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JBL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JBL은 제임스 B. 랜싱에 의해 설립된 음향 기기 제조 회사로, 스피커를 중심으로 다양한 오디오 제품을 생산한다. 1927년 랜싱 제조 회사로 시작하여 알텍 랜싱을 거쳐 현재의 JBL이 되었으며, 1969년 하만 인터내셔널에 인수되었다. JBL은 혁신적인 기술 개발과 다양한 제품 라인업을 통해 프로페셔널 오디오, 가정용 오디오, 카오디오, 포터블 스피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영향력을 확대해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6년 설립된 제조 기업 - 펜더
    펜더는 레오 펜더가 1938년에 설립한 미국의 악기 제조 회사로, 세계 최초의 양산형 솔리드 바디 일렉트릭 기타인 텔레캐스터와 프레시전 베이스를 개발하며 악기 역사를 혁신한 세계적인 악기 브랜드이다.
  • 1946년 설립된 제조 기업 - 펜텔
    1946년 호리에 유키오가 설립한 펜텔은 서예 용품 도매상에서 출발하여 서양식 필기구 제조에 진출한 일본의 문구 제조 회사로, 사인펜, 그래프 1000 샤프 펜슬 등이 대표적인 제품이며 필기구 외 다양한 사업 분야를 운영한다.
  • 하만 인터내셔널 - 마크 레빈슨 오디오 시스템
    마크 레빈슨 오디오 시스템은 1972년 마크 레빈슨이 설립한 하이엔드 오디오 장비 제조 회사로, 고품질 프리앰프와 앰프로 명성을 얻었으나 현재는 하만 인터내셔널의 브랜드로 렉서스 차량의 고급 오디오 옵션으로 제공된다.
  • 하만 인터내셔널 - 사운드크래프트
    사운드크래프트는 1970년대 최초의 비행 케이스 내장 믹싱 콘솔 시리즈 1을 제작하며 알려진 믹싱 콘솔 제조 회사로, 아날로그 및 디지털 믹싱 콘솔을 생산하며 라이브 공연, 방송, 레코딩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제품들을 제공하고 대한민국 음향 시장에서도 인기를 얻고 있다.
  • 미국의 음향기기 제조 기업 - 리켄배커
    리켄배커는 1931년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설립되어 전기 하와이안 기타 "프라잉 팬"으로 시작해 일렉트릭 기타와 베이스 기타, 어쿠스틱 기타 등으로 제품군을 확장하며 1960년대 비틀즈의 사용으로 큰 인기를 얻은 악기 제조 회사이다.
  • 미국의 음향기기 제조 기업 - 하만 인터내셔널
    하만 인터내셔널은 1953년 시드니 하만과 버나드 카돈이 설립한 오디오 및 엔터테인먼트 회사로, JBL, AKG 등 다양한 브랜드를 인수하며 성장하여 2017년 삼성전자에 인수되었다.
JBL - [회사]에 관한 문서
회사 개요
회사명JBL
이전 회사명Lansing Sound 랜싱 사운드
종류자회사
설립일1946년
설립자제임스 불로 랜싱
본사 위치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주, 미국
산업오디오
제품증폭기
확성기
헤드폰
모회사하만 인터내셔널 인더스트리즈
웹사이트jbl.com

2. 역사

JBL의 역사는 제임스 B. 랜싱의 개인적인 경험과 열정, 그리고 음향 기술 발전에 대한 끊임없는 노력과 함께 전개되었다.

1927년 랜싱은 사업 파트너 켄 데커와 함께 로스앤젤레스에서 라디오용 스피커 드라이버를 제조하는 회사를 설립했다. 1939년 데커가 비행기 사고로 사망하면서 회사는 재정적 어려움을 겪었다. 1941년 랜싱 제조 회사는 알텍 서비스 공사에 인수되었고, 1946년 계약이 만료된 랜싱은 회사를 떠나 JBL의 전신인 랜싱 사운드를 설립했다.

초창기 JBL은 마쿼트 공사의 지원을 받았으나, 1949년 마쿼트가 제너럴 타이어 컴퍼니에 인수되면서 랜싱과의 관계가 단절되었다. 같은 해, 랜싱은 사업 악화와 개인적인 문제로 자살했다. 이후 JBL은 부사장인 윌리엄 토마스의 노력으로 회생하고 성장했다.

