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O 리그 FA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한국프로야구 FA 제도의 규칙 (2011년 기준)
- 3. 한국프로야구 FA 이적 사례
- 3.1. 2008년 시즌 후 - 2009년 시즌 전
- 3.2. 2009년 시즌 후 - 2010년 시즌 전
- 3.3. 2011년 시즌 후 - 2012년 시즌 전
- 3.4. 2012년 시즌 후 - 2013년 시즌 전
- 3.5. 2013년 시즌 후 - 2014년 시즌 전
- 3.6. 2014년 시즌 후 - 2015년 시즌 전
- 3.7. 2015년 시즌 후 - 2016년 시즌 전
- 3.8. 2016년 시즌 후 - 2017년 시즌 전
- 3.9. 2017년 시즌 후 - 2018년 시즌 전
- 3.10. 2018년 시즌 후 - 2019년 시즌 전
- 3.11. 2019년 시즌 후 - 2020년 시즌 전
- 3.12. 2020년 시즌 후 - 2021년 시즌 전
- 3.13. 2021년 시즌 후 - 2022년 시즌 전
- 3.14. 2022년 시즌 후 - 2023년 시즌 전
- 3.15. 2023년 시즌 후 - 2024년 시즌 전
- 3.16. 2024년 시즌 후 - 2025년 시즌 전
- 참조
1. 개요
KBO 리그 FA(Free Agent)는 한국 프로야구 선수들의 자유 계약 제도를 의미한다. FA 자격을 얻기 위해서는 타자는 9시즌, 투수는 9시즌 동안 일정 경기 수 또는 투구 이닝을 충족해야 하며, 4년제 대학 졸업 선수는 8시즌으로 자격 요건이 완화된다. FA 승인 신청 후, 선수와 구단은 계약 교섭 기간을 거쳐 계약을 체결하며, 이적 시에는 원 소속 구단에 보상 선수를 지명하거나 연봉의 일정 비율을 현금으로 지급해야 한다.
2011년 기준으로 운영된 KBO 리그의 자유계약선수(FA) 제도는 선수들의 권익 향상과 구단 간의 균형 있는 전력 유지를 목적으로 마련되었다. 이 제도는 선수가 특정 조건을 충족하여 FA 자격을 얻는 것부터 시작하여, 정해진 절차와 기간에 따라 계약을 체결하고, 필요시 원 소속 구단에 보상이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1999년 KBO 리그에 FA 제도가 도입된 이후, 많은 선수들이 FA 자격을 얻어 팀을 옮기거나 원 소속팀에 잔류하는 사례가 발생했다. FA 계약은 선수 개인의 경력뿐만 아니라 각 구단의 전력 구성에도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았다. 주요 선수들의 연도별 FA 계약 및 이적 현황은 아래와 같다.
2. 한국프로야구 FA 제도의 규칙 (2011년 기준)
FA 자격을 취득한 선수는 KBO에 FA를 신청하고 승인을 받아 공시된다. 이후 정해진 순서에 따라 전 소속 구단과의 우선 협상, 타 구단과의 협상, 그리고 모든 구단과의 자유 협상 기간을 거치게 된다. 계약이 체결되면 KBO에 계약서를 제출하여 공시하며, 만약 선수가 다른 구단으로 이적할 경우, 해당 구단은 정해진 규정에 따라 원 소속 구단에 보상 선수 또는 보상금을 지급해야 한다.
FA 자격 취득 요건, 세부적인 계약 교섭 기간, 보상 방식 등 구체적인 규칙은 각 하위 항목에서 상세히 설명하고 있으며, 본 내용은 2011년 당시 시행된 규정을 기준으로 한다.
2. 1. FA 선수 자격 취득
KBO 리그에서 자유계약선수(FA) 자격을 얻기 위한 조건은 다음과 같다.2. 2. FA 승인 신청 및 공시
총재가 FA 자격선수 명단을 공시하면, 해당 선수는 공시 후 3일 이내에 직접 FA 신청서를 작성하여 전 소속구단에 통보해야 한다. 구단은 선수의 신청서를 받아 KBO에 문서로 제출하며, 이 과정은 일반적으로 11월 4일까지 마무리된다.
