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청주방송총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BS청주방송총국은 1945년 6월 16일 조선방송협회 청주방송국으로 개국하여, 충청북도와 세종특별자치시 일부 지역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한국방송공사의 지역 방송국이다. 1986년 KBS 공사 직제 개편으로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TV, 라디오, DMB 방송을 송출하고 있다. 편성제작국, 보도국, 기술국, 시청자/서비스국으로 조직되어 있으며, KBS 1TV, 2TV, 1라디오, 2라디오, FM라디오, KBS 청주FM 등의 프로그램을 제작·방송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대전광역시 지상파 방송국 - 대전문화방송
대전문화방송은 대전광역시를 가시청권으로 하는 MBC 계열의 방송국으로, 1964년 라디오 방송을 시작하여 1971년 대전텔레비전방송을 통합했으며, 현재 TV, 라디오, 지상파 DMB 방송을 송출한다. - 대한민국의 대전광역시 지상파 방송국 - MBC충북
MBC충북은 충청북도 지역을 방송 권역으로 하는 MBC의 지역 방송국으로, 청주시와 충주시에 방송국을 두고 TV와 라디오 프로그램을 제작 및 방송하며, 대전문화방송과 함께 충청권 지상파 DMB 사업에도 참여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충청남도 지상파 방송국 - 대전문화방송
대전문화방송은 대전광역시를 가시청권으로 하는 MBC 계열의 방송국으로, 1964년 라디오 방송을 시작하여 1971년 대전텔레비전방송을 통합했으며, 현재 TV, 라디오, 지상파 DMB 방송을 송출한다. - 대한민국의 충청남도 지상파 방송국 - MBC충북
MBC충북은 충청북도 지역을 방송 권역으로 하는 MBC의 지역 방송국으로, 청주시와 충주시에 방송국을 두고 TV와 라디오 프로그램을 제작 및 방송하며, 대전문화방송과 함께 충청권 지상파 DMB 사업에도 참여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세종특별자치시 지상파 방송국 - 대전문화방송
대전문화방송은 대전광역시를 가시청권으로 하는 MBC 계열의 방송국으로, 1964년 라디오 방송을 시작하여 1971년 대전텔레비전방송을 통합했으며, 현재 TV, 라디오, 지상파 DMB 방송을 송출한다. - 대한민국의 세종특별자치시 지상파 방송국 - MBC충북
MBC충북은 충청북도 지역을 방송 권역으로 하는 MBC의 지역 방송국으로, 청주시와 충주시에 방송국을 두고 TV와 라디오 프로그램을 제작 및 방송하며, 대전문화방송과 함께 충청권 지상파 DMB 사업에도 참여하고 있다.
KBS청주방송총국 | |
---|---|
기본 정보 | |
![]() | |
운영 | KBS청주방송총국 |
설립일 | 1945년 6월 16일 |
해산일 | 존속 중 |
소재 국가 | 대한민국 |
위치 |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서부로 1428 (성화동 456) |
공식 웹사이트 | KBS청주방송총국 |
한국어 표기 | |
한국어 명칭 | KBS청주방송총국 |
한자 명칭 | KBS淸州放送總局 |
로마자 표기 | KBS Cheongju Broadcasting Branch Office |
약칭 | KBS청주, 충북한국방송 |
방송 정보 | |
구분 | 공영 방송 |
방송 영역 | 지상파 방송 |
개국일 | 1945년 6월 16일 |
모기업 | 한국방송공사 |
사장 | 최재훈 (총국장) |
텔레비전 채널 정보 | |
채널명 | 청주 KBS1 |
개국일 | 1978년 7월 1일 |
위성 채널 | 9번 (HD) |
디지털 채널 | KT : 9번 SK : 9번 LG : 9번 |
2. 연혁
- 1945년 6월 16일 사단법인 조선방송협회 청주방송국(호출부호 '''JBQK''')으로 개국했다.(제1방송)
- 1947년 10월 1일 호출부호를 '''HLKQ'''로 변경했다.
- 1948년 8월 6일 대한방송협회 청주방송국으로 명칭을 변경하였고, 1948년 10월 27일 방송국을 이전하면서 출력을 500W로 증강하였다.(남문로2가 73, 호출부호 HLKQ)
- 1950년 4월 10일 청주지방방송국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6월 25일에는 한국전쟁으로 방송시설을 피양했다.
- 1951년 3월 16일 방송시설을 복구하고 정규방송을 재개했다.
- 1957년 2월 14일 사옥을 남문로2가 92-13번지로 이전하면서 출력증강 1㎾, 주파수 920㎑, 호출부호 HLKQ로 변경되었다.