1955년, JBL은 알텍 랜싱과의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브랜드 이름을 JBL로 도입했다. 레오 펜더의 펜더 기타 컴퍼니가 D130 스피커를 채택하면서 JBL은 록 음악 시장에 진출했다. 1969년, JBL은 저비스 공사에 매각되었고, 1970년대에는 가정용 스피커 시장과 전문 오디오 분야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

1980년대 이후, JBL은 소비자 시장과 하이엔드 시장 모두에서 혁신을 지속했다. 특히, 투어 사운드 및 영화관 스피커 시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2. 1. 설립 초기 (1927년 ~ 1949년)

1927년 3월 1일, 제임스 B. 랜싱은 사업 파트너 켄 데커와 함께 로스앤젤레스에서 라디오용 스피커 드라이버를 제조하는 '랜싱 제조 회사'(Lansing Manufacturing Company)를 설립했다.[2]

1933년, 메트로-골드윈-마이어(MGM) 음향 부서 책임자인 더글러스 시어러는 웨스턴 일렉트릭RCA의 스피커에 불만을 품고 자체 개발을 결정했다. 존 케네스 힐리어드, 로버트 스티븐스, 존 F. 블랙번 등이 시어러 혼 개발팀의 일원이었으며, 랜싱 제조 회사는 285 압축 드라이버와 15XS 베이스 드라이버를 생산했다. 시어러 혼은 미국 영화 예술 과학 아카데미로부터 아카데미 과학 기술상을 수상했다.

1939년, 데커가 비행기 사고로 사망하고 회사는 재정적 어려움을 겪었다. 1941년, 랜싱 제조 회사는 알텍 서비스 공사에 인수되어 '알텍 랜싱'으로 사명을 변경했다. 1946년 랜싱의 계약 만료 후, 그는 알텍 랜싱을 떠나 '랜싱 사운드'를 설립했으며, 나중에 "제임스 B. 랜싱 사운드"로 변경되었고, 더욱 줄여서 "JBL 사운드"가 되었다.

1946년, JBL은 첫 제품인 모델 D101 15인치 스피커와 모델 D175 고주파 드라이버를 생산했다. D175는 1970년대까지 JBL 카탈로그에 실렸다. 이 두 제품은 모두 알텍 랜싱 제품과 거의 동일했다. 최초의 독창적인 제품은 D130으로, 이 제품의 변형은 이후 55년 동안 생산되었다. D130은 4인치 평면 리본 와이어 보이스 코일과 알니코 V 자석을 특징으로 했다.

마쿼트 공사는 회사에 초기 제조 공간과 소규모 투자를 제공했다. 1948년, 마쿼트는 JBL의 운영을 인수했다. 1949년, 마쿼트는 제너럴 타이어 컴퍼니에 인수되었고, 이 회사는 스피커 사업에 관심이 없어 랜싱과의 관계를 단절했다. 랜싱은 제임스 B. 랜싱으로 재설립되었고, 회사를 로스앤젤레스 플레처 드라이브 2439번지에 위치한 최초의 개인 소유 부지로 이전했다.

랜싱은 혁신적인 엔지니어였지만 사업 수완은 부족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1940년대 후반, 랜싱은 청구서를 지불하고 제품을 출하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1949년 9월 4일, 그는 자살했다. 그 후 회사는 JBL의 부사장인 윌리엄 토마스(Bill Thomas)의 손에 넘어갔다. 랜싱은 1만 달러의 생명 보험에 가입하여 회사를 수혜자로 지정했는데, 이는 토마스가 회사를 계속 운영할 수 있게 해주는 결정이었다. 얼마 지나지 않아 토마스는 랜싱 부인의 회사 지분 3분의 1을 매입하여 단독 소유주가 되었다. 토마스는 회사를 되살리고 JBL 창립 이후 20년 동안 강력한 성장을 주도한 공로를 인정받고 있다.[3]

2. 2. 성장과 발전 (1950년대 ~ 1970년대)

