치백 모델로, 2세대(J150)는 세단 모델로 판매되었다. 이탈리아 I.DE.A 디자인으로 개발되었으며, 넓은 실내 공간과 다양한 엔진 라인업을 갖추었다. 누비라는 '누비다'라는 한국어 동사에서 이름을 따왔으며, 2002년 후속 모델인 GM대우 라세티 출시와 함께 단종되었다.
2. 1세대 (J100, 1997년~1999년)
'''대우 누비라'''(J100)는 1994년부터 영국의 워딩 테크니컬 센터에서 기본 설계 및 각종 시험·개발을 수행했으며, 인천광역시 부평 연구소와도 협업하였다. 당시 대우자동차가 개발한 3개 모델 중 가장 많은 노력을 기울였으며, 김우중 회장도 이 모델에 가장 많은 애정을 가지고 있었다.
이탈리아 I.DE.A 산하 프랑코 만테가짜(Franco Mantegazza)의 지휘 아래 디자인되었으며, 1997년2월 18일에스페로의 후속 차종으로 출시되었다. 전라북도 군산 공장에서 생산된 첫 번째 승용차였다. 경쟁 차종이었던 현대 아반떼, 기아 세피아보다 큰 차체와 넓은 실내 공간을 자랑했고, 스포츠카 스타일의 시트가 장착되었다. 또한, 난연성 소재를 사용하여 북미 안전 기준을 충족하였다. 무거운 차체 때문에 정차 상태에서의 가속이 좋지 않다는 단점이 있는 반면, 고속 주행에서는 중간 가속 성능이 좋았다. 독일 ZF사의 4단 자동변속기를 적용하여 동급 차종보다 응답성이 뛰어났다.
1997년2월 18일, 에스페로의 후속 차종으로 누비라가 출시되었다. 대우자동차의 승용차 중 처음으로 전라북도 군산 공장에서 생산을 시작했다. 동급 차종인 현대 아반떼, 기아 세피아보다 더 큰 차체와 넓은 실내 공간을 특징으로 했다. 1.5L DOHC 엔진과 1.8L DOHC 엔진을 탑재했으며, 독일 ZF사의 4단 자동변속기를 적용하여 우수한 응답성을 제공했다.
대우 누비라 정측면
대우 누비라 후측면
스포츠카 시트 타입의 2경도 시트, 연료 장치 및 배선 부위에 신기술을 적용하고, 불에 강한 난연성 내장재를 사용하여 북미 법규를 초과 만족하였다.[6] 무거운 차체로 인해 초반 가속이 느리다는 단점이 있었으나, 중·후반 가속이 좋아 고속 주행에서 강점을 보였다.[7]
1997년6월 25일에는 스테이션 왜건 모델인 누비라 스패건이 출시되었다. 한국에서는 스테이션 왜건의 인기가 높지 않았지만, 누비라 스패건은 비교적 많은 판매량을 기록하며 주목받았다. 1998년9월 8일에는 해치백 형태의 누비라 D5가 출시되었으나, 누비라 라인업 중에서는 판매량이 가장 적었다.
1999년3월 4일 누비라는 마이너 체인지를 거쳐 누비라 II로 출시되었다. 레간자와 거의 통일성을 이루었으며, 스테이션 왜건인 스패건과 해치백인 D5는 판매 부진으로 대한민국에서는 세단만 판매되었다. 1988년부터 1996년까지 MBC 뉴스데스크 앵커로 활약하였던 백지연이 광고 모델로 선정되기도 하였다.[26] 동급 최초로 프로젝션 헤드 램프와 글래스 안테나 등을 적용하여 고급화를 꾀하였다. 기존 엔진을 개선해 성능과 연비를 높인 파워노믹스 엔진을 탑재하고, 레간자에 사용된 엔진 마운팅 기술로 엔진의 진동도 줄였다. 1.8L DOHC 엔진은 2.0L SOHC 엔진으로 대체되었으나, 배기량 문제로 중형차로 분류되어 판매가 부진했다.
동급 최초로 프로젝션 헤드 램프와 글래스 안테나를 적용하여 고급화를 꾀하였다. 기존 엔진을 개선하여 성능과 연비를 높인 파워노믹스 엔진을 탑재하고, 레간자에 사용된 엔진 마운팅 기술을 통해 엔진 진동을 줄였다. 파워노믹스 엔진 홍보 과정에서 경쟁 차종인 현대 아반떼를 비방하는 듯한 논란이 있었고,[26] 이로 인해 두 자동차 업체는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비방 광고에 대한 조사를 받았다.[27] 1.8L DOHC 엔진은 2.0L SOHC 엔진으로 대체되었으나, 배기량 문제로 중형차로 분류되어 판매량이 많지 않았다.