- 1958년 6월 20일에는 FM 중계망(주파수 49.9㎒)을 설치하여 수신 중계를 하였다.
- 1962년 5월 15일 충주중계소가 충주시 역전동 829에 설치되었다.(주파수 1090㎑, 호출부호 HLCH)[1]
- 1966년 7월 27일 식장산중계소가 개소되었다.[1] 같은 해 12월 20일에는 연주소가 준공되어 청주시 사직동 604-26으로 이전되었고, 괴산군 증평읍 대동 1056에 증평송신소(주파수 1062㎑)가 개소되었다.[1]
- 1971년 4월 20일 제천중계소가 개소되었으며(주파수 860㎑, 출력 1㎾, 호출부호 HLCD), 1972년 11월 27일에는 영동중계소가 개소되었다(주파수 630㎑, 출력 1㎾, 호출부호 HLAY).
- 1973년 3월 3일 한국방송공사 청주방송국이 발족되었고,
- 1975년 9월 25일 증평송신소가 청원송신소로 이전되었다.
- 1976년 12월 17일 보은중계소가 개소되었으나(주파수 1100㎑, 출력 10㎾, 호출부호 HLQW), 1977년 11월 8일 주파수가 800㎑로 변경되었다.
- 1978년 1월 1일 단양중계소가 개소되었고(주파수 1480㎑, 호출부호 HLQT), 같은 해 7월 1일 1TV 송출이 개시되었으며(CH 10, 음성 출력 125W, 영상 출력 500W),[2] 10월 7일에는 가엽산 송신소가 개소되었다(제1TV CH 12, 출력 1㎾). 1978년 11월 8일 사옥을 사직동 604-26으로 이전하였다.
- 1981년 7월 1일 가엽산송신소에서 3TV 송출을 개시했고(CH 21, 출력 30㎾), 7월 3일에는 1라디오 표준FM 송출을 개시했다.(90.9MHz, 출력 1㎾)
- 1982년 3월 4일 KBS청주 제1라디오를 FM으로 수신할 수 있게 되었으며, 표준FM(모노)으로도 동시에 방송되었다. 1982년 12월 29일 가엽산송신소에서 2TV 송출을 개시했다.(CH 30)
- 1983년 9월 3일 가엽산송신소에서 1FM 송출을 개시했고(100.3㎒, 출력 3㎾), 12월 24일 KBS청주 2TV가 개국했다.(CH 24, 출력 5㎾)
- 1984년 7월 16일 직제개편에 따라 충주, 제천, 단양, 가엽산송신소를 충주방송국으로 편제했고, 12월 1일 청원, 우암산, 식장산, 가엽산송신소의 운영을 KT로 이관했다. 12월 23일 충주방송국이 개국했다.
- 1985년 1월 4일 제1TV 송신소를 연주소에서 우암산송신소로 이전했다.
- 1986년 1월 21일 우암산송신소에서 1FM이 개국했고(94.1㎒, 1㎾), 10월 17일 단양중계소를 신축 시설로 이전했다. 12월 8일 KBS 공사 직제 개편으로 KBS청주방송총국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 1987년 1월 1일 김호성 아나운서가 입사했고, 11월 15일 충주방송국에서 TV방송을 개시했다. 11월 16일 제천시 문화원에 제천중계소 오픈스튜디오를 설치했다.
- 1988년 6월 1일 청원송신소, 우암산송신소, 가엽산송신소, 흑성산송신소, 식장산중계소의 운영이 청주방송총국으로 환원되었다.
- 1990년 1월 1일, 청주시의 TV 수신료 징수 방식을 통합공과금제로 변경했다.
- 1991년 12월 31일에는 청주방송총국 청사 일부를 증축(96평)했다.
- 1993년 10월 1일, 식장산중계소의 운영을 대전방송총국으로 이관했다.
- 1994년 2월에는 김윤혜 아나운서가 입사했고, 같은 해 10월 28일에는 신규 TV 중계차(BLUE BIRD, CAM 4대)를 도입했다.
- 1995년 11월 30일, 청원송신소 청사개수 및 자동화 사업을 완료하고 예비송신기 출력을 10㎾에서 50㎾로 증강했다. 같은 날 보은중계소 청사개수 및 자동화 사업도 완료하여 송신기를 교체했다. 12월 9일에는 영동중계소 청사 신축 및 자동화 사업을 완료하고 송신기를 교체했다. 12월 29일에는 청주방송총국 청사를 증축(150평, 3층)하고 송출운영센터를 준공했다.