1950년대에 JBL은 375 고주파 드라이버와 075 초고주파(UHF) 링 라디에이터 드라이버를 개발했다. 링 라디에이터 드라이버는 독특한 생김새 때문에 "JBL 탄환"이라고도 불렸다. 375는 웨스턴 일렉트릭 594 드라이버를 재해석한 것으로, 알니코 V 자석과 4인치 보이스 코일을 사용했다. 375는 D-130 우퍼와 동일한 기본 자석 구조를 공유했으며, JBL 엔지니어 에드 메이(Ed May)와 바트 N. 로칸티(Bart N. Locanthi)가 이 디자인을 만들었다.[4]

1955년, JBL은 알텍 랜싱과의 지속적인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브랜드 이름을 JBL로 도입했다. 회사 이름은 "제임스 B. 랜싱 사운드, 인코퍼레이티드"(James B. Lansing Sound, Incorporated)로 유지되었지만, 로고는 고유한 느낌표와 함께 JBL로 변경되었다.[5]

레오 펜더의 펜더 기타 컴퍼니가 전기 기타에 이상적인 드라이버로 D130 스피커를 채택하면서 JBL은 록 음악 시장에 진출하게 되었다.[6]

1960년대에 JBL 4320 시리즈 스튜디오 모니터할리우드의 캐피톨 레코드(Capitol Records)를 통해 출시되었으며, 모회사인 EMI의 전 세계 표준 모니터가 되었다.

1969년, 빌 토마스는 JBL을 저비스 공사(Jervis Corporation)(후에 "하만 인터내셔널"로 변경)에 매각했으며, 시드니 하만(Sidney Harman)이 회사를 이끌었다.

1970년대에 JBL은 가정용 스피커 브랜드로 자리 잡았으며, L-100은 당시 어떤 회사보다 가장 많이 팔린 스피커 모델이 되었다. 또한, JBL은 스튜디오 모니터를 중심으로 전문 오디오 분야에서도 크게 확장되었다. 1977년, 빌보드 설문 조사에 따르면 다른 모든 브랜드를 합친 것보다 더 많은 녹음 스튜디오에서 JBL 모니터를 사용했다.[6] JBL L-100 및 4310 컨트롤 모니터는 인기 있는 가정용 스피커였다.

2. 3. 혁신과 확장 (1980년대 ~ 현재)

1980년대 중반, JBL은 L 시리즈 디자인을 업데이트하고, 티타늄 증착 트위터 다이어프램으로 재설계했다. 새로운 L 시리즈는 L20T, L40T, L60T, L80T, L100T, Ti 시리즈 18Ti, 120Ti, 240Ti, 그리고 주력 제품인 250Ti로 지정되었다. 스피커 드라이버를 테스트하기 위해 글렌데일과 노스리지의 JBL은 지붕을 무향실에 해당하는 실외 환경으로 사용했다.[7]

이후 20년 동안 JBL은 소비자(노스리지) 스피커 라인으로 대량 시장에 진출했다. 동시에 에베레스트(Everest) 및 K2 라인으로 구성된 프로젝트 스피커를 통해 하이엔드 시장에도 진출했다. JBL은 투어 사운드 산업의 주요 공급업체가 되었으며, JBL의 스피커는 투어 록 공연 및 음악 축제에서 사용되었다. JBL 제품은 THX 스피커 표준 개발의 기초가 되었으며, 이로 인해 JBL은 인기 있는 영화관 스피커 제조업체가 되었다.

3. 주요 제품

JBL은 다양한 용도와 목적에 맞는 스피커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다. 초기에는 영화관용 스피커를 주로 생산했으며, 1946년에는 최초의 제품인 모델 D101 15인치 스피커와 모델 D175 고주파 드라이버를 출시했다. D175는 1970년대까지 JBL 카탈로그에 포함될 정도로 오랫동안 사랑받았다. 최초의 독창적인 제품은 D130으로, 이후 55년 동안 다양한 변형 모델이 생산되었다. D130은 4인치 평면 리본 와이어 보이스 코일과 알니코 V 자석을 사용한 것이 특징이다.