2001년5월 2일에는 휠과 라디에이터 그릴 등을 변경한 2002년형 모델이 출시되었다. 2002년11월 21일, 후속 차종인 라세티가 출시되면서 누비라 II는 단종되었다. 이후 누비라라는 명칭은 라세티가 일부 시장에서 판매될 때 사용되었다.
2001년6월 18일, 대우자동차는 연료 필터 결함으로 인해 누비라 CDX 3,000대를 리콜했다.[23]
구분
1.5L DOHC
2.0L SOHC
엔진 형식
A15DMS
X20NED
연료
가솔린
가솔린
배기량(cc)
1,498
1,998
최고출력(ps/rpm)
107/6,000 (이후 101/6,000으로 변경)
108/5,000
최고속도(km/h)
187(수동 5단)/ 180(자동 4단)
최대토크(kg*m/rpm)
13.6/4,000
16.9/2,800
연비(km/l)
16.0(수동)/ 13.3(자동)
12.9(수동)/ 11.4(자동)
3. 2. 제원
구분
내용
전장(mm)
4,495
전폭(mm)
1,700
전고(mm)
1,430
축거(mm)
2,570
윤거(전, mm)
1,466
윤거(후, mm)
1,450
승차정원
5명
변속기
수동 5단/자동 4단
서스펜션(전/후)
맥퍼슨 스트럿/멀티 링크
구동형식
전륜 구동
누비라 II의 제원이다. 엔진 라인업은 하위 문단을 참고하면 된다.
3. 2. 1. 엔진 라인업
(이후 101/6,000으로 변경)
108/5,000
최고속도(km/h)
187(수동 5단)/ 180(자동 4단)
-
최대토크(kg·m/rpm)
13.6/4,000
16.9/2,800
연비(km/L)
16.0(수동)/ 13.3(자동)
12.9(수동)/ 11.4(자동)
4. 해외 시장
대우 누비라는 1997년에 출시되어 대우자동차의 새로운 디자인과 제조 공정을 반영했다. 전 포르쉐 및 BMW 수석 엔지니어인 울리히 베츠 박사의 지휘 아래 30개월 만에 개발되었으며, I.DE.A 인스티튜트가 스타일링을 담당했다.[6] 리카르도와 GM 홀덴 등 여러 회사가 개발에 참여했으며, 대한민국 군산 공장에서 생산되었다. 누비라는 대우 에스페로의 하위 및 중간 사양과 대우 넥시아의 상위 라인업을 대체하는 모델로 개발되었다.[7] '누비라'라는 이름은 '세상을 누비다'라는 뜻의 한국어 동사에서 유래했다.
2000년에는 페이스리프트를 거친 누비라 II (J150)가 출시되었다. 영국 워딩 기술 센터에서 90가지 이상의 개선을 통해 승객 공간을 넓히고 소음과 진동을 줄였다. 전면부는 개선되고 후면은 더 각진 형태로 디자인되었다. 국제 시장에서 누비라는 1.3L, 1.6L, 홀덴 1.8L 또는 2.0L 직렬 4기통 가솔린 엔진을 선택할 수 있었다.[6]디젤 엔진 버전은 출시되지 않았지만, 1.9L 르노 엔진을 장착한 시험 차량이 개발되기도 했다.
누비라는 CKD 키트 형태로 러시아 TagAZ 공장에서도 생산되었으며, Doninvest에서 '''도니베스트 오리온'''이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다.[6] 2008년까지 루마니아와 이집트의 전 대우 공장에서도 GM대우의 라이선스를 받아 생산되었다.[6] 2004년에 대우 라세티로 대체되었으며, 일부 시장에서는 쉐보레 누비라, 미국에서는 스즈키 포렌자와 르노로 판매되었다.
4. 1. 유럽 시장
1997년에 생산이 시작되었고, 1999년에 페이스리프트 모델이 출시되었다.[18][19] 대우는 1997년 가을에 라노스, 레간자와 함께 누비라 생산을 시작한다고 발표했다.
