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Great Thou Art (엘비스 프레슬리의 음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How Great Thou Art》는 1967년 발매된 엘비스 프레슬리의 가스펠 앨범이다. 이 앨범은 프레슬리가 군 복무 이후 처음으로 사운드트랙이 아닌 앨범으로, 1965년 싱글 "Crying in the Chapel"의 성공에 힘입어 제작되었다. 앨범은 평론가와 대중에게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빌보드 200 차트 18위, 톱 컨트리 앨범 차트 7위에 올랐다. 1968년 그래미상에서 최우수 고무적 공연 부문을 수상하며, 엘비스 프레슬리에게 첫 번째 그래미상을 안겨주었다. 이 앨범은 엘비스의 음악 경력에서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고, 가스펠 음악 대중화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엘비스 프레슬리의 음반 - Girls! Girls! Girls!
엘비스 프레슬리가 주연한 동명의 영화 사운드트랙 음반인 Girls! Girls! Girls!는 1962년 3월 녹음된 곡들 중 일부가 수록되었으며, 프레슬리의 음악 경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재발매를 통해 미수록곡들이 추가되었다. - 엘비스 프레슬리의 음반 - Blue Hawaii
엘비스 프레슬리의 사운드트랙 앨범인 Blue Hawaii는 동명의 영화 사운드트랙으로 하와이 음악 분위기를 담았으며, "Can't Help Falling in Love"와 "Rock-A-Hula Baby" 등의 히트곡을 통해 그래미 상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 1967년 음반 - Axis: Bold as Love
Axis: Bold as Love는 지미 헨드릭스 익스피리언스의 두 번째 스튜디오 앨범으로, 하드 록, 리듬 앤 블루스, 재즈를 혼합한 사운드와 헨드릭스의 실험적인 시도가 돋보이며, 힌두교 이미지 커버 논란에도 불구하고 상업적 성공과 음악적 영감을 주었다. - 1967년 음반 - After Bathing at Baxter's
《After Bathing at Baxter's》는 제퍼슨 에어플레인의 세 번째 스튜디오 앨범으로, 실험적인 사운드, 사이키델릭 록, 애시드 록, 의식의 흐름 기법 등이 혼합된 복잡한 음악적 구성과 론 코브가 디자인한 독특한 커버 아트를 특징으로 한다. - RCA 레코드 음반 - The New Abnormal
The New Abnormal은 스트록스가 2020년에 발매하고 릭 루빈이 프로듀싱한 여섯 번째 정규 앨범으로, 장미셸 바스키아의 그림을 커버 아트로 사용했으며 인디 록, 뉴 웨이브, 일렉트로니카 등 다양한 장르를 혼합하여 평론가들의 호평과 함께 그래미상 최우수 록 앨범을 수상했다. - RCA 레코드 음반 - Hurts 2B Human
핑크의 2019년 앨범 《Hurts 2B Human》은 팝, 댄스, 컨트리 음악 요소를 결합하고 여러 음악가가 참여하여 빌보드 200 차트 1위로 데뷔하며 상업적 성공과 긍정적 평가를 받았다.