1970년대에는 가정용 스피커 시장에 진출하여 L-100 모델을 출시했는데, 이는 당시 가장 많이 팔린 스피커 모델이 되었다. 이후 L 시리즈는 지속적으로 개선되었으며, 1980년대 중반에는 티타늄 증착 트위터 다이어프램을 적용한 새로운 L 시리즈가 출시되었다.

Lansing Iconic


JBL TI 5000, 1992년부터 1999년까지 생산된 3웨이 시스템. 30cm 베이스 드라이버와 티타늄 멤브레인 트위터를 탑재했으며, 높이 1.15m, 무게 55kg으로 소비자 시장을 위한 최상위 모델이었다.


JBL은 하이엔드 시장을 위한 프로젝트 스피커(에베레스트 및 K2 라인)와 THX 스피커 표준 개발에도 참여하여 영화관 스피커 제조업체로도 자리매김했다.

현재 JBL은 가정용 오디오, 홈 시어터, 카오디오와 같은 일반 소비자용 기기부터 영화관, 스타디움, 콘서트홀과 같은 대규모 시설의 방송용 기기, 방송국이나 레코딩 스튜디오를 위한 업무용 기기까지 폭넓은 분야의 제품을 다루고 있다. 특히 스피커 제품이 유명하며, JBL의 많은 스피커는 드라이버가 가볍고 고효율이며, 대형 저음용 드라이버를 갖추고 있다는 점과, 타사에서는 드문 혼 드라이버, 컴프레션 드라이버를 갖춘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3. 1. 스튜디오 모니터

JBL의 스피커는 초동 특성과 음장 표현 능력이 뛰어나 프로 녹음 스튜디오, 영화관 등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12] 특히 스피커 제품이 유명하며, JBL 스피커의 많은 특징은 드라이버가 가볍고 고효율이며, 대형 저음용 드라이버를 갖추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타사에서는 드문 혼 드라이버, 컴프레션 드라이버를 갖춘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는 것도 이 제조사의 특기할 만한 특징이다.

3. 2. 가정용 스피커

JBL Paragon


가정용 오디오 제품, 홈 시어터와 같은 일반 소비자용 기기부터 영화관, 스타디움, 콘서트홀과 같은 대규모 시설의 방송용 기기, 방송국이나 레코딩 스튜디오를 위한 업무용 기기까지 폭넓은 분야의 제품을 다루고 있다.

JBL은 특히 스피커 제품이 유명하며, 드라이버가 가볍고 고효율이며 대형 저음용 드라이버를 갖추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타사에서는 드문 혼 드라이버, 컴프레션 드라이버를 갖춘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는 것도 주목할 만하다. JBL 스피커는 초동 특성과 음장 표현 능력이 뛰어나 프로 녹음 스튜디오, 영화관 등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D44000 "파라곤"(Paragon)은 1957년에 개발이 완료되어 1958년에 출시된 JBL 최초의 3웨이[14]형 올 혼 방식의 좌우 일체형 스테레오 스피커이다. JBL 스피커 제품 중에서도 명기로 불리며, 최고급 스피커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이 형식의 스피커는 개인 설계 및 제작이 아닌, 제조사에서 제작하여 출시된 것으로는 1958년 첫 출시부터 21세기 현재까지 본 기기가 유일하다.

파라곤은 높은 기술을 가진 목공 장인을 필요로 했으며, JBL의 공방에서 1기씩 모두 수작업으로 제조되었다. 1958년부터 1983년까지 사양을 여러 번 변경하면서 약 1,000대가 제조되었으며, 1988년까지 판매되었다.

3. 3. 포터블 블루투스 스피커

2022년 기준으로 현재 생산 중인 포터블 블루투스 스피커는 아래와 같다.[16]

제품명
JBL JR Pop
JBL Go 2
JBL Go 3
JBL Clip 3
JBL Clip 4
JBL Flip 4
JBL Flip 5
JBL Flip 5 Eco Edition
JBL Flip 6
JBL Pulse 4
JBL Pulse 5
JBL Charge 4
JBL Charge 5
JBL Xtreme 3
JBL Boombox 2



3. 4. 파티 스피커

JBL PartyBox 시리즈는 고출력 사운드와 화려한 조명 효과를 제공하여 파티 및 행사 분위기를 고조시키는 데 특화된 제품군이다. 다양한 크기와 출력의 모델이 있으며, 이동성을 고려한 디자인과 배터리 구동 기능을 제공한다. 2022년 기준으로 현재 생산 중인 파티 스피커는 아래와 같다.

