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범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범호는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로, 선수 시절 내야수, 특히 3루수로 활약했다. 대구고등학교를 졸업하고 2000년 한화 이글스에 입단하여 프로 생활을 시작했다. 한화 이글스에서 2009년까지 활약하며 2005년 3루수 부문 골든글러브를 수상했고, 2009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서 대한민국 대표팀의 준우승에 기여하여 올스타 3루수로 선정되기도 했다. 2010년에는 일본 프로야구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에서 활동했으며, 2011년 KIA 타이거즈로 이적하여 2019년 은퇴할 때까지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 KIA 타이거즈에서는 2013년 주장으로 선임되었고, 2017년 한국시리즈에서 만루 홈런을 기록하며 팀 우승에 기여했다. 은퇴 후에는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에서 지도자 연수를 받았고, KIA 타이거즈의 2군 총괄코치를 거쳐 2024년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 프로 야구 300홈런 클럽 - 이승엽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이자 현 두산 베어스 감독인 이승엽은 KBO 리그 최초 50홈런 및 단일 시즌 최다 홈런 기록을 세우며 '국민 타자'로 활약했고, 일본 프로야구 선수 생활 후 KBO 리그로 복귀하여 은퇴, 이후 방송 해설 및 사회 활동을 거쳐 두산 베어스 감독으로 부임했다. - 한국 프로 야구 300홈런 클럽 - 장종훈
장종훈은 KBO 리그에서 "연습생 신화"를 쓰며 홈런왕과 MVP를 2회 연속 수상하는 등 맹활약한 대표적인 강타자 출신 야구 선수로, 그의 등번호 35번은 한화 이글스의 영구 결번으로 지정되었다. - 2009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 도쿄 돔
도쿄 돔은 도쿄도 분쿄구에 위치한 다목적 돔 구장으로,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홈구장이며 야구 외 다양한 이벤트가 개최되고 공기 지지 구조의 돔형 지붕이 특징이다. - 2009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 다저 스타디움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의 홈구장인 다저 스타디움은 1962년 개장하여 민간 자금으로 건설된 마지막 메이저리그 야구장 중 하나로, 차베스 협곡 주민 강제 퇴거 논란 속에 건설되었으며,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1984년과 2028년 하계 올림픽 야구 경기 개최지로 선정되었다. - 올 WBC 팀 - 박찬호
박찬호는 한국인 최초로 메이저 리그에 진출하여 아시아 출신 투수 최다승 기록을 세운 전직 야구 선수로, 메이저 리그와 KBO 리그에서 활약했으며 국가대표로도 금메달을 획득했다. - 올 WBC 팀 - 켄 그리피 주니어
켄 그리피 주니어는 뛰어난 타격과 수비, 골드 글러브 수상, 홈런왕, MVP 수상, 아버지와 함께 역사적인 기록을 세운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의 전설적인 야구 선수로, 2016년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이범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이범호 |
한자 | 李杋浩 |
로마자 표기 | I Beom-ho |
출생일 | 1981년 11월 25일 |
출생지 | 대구광역시 |
신장 | 183 cm |
체중 | 93 kg |
포지션 | 3루수, 1루수, 지명타자 |
투구 | 우 |
타석 | 우 |
드래프트 | 2000년 KBO 2차 1라운드 (한화 이글스) |
프로 입단 년도 | 1999년 |
선수 경력 | |
소속 구단 (선수) | 한화 이글스 (2000-2009)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10) KIA 타이거즈 (2011-2019) |
KBO 리그 첫 출장 | 2000년 4월 5일 |
KBO 리그 마지막 출장 | 2019년 7월 13일 |
NPB 첫 출장 | 2010년 3월 20일 |
NPB 마지막 출장 | 2010년 8월 26일 |
코치 및 감독 경력 | |
소속 구단 (감독) | KIA 타이거즈 (2024-현재) |
코치 경력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연수코치 (2019-2020) 필라델피아 필리스 연수코치 (2020) KIA 타이거즈 2군 총괄코치 (2021) KIA 타이거즈 타격코치 (2022-2024) |