How Great Thou Art (엘비스 프레슬리의 음반) - [음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유형 | 스튜디오 음반 |
아티스트 | 엘비스 프레슬리 |
발매일 | 1967년 2월 27일 |
녹음일 | 1960년 10월 31일 ("Crying in the Chapel"); 1966년 5월 25일 ~ 1966년 5월 27일 |
스튜디오 | RCA 스튜디오 B (내슈빌) |
장르 | 가스펠 |
길이 | 31분 33초 |
레이블 | RCA 빅터 |
프로듀서 | 펠튼 자비스 |
엘비스 프레슬리 음반 연대기 | |
이전 음반 | 스핀아웃 (1966년) |
다음 음반 | Easy Come, Easy Go (1967년) |
2. 배경
1960년대 초, 엘비스 프레슬리는 군 복무 이후 영화 사운드트랙 작업에 집중하면서 대중음악계에서 다소 멀어져 있었다.[6] 하지만 그의 가스펠 앨범 《His Hand in Mine》은 꾸준한 인기를 얻고 있었고,[6] 1965년에는 싱글 〈Crying in the Chapel〉이 빌보드 핫 100 차트에서 3위에 오르는 등 큰 성공을 거두었다.[6] 엘비스와 그의 매니저 톰 파커는 이러한 배경 속에서 새로운 가스펠 앨범 제작을 계획한다.[6]
《How Great Thou Art》는 엘비스의 1962년 음반 《Pot Luck with Elvis》 이후 처음으로 사운드트랙이 아닌 음반이며, 1960년 가스펠 음반 이후 처음으로 사운드트랙 앨범에 수록곡이 단 한 곡도 실리지 않은 음반이다.[6] 1963년 5월 처음 만난 프로듀서 펠튼 자비스와의 첫 공동 작업으로, 이후에도 프레슬리와 꾸준히 협력했다.[6]
《How Great Thou Art》는 발매 직후 평론가와 대중 모두에게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빌보드 앨범 차트 18위, 컨트리 앨범 차트 7위에 오르는 등 상업적으로도 성공했으며, 1968년 그래미 어워드에서 최우수 영감 퍼포먼스 부문을 수상하며 음악적 가치를 인정받았다.
《How Great Thou Art》는 28개월 만에 발매된 엘비스 프레슬리의 논 사운드트랙 음반으로, 프로듀서가 체트 앳킨스에서 펠튼 자비스로 바뀐 첫 세션이었다. 펠튼은 로이드 프라이스, 패츠 도미노, 토미 로, 글래디스 나이트 & 더 핍스 등을 프로듀싱한 인물로, 오랜 엘비스 팬이기도 하며, 1959년에 "Don't Knock Elvis"라는 레코드를 낸 적이 있다.[1]
엘비스 프레슬리는 음반 제작 과정에서 자신이 좋아하는 곡과 참여 음악가들이 추천한 곡을 선택했다.[6] 이 중 다섯 곡은 퍼블릭 도메인 상태였는데, "엘비스 프레슬리 편곡"으로 명의를 등록하여 저작권료를 받을 수 있게 했다.[6] 엘비스는 특히 〈How Great Thou Art〉를 완벽하게 부르기 위해 수개월 동안 집에서 연습했다고 한다.[6]
당시 엘비스는 영화 사운드트랙 음악의 질적 저하에 불만을 느끼고 새로운 음악적 시도를 원했다.[6] 펠튼 자비스 프로듀서와의 만남은 이러한 엘비스의 열망을 실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6] 자비스는 엘비스의 오랜 팬이었고, 1959년에는 "Don't Knock Elvis"라는 레코드를 낸 적도 있었다. 그는 엘비스에게 밥 딜런의 "내일은 멀리" 등 더 흥미로운 곡들을 다루도록 정보를 제공했다.
이 앨범은 엘비스가 1962년 음반 《Pot Luck with Elvis》 이후 처음으로 사운드트랙이 아닌 음반이었고, 1960년 가스펠 음반 이후 처음으로 사운드 트랙 앨범에 수록곡이 단 한 곡도 실리지 않은 음반이었다.[6]
3. 제작
음반 제작 과정에서 엘비스는 프레디 비엔스톡이 출판권을 가진 곡 대신 자신이 좋아하는 곡과 참여 음악가들의 추천곡을 선택했다.[6] 이 중 5곡은 퍼블릭 도메인이었는데, "엘비스 프레슬리 편곡"으로 명의를 붙여 엘비스 프레슬리 뮤직에서 출판하여 저작료를 확보했다.[6] 엘비스는 앨범 작업에 열정적이었고, 특히 〈How Great Thou Art〉는 수개월간 연습할 정도로 심혈을 기울였다.[6]
수록곡은 12곡으로, 빌리 선데이가 대중화시킨 스탠더드 〈In the Garden〉, 주벌리 고전 〈Run On〉 등이 포함되었다.[6] 13번째 수록곡 〈Crying in the Chapel〉은 1965년 싱글로 발매된 기성곡이다.[6] 앨범 녹음 중 싱글 〈Love Letters〉, 사운드트랙 《Spinout》 수록곡, 레드 웨스트 작곡의 크리스마스 싱글 〈If Every Day Was Like Christmas〉가 녹음되었다.[6]
1966년 5월, 테네시주 내슈빌의 RCA 스튜디오 B에서 녹음이 진행되었다. 엘비스는 찰리 호지, 소니 웨스트와 함께 그레이스랜드에서 연습했다. 힐 & 레인지 자료를 검토했으나, 프레슬리는 회사가 소유하지 않은 자신이 좋아하는 노래를 녹음하기로 결정했다.