총재는 FA 신청 마감일 다음 날인 통상 11월 5일에 FA를 신청한 선수들을 FA 승인 선수로 최종 공시한다.
2. 3. 계약 교섭 기간
KBO 리그의 FA(자유계약선수) 자격을 얻은 선수는 다음과 같은 정해진 기간에 따라 계약 교섭을 진행한다.
# 전 소속 구단 우선 협상 기간FA 자격 선수 명단이 공시된 다음 날부터 7일 동안 진행된다. 이 기간에는 선수와 원 소속 구단만이 계약 협상을 할 수 있다. (예: 11월 10일 ~ 11월 16일)
# 타 구단 협상 기간전 소속 구단과의 우선 협상 기간이 종료된 후 다음 7일 동안 진행된다. 이 기간에는 원 소속 구단을 제외한 다른 모든 구단과 자유롭게 협상할 수 있다. (예: 11월 17일 ~ 11월 23일)
# 모든 구단 협상 기간타 구단과의 협상 기간이 종료된 후 다음 해 1월 15일까지 진행된다. 이 기간에는 원 소속 구단을 포함한 모든 구단과 자유롭게 협상할 수 있다. (예: 11월 23일 ~ 다음 해 1월 15일)
# 미계약 시만약 FA 선수가 다음 해 1월 15일까지 어떤 구단과도 계약을 체결하지 못할 경우, KBO 총재는 해당 선수를 자유계약선수로 공시한다. 2013년부터 규정이 변경되어, 이렇게 공시된 선수도 당해 연도 시즌 중에 다른 구단과 계약을 체결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2. 4. 계약서 제출 및 공시
FA 선수와 계약을 체결한 구단은 계약 후 2일 이내에 계약서를 KBO에 제출해야 한다. KBO는 제출된 계약서를 2일 이내에 총재의 승인을 거쳐 공시한다.
2. 5. 보상 선수 명단 제시
FA 선수를 영입한 구단은 KBO 총재가 계약을 승인하여 공시한 날로부터 3일 이내에 전 소속 구단에 보상 선수 명단을 제시해야 한다. 이때 영입 구단은 보호선수 20명, 군 보류 선수, 해당 연도에 FA 계약을 체결한 선수, 외국인 선수를 제외한 소속 선수 명단을 제시한다.
2. 6. 보상 완료
FA 선수를 영입한 구단이 보호 선수를 제외한 보상 선수 명단을 제시하면, FA 선수의 전 소속 구단은 명단을 받은 날로부터 3일 이내에 보상금만 받거나, 보상금과 함께 보상 선수 1명을 선택하여 보상을 완료한다.
2. 7. 보상 내용
FA 선수를 영입하는 구단은 해당 선수의 원 소속 구단에게 다음 두 가지 방식 중 하나를 선택하여 보상해야 한다.3. 한국프로야구 FA 이적 사례
3. 1. 2008년 시즌 후 - 2009년 시즌 전
3. 2. 2009년 시즌 후 - 2010년 시즌 전
3. 3. 2011년 시즌 후 - 2012년 시즌 전
wikitext
| 선수 | 원 소속팀 | 이적팀 | 비고 |
|---|---|---|---|
| 이승호 | SK 와이번스 | 롯데 자이언츠 | |
| 정대현 | SK 와이번스 | 롯데 자이언츠 | |
| 이택근 | LG 트윈스 | 넥센 히어로즈 | |
| 조인성 | LG 트윈스 | SK 와이번스 | |
| 송신영 | LG 트윈스 | 한화 이글스 | |
| 임경완 | 롯데 자이언츠 | SK 와이번스 | |
| 이대호 | 롯데 자이언츠 | 오릭스 버팔로스 (オリックス・バファローズ|오릭스 버팔로스일본어) | 일본 프로 야구 이적 |
3. 4. 2012년 시즌 후 - 2013년 시즌 전
| 선수 | 이전 소속팀 | 이적팀 | 계약 조건 |
|---|---|---|---|
| 이호준 | SK 와이번스 | NC 다이노스 | |
