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은 3GPP에서 정의한 IP 기반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한 핵심 네트워크 서브시스템이다. 1999년 3G.IP 산업 포럼에서 처음 정의되었으며, 릴리즈 5부터 3GPP 표준으로 채택되었다. IMS는 다양한 액세스 네트워크를 지원하며, 홈 가입자 서버(HSS), 콜 세션 제어 기능(CSCF), 애플리케이션 서버(AS) 등의 핵심망 요소로 구성된다. 또한, 과금, 보안, 세션 처리 기능을 제공하며, 차세대 네트워크(NGN) 상호 접속을 지원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음성 인터넷 프로토콜 - 구글 음성 검색
구글 음성 검색은 전화 기반의 음성 검색 도구로 시작하여 서비스는 종료되었으나, 관련 기술은 다양한 구글 제품에 영향을 주었으며, 모바일 음성 검색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다양한 구글 서비스와 통합되어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고 언어 지원을 확대해왔다. - 음성 인터넷 프로토콜 - 음성 사서함
음성 사서함은 발신자가 녹음된 오디오 메시지를 수신자에게 전달하는 시스템으로,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통신 방법을 통해 발전해 왔으며, 기업의 통신 흐름 개선에 기여한다. - LTE (전기통신) - 멀티미디어 방송 다중송출 서비스
멀티미디어 방송 다중송출 서비스(MBMS)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다수의 사용자에게 동시에 전송하는 기술이며, 3GPP 표준에 의해 기술 규격이 정의되고 5G 네트워크에서도 기술 발전을 지속하고 있다. - LTE (전기통신) - VoLTE
VoLTE는 LTE망을 이용해 음성 통화를 제공하는 기술로, 상용 서비스 시작 후 국제 로밍 및 상호 운용성이 확대되었으며, 높은 음성 품질과 통화 중 데이터 통신 가능 등의 장점을 제공하지만 네트워크 및 장치 호환성, 긴급 통화 문제 등의 과제도 안고 있다. - 멀티미디어 - 인터넷 텔레비전
인터넷 텔레비전은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텔레비전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로, 기술 발전에 따라 스트리밍 방식과 접근성이 발전해왔으며, 온라인 비디오 플랫폼의 성장과 함께 빠르게 성장하여 현재는 다양한 기기를 통해 시청이 가능하다. - 멀티미디어 - 미디어 플레이어
미디어 플레이어는 컴퓨터에서 오디오나 비디오와 같은 미디어 파일을 재생하는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로, 디지털 기술 발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으며 운영 체제, 지원 파일 형식 등으로 분류되고, 대한민국에서는 팟플레이어, 곰플레이어 등의 국산 미디어 플레이어가 널리 쓰인다.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 |
---|---|
지도 | |
일반 정보 | |
종류 | 통신망 아키텍처 프레임워크 |
분야 | 통신 |
약자 | IMS |
개발 | 3GPP |
상세 정보 | |
주요 기능 | IP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 비디오, 메시징, 데이터 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
핵심 구성 요소 |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CSCF) Media Gateway Control Function (MGCF) Media Resource Function (MRF) Home Subscriber Server (HSS) |
프로토콜 | SIP Diameter RTP |
표준화 기구 | 3GPP |
관련 기술 | VoLTE VoWiFi RCS |
특징 | |
장점 |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통합 제공 유연한 서비스 개발 및 확장성 IP 기반 네트워크와의 연동 용이 |
단점 | 복잡한 아키텍처 높은 초기 구축 비용 서비스 품질(QoS) 보장의 어려움 |
활용 분야 | |
이동통신 | 4G, 5G 네트워크의 핵심 기술 |
유선통신 | FMC (Fixed Mobile Convergence) 서비스 |
기업 통신 | UC (Unified Communications) 서비스 |
관련 용어 | |
SIP | 세션 개시 프로토콜 (Session Initiation Protocol) |
VoLTE | LTE 기반 음성 통화 (Voice over LTE) |
RCS | 풍부한 통신 서비스 (Rich Communication Services) |
기타 | |
참고 표준 | TS 23.228 (3GPP) |
2. 역사
IMS는 1999년 3G.IP 산업 포럼에서 처음 정의되었다. 이후 3GPP에서 UMTS 네트워크를 위한 3G 이동 전화 시스템 표준으로 채택되었다(릴리즈 5). 이때 STP 기반 멀티미디어가 추가되었고, 이전의 GSM과 GPRS 네트워크도 지원되었다.[4] 3GPP2는 CDMA2000 멀티미디어 도메인(MMD)의 기반으로 IMS를 채택했다.