1997년 9월 9일, 누비라의 판매 가격이 확정되었고, 9월 11일에 판매가 시작되었다.[8]
1997년 영국 누비라 가격
트림 레벨
차체 유형
가격
SE
4도어 세단
11995GBP
SE
왜건
12995GBP
CDX
4도어 세단
12995GBP
CDX
왜건
13995GBP
4가지 모델 라인업에는 1.6[9]과 2.0[10] 엔진의 두 가지 엔진이 제공되었다. SE와 CDX의 두 가지 트림 레벨과 4도어 세단과 5도어 왜건의 두 가지 차체 스타일이 있었다. 5도어 해치백은 제공되지 않았다. 모든 모델에는 에어컨, ABS, 운전석 및 조수석 에어백, 알람, 엔진 이모빌라이저, 파워 스티어링, 전동식 앞좌석 창문, 중앙 잠금 장치, 메탈릭 페인트, RDS 라디오/카세트 플레이어가 표준으로 장착되었다.[11] SE 모델에는 허브캡, 차체 색상과 다른 도어 핸들 및 도어 미러, 차체 측면에 'SE' 엠블럼이 있었다. 알로이 휠은 SE 모델의 옵션이었다. CDX에는 알로이 휠, 차체 색상과 같은 도어 핸들 및 윙 미러, 후면 전동식 창문, 차체 측면에 'CDX' 엠블럼이 장착되었다. 1998년 1월 1일부터 새로운 라인업에 대해 1년간의 무료 보험이 제공되는 프로모션이 확대되었다.[12]
1999년에는 가격이 £425 인하되었고,[13] 2001년에는 £1,230 추가 인하되었다. 1999년 7월 22일, 영국 출시 24개월 만에 누비라의 페이스리프트 모델이 발표되었다. 1.6리터와 2.0리터 엔진도 개선되어 토크와 성능은 감소했지만 연비는 향상되었다.[18][19]
한정판 모델의 경우 1.6 SE 4도어 모델의 가격이 9995GBP로 인하되었다. (동급 모델 대비) 1814GBP의 할인이 적용되었다.[20] 추가 장비로는 14인치 알로이 휠, 메탈릭/마이카 페인트, CD 오토체인저가 무료로 제공되었다. 대우자동차는 누비라 에스테이트를 포함한 프로모션을 확대했다. 누비라는 0% 할부 구매, 36개월, CDX 모델 40% 계약금 조건의 상품이 제공되었다.[21] 2002년에는 누비라 CDX 모델에 1500GBP의 현금 환급 혜택을 제공했다.[22]
2001년 6월 18일, 대우자동차는 연료 필터 결함으로 인해 누비라 CDX 3,000대를 리콜했다.[23]
네덜란드에서는 해치백, 세단, 에스테이트 등 세 가지 차체 유형과 SE(기본 모델), SX, CDX 등 세 가지 트림 레벨을 제공했다. 기본 모델 세단은 15000EUR 미만, 최고급 에스테이트는 20500EUR 미만부터 시작했다. 페이스리프트 모델의 가격은 기본 모델 해치백이 15395EUR부터 최고급 에스테이트가 21095EUR까지 다양했다.[24]
4. 2. 북미 시장
2000년에 생산이 시작되었다. 미국에서는 라노스와 레간자와 함께 판매되었다. 대우는 국내 재정난으로 인해 미국 자동차 시장 진출에 어려움을 겪었고, 부도와 신제품 부족으로 인해 2002년이 마지막 판매 연도가 되었다.[25]
3년/36,000마일 포괄 보증, 3년/24시간 우선 지원 프로그램, 5년/60,000마일 파워트레인 보증 등 다양한 프로모션이 제공되었다. 미국 누비라 모델에는 호주산 홀덴에서 생산한 DOHC 16밸브 2.0리터 직렬 4기통 GM "D-Tec" 가솔린 엔진이 장착되었다.[25] GM 패밀리 II 엔진은 5,400rpm에서 129bhp 출력을, 4,400rpm에서 토크를 생성했다. SE와 CDX 두 가지 트림 레벨이 제공되었으며, CDX 모델에는 에어컨, 크루즈 컨트롤, 키리스 엔트리 기능이 포함된 경보 장치, 알로이 휠, CD 플레이어와 같은 추가 장비가 장착되었다.[25]
4. 3. 기타 시장
러시아 타간로그의 TagAZ 공장에서 CKD 키트 방식으로 잠시 생산되었으며, Doninvest는 이를 '''도니베스트 오리온'''으로 판매하였다.[6] 2008년까지 GM대우의 라이선스를 받은 전 대우 공장에서 루마니아와 이집트에서 생산되었다.[6]
5. 디자인
누비라(Nubira)는 '사방으로 두루 다닌다'는 의미의 한국어 동사 '누비다'의 명령형이다.[1] 이 이름은 자동차가 전 세계를 누빌 것이라는 포부를 담고 있다.[1]
누비라 II (J150)는 2000년형 모델로 출시된 페이스리프트 모델이다.[2] 영국 대우 워딩 기술 센터에서 승객 공간 증대, 소음, 진동 및 충격 감소 등 90가지 이상의 개선이 이루어졌다. 예를 들어 엔진 마운트를 네 번째로 추가하고 흡기 공명기를 재조정했다.[2] 2세대에서는 호주 ANCAP 테스트에서 입증된 것처럼 오프셋 충돌 성능이 향상되었지만, 모범적인 수준에는 미치지 못했다.[2] 렉서스 ES350, 2004년형 미쓰비시 디아망테와 유사하게 전면부를 개선하고 후면을 더 각지게 만들었으며, 도어 미러를 추가하여 더욱 역동적이고 세련된 외관을 완성했다.[2]