| 이현곤 | KIA 타이거즈 | NC 다이노스 | |
| 정현욱 | 삼성 라이온즈 | LG 트윈스 | |
| 홍성흔 | 롯데 자이언츠 | 두산 베어스 | |
| 김주찬 | 롯데 자이언츠 | KIA 타이거즈 | 4년 총액 50억원 |
| 류현진 | 한화 이글스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5+1년 총액 3100만달러 + 500만달러 (포스팅 시스템) |
3. 5. 2013년 시즌 후 - 2014년 시즌 전
wikitext| 선수 | 이전 소속팀 | 구분 | 새 소속팀 / 잔류 | 계약 조건 |
|---|---|---|---|---|
| 이종욱 | 두산 베어스 | 이적 | NC 다이노스 | 4년 총액 500억원 |
| 손시헌 | 두산 베어스 | 이적 | NC 다이노스 | 4년 총액 300억원 |
| 최준석 | 두산 베어스 | 이적 | 롯데 자이언츠 | 4년 총액 350억원 |
| 정근우 | SK 와이번스 | 이적 | 한화 이글스 | 4년 총액 700억원 |
| 이대형 | LG 트윈스 | 이적 | KIA 타이거즈 | 4년 총액 240억원 |
| 이병규 | LG 트윈스 | 잔류 | LG 트윈스 | 3년 총액 25.5억원 |
| 권용관 | LG 트윈스 | 잔류 | LG 트윈스 | 1년 총액 1억원 |
| 윤석민 | KIA 타이거즈 | 해외 진출 | 볼티모어 오리올스 | - |
| 이용규 | KIA 타이거즈 | 이적 | 한화 이글스 | 4년 총액 670억원 |
| 오승환 | 삼성 라이온즈 | 해외 진출 | 한신 타이거스 | - |
| 장원삼 | 삼성 라이온즈 | 잔류 | 삼성 라이온즈 | 4년 총액 600억원 |
| 박한이 | 삼성 라이온즈 | 잔류 | 삼성 라이온즈 | 4년 총액 280억원 |
| 강영식 | 롯데 자이언츠 | 잔류 | 롯데 자이언츠 | 4년 총액 170억원 |
| 강민호 | 롯데 자이언츠 | 잔류 | 롯데 자이언츠 | 4년 총액 750억원 |
| 이대수 | 한화 이글스 | 잔류 | 한화 이글스 | 4년 총액 200억원 |
| 한상훈 | 한화 이글스 | 잔류 | 한화 이글스 | 4년 총액 130억원 |
| 박정진 | 한화 이글스 | 잔류 | 한화 이글스 | 2년 총액 8억원 |
3. 6. 2014년 시즌 후 - 2015년 시즌 전
| 선수명 | 계약 기간 | 계약 총액 | 소속팀 변동 |
|---|---|---|---|
| 이성열 | 2년 | 5억원 | 넥센 히어로즈 → 한화 이글스 (이적) |
| 최정 | 4년 | 86억원 | SK 와이번스 (잔류) |
| 조동화 | 4년 | 22억원 | SK 와이번스 (잔류) |
| 김강민 | 4년 | 56억원 | SK 와이번스 (잔류) |
| 나주환 | 1+1년 | 5.5억원 | SK 와이번스 (잔류) |
| 이재영 | 1+1년 | 4.5억원 | SK 와이번스 (잔류) |
| 박경수 | 4년 | 18.2억원 | LG 트윈스 → KT 위즈 (이적) |
| 박용택 | 4년 | 50억원 | LG 트윈스 (잔류) |
| 송은범 | 4년 | 34억원 | KIA 타이거즈 → 한화 이글스 (이적) |
| 차일목 | 2년 | 4.5억원 | KIA 타이거즈 (잔류) |
| 권혁 | 4년 | 32억원 | 삼성 라이온즈 → 한화 이글스 (이적) |
| 배영수 | 3년 | 21.5억원 | 삼성 라이온즈 → 한화 이글스 (이적) |
| 조동찬 | 4년 | 28억원 | 삼성 라이온즈 (잔류) |