- 1996년 2월 1일, 청원송신소와 보은중계소를 원격 운용하기 시작했다. 2월 15일에는 영동중계소도 원격 운용을 시작했다. 3월 1일에는 송출운용센터를 본격적으로 운영하면서 원격 제어 및 감시, 이동정비팀을 운용하기 시작했다. 5월 15일에는 직제규정 시행세칙 개정에 따라 송신운용부를 신설했다. 12월 17일에는 우암산송신소에 1라디오 표준FM(주파수 89.3㎒)을 신설했다.
- 1997년 5월 14일, 1라디오 표준FM STL을 신설하고, 청주연주소에서 우암산 송신소 및 가엽산 송신소에 UHF TV(H/S)를 설치했다. 12월 9일에는 우암산송신소 1TV 예비 송신기를 교체했다.
- 1998년 3월 1일에는 도권 TV 전송망 디지털화(충주 → 청주)를 운용했다.
- 1999년 7월 28일, 연주소에서 우암산송신소로 가는 1TV M/W, 1FM STL을 교체했다. 11월 10일에는 청주방송총국 신사옥 기공식을 가졌다. 12월 3일에는 가엽산 송신소 자동화 사업을 완료하고 시험 운용을 시작했다. 12월 20일에는 청원송신소 송신기를 KD-50(50㎾)으로 교체했다. 12월 24일에는 연주소에서 가엽산(송)으로 가는 1TV M/W, 1FM STL을 교체했다.
- 2000년 5월 30일 가엽산송신소의 운영을 자동화하고(충주방송국 원격운용) 11월 6일에는 가엽산송신소 1라디오 표준FM의 운영을 충주방송국으로 이관하면서(FM 90.9㎒) 충주방송국에서 자체방송을 시작했다.[3]
- 2002년 10월 4일 성화동으로 사옥을 이전했다.[3]
- 2003년 11월 7일 KBS청주 제2라디오(FM 90.9㎒, 호출부호 HLAC-SFM)를 개국했다.[3]
- 2004년 8월 9일 KBS청주 직제개편을 실시하여 편성제작팀, 보도팀, 기술팀, 총무팀을 구성했다.[3]
- 2005년 12월 26일 KBS청주 디지털TV방송을 개시했다.[3]
- 2007년 최인희 아나운서가 입사했다.[3]
- 2011년 11월 20일 HDTV 방송을 시작하고,[3]
- 2012년 10월 2일 지상파 아날로그 TV 방송을 종료했다.[3]
- 2013년 10월 16일 수도권, 강원특별자치도, 충청권 HDTV 주파수 재배치를 실시했다.[3]
- 2023년 12월 28일 지상파 UHDTV 방송을 개시했다.[3]
2. 1. 1940년대
1945년 6월 16일 조선방송협회 청주방송국이 개국하였다.(호출부호 JBQK, 주파수 600㎑, 출력 50W, 청주군 청주읍 석교정) 1947년 10월 1일 호출부호를 HLKQ으로 변경하였다. 1948년 8월 6일 대한방송협회 청주방송국으로 명칭을 변경하였고, 1948년 10월 27일 방송국을 이전하면서 출력을 500W로 증강하였다.(남문로2가 73, 호출부호 HLKQ)2. 2. 1950년대
1950년 4월 10일 청주지방방송국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6월 25일에는 한국전쟁으로 방송시설을 피양했다. 1951년 3월 16일 방송시설을 복구하고 정규방송을 재개했다. 1957년 2월 14일 사옥을 남문로2가 92-13번지로 이전하면서 출력증강 1㎾, 주파수 920㎑, 호출부호 HLKQ로 변경되었다. 1958년 6월 20일에는 FM 중계망(주파수 49.9㎒)을 설치하여 수신 중계를 하였다.2. 3. 1960년대
1962년 5월 15일 충주중계소가 충주시 역전동 829에 설치되었다.(주파수 1090㎑, 호출부호 HLCH)[1] 1966년 7월 27일에는 식장산중계소가 개소되었다.[1] 같은 해 12월 20일에는 연주소가 준공되어 청주시 사직동 604-26으로 이전되었고, 괴산군 증평읍 대동 1056에 증평송신소(주파수 1062㎑)가 개소되었다.[1]2. 4. 1970년대