국제 시장용 누비라는 대우 "E-Tec" 1.3, "E-Tec" 1.6, 홀덴 1.8 또는 2.0리터 직렬 4기통 가솔린 엔진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었다.[3]디젤 엔진 버전은 출시되지 않았으나, 워딩 기술 센터에서 J151 개발 프로그램에 따라 소량의 시험 차량에 르노 F8 1.9리터 엔진을 장착했다.[3]
누비라는 CKD 키트를 사용하여 타간로그 TagAZ 공장에서도 잠시 생산되었다.[3] 러시아 자동차 제조업체 Doninvest는 이를 '''도니베스트 오리온'''으로 판매했다.[3] 2008년까지 루마니아와 이집트의 전 대우 공장에서 GM대우 라이선스 하에 누비라를 생산했다.[3]
2004년, 누비라는 GMDAT 관리 하에 피닌파리나가 디자인한 새로운 차체를 가진 J200 대우 라세티로 대체되었다.[4] 라세티는 세단, 스테이션 왜건, 그리고 이탈디자인 해치백으로 출시되었다.[4] 일부 유럽 시장에서는 쉐보레 누비라, 미국에서는 스즈키 포렌자와 르노로 판매되었다.[4]
6. 평가
누비라는 한국어 동사 '누비다'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전 세계를 누빈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1997년에 출시된 1세대 누비라는 현대 아반떼, 기아 세피아보다 큰 차체와 넓은 실내 공간을 갖춰 좋은 평가를 받았다.[1] 그러나 무거운 차체로 인해 정지 상태에서의 가속은 느렸지만, 고속 주행에서는 우수한 가속 성능을 보였다.[1]
2세대 누비라는 영국 워딩 기술 센터에서 승객 공간 증대, 소음, 진동, 충격 감소 등 90가지 이상의 개선을 거쳤다. 전면부 디자인을 개선하고 후면을 각지게 만들었으며, 도어 미러를 추가하여 더욱 역동적이고 세련된 외관을 갖추었다. 그러나 오프셋 충돌 성능은 개선되었지만, 여전히 모범적인 수준에는 미치지 못했다.[1]
국제 시장에서 누비라는 1.3, 1.6리터 "E-Tec" 엔진 또는 홀덴 1.8, 2.0리터 직렬 4기통 가솔린 엔진을 선택할 수 있었다. 디젤 엔진 버전은 출시되지 않았지만, 워딩 기술 센터에서 르노의 F8 1.9리터 엔진을 장착한 시험 차량을 개발하기도 했다.
누비라는 러시아 타간로그의 TagAZ 공장에서 CKD 키트 형태로 잠시 생산되었으며, Doninvest는 이를 '''도니베스트 오리온'''으로 판매했다. 또한, GM대우의 라이선스를 받아 루마니아와 이집트의 전 대우 공장에서도 생산되었다.
2004년에는 피닌파리나가 디자인한 J200 대우 라세티로 대체되었으며, 일부 유럽 시장에서는 쉐보레 누비라, 미국에서는 스즈키 포렌자와 르노로 판매되었다.
6. 1. 긍정적 평가
1997년2월 18일에 출시된 누비라는 현대 아반떼와 기아 세피아보다 큰 차체와 넓은 실내 공간, 스포츠카 스타일의 시트를 갖추어 좋은 평가를 받았다.[1] 또한, 난연성 소재를 사용하여 북미 안전 기준을 충족했다.[1] 다만, 무거운 차체로 인해 정지 상태에서의 가속은 느렸지만, 고속 주행에서는 중간 가속 성능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었다.[1]
6. 2. 부정적 평가
1세대 누비라는 무거운 차체 때문에 정차 상태에서 출발할 때 가속 성능이 좋지 않다는 단점이 있었다. 2세대 누비라에서는 여러 개선이 이루어졌지만, 오프셋 충돌 성능은 여전히 모범적인 수준에는 미치지 못했다.[1]
7. 누비라의 유산
'누비라'는 한국어 '활약하다' 또는 '세상을 누비다'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세상을 누비는 우리의 자동차"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한국 자동차 업계에서 순우리말 이름을 가진 몇 안 되는 차종 중 하나이다.[1] 일부 지역에서는 후속 차종인 라세티에도 '누비라'라는 이름이 계속 사용되기도 했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