IP 멀티미디어 코어 네트워크 서브시스템은 다양한 기능들의 집합이며,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로 연결되어 하나의 IMS 관리 네트워크를 형성한다.[7] 기능은 노드(하드웨어 박스)가 아니며, 구현 방식에 따라 두 기능을 하나의 노드로 결합하거나 단일 기능을 여러 노드로 분할할 수 있다. 각 노드는 규모 조정, 부하 분산, 조직 문제 등으로 인해 단일 네트워크에 여러 번 존재할 수 있다.
3GPP 릴리즈 6에서는 WLAN 연동, 라우팅 그룹 엔티티, 다중 등록 및 분리, 사용자 상태, 대화 인식, 대화 가능 서비스(Push to talk) 등이 추가되었다.[5]
3GPP 릴리즈 7에서는 TISPAN 릴리즈 R1.1과 연동하여 고정 네트워크를 지원하고, AGCF, PSTN 에뮬레이션 서비스(PES)를 추가하여 PSTN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던 서비스를 유선 네트워크에서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AGCF는 IMS 네트워크와 Megaco/H.248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한다.[5]
3GPP 릴리즈 8에서는 LTE/SAE, 멀티미디어 세션 연속성, 향상된 긴급 세션, SGs를 통한 SMS,[5] IMS 집중 서비스를 지원했다.
3GPP 릴리즈 9에서는 GPRS 및 EPS를 통한 IMS 긴급 통화, multimedia telephony 향상, IMS media plane 보안, 서비스 집중 및 연속성 향상을 지원했다.
3GPP 릴리즈 10에서는 장치 간 전송, 단일 무선 음성 통화 연속성(SRVCC) 향상, IMS 긴급 세션 향상을 지원했다.
3GPP 릴리즈 11에서는 USSD 시뮬레이션 서비스, IMS에 대한 네트워크 제공 위치 정보, IMS에서 MSISDN 없이 SMS 전송 및 전송, 과부하 제어를 추가했다.
일부 통신 사업자들은 IMS가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든다는 이유로 반대하기도 했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2010년에는 LTE 네트워크에서 음성 및 SMS를 지원하기 위해 IMS를 축소한 VoLTE가 정의 및 표준화되었다.[6]
IMS는 ETSI TS123.228, TS124.229, ITU-T Y.2001, Y.2011, TTC JT-Y2001, JT2011로 채택되었다.
3. 구조
3. 1. 접속 네트워크
사용자는 다양한 방식으로 IMS에 연결할 수 있으며, 대부분 표준 IP를 사용한다. IMS 단말(휴대 전화,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PDA), 컴퓨터 등)은 다른 네트워크나 국가에서 로밍 중일 때(방문한 네트워크)에도 IMS에 직접 등록할 수 있다. 유일한 요구 사항은 IP를 사용하고 SIP 사용자 에이전트를 실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디지털 가입자 회선 (DSL), 케이블 모뎀, 이더넷, FTTx 등 고정 액세스, 5G NR, LTE, W-CDMA, CDMA2000, GSM, GPRS 등 모바일 액세스 및 WLAN, 와이맥스 등 무선 액세스가 모두 지원된다. POTS (구식 아날로그 전화), H.323 및 IMS와 호환되지 않는 VoIP 시스템과 같은 다른 전화 시스템은 게이트웨이를 통해 지원된다.[10]
3. 2. 핵심망
IP 멀티미디어 코어 네트워크 서브시스템은 다양한 기능들의 집합이며,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로 연결되어 하나의 IMS 관리 네트워크를 이룬다. 각 기능은 하나의 장치에 대응되지 않을 수 있으며, 여러 기능을 하나의 노드에 통합하거나 하나의 기능을 여러 노드에 분산할 수 있다. 이는 확장성, 부하 분산, 조직 문제 등을 고려한 설계이다.[1]
3. 2. 1. 홈 가입자 서버(HSS)
홈 가입자 서버(HSS)는 통신을 처리하는 IMS 네트워크 엔티티를 지원하는 마스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이다. 가입 관련 정보(가입자 프로필)를 포함하고, 사용자 인증 및 인가를 수행하며, 가입자의 위치 및 IP 정보를 제공한다. 이는 GSM의 홈 위치 레지스터(HLR) 및 인증 센터(AuC)와 유사하다.[1]
여러 HSS를 사용할 때는 가입자 위치 기능(SLF)을 사용하여 사용자 주소를 매핑한다.[1]
HSS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에는 IMPU (IP 멀티미디어 공용 ID), IMPI (IP 멀티미디어 개인 ID), IMSI, MSISDN, 가입자 서비스 프로필, 서비스 트리거 및 기타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1]
3. 2. 2. 콜 세션 제어 기능(CSCF)
IMS(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에서 SIP 신호 패킷을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SIP 서버 또는 프록시 역할을 하는 여러 기능을 통칭하여 콜 세션 제어 기능(CSCF,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이라고 부른다. CSCF에는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프록시-CSCF'''(P-CSCF, Proxy-CSCF): IMS 단말이 처음 접촉하는 SIP 프록시이다. 방문 네트워크 또는 홈 네트워크에 위치할 수 있다.