프런트 경력 | KIA 타이거즈 스카우트 (2020) |
국가대표 경력 | |
대표팀 | 대한민국 |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 2006년 2009년 |
수상 내역 | |
KBO 골든 글러브 | 2005년, 2006년 |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올스타팀 | 2009년 |
기록 | |
KBO 리그 타율 | 0.271 |
KBO 리그 홈런 | 334 |
KBO 리그 타점 | 1127 |
NPB 타율 | 0.226 |
NPB 홈런 | 4 |
NPB 타점 | 8 |
기타 정보 | |
계약금 | 1억 1,000만원 |
등번호 | 71 (감독) |
2. 선수 시절
2000년 KBO 리그 신인 드래프트에서 한화 이글스에 지명되어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초기에는 백업 유격수로 활동했으나, 점차 주전 3루수로 성장하며 KBO 골든글러브를 수상하는 등 팀의 핵심 선수로 자리 잡았다.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2006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2009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등 주요 국제 대회에 참가하여 활약했다. 2009년 시즌 후 FA 자격을 얻어 일본 프로야구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로 이적했으나,[1][2] 한 시즌 만인 2011년 KIA 타이거즈와 계약하며 KBO 리그로 복귀했다.[1][2] 이후 KIA 타이거즈에서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
2. 1. 아마추어 시절
대구수창초등학교 4학년 때 야구를 시작했다. 당시 포지션은 유격수였고, 팀 내 2루수는 박기혁이었다.[14] 이후 경운중학교를 거쳐 대구고등학교에 입학했다. 당시 대구고등학교 야구부는 경북고 야구부와 대구상고 야구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력이 약한 팀이었다.[13] 고등학교 시절 대구고등학교의 전국 대회 성적은 크게 주목받지 못했으며, 1997년 제19회 대붕기 전국고교야구대회에서 우승한 것이 유일한 주목할 만한 성과였다. 대구고등학교 3학년 때 팀 성적은 2무 13패에 그쳤고,[15] 이 때문에 프로야구 팀 스카우트들은 전력이 약한 대구고등학교 선수들에게 거의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2000년 신인 드래프트 당시 대구·경북 지역의 최대 유망주는 경북고 투수 배영수였다. 배영수는 삼성 라이온즈의 1차 지명을 받았고, 이범호를 포함한 대구·경북 지역의 다른 선수들은 2차 지명으로 밀려났다.2. 2. 한국 프로야구 시절
이범호는 2000년 KBO 리그 신인 드래프트에서 한화 이글스에 2라운드 8순위(전체 16순위)로 지명되어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입단 초기에는 백업 유격수로 활동했으나, 점차 출전 기회를 늘리며 성장했고 2002년에는 처음으로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에 선발되어 2002 인터컨티넨탈컵에 참가했다.2004년 시즌부터 주전 선수로 도약했으며, 2005년에는 주 포지션을 3루수로 변경하여 그해 첫 KBO 골든글러브를 수상했다. 이후 한화 이글스의 중심 타자로 활약하며 2004년부터 2007년까지 4시즌 연속 20개 이상의 홈런을 기록했고, 2006년에는 두 번째 골든글러브를 수상했다. 또한 2006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2009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등 주요 국제 대회에 국가대표로 출전하여 활약했다.
2009 시즌 종료 후 FA 자격을 취득하여 일본 프로야구 퍼시픽 리그의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와 계약하며 해외로 진출했다. 일본에서 한 시즌을 보낸 뒤, 2011년 1월 KIA 타이거즈와 계약하며 KBO 리그로 복귀했다.[1][2]
2. 2. 1. 한화 이글스 시절 (2000~2009)
이범호는 2000년 KBO 신인 드래프트에서 한화 이글스에 2라운드 8순위(전체 16순위)로 지명되어 프로 생활을 시작했다.입단 초기에는 백업 유격수로 활동하며 몇 시즌 동안 평범한 성적을 거두었지만, 2002년 타율 0.260에 11개의 홈런을 기록하며 가능성을 보여주기 시작했다. 같은 해 시즌 종료 후 처음으로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에 선발되어 쿠바에서 열린 2002 인터컨티넨탈컵(IBAF Intercontinental Cup)에 출전했다. 이 대회 금메달 결정전에서 이범호는 4회말 쿠바 선발투수 호세 이바르를 상대로 솔로 홈런을 쳐내는 등 팀의 준우승에 기여했다.