| 윤성환 | 4년 | 80억원 | 삼성 라이온즈 (잔류) |
| 안지만 | 4년 | 65억원 | 삼성 라이온즈 (잔류) |
| 장원준 | 4년 | 84억원 | 롯데 자이언츠 → 두산 베어스 (이적) |
| 김사율 | 3+1년 | 14.5억원 | 롯데 자이언츠 → KT 위즈 (이적) |
| 박기혁 | 3+1년 | 11.399999999999999억원 | 롯데 자이언츠 → KT 위즈 (이적) |
| 김경언 | 3년 | 8.5억원 | 한화 이글스 (잔류) |
| 윤석민 | 4년 | 90억원 | 볼티모어 오리올스 → KIA 타이거즈 (이적) |
3. 7. 2015년 시즌 후 - 2016년 시즌 전
| 선수 | 이전 소속팀 | 계약 내용 (기간) | 계약 내용 (총액) | 결과 | 새 소속팀/비고 |
|---|---|---|---|---|---|
| 김현수 | 두산 베어스 | 2년 | 700만달러 | 이적 | 볼티모어 오리올스 (MLB) |
| 오재원 | 두산 베어스 | 4년 | 38억원 | 잔류 | |
| 고영민 | 두산 베어스 | 1+1년 | 5억원 | 잔류 | |
| 유한준 | 넥센 히어로즈 | 4년 | 60억원 | 이적 | KT 위즈 |
| 손승락 | 넥센 히어로즈 | 4년 | 60억원 | 이적 | 롯데 자이언츠 |
| 마정길 | 넥센 히어로즈 | 2년 | 6.2억원 | 잔류 | |
| 이택근 | 넥센 히어로즈 | 4년 | 35억원 | 잔류 | |
| 정상호 | SK 와이번스 | 4년 | 32억원 | 이적 | LG 트윈스 |
| 윤길현 | SK 와이번스 | 4년 | 38억원 | 이적 | 롯데 자이언츠 |
| 정우람 | SK 와이번스 | 4년 | 84억원 | 이적 | 한화 이글스 |
| 박정권 | SK 와이번스 | 4년 | 30억원 | 잔류 | |
| 채병용 | SK 와이번스 | 3년 | 10.5억원 | 잔류 | |
| 박재상 | SK 와이번스 | 1+1년 | 5.5억원 | 잔류 | |
| 이동현 | LG 트윈스 | 3년 | 30억원 | 잔류 | |
| 김상현 | KT 위즈 | 3+1년 | 17억원 | 잔류 | |
| 이범호 | KIA 타이거즈 | 3+1년 | 36억원 | 잔류 | |
| 박석민 | 삼성 라이온즈 | 4년 | 96억원 | 이적 | NC 다이노스 |
| 이승엽 | 삼성 라이온즈 | 2년 | 36억원 | 잔류 | |
| 심수창 | 롯데 자이언츠 | 4년 | 13억원 | 이적 | 한화 이글스 |
| 송승준 | 롯데 자이언츠 | 4년 | 40억원 | 잔류 | |
| 김태균 | 한화 이글스 | 4년 | 84억원 | 잔류 | |
| 조인성 | 한화 이글스 | 2년 | 10억원 | 잔류 |
3. 8. 2016년 시즌 후 - 2017년 시즌 전
wikitext| 선수 | 계약 내용 | 소속팀 변동 |
|---|---|---|
| 이원석 | 4년 총액 27억원 | 두산 베어스 → 삼성 라이온즈 |
| 이현승 | 3년 총액 27억원 | 두산 베어스 잔류 |
| 김재호 | 4년 총액 50억원 | 두산 베어스 잔류 |
| 김광현 | 4년 총액 85억원 | SK 와이번스 잔류 |
| 우규민 | 4년 총액 65억원 | LG 트윈스 → 삼성 라이온즈 |
| 봉중근 | 2년 총액 15억원 | LG 트윈스 잔류 |
| 정성훈 | 1년 총액 7억원 | LG 트윈스 잔류 |
| 조영훈 | 2년 총액 4.5억원 | NC 다이노스 잔류 |
| 이진영 | 2년 총액 15억원 | KT 위즈 잔류 |
| 양현종 | 1년 총액 22.5억원 | KIA 타이거즈 잔류 |