- 등록 전에 IMS 단말에 할당되며, 등록 기간 동안 변경되지 않는다.
- 모든 신호 경로에 위치하며, 모든 신호를 검사한다.
- 가입자 인증을 제공하고, IMS 단말과 IPsec 또는 TLS 보안 연관을 설정한다.
- SigComp을 사용하여 SIP 메시지를 압축 및 압축 해제하여 느린 무선 링크에서 왕복 시간을 줄인다.
- 미디어 평면 리소스의 서비스 품질(QoS)을 권한 부여하는 정책 결정 기능(PDF, Policy Decision Function)을 포함할 수 있다.
- 요금 기록을 생성한다.
- '''질의-CSCF'''(I-CSCF, Interrogating-CSCF): 관리 도메인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SIP 기능이다. 해당 IP 주소는 도메인의 도메인 이름 시스템(DNS)에 게시된다.
- HSS에 쿼리하여 S-CSCF의 주소를 검색하고 SIP 등록을 수행하는 사용자에게 할당한다.
- SIP 요청 또는 응답을 S-CSCF로 전달한다.
- '''서비스-CSCF'''(S-CSCF, Serving-CSCF): 신호 평면의 중앙 노드이다. SIP 서버이지만 세션 제어도 수행한다. 항상 홈 네트워크에 위치한다.
- SIP 등록을 처리하여 사용자 위치(예: 단말의 IP 주소) 및 SIP 주소를 바인딩한다.
- 로컬로 등록된 사용자의 모든 신호 메시지 경로에 위치하며, 모든 메시지를 검사한다.
-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SIP 메시지를 어떤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전달할지 결정한다.
- 전자 번호 매기기 (ENUM) 조회를 사용하여 라우팅 서비스를 제공한다.
- 네트워크 사업자의 정책을 시행한다.
- 부하 분산 및 고가용성을 위해 네트워크에 여러 S-CSCF가 있을 수 있다.
''미디어 자원 기능''(MRF)은 미디어 조작(예: 음성 스트림 혼합) 및 톤, 안내 방송 재생과 같은 미디어 관련 기능을 제공한다. MRF는 ''미디어 자원 기능 제어기''(MRFC)와 ''미디어 자원 기능 처리기''(MRFP)로 나뉜다.
- MRFC는 AS 및 S-CSCF에서 오는 정보를 해석하여 MRFP를 제어하는 시그널링 평면 노드이다.
- MRFP는 미디어 스트림을 혼합, 소스 또는 처리하는 데 사용되는 미디어 평면 노드이다.
''미디어 자원 브로커''(MRB)는 적절한 게시된 MRF 정보를 수집하고 AS와 같은 소비 엔터티에 적절한 MRF 정보를 제공한다.
3. 2. 3. 애플리케이션 서버(AS)
SIP 애플리케이션 서버(AS)는 서비스를 호스팅하고 실행하며 SIP를 사용하여 S-CSCF와 인터페이스한다. 3GPP에서 개발 중인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예로는 음성 통화 연속성 기능(VCC 서버)이 있다.[1] 실제 서비스에 따라 AS는 SIP 프록시 모드, SIP UA(사용자 에이전트) 모드 또는 SIP B2BUA 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1] AS는 홈 네트워크 또는 외부 타사 네트워크에 위치할 수 있다.[1] 홈 네트워크에 위치한 경우 Diameter Sh 또는 Si 인터페이스(SIP-AS의 경우)를 사용하여 HSS를 쿼리할 수 있다.[1]- SIP AS: IMS 특정 서비스를 호스팅하고 실행한다.[1]
- IP 멀티미디어 서비스 스위칭 기능(IM-SSF): CAP에 SIP를 인터페이스하여 CAMEL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통신한다.[1]
- OSA 서비스 기능 서버(OSA SCS): OSA 프레임워크에 SIP를 인터페이스한다.[1]
3. 2. 4. 미디어 서버
MRF (Media Resource Function)는 미디어 관련 기능 (음성 스트림 혼합, 톤/안내 방송)을 제공한다.[1] MRFC (Media Resource Function Controller)는 시그널링 평면 노드이며, MRFP를 제어한다.[1] MRFP (Media Resource Function Processor)는 미디어 평면 노드이며, 미디어 스트림을 처리한다.[1] MRB (Media Resource Broker)는 적절한 MRF 정보를 수집/제공한다.[1]3. 2. 5. 브레이크아웃 게이트웨이(BGCF)