지미 존스의 앨범 참여는 무산되었고, 제이크 헤스가 이끄는 The Imperials가 고용되었다. 조다네어스, 밀리 커크햄, 여성 세션 백업 가수들이 보컬 파트를 완성했다. 레이 워커는 빌리 그레이엄 행사에서 사용된 조지 베벌리 셰이 버전을, 찰리 호지는 Sons of the Pioneers 버전을 듣고 엘비스가 "How Great Thou Art" 녹음을 제안했다고 주장했다.
타이틀 곡은 네 번의 테이크로 녹음되었다. 제리 실링은 마지막 테이크 후 엘비스가 기진맥진했다고 회상했다.
3. 1. 앨범 커버
앨범 커버에 실린 교회는 매사추세츠주 샌드위치에 있는, 매사추세츠주에서 가장 오래된 성당이다.[7]
4. 평가 및 반응
특히 한국에서는 군사정권 시절 이 앨범에 수록된 곡들이 금지곡으로 지정되지 않고 라디오를 통해 방송되면서 대중에게 널리 알려졌다. 이는 당시 억압적인 사회 분위기 속에서 대중에게 위로와 희망을 주는 역할을 했다.
5. 영향
펠튼 자비스는 영화 사운드트랙용 곡밖에 주어지지 않았던 엘비스에게 더 흥미로운 곡을 다루도록 정보를 제공했고[1], 이 세션에서는 밥 딜런의 "내일은 멀리" 등을 녹음했다. 이를 통해 엘비스는 점차 영화 사운드트랙 외의 곡을 다루게 되었고, 68' 컴백 스페셜을 통한 본격적인 복귀의 터닝 포인트가 되었다.
6. 곡 목록
총 12곡이 수록되었으며, 1965년 싱글로 발매된 〈Crying in the Chapel〉이 13번째 수록곡으로 추가되었다.
6. 1. 오리지널 발매
음반 수록곡은 총 12곡으로, 빌리 선데이가 1919년에 대중화시킨 스탠더드 곡 〈In the Garden〉과 주벌리 고전 〈Run On〉 등이 있다.[6] 13번째 수록곡 〈Crying in the Chapel〉은 1965년 싱글로 발매되었다.[6]
본 앨범 녹음 중 싱글 〈Love Letters〉가 녹음되었고, 사운드트랙 《Spinout》 수록곡 2곡도 추가로 녹음되었다.[6] 멤피스 마피아의 레드 웨스트가 작곡한 크리스마스 싱글 〈If Every Day Was Like Christmas〉는 앨범 세션 다음 날인 6월 10일에 녹음되었다.[6]
6. 1. 1. Side one
음반 제작 과정에서 프레디 비엔스톡이 제시한 곡들을 거절하고, 엘비스는 자신이 좋아하는 곡들과 참여 음악가들의 추천 곡들을 선택했다.[6] 이 중 다섯 곡은 퍼블릭 도메인이었는데, 모두 "엘비스 프레슬리 편곡"으로 명의를 붙여 엘비스 프레슬리 뮤직에서 출판하여 비엔스톡이 저작료를 받을 수 있게 했다.[6] 엘비스는 〈How Great Thou Art〉의 완벽한 취입을 위해 수개월 동안 집에서 연습했다고 한다.[6]
Side one에는 다음과 같은 곡들이 수록되었다.