| 나지완 | 4년 총액 40억원 | KIA 타이거즈 잔류 |
| 최형우 | 4년 총액 100억원 | 삼성 라이온즈 → KIA 타이거즈 |
| 차우찬 | 4년 총액 95억원 | 삼성 라이온즈 → LG 트윈스 |
| 황재균 | 1년 총액 310만달러 | 롯데 자이언츠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MLB) |
| 이대호 | 4년 총액 150억원 | 시애틀 매리너스 (MLB) → 롯데 자이언츠 |
3. 9. 2017년 시즌 후 - 2018년 시즌 전
| 선수 | 계약 기간 | 총액 | 원 소속팀 | 계약 결과 | 현 소속팀 |
|---|---|---|---|---|---|
| 민병헌 | 4년 | 800억원 | 두산 베어스 | 이적 | 롯데 자이언츠 |
| 김승회 | 1+1년 | 3억원 | 두산 베어스 | 잔류 | 두산 베어스 |
| 채태인 | 1+1년 | 10억원 | 넥센 히어로즈 | 이적 | 롯데 자이언츠 |
| 정의윤 | 4년 | 29억원 | SK 와이번스 | 잔류 | SK 와이번스 |
| 손시헌 | 2년 | 15억원 | NC 다이노스 | 잔류 | NC 다이노스 |
| 지석훈 | 2년 | 6억원 | NC 다이노스 | 잔류 | NC 다이노스 |
| 이종욱 | 1년 | 5억원 | NC 다이노스 | 잔류 | NC 다이노스 |
| 이대형 | 2년 | 4억원 | KT 위즈 | 잔류 | KT 위즈 |
| 김주찬 | 2+1년 | 27억원 | KIA 타이거즈 | 잔류 | KIA 타이거즈 |
| 권오준 | 2년 | 6억원 | 삼성 라이온즈 | 잔류 | 삼성 라이온즈 |
| 최준석 | 1년 | 5500만원 | 롯데 자이언츠 | 이적 | NC 다이노스 |
| 강민호 | 4년 | 800억원 | 롯데 자이언츠 | 이적 | 삼성 라이온즈 |
| 문규현 | 2+1년 | 10억원 | 롯데 자이언츠 | 잔류 | 롯데 자이언츠 |
| 손아섭 | 4년 | 98억원 | 롯데 자이언츠 | 잔류 | 롯데 자이언츠 |
| 박정진 | 2년 | 7.5억원 | 한화 이글스 | 잔류 | 한화 이글스 |
| 안영명 | 2년 | 12억원 | 한화 이글스 | 잔류 | 한화 이글스 |
| 정근우 | 2+1년 | 35억원 | 한화 이글스 | 잔류 | 한화 이글스 |
| 김현수 | 4년 | 115억원 | 필라델피아 필리스 (MLB) | 이적 (해외 복귀) | LG 트윈스 |
| 황재균 | 4년 | 88억원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MLB) | 이적 (해외 복귀) | kt 위즈 |
3. 10. 2018년 시즌 후 - 2019년 시즌 전
| 선수 | 원 소속팀 | 계약 내용 | 이동/잔류 | 새 소속팀 |
|---|---|---|---|---|
| 양의지 | 두산 베어스 | 4년 총액 125억원 | 이적 | NC 다이노스 |
| 김민성 | 키움 히어로즈 | 3년 총액 18억원 | 이적 | LG 트윈스 |
| 이보근 | 키움 히어로즈 | 3+1년 총액 19억원 | 잔류 | 키움 히어로즈 |
| 이재원 | SK 와이번스 | 4년 총액 69억원 | 잔류 | SK 와이번스 |
| 최정 | SK 와이번스 | 6년 총액 106억원 | 잔류 | SK 와이번스 |
| 박용택 | LG 트윈스 | 2년 총액 25억원 | 잔류 | LG 트윈스 |
| 박경수 | KT 위즈 | 3년 총액 26억원 | 잔류 | KT 위즈 |