''브레이크아웃 게이트웨이 제어 기능''(BGCF)은 전화번호를 기반으로 라우팅 기능을 갖는다. IMS 측에서 공중 교환 전화망(PSTN)이나 공중 이동 통신망(PLMN) 등의 회선 교환망으로 전화를 걸 때 사용된다.[1]TrGW, IBCF를 경유하여 Izi 인터페이스, Ici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IMS와 연결한다.[1]
3. 2. 6. PSTN 게이트웨이
PSTN/CS 게이트웨이는 PSTN 회선 교환 (CS) 네트워크와 인터페이스한다. CS 네트워크는 신호 처리를 위해 메시지 전송 부분 (MTP)을 통해 ISDN 사용자 부분 (ISUP) 또는 BICC를 사용하고, IMS는 IP를 통해 SIP를 사용한다. 미디어의 경우, CS 네트워크는 펄스 부호 변조 (PCM)를 사용하고, IMS는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 (RTP)을 사용한다.[12]PSTN/CS 게이트웨이의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12]
- 신호 게이트웨이 (SGW): CS 네트워크의 신호 평면과 인터페이스한다. 스트림 제어 전송 프로토콜 (SCTP)과 같은 하위 계층 프로토콜을 메시지 전송 부분 (MTP) (신호 시스템 7 (SS7) 프로토콜)으로 변환하여 ISDN 사용자 부분 (ISUP)을 MGCF에서 CS 네트워크로 전달한다. MGCF의 제어하에 SIP와 ISUP/BICC 간의 통화 제어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한다.
-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 기능 (MGCF): SCTP를 통해 SGW와 인터페이스하는 SIP 종점이다. 또한 H.248 인터페이스를 통해 미디어 게이트웨이 (MGW)의 리소스를 제어한다.
- 미디어 게이트웨이 (MGW): RTP와 PCM 간의 변환을 통해 CS 네트워크의 미디어 평면과 인터페이스한다. 또한 코덱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예: IMS는 AMR을 사용할 수 있고, PSTN은 G.711을 사용할 수 있음) 트랜스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3. 2. 7. 미디어 리소스
미디어 자원은 미디어 평면[13]에서 작동하며 IMS 코어 기능의 제어를 받는 구성 요소이다. 미디어 서버(MS)와 미디어 게이트웨이(MGW)가 여기에 해당한다.3. 3. NGN 상호연결
차세대 네트워크(NGN) 상호 접속에는 다음과 같은 4가지 종류가 있다.; 서비스 지향 상호 접속(SoIx)
: NGN 도메인에서의 물리/논리 링크이며, 통신 사업자나 서비스 제공자가 NGN 플랫폼(IMS나 PES) 상에서 제어 및 신호를 유지하면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전 정의된 수준의 상호 운용성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IP 접속에서의 소위 "캐리어 등급"의 음성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한다. "사전 정의된 수준"은 QoS나 보안 등에 따라 다르다.
; 접속성 지향 상호 접속(CoIx)
: 단순한 IP 접속에서의 물리/논리 링크이며, 상호 운용성의 수준과는 무관하다. 이러한 IP 접속은 종단 간의 서비스를 신경 쓰지 않으며, 서비스 지향의 경우와 비교하면 QoS나 보안은 그다지 엄격하게 보장할 수 없다. 그러나 CoIx에서도 상호 운용성의 수준을 사전 정의할 수 있다. 단, NGN의 상호 운용성의 요구 사양을 완전히 충족하는 것은 SoIx뿐이다.
NGN 상호 접속 모드는 직접과 간접이 있다. 직접 상호 접속은 2개의 네트워크 도메인 사이에 중간 네트워크 도메인이 없는 경우를 가리킨다. 간접 상호 접속은 하나의 계층에서 볼 때, 2개의 네트워크 도메인 사이에 중간 도메인이 1개 이상 존재하고 트래픽이 그곳을 경유하는 경우를 가리킨다.
; 상호 접속 시험 표준(UNI)
; 상호 접속 시험 표준(NNI)
3. 4. 과금
오프라인 과금은 서비스를 정기적으로 (예: 월말에) 지불하는 사용자에게 적용된다. 온라인 과금은 신용 기반 과금이라고도 하며, 선불 서비스 또는 후불 서비스의 실시간 신용 제어에 사용된다. 둘 다 동일한 세션에 적용될 수 있다.과금 기능 주소는 각 IMS 엔티티에 분배되는 주소이며, 각 엔티티가 과금 정보를 보낼 수 있는 공통 위치를 제공한다. 과금 데이터 기능(CDF) 주소는 오프라인 과금에 사용되고, 온라인 과금 기능(OCF)은 온라인 과금에 사용된다.