제품명
JBL PartyBox On-The-Go
JBL PartyBox 110
JBL PartyBox 310
JBL PartyBox 710
JBL PartyBox 1000
JBL PartyBox Encore Essential


3. 5. 카 오디오

JBL은 포드와 토요타에 고급 카 오디오를 공급하고 있으며, 마크 레빈슨 브랜드의 카 오디오도 공급한다.[13] 과거 포드의 최고급 차량 오디오 시스템에 사용되었으며, 크라이슬러 (인피니티 사용)와 마쓰다, 닛산 (보스 사용)과 경쟁했다. 일부 토요타 모델, 특히 상위 트림 모델에서 JBL 오디오를 제공한다.

과거에는 혼다의 옵션 브랜드인 개더스에도 공급했다. 1980년대에는 닛산 자동차세드릭, 글로리아, 실비아 등에 JBL 스피커가 옵션으로 탑재된 적이 있다.[13] 현대자동차 그랜저(TG) 한국 사양 모델에도 JBL 오디오 시스템이 순정 장착되었다.[13]

3. 6. 기타 제품

JBL은 가정용 오디오, 홈 시어터, 카오디오와 같은 일반 소비자용 기기부터 영화관, 스타디움, 콘서트홀 등 대규모 시설의 방송용 기기, 방송국, 레코딩 스튜디오를 위한 업무용 기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의 제품을 다루고 있다.[12]

JBL은 업무용 및 개인용 헤드폰도 개발·제조/판매하고 있으며, 개인용 컴퓨터 보급 이후에는 PC용 및 휴대용 음악 플레이어용 액티브 스피커와 같은 개인용 제품에도 주력하여 스마트 스피커도 취급하고 있다.

4. 기술 혁신

JBL은 오랜 기간 동안 음향 기술 분야에서 혁신을 이끌어왔다. 1946년, JBL은 첫 제품으로 모델 D101 15인치 스피커와 모델 D175 고주파 드라이버를 출시했다.[2] D175는 알텍 랜싱 제품과 거의 유사했지만, D130은 JBL만의 독창적인 제품으로, 4인치 평면 리본 와이어 보이스 코일과 알니코 V 자석을 사용했으며 이후 55년 동안 다양한 형태로 생산되었다.[2]

JBL은 초기에 마쿼트 공사(Marquardt Corporation)와 제너럴 타이어 컴퍼니(General Tire Company)의 인수를 거쳤다. 설립자인 제임스 B. 랜싱의 사망 이후, 부사장이었던 빌 토마스(Bill Thomas)가 회사를 이끌면서 20년간 성장을 지속했다.[3]

JBL은 링-라디에이터 드라이버(일명 "JBL 탄환")와 같은 혁신적인 제품을 개발했다.[4] 1955년에는 알텍 랜싱과의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브랜드 이름을 JBL로 도입했다.[5]

1969년, JBL은 하만 인터내셔널(Harman International)에 인수되었고, 1970년대에는 가정용 스피커 시장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 특히 L-100 모델은 가장 많이 팔린 스피커 모델 중 하나였다.[6] JBL은 스튜디오 모니터를 중심으로 전문 오디오 분야에서도 큰 성장을 이루었으며, 1977년 빌보드 설문 조사에서 가장 많은 녹음 스튜디오에서 사용되는 모니터로 선정되었다.[6]

1980년대 중반, JBL은 티타늄 증착 트위터 다이어프램을 적용한 새로운 L 시리즈를 출시하며 기술 혁신을 이어갔다.[7] 이후 JBL은 소비자용 스피커 시장뿐만 아니라, 에베레스트(Everest) 및 K2 라인과 같은 하이엔드 제품군을 통해 고급 시장에도 진출했다. JBL 제품은 THX 스피커 표준 개발의 기반이 되었으며, 영화관 스피커 시장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5. 사회적 기여 및 평가

JBL은 단순한 음향기기 제조업체를 넘어, 사회 전반에 걸쳐 다양한 기여를 해왔다. 특히, 음향 기술 발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을 뿐만 아니라, 여러 사회 및 문화 행사들을 지원하며, 그 영향력을 넓혀왔다.