| 금민철 | KT 위즈 | 2년 총액 7억원 | 잔류 | KT 위즈 |
| 모창민 | NC 다이노스 | 3년 총액 20억원 | 잔류 | NC 다이노스 |
| 김상수 | 삼성 라이온즈 | 3년 총액 18억원 | 잔류 | 삼성 라이온즈 |
| 윤성환 | 삼성 라이온즈 | 1년 총액 10억원 | 잔류 | 삼성 라이온즈 |
| 송광민 | 한화 이글스 | 2년 총액 16억원 | 잔류 | 한화 이글스 |
| 이용규 | 한화 이글스 | 2+1년 총액 26억원 | 잔류 | 한화 이글스 |
| 최진행 | 한화 이글스 | 1+1년 총액 5억원 | 잔류 | 한화 이글스 |
3. 11. 2019년 시즌 후 - 2020년 시즌 전
| 선수 | 계약 내용 | 소속팀 변동 |
|---|---|---|
| 오재원 | 3년 총액 19억원 | 두산 베어스 잔류 |
| 오주원 | 2년 총액 7억원 | 키움 히어로즈 잔류 |
| 이지영 | 3년 총액 18억원 | 키움 히어로즈 잔류 |
| 김강민 | 1+1년 총액 10억원 | SK 와이번스 잔류 |
| 진해수 | 2+1년 총액 14억원 | LG 트윈스 잔류 |
| 송은범 | 2년 총액 10억원 | LG 트윈스 잔류 |
| 오지환 | 4년 총액 40억원 | LG 트윈스 잔류 |
| 김태군 | 4년 총액 13억원 | NC 다이노스 잔류 |
| 박석민 | 2+1년 총액 34억원 | NC 다이노스 잔류 |
| 유한준 | 2년 총액 20억원 | KT 위즈 잔류 |
| 안치홍 | 2+2년 총액 56억원 | KIA 타이거즈 → 롯데 자이언츠 이적 |
| 김선빈 | 4년 총액 40억원 | KIA 타이거즈 잔류 |
| 고효준 | 1년 총액 1.2억원 | 롯데 자이언츠 잔류 |
| 전준우 | 4년 총액 34억원 | 롯데 자이언츠 잔류 |
| 윤규진 | 1+1년 총액 5억원 | 한화 이글스 잔류 |
| 정우람 | 4년 총액 39억원 | 한화 이글스 잔류 |
| 김태균 | 1년 총액 10억원 | 한화 이글스 잔류 |
| 이성열 | 2년 총액 14억원 | 한화 이글스 잔류 |
3. 12. 2020년 시즌 후 - 2021년 시즌 전
| 선수 | 계약 기간 | 계약 총액 | 이전 소속 | 이후 소속 | 비고 |
|---|---|---|---|---|---|
| 최주환 | 4년 | 42억원 | 두산 베어스 | SSG 랜더스 | 이적 |
| 오재일 | 4년 | 50억원 | 두산 베어스 | 삼성 라이온즈 | 이적 |
| 허경민 | 4+3년 | 85억원 | 두산 베어스 | 두산 베어스 | 잔류 |
| 정수빈 | 6년 | 56억원 | 두산 베어스 | 두산 베어스 | 잔류 |
| 김재호 | 3년 | 25억원 | 두산 베어스 | 두산 베어스 | 잔류 |
| 유희관 | 1년 | 10억원 | 두산 베어스 | 두산 베어스 | 잔류 |
| 이용찬 | 3+1년 | 27억원 | 두산 베어스 | NC 다이노스 | 이적 |
| 김상수 | 2+1년 | 15.5억원 | 키움 히어로즈 | SSG 랜더스 | 이적 |
| 김성현 | 2+1년 | 11억원 | SSG 랜더스 | SSG 랜더스 | 잔류 |
| 김용의 | 1년 | 2억원 | LG 트윈스 | LG 트윈스 | 잔류 |
| 차우찬 | 2년 | 20억원 | LG 트윈스 | LG 트윈스 | 잔류 |
| 최형우 | 3년 | 47억원 | KIA 타이거즈 | KIA 타이거즈 | 잔류 |
| 양현종 | 1년 | 185만달러 | KIA 타이거즈 | 텍사스 레인저스 | MLB 이적 |