- '''오프라인 과금:''' 세션에 참여하는 모든 SIP 네트워크 엔티티(P-CSCF, I-CSCF, S-CSCF, BGCF, MRFC, MGCF, AS)는 Diameter Rf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동일 도메인에 위치한 CDF로 회계 정보를 보낸다. CDF는 이 모든 정보를 수집하여 통화 상세 기록(CDR)을 생성하고, 이를 해당 도메인의 과금 시스템으로 보낸다.[1] 각 세션은 SIP 트랜잭션에 참여하는 첫 번째 IMS 엔티티가 생성하고 CDR과의 상관 관계에 사용되는 고유 식별자인 IMS 과금 식별자(ICID)를 전달한다. 상호 운영자 식별자(IOI)는 송신 및 수신 네트워크 간에 공유되는 전역적으로 고유한 식별자이다. 각 도메인에는 자체 과금 네트워크가 있다. 다른 도메인의 과금 시스템도 정보를 교환하여 로밍 요금을 적용할 수 있다.[1]
- '''온라인 과금:''' S-CSCF는 일반적인 SIP 애플리케이션 서버처럼 보이는 IMS 게이트웨이 기능(IMS-GWF)과 통신한다. IMS-GWF는 세션 중 사용자의 크레딧이 소진되면 S-CSCF에 세션을 종료하도록 신호를 보낼 수 있다. AS 및 MRFC는 Diameter Ro 인터페이스를 사용한다.[1]
- '''즉시 이벤트 과금'''(IEC)이 사용되면 ECF에 의해 사용자의 계정에서 즉시 일정 수의 크레딧 단위가 차감되고, MRFC 또는 AS는 서비스를 제공할 권한을 받는다. 충분한 크레딧 단위가 없는 경우 서비스는 권한이 부여되지 않는다.[1]
- '''단위 예약이 있는 이벤트 과금'''(ECUR)이 사용되면 ECF(이벤트 과금 기능)는 먼저 사용자의 계정에 일정 수의 크레딧 단위를 예약한 다음 MRFC 또는 AS에 권한을 부여한다. 서비스가 종료된 후 소비된 크레딧 단위의 수가 보고되고 계정에서 차감된다. 예약된 크레딧 단위는 그 후 해제된다.[1]
3. 5. IMS 기반 PES 아키텍처
IMS 기반 PES(PSTN 에뮬레이션 시스템)는 아날로그 장치에 IP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한다. IMS 기반 PES를 통해 비 IMS 장치가 일반적인 SIP 사용자로 IMS에 표시될 수 있다. 표준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아날로그 단말은 두 가지 방식으로 IMS 기반 PES에 연결할 수 있다.- AGC(Access Media Gateway)를 통해 AGCF(Access Gateway Control Function)에 연결 및 제어된다. AGCF는 통신 사업자 네트워크 내에 위치하며 여러 A-MGW를 제어한다. A-MGW와 AGCF는 P1 참조 지점을 통해 H.248.1(Megaco)를 사용하여 통신한다. POTS 전화는 z 인터페이스를 통해 A-MGW에 연결된다. 신호는 A-MGW에서 H.248로 변환되어 AGCF로 전달된다. AGCF는 H.248 신호와 A-MGW의 다른 입력을 해석하여 H.248 메시지를 적절한 SIP 메시지로 형식화한다. AGCF는 S-CSCF(Serving-Call Session Control Function)에 P-CSCF(Proxy-Call Session Control Function)로 표시되며 생성된 SIP 메시지를 S-CSCF 또는 IBCF(Interconnection Border Control Function)를 통해 IP 경계로 전달한다. SIP 메시지의 S-CSCF에 제공되는 서비스는 PES AS(Application Server)를 트리거한다. AGCF는 또한 특정 서비스 독립 논리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A-MGW에서 오프 훅 이벤트를 수신하면 AGCF는 A-MGW에 다이얼 톤을 재생하도록 요청한다.
- 고객 구내의 VGW(VoIP-Gateway) 또는 SIP 게이트웨이/어댑터를 통해. VoIP 게이트웨이를 통한 POTS 전화는 P-CSCF에 직접 연결된다. 통신 사업자는 보안을 위해, 그리고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숨기기 위해 VoIP 게이트웨이와 P-CSCF 사이에 주로 세션 경계 컨트롤러를 사용한다. VoIP 게이트웨이는 Gm 참조 지점을 통해 SIP를 사용하여 IMS에 연결된다. z 인터페이스를 통한 POTS 서비스에서 SIP로의 변환은 고객 구내 VoIP 게이트웨이에서 발생한다. POTS 신호는 SIP로 변환되어 P-CSCF로 전달된다. VGW는 SIP 사용자 에이전트 역할을 하며 SIP 단말로 P-CSCF에 표시된다.