번호 | 곡명 | 작사/작곡 | 재생 시간 |
---|---|---|---|
1 | How Great Thou Art (주 하나님 지으신 모든 세계) | 스튜어트 K. 하인 | 3:00 |
2 | In the Garden (동산에서) | C. 오스틴 마일스 | 3:11 |
3 | Somebody Bigger Than You and I (나보다 크신 분) | 하이 히스, 소니 버크, 조니 랭 | 2:25 |
4 | Farther Along (더 멀리) | 민요 | 4:04 |
5 | Stand By Me (나를 지켜주소서) | 민요 | 2:26 |
6 | Without Him (그분 없이는) | 밀론 르페브르 | 2:27 |
6. 1. 2. Side two
번호 | 곡명 | 작곡가 | 재생 시간 |
---|---|---|---|
1 | So High | 민요 | 1:56 |
2 | Where Could I Go But to the Lord (주님 말고 어디로 갈까) | 제임스 B. 코츠 | 3:36 |
3 | By and By (곧) | 민요 | 1:49 |
4 | If the Lord Wasn't Walking by My Side (주님이 내 곁에 걷지 않으신다면) | 헨리 슬로터 | 1:36 |
5 | Run On (신이 널 잘라낼 것이다) | 민요 | 2:21 |
6 | Where No One Stands Alone (아무도 홀로 서지 않는 곳) | 모시 리스터 | 2:42 |
7 | Crying in the Chapel (채플에서 울다) | 아티 글렌 | 2:26 |
Side two에는 1960년 《His Hand in Mine》에서 완성하고 1965년 싱글로 발매된 〈Crying in the Chapel〉(채플에서 울다)이 수록되어 있다.[6]
6. 2. 재발매 보너스 트랙
소니 뮤직에서 2008년에 재발매했을 때 보너스 트랙 세 곡이 추가되었다. 이 중 두 곡은 1968년 싱글로 발매된 〈You'll Never Walk Alone〉, 〈We Call On Him〉이며, 나머지 한 곡인 〈Who Am I?〉는 《From Elvis in Memphis》에서 파생된 곡으로, 1971년 염가 앨범으로 발매되었다.[6]트랙 | 녹음일 | 한국어 제목 | 곡명 | 작곡가 | 시간 |
---|---|---|---|---|---|
1 | 1967년 9월 11일 | 유 아 네버 워크 얼론 | Youll Never Walk Alone | 오스카 해머스타인 2세, 리처드 로저스 | 2:43 |
2 | 1967년 9월 11일 | 위 콜 온 힘 | We Call On Him | 프레드 카거, 시드 웨인, 벤 웨이즈먼 | 2:31 |
3 | 1969년 2월 22일 | 나는 누구? | Who Am I? | 찰스 러스티 굿맨 | 2:07 |
7. 참여 음악가
- 엘비스 프레슬리 – 보컬, 〈You'll Never Walk Alone〉 피아노[6]
- 조다네어스 – 백 보컬[6]
- 임페리얼스 – 백 보컬[6]
- 밀리 커크햄 – 백 보컬[6]
- 돌로레스 에드진 – 백 보컬[6]
- 준 페이지 – 백 보컬[6]
- 부츠 랜돌프 – 색소폰[6]
- 루퍼스 롱 – 색소폰[6]
- 스카티 무어 – 기타[6]
- 칩 영 – 기타[6]
- 찰리 맥코이 – 기타, 베이스, 하모니카[6]
- 피트 드레이크 – 페달 스틸 기타[6]
- 플로이드 크레이머 – 피아노[6]
- 데이비드 브리그스 – 피아노, 오르간[6]
- 헨리 슬로터 – 피아노, 오르간[6]
- 밥 무어 – 더블 베이스[6]
- 헨리 스트르젤레키 – 더블 베이스[6]
- D. J. 폰타나 – 드럼, 탬버린[6]
- 버디 하먼 – 드럼, 팀파니[6]
8. 차트 성적
순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