| 우규민 | 1+1년 | 10억원 | 삼성 라이온즈 | 삼성 라이온즈 | 잔류 |
| 이원석 | 2+1년 | 20억원 | 삼성 라이온즈 | 삼성 라이온즈 | 잔류 |
| 이대호 | 2년 | 26억원 | 롯데 자이언츠 | 롯데 자이언츠 | 잔류 |
3. 13. 2021년 시즌 후 - 2022년 시즌 전
| 선수 | 계약 기간 | 총액 | 소속팀 변동 |
|---|---|---|---|
| 장성우 | 4년 | 42억원 | KT 위즈 잔류 |
| 허도환 | 2년 | 4억원 | KT 위즈 → LG 트윈스 |
| 황재균 | 4년 | 60억원 | KT 위즈 잔류 |
| 김재환 | 4년 | 115억원 | 두산 베어스 잔류 |
| 박건우 | 6년 | 100억원 | 두산 베어스 → NC 다이노스 |
| 백정현 | 4년 | 38억원 | 삼성 라이온즈 잔류 |
| 강민호 | 4년 | 36억원 | 삼성 라이온즈 잔류 |
| 박해민 | 4년 | 60억원 | 삼성 라이온즈 → LG 트윈스 |
| 김현수 | 4+2년 | 115억원 | LG 트윈스 잔류 |
| 박병호 | 3년 | 30억원 | 키움 히어로즈 → KT 위즈 |
| 나성범 | 6년 | 150억원 | NC 다이노스 → KIA 타이거즈 |
| 정훈 | 3년 | 18억원 | 롯데 자이언츠 잔류 |
| 손아섭 | 4년 | 64억원 | 롯데 자이언츠 → NC 다이노스 |
| 최재훈 | 5년 | 54억원 | 한화 이글스 잔류 |
| 양현종 | 4년 | 103억원 | 텍사스 레인저스 → KIA 타이거즈 |
3. 14. 2022년 시즌 후 - 2023년 시즌 전
| 선수 | 계약 기간 | 계약 총액 | 이전 소속팀 | 새 소속팀(이적/잔류) |
|---|---|---|---|---|
| 이태양 | 4년 | 25억원 | SSG 랜더스 | 한화 이글스 (이적) |
| 오태곤 | 4년 | 18억원 | SSG 랜더스 | SSG 랜더스 (잔류) |
| 정찬헌 | 2년 | 8.6억원 | 키움 히어로즈 | 키움 히어로즈 (잔류) |
| 한현희 | 3+1년 | 40억원 | 키움 히어로즈 | 롯데 자이언츠 (이적) |
| 김진성 | 2년 | 7억원 | LG 트윈스 | LG 트윈스 (잔류) |
| 유강남 | 4년 | 80억원 | LG 트윈스 | 롯데 자이언츠 (이적) |
| 채은성 | 6년 | 90억원 | LG 트윈스 | 한화 이글스 (이적) |
| 신본기 | 1+1년 | 3억원 | KT 위즈 | KT 위즈 (잔류) |
| 박동원 | 4년 | 65억원 | KIA 타이거즈 | LG 트윈스 (이적) |
| 이재학 | 2+1년 | 9억원 | NC 다이노스 | NC 다이노스 (잔류) |
| 원종현 | 4년 | 25억원 | NC 다이노스 | 키움 히어로즈 (이적) |
| 노진혁 | 4년 | 50억원 | NC 다이노스 | 롯데 자이언츠 (이적) |
| 박민우 | 5+3년 | 140억원 | NC 다이노스 | NC 다이노스 (잔류) |
| 권희동 | 1년 | 1.25억원 | NC 다이노스 | NC 다이노스 (잔류) |
| 이명기 | 1년 | 1억원 | NC 다이노스 | 한화 이글스 (이적) |
| 양의지 | 4+2년 | 152억원 | NC 다이노스 | 두산 베어스 (이적) |
| 오선진 | 1+1년 | 4억원 | 삼성 라이온즈 | 한화 이글스 (이적) |
| 김상수 | 4년 | 29억원 | 삼성 라이온즈 | KT 위즈 (이적) |
| 박세혁 | 4년 | 46억원 | 두산 베어스 | NC 다이노스 (이적) |