A-MGW와 VGW는 모두 서비스에 대해 알지 못한다. 그들은 PSTN 단말에서 콜 제어 신호를 중계할 뿐이다. 세션 제어 및 처리는 IMS 구성 요소에서 수행된다.
3. 6. 인터페이스 설명
인터페이스 이름 | IMS 엔티티 | 설명 | 프로토콜 | 기술 사양 |
---|---|---|---|---|
Cr | MRFC, AS | MRFC가 AS에서 스크립트, 안내 파일 등 리소스를 가져오고 미디어 제어 관련 명령에 사용한다. | 전용 TCP/SCTP 채널을 통한 HTTP | |
Cx | (I-CSCF, S-CSCF), HSS | 가입자 데이터를 S-CSCF로 전송하고, 필터 기준 및 우선 순위를 포함하며, CDF 및/또는 OCF 주소를 제공한다. | DIAMETER | TS29.229, TS29.212 |
Dh | AS (SIP AS, OSA, IM-SSF) <-> SLF | AS가 다중 HSS 환경에서 사용자 프로필 정보를 보유한 HSS를 찾는다. DH_SLF_QUERY는 IMPU를, DX_SLF_RESP는 HSS 이름을 반환한다. | DIAMETER | |
Dx | (I-CSCF 또는 S-CSCF) <-> SLF | I-CSCF 또는 S-CSCF가 다중 HSS 환경에서 올바른 HSS를 찾는다. DX_SLF_QUERY는 IMPU를, DX_SLF_RESP는 HSS 이름을 반환한다. | DIAMETER | TS29.229, TS29.212 |
Gm | UE, P-CSCF | SIP 사용자 장비(UE) 또는 VoIP 게이트웨이와 P-CSCF 간 메시지 교환에 사용된다. | SIP | |
Go | PDF, GGSN | 운영자가 사용자 평면에서 QoS를 제어하고 IMS와 GPRS 네트워크 간 과금 상관 관계 정보를 교환한다. | COPS (Rel5), DIAMETER (Rel6+) | |
Gq | P-CSCF, PDF | P-CSCF와 PDF 간 정책 결정 관련 정보를 교환한다. | DIAMETER | |
Gx | PCEF, PCRF | PCEF와 PCRF 간 정책 결정 관련 정보를 교환한다. | DIAMETER | TS29.211, TS29.212 |
Gy | PCEF, OCS | 온라인 흐름 기반 베어러 과금에 사용되며, Ro 인터페이스와 기능이 동일하다. | DIAMETER | TS23.203, TS32.299 |
ISC | S-CSCF <-> AS | S-CSCF와 AS 간 참조 지점. 주요 기능:[1] | SIP | |
Ici | IBCF | IBCF와 다른 IMS 네트워크에 속하는 IBCF 간 메시지 교환에 사용된다. | SIP | |
Izi | TrGW | 미디어 스트림을 TrGW에서 다른 IMS 네트워크에 속하는 TrGW로 전달한다. | RTP | |
Ma | I-CSCF <-> AS | 주요 기능:[2] | SIP | |
Mg | MGCF -> I,S-CSCF | MGCF는 ISDN User Part|ISUP 시그널링을 SIP 시그널링으로 변환하고 I-CSCF로 전달한다. | SIP | |
Mi | S-CSCF -> BGCF | S-CSCF와 BGCF 간 메시지 교환에 사용된다. | SIP | |
Mj | BGCF -> MGCF | BGCF가 동일 IMS 네트워크에서 발생해야 한다고 결정한 경우, PSTN/CS 도메인과 상호 작용하여 SIP 메시지를 BGCF에서 MGCF로 보낸다. | SIP | |
Mk | BGCF -> BGCF | BGCF가 다른 IMS 네트워크에서 발생해야 한다고 결정한 경우, PSTN/CS 도메인과 상호 작용하여 SIP 메시지를 BGCF에서 다른 네트워크 BGCF로 보낸다. | SIP | |
Mm | I-CSCF, S-CSCF, 외부 IP 네트워크 | IMS와 외부 IP 네트워크 간 메시지 교환에 사용된다. | SIP | |
Mn | MGCF, IM-MGW | 사용자 평면 리소스 제어를 허용한다. | H.248 | |
Mp | MRFC, MRFP | MRFC가 MRFP에서 제공하는 미디어 스트림 리소스를 제어한다. | H.248 | |
Mr | S-CSCF, MRFC | S-CSCF와 MRFC 간 정보 교환, AS와 MRFC 간 세션 제어 교환. | SIP | |
Mw | P-CSCF, I-CSCF, S-CSCF, AGCF | CSCF 간 메시지 교환에 사용되며, AGCF는 다른 CSCF에 P-CSCF로 나타난다. | SIP | |
Mx | BGCF/CSCF, IBCF | BGCF가 다른 IMS 네트워크에서 발생해야 한다고 결정한 경우, 다른 IMS 네트워크와 상호 작용하여 SIP 메시지를 BGCF에서 다른 네트워크 IBCF로 보낸다. | SIP | |
P1 | AGCF, A-MGW | AGCF가 H.248 A-MGW 및 주거용 게이트웨이를 제어하기 위한 통화 제어 서비스에 사용된다. | H.248 | |