2003년에는 성적이 다소 하락했으나, 2004년 시즌에는 유격수로 정규 시즌 126경기에 모두 출전하며 타율 0.308, 23개의 홈런, 74타점을 기록하며 다시 한번 두각을 나타냈다. 이 해부터 2007년까지 4시즌 연속 20개 이상의 홈런을 기록했다.
2005년에는 주 포지션을 유격수에서 3루수로 변경했고, 26개의 홈런(개인 한 시즌 최다)과 68타점을 기록하며 커리어 하이를 달성했다. 시즌 후 김동주를 근소한 차이로 제치고 3루수 부문 KBO 골든글러브를 처음으로 수상했다.
2006년 시즌을 앞두고 다시 한번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에 발탁되어 제1회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 참가했으나, 이 대회에서는 두드러진 활약을 보이지 못했다. 하지만 KBO 리그에서는 꾸준한 활약을 이어가며 2006년, 두 번째 3루수 부문 골든글러브를 수상했다.
2008년에는 타율 0.276, 19개의 홈런, 77타점을 기록했고, 개인 한 시즌 최다인 12개의 도루를 기록했다.
2009년 3월, 2009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 국가대표로 출전하여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특히 일본과의 2차 라운드 순위 결정전에서는 다나카 마사히로를 상대로 동점 홈런을 쳤고, 결승전에서는 3대 2로 뒤진 9회말 2사 1, 2루 상황에서 다르빗슈 유를 상대로 3유간을 가르는 동점 적시타를 치는 등 대한민국의 준우승에 크게 기여했다. 대회 전체적으로 6경기에서 타율 0.400, 3홈런(6명과 공동 선두), 5득점, 7타점(대회 5위)의 좋은 성적을 거두며 대회 올스타팀 3루수로 선정되었다. 같은 해 KBO 시즌에서도 3루수로 126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0.284, 25개의 홈런(리그 7위), 124안타, 그리고 개인 한 시즌 최다인 79타점을 기록하며 꾸준한 활약을 보였다.
2009 시즌 종료 후, 이범호는 11월 일본 퍼시픽 리그의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와 자유계약선수(FA) 계약을 맺고 한화 이글스를 떠났다.
2. 2. 2. 일본 프로야구 시절 (2010)
2009년 시즌 종료 후 한국야구위원회에 FA를 신청했고, 같은 해 11월 19일 일본 프로야구 퍼시픽 리그의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와 2년 계약을 맺으며 일본 무대에 진출했다.[1][2]
2010년 시즌, 소프트뱅크 소속으로 48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0.226, 4홈런, 8타점을 기록했다. 4월 9일 후쿠오카 돔에서 열린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와의 경기에서는 7회 마쓰이 히로토시를 상대로 NPB 데뷔 첫 홈런을 기록했다. 5월 7일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전에서는 팀이 상대 선발 와쿠이 히데아키에게 8회까지 무안타로 막히고 있었으나, 9회 선두 타자로 나서 2루타를 쳐 와쿠이의 노히트 노런 달성을 저지하기도 했다.[4]
그러나 시즌 전체적으로는 좌완 투수를 상대로 타율 .147에 그치는 등 부진하여 선발 출장은 35경기에 머물렀다. 반면 대타로 나선 13타석에서는 타율 .417, 2홈런으로 좋은 모습을 보였고, 2군에서는 타율 .277, OPS .929를 기록하며 장타력을 보여주었다.