| 장시환 | 3년 | 9.3억원 | 한화 이글스 | 한화 이글스 (잔류) |
3. 15. 2023년 시즌 후 - 2024년 시즌 전
| 선수 | 계약 내용 | 소속팀 변동 |
|---|---|---|
| 김민성 | 2+1년, 총액 9억원 | LG 트윈스 → 롯데 자이언츠 (이적) |
| 오지환 | 6년, 총액 124억원 | LG 트윈스 (잔류) |
| 임찬규 | 4년, 총액 50억원 | LG 트윈스 (잔류) |
| 함덕주 | 4년, 총액 38억원 | LG 트윈스 (잔류) |
| 김재윤 | 4년, 총액 58억원 | KT 위즈 → 삼성 라이온즈 (이적) |
| 주권 | 2+2년, 총액 16억원 | KT 위즈 (잔류) |
| 김민식 | 2년, 총액 5억원 | SSG 랜더스 (잔류) |
| 양석환 | 4+2년, 총액 78억원 | 두산 베어스 (잔류) |
| 홍건희 | 2+2년, 총액 24.5억원 | 두산 베어스 (잔류) |
| 고종욱 | 2년, 총액 5억원 | KIA 타이거즈 (잔류) |
| 김선빈 | 3년, 총액 30억원 | KIA 타이거즈 (잔류) |
| 안치홍 | 4+2년, 총액 72억원 | 롯데 자이언츠 → 한화 이글스 (이적) |
| 전준우 | 4년, 총액 47억원 | 롯데 자이언츠 (잔류) |
| 강한울 | 1+1년, 총액 3억원 | 삼성 라이온즈 (잔류) |
| 김대우 | 2년, 총액 4억원 | 삼성 라이온즈 (잔류) |
| 오승환 | 2년, 총액 22억원 | 삼성 라이온즈 (잔류) |
| 장민재 | 2+1년, 총액 8억원 | 한화 이글스 (잔류) |
| 이지영 | 2년, 총액 4억원 | 키움 히어로즈 → SSG 랜더스 (이적) |
| 임창민 | 2년, 총액 8억원 | 키움 히어로즈 → 삼성 라이온즈 (이적) |
3. 16. 2024년 시즌 후 - 2025년 시즌 전
| 선수명 | 원 소속팀 | 구분 | 계약 조건 | 이적/잔류팀 |
|---|---|---|---|---|
| 임기영 | KIA 타이거즈 | 잔류 | 3년 총액 15억원 | KIA 타이거즈 |
| 장현식 | KIA 타이거즈 | 이적 | 4년 총액 52억원 | LG 트윈스 |
| 류지혁 | 삼성 라이온즈 | 잔류 | 4년 총액 26억원 | 삼성 라이온즈 |
| 김헌곤 | 삼성 라이온즈 | 잔류 | 2년 총액 6억원 | 삼성 라이온즈 |
| 최원태 | LG 트윈스 | 이적 | 4년 총액 70억원 | 삼성 라이온즈 |
| 김강률 | 두산 베어스 | 이적 | 3+1년 총액 14억원 | LG 트윈스 |
| 허경민 | 두산 베어스 | 이적 | 4년 총액 40억원 | KT 위즈 |
| 엄상백 | KT 위즈 | 이적 | 4년 총액 78억원 | 한화 이글스 |
| 우규민 | KT 위즈 | 잔류 | 2년 총액 7억원 | KT 위즈 |
| 심우준 | KT 위즈 | 이적 | 4년 총액 50억원 | 한화 이글스 |
| 노경은 | SSG 랜더스 | 잔류 | 2+1년 총액 25억원 | SSG 랜더스 |
| 최정 | SSG 랜더스 | 잔류 | 4년 총액 110억원 | SSG 랜더스 |
| 구승민 | 롯데 자이언츠 | 잔류 | 2+2년 총액 21억원 | 롯데 자이언츠 |
| 김원중 | 롯데 자이언츠 | 잔류 | 4년 총액 54억원 | 롯데 자이언츠 |
| 임정호 | NC 다이노스 | 잔류 | 3년 총액 12억원 | NC 다이노스 |
미계약 선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