P2 | AGCF, CSCF | AGCF와 CSCF 간 참조 지점. | SIP | |
Rc | MRB, AS | AS가 MRB를 인라인 모드 또는 쿼리 모드로 사용할 때 미디어 리소스를 통화에 할당하도록 요청한다. | SIP, 쿼리 모드(지정되지 않음) | |
Rf | P-CSCF, I-CSCF, S-CSCF, BGCF, MRFC, MGCF, AS | CDF와 오프라인 과금 정보를 교환한다. | DIAMETER | TS32.299 |
Ro | AS, MRFC, S-CSCF | OCF와 온라인 과금 정보를 교환한다. | DIAMETER | TS32.299 |
Rx | P-CSCF, PCRF | P-CSCF와 PCRF 간 정책 및 과금 관련 정보를 교환하며, Gq 참조 지점을 대체한다. | DIAMETER | TS29.214 |
Sh | AS (SIP AS, OSA SCS), HSS | AS(SIP AS 또는 OSA SCS)와 HSS 간 사용자 프로필 정보(사용자 관련 데이터, 그룹 목록, 사용자 서비스 관련 정보, 사용자 위치 정보, 과금 기능 주소 등)를 교환하고, AS가 가입자별 HSS 저장 필터 기준을 활성화/비활성화한다. | DIAMETER | |
Si | IM-SSF, HSS | CAMEL 기반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에서 사용할 트리거를 포함한 CAMEL 가입 정보를 전송한다. | MAP | |
Sr | MRFC, AS | MRFC가 AS에서 스크립트 등 리소스를 가져온다. | HTTP | |
Ut | UE 및 SIP AS (SIP AS, OSA SCS, IM-SSF) PES AS 및 AGCF | 서비스 및 설정 관련 가입자 정보 관리를 용이하게 한다. | HTTP(s), XCAP | |
z | POTS, 아날로그 전화 및 VoIP 게이트웨이 | POTS 서비스를 SIP 메시지로 변환한다. |
4. 세션 처리
IMS의 핵심 기능 중 하나는 SIP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 프로필에 따라 동적으로, 차별적으로 작동시키는 기능이다. 이는 S-CSCF에서 필터 및 리다이렉션 시그널링 메커니즘을 통해 구현된다.
S-CSCF는 필터 조건을 적용하여 SIP 요청을 AS(애플리케이션 서버)로 전달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발신 측 서비스는 발신 네트워크에서, 착신 측 서비스는 착신 네트워크에서 적용되며, 이는 각 S-CSCF에서 모두 이루어진다.[7]
4. 1. 초기 필터 기준(iFC)
초기 필터 기준(iFC, initial filter criteria)은 제어 로직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XML 기반 형식이다. iFC는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구독을 나타낸다. iFC는 IMS 가입 프로필의 일부로 HSS에 저장되며 사용자 등록 시(등록된 사용자의 경우) 또는 처리 요구 시(등록되지 않은 사용자로 작동하는 서비스의 경우) S-CSCF로 다운로드된다. iFC는 등록 수명 동안 또는 사용자 프로필이 변경될 때까지 유효하다.[7]iFC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구성 요소 | 설명 |
---|---|
우선순위 | 트리거를 확인하는 순서를 결정한다. |
트리거 지점 | 초기 대화 생성 SIP 요청 또는 독립형 SIP 요청에 대해 확인되는 논리적 조건이다. |
애플리케이션 서버 URI | 트리거 지점이 일치할 때 전달될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지정한다. |
iFC에는 두 가지 유형이 있다.
유형 | 설명 |
---|---|
공유 | 프로비저닝 시 가입자에게 참조 번호(공유 iFC 번호)만 할당된다. 등록하는 동안 전체 XML 설명이 아닌 번호만 CSCF로 전송된다. 전체 XML은 이전에 CSCF에 저장된다. |
비공유 | 프로비저닝 시 iFC의 전체 XML 설명이 가입자에게 할당된다. 등록하는 동안 전체 XML 설명이 CSCF로 전송된다. |
5. 보안
TS 33.203에 정의된 보안은 USIM/ISIM 인터페이스 부족과 IPv4를 지원하는 장치의 보급으로 인해 한동안 사용할 수 없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3GPP는 TR33.978에 "초기 IMS 보안"으로 알려진 일부 보안 메커니즘을 정의하였다. 이 메커니즘은 사용자의 프로필과 IP 주소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접속 절차 중에 수행되는 인증에 의존한다.