2. 3. 한국 프로야구 복귀
2009년 시즌 후 FA 자격을 얻은 이범호는 2009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서의 활약 등을 바탕으로 2009년 11월 일본 퍼시픽 리그의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와 계약하며 해외 리그에 진출했다.2010년 시즌 동안 소프트뱅크 호크스 소속으로 48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0.226, 4홈런, 8타점을 기록했으며, 4월 9일에는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를 상대로 NPB 데뷔 첫 홈런을 치기도 했다.
일본에서 한 시즌을 보낸 뒤, 이범호는 KBO 리그 복귀를 선택했고 2011년 1월 27일 KIA 타이거즈와 입단 계약을 맺었다.
2. 3. 1. KIA 타이거즈 시절 (2011~2019)
2009년 11월 자유계약선수(FA) 자격을 얻어 일본 퍼시픽 리그의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와 계약했다. 일본 리그에서 한 시즌을 보낸 후, 2011년 1월 27일 KBO 리그로 돌아와 KIA 타이거즈와 계약을 맺었다.3. 야구선수 은퇴 후
은퇴 후 일본 퍼시픽 리그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에서 지도자 연수 코치로 활동했다.
2020년 11월부터 KIA 타이거즈의 2군 총괄코치로 활동했다.
2024년 1월 29일, 전임 감독 김종국이 배임 수재 혐의로 계약 해지되자, 그의 후임으로 KIA 타이거즈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4. 플레이 스타일
한국 프로야구를 대표하는 클러치 히터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타율에 비해 장타율이 높고, 특히 득점권 타율이 매우 높은 선수로 알려져 있다. 적극적인 타격이 특징이며, 2004년부터 2007년까지 4년 연속 20홈런 이상을 기록할 정도의 장타력을 지녔다.[11] KBO 리그 역대 준플레이오프 최다 홈런(7개) 기록 보유자이며, 2019년 시즌 종료 시점까지 KBO 리그 역사상 개인 최다인 17개의 만루 홈런을 기록했다. 특히 2017년 한국시리즈 5차전에서는 우승에 쐐기를 박는 만루 홈런을 쳐 내며 '''만루의 사나이'''로서의 면모를 각인시켰다.
2016년에는 강타자의 상징인 3할 타율-30홈런-세 자릿수 타점을 기록했으며, KIA 타이거즈 이적 후에도 꾸준한 활약을 이어가 6시즌 연속 두 자릿수 홈런 및 4년 연속 20홈런 이상을 달성했다.[21]
한화 이글스 시절에는 탄탄한 수비와 강한 어깨를 바탕으로 주전 3루수로 활약하며, 뛰어난 장타력을 바탕으로 김태균과 함께 타선의 중심을 담당했다. 프로야구 타이틀 수상 경력은 2004년 최다 2루타 하나뿐이지만, 데뷔 초에는 부상이 적어 615경기 연속 출장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그러나 2011년 KBO 리그 복귀 후에는 부상이 잦아졌다.
5. 출신 학교
대구수창초등학교 4학년 때 야구를 시작했다. 당시 포지션은 유격수였다.[14] 이후 경운중학교를 거쳐 대구고등학교에 입학했다. 당시 대구고등학교 야구부는 경북고 야구부와 대구상고 야구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력이 약한 팀이었다.[13] 고등학교 시절 대구고등학교의 전국 대회 성적은 1997년 제19회 대붕기 전국고교야구대회 우승 외에는 두드러진 것이 없었다. 3학년 시절 팀 성적은 2무 13패[15] 로 좋지 않아 프로 구단의 주목을 받기 어려웠다.
6. 수상 및 타이틀 경력
; KBO 리그
;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WBC)
- 2009년 올스타팀 (3루수)
- 2009년 홈런왕
7. 주요 기록
8. 통산 기록
도
속
이
장
석
수
점
타
루
타
루
타
런
점
루
실
넷
진
율
루
율
타
율
P
S
타
살
타
맞
타
플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