초기 JBL은 알니코 V 자성 재료를 활용한 혁신적인 스피커 개발에 주력했다. 마쿼트 공사와 아놀드 엔지니어링과의 협력을 통해, JBL은 초기 개발에 필요한 자원과 기술을 확보하여 고품질 스피커 드라이버를 개발하고,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는 데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3]

1949년, 회사 설립자인 제임스 B. 랜싱이 사망했지만, 그의 사망 보험금과 부사장 빌 토마스의 노력으로 JBL은 위기를 극복하고 성장을 지속했다. 토마스는 회사의 지분을 인수하고, 이후 20년간 JBL의 성장을 이끌며 회사의 기틀을 다졌다.[3]

1969년, JBL은 하만 인터내셔널에 인수되었으며, 이후 가정용 스피커 시장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 1970년대에 출시된 L-100 모델은 JBL 역사상 가장 많이 팔린 스피커 모델이 되었으며, JBL을 가정용 스피커 시장의 선두 주자로 만들었다.[6] 또한, JBL은 스튜디오 모니터를 중심으로 전문 오디오 분야에서도 큰 성장을 이루었으며, 1977년에는 빌보드 설문 조사에서 가장 많은 녹음 스튜디오에서 사용되는 모니터로 선정되기도 했다.[6]

JBL의 기술력은 영화 산업에도 영향을 미쳤다. JBL 제품은 THX 스피커 표준 개발의 기초가 되었으며, 이는 JBL이 영화관용 스피커 시장에서 주요 공급업체로 자리매김하는 계기가 되었다.

5. 1. 문화 예술 행사 지원

JBL은 여러 주요 문화 예술 행사에 음향 시스템을 지원해 왔다. 특히 1969년 우드스톡 페스티벌을 비롯한 역사적인 음악 축제에 음향 시스템을 제공하여 대중음악 발전에 기여했다.

또한, 다음과 같은 주요 문화 예술 기관에 음향 시스템을 공급하며 문화 예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기관명위치비고
미국 영화 예술 과학 아카데미(AMPAS)[9]할리우드, 미국새뮤얼 골드윈 극장
음향/음악 연구 및 조정 연구소(IRCAM)[10]파리, 프랑스피에르 불레즈 설립, 1974–1991
디지털 시네마 프로젝트 - GAUMONT[11]파리, 프랑스필립 비낭, 2000–2008


참조

[1] 웹사이트 JBL Inc – Company Profile and News https://www.bloomber[...] 2023-08-26
[2] 웹사이트 6900 McKinley http://www.audioheri[...] 2018-10-19
[3] 웹사이트 FOUNDING JBL https://www.audioher[...] 2024-02-08
[4] 웹사이트 JBL TO 1981 https://www.audioher[...] 2024-02-08
[5] 웹사이트 Signature Logo http://www.audioheri[...] 2024-02-08
[6] 웹사이트 ARNOLD WOLF http://www.audioheri[...]
[7] 웹사이트 INSIDE THE STUDIO MONITOR https://www.lansingh[...] 2024-02-08
[8] 웹사이트 JBL Logo and symbol, meaning, history, PNG, brand https://1000logos.ne[...] 2024-02-13
[9] 간행물 Cinema Loudspeaker Systems http://www.jblpro.co[...] JBL
[10] 간행물 Rapport http://www.gdbennett[...] IRCAM
[11] 간행물 Three-Way Screen Channel System http://www.jblpro.co[...] JBL
[12] 문서 携帯音楽プレイヤー
[13] 문서 2009年7月31日現在少なくとも公式には設定はない。
[14] 문서 資料によっては「ツィーターは後の改良型から追加された仕様であり、最初に発売された製品はツィーターのない2ウェイ型であった」としている。
[15] 웹인용 Toyota line-up 도요타 라인업 http://www.jbltoyota[...] 2010-06-18
[16] 웹인용 JBL Bluetooth Speakers https://speakersavy.[...] 2022-12-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