케이블랩스(CableLabs)는 IMS 아키텍처를 채택했지만, 단말기에 USIM/ISIM 기능이 없는 패킷케이블 2.0에서 Digest-MD5가 유효한 인증 옵션인 3GPP 사양에 대한 델타를 발표했다. 이후 TISPAN도 고정 네트워크 범위를 고려하여 유사한 노력을 기울였지만 절차는 달랐다. IPsec 기능 부족을 보완하기 위해 TLS가 Gm 인터페이스를 보호하는 옵션으로 추가되었다. 이후 3GPP 릴리스는 공통 IMS 플랫폼을 향해 Digest-MD5 방식을 포함했지만 자체적으로 다시 다른 접근 방식을 사용했다. Digest-MD5 인증의 세 가지 변형 모두 동일한 기능을 가지며 IMS 단말기의 관점에서는 동일하지만, S-CSCF와 HSS 간의 Cx 인터페이스 구현은 다르다.
5. 1. GSM 시스템의 보안
3GPP TS 43.020에 정의된 보안 알고리즘을 "초기 GSM 알고리즘"이라고 한다.[1]5. 2. 초기 IMS 시스템의 보안
TS 33.203에 정의된 보안은 USIM/ISIM 인터페이스 부족과 IPv4를 지원하는 장치의 보급으로 인해 한동안 사용할 수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가장 심각한 위협으로부터 약간의 보호를 제공하기 위해 3GPP는 TR33.978에 "초기 IMS 보안"으로 비공식적으로 알려진 일부 보안 메커니즘을 정의한다.[1] 이 메커니즘은 사용자의 프로필과 IP 주소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접속 절차 중에 수행되는 인증에 의존하며, 사용자-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서 시그널링이 보호되지 않기 때문에 취약하다.[1]5. 3. 현행 IMS 시스템의 보안
케이블랩스(CableLabs)는 IMS 아키텍처를 채택했지만, 단말기에 USIM/ISIM 기능이 없는 패킷케이블 2.0에서 Digest-MD5가 유효한 인증 옵션인 3GPP 사양에 대한 델타를 발표했다. 이후 TISPAN도 고정 네트워크 범위를 고려하여 유사한 노력을 기울였지만 절차는 다르다. IPsec 기능 부족을 보완하기 위해 TLS가 Gm 인터페이스를 보호하는 옵션으로 추가되었다. 이후 3GPP 릴리스는 공통 IMS 플랫폼을 향해 Digest-MD5 방식을 포함했지만 자체적으로 다시 다른 접근 방식을 사용했다. Digest-MD5 인증의 세 가지 변형 모두 동일한 기능을 가지며 IMS 단말기의 관점에서는 동일하지만, S-CSCF와 HSS 간의 Cx 인터페이스 구현은 다르다.[4]Release 8 이후에는 SIM을 이용하는 TS33.203 및 TS33.102 타입은 3GPP에 기술되어 있다. SIM을 사용하지 않는 타입으로, 소프트폰 등을 이용할 수 있는 공유 비밀 키 타입의 통신 보안 확보도 표준화되어 있다. UE와 P-CSCF 간의 보안과 NNI 간 통신에 대해서는 Za, Zc 인터페이스 등에서 암호화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9]
참조
[1]
간행물
IP Multimedia Subsystem (IMS), Stage 2, TS 23.228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2]
간행물
A Pointless Multimedia Subsystem?
http://www.allbusine[...]
Mobile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2006-10
[3]
간행물
A New Mechanism of EAB in RCS
https://doi.org/10.1[...]
Springer
2021-04-08
[4]
웹사이트
3GPP Release Descriptions
http://www.3gpp.org/[...]
[5]
웹사이트
Dispelling LTE Myths
https://www.3gpp.org[...]
2021-04-08
[6]
문서
What is Voice over LTE, VoLTE
https://www.electron[...]
[7]
웹사이트
3GPP Stage 2 Specifications
http://www.3gpp.org/[...]
[8]
간행물
IP Multimedia Subsystem (IMS), Stage 2, V5.15.0, TS 23.228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9]
간행물
A Pointless Multimedia Subsystem?
http://www.allbusine[...]
Mobile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2006-10
[10]
문서
3GPP TS 23.292: IP Multimedia System (IMS) centralized services; Stage 2
[11]
문서
3GPP TS 29.198
[12]
문서
英語名は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Circuit Switched gateway
[13]
문서
回線交換網では[[共通線信号No.7#プロトコル参照モデル|ユーザプレーン]]という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