1971년 4월 20일 제천중계소가 개소되었으며(주파수 860㎑, 출력 1㎾, 호출부호 HLCD), 1972년 11월 27일에는 영동중계소가 개소되었다(주파수 630㎑, 출력 1㎾, 호출부호 HLAY). 1973년 3월 3일 한국방송공사 청주방송국이 발족되었고, 1975년 9월 25일 증평송신소가 청원송신소로 이전되었다. 1976년 12월 17일 보은중계소가 개소되었으나(주파수 1100㎑, 출력 10㎾, 호출부호 HLQW), 1977년 11월 8일 주파수가 800㎑로 변경되었다. 1978년 1월 1일 단양중계소가 개소되었고(주파수 1480㎑, 호출부호 HLQT), 같은 해 7월 1일 1TV 송출이 개시되었으며(CH 10, 음성 출력 125W, 영상 출력 500W),[2] 10월 7일에는 가엽산 송신소가 개소되었다(제1TV CH 12, 출력 1㎾). 1978년 11월 8일 사옥을 사직동 604-26으로 이전하였다.2. 5. 1980년대
1981년 7월 1일 가엽산송신소에서 3TV 송출을 개시했고(CH 21, 출력 30㎾), 7월 3일에는 1라디오 표준FM 송출을 개시했다.(90.9MHz, 출력 1㎾) 1982년 3월 4일 KBS청주 제1라디오를 FM으로 수신할 수 있게 되었으며, 표준FM(모노)으로도 동시에 방송되었다. 1982년 12월 29일 가엽산송신소에서 2TV 송출을 개시했다.(CH 30)1983년 9월 3일 가엽산송신소에서 1FM 송출을 개시했고(100.3㎒, 출력 3㎾), 12월 24일 KBS청주 2TV가 개국했다.(CH 24, 출력 5㎾) 1984년 7월 16일 직제개편에 따라 충주, 제천, 단양, 가엽산송신소를 충주방송국으로 편제했고, 12월 1일 청원, 우암산, 식장산, 가엽산송신소의 운영을 KT로 이관했다. 12월 23일 충주방송국이 개국했다.
1985년 1월 4일 제1TV 송신소를 연주소에서 우암산송신소로 이전했다. 1986년 1월 21일 우암산송신소에서 1FM이 개국했고(94.1㎒, 1㎾), 10월 17일 단양중계소를 신축 시설로 이전했다. 12월 8일 KBS 공사 직제 개편으로 KBS청주방송총국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87년 1월 1일 김호성 아나운서가 입사했고, 11월 15일 충주방송국에서 TV방송을 개시했다. 11월 16일 제천시 문화원에 제천중계소 오픈스튜디오를 설치했다. 1988년 6월 1일 청원송신소, 우암산송신소, 가엽산송신소, 흑성산송신소, 식장산중계소의 운영이 청주방송총국으로 환원되었다.
2. 6. 1990년대
1990년 1월 1일, 청주시의 TV 수신료 징수 방식을 통합공과금제로 변경했다. 1991년 12월 31일에는 청주방송총국 청사 일부를 증축(96평)했다. 1993년 10월 1일, 식장산중계소의 운영을 대전방송총국으로 이관했다. 1994년 2월에는 김윤혜 아나운서가 입사했고, 같은 해 10월 28일에는 신규 TV 중계차(BLUE BIRD, CAM 4대)를 도입했다.1995년 11월 30일, 청원송신소 청사개수 및 자동화 사업을 완료하고 예비송신기 출력을 10㎾에서 50㎾로 증강했다. 같은 날 보은중계소 청사개수 및 자동화 사업도 완료하여 송신기를 교체했다. 12월 9일에는 영동중계소 청사 신축 및 자동화 사업을 완료하고 송신기를 교체했다. 12월 29일에는 청주방송총국 청사를 증축(150평, 3층)하고 송출운영센터를 준공했다.
1996년 2월 1일, 청원송신소와 보은중계소를 원격 운용하기 시작했다. 2월 15일에는 영동중계소도 원격 운용을 시작했다. 3월 1일에는 송출운용센터를 본격적으로 운영하면서 원격 제어 및 감시, 이동정비팀을 운용하기 시작했다. 5월 15일에는 직제규정 시행세칙 개정에 따라 송신운용부를 신설했다. 12월 17일에는 우암산송신소에 1라디오 표준FM(주파수 89.3㎒)을 신설했다.
1997년 5월 14일, 1라디오 표준FM STL을 신설하고, 청주연주소에서 우암산 송신소 및 가엽산 송신소에 UHF TV(H/S)를 설치했다. 12월 9일에는 우암산송신소 1TV 예비 송신기를 교체했다. 1998년 3월 1일에는 도권 TV 전송망 디지털화(충주 → 청주)를 운용했다.
1999년 7월 28일, 연주소에서 우암산송신소로 가는 1TV M/W, 1FM STL을 교체했다. 11월 10일에는 청주방송총국 신사옥 기공식을 가졌다. 12월 3일에는 가엽산 송신소 자동화 사업을 완료하고 시험 운용을 시작했다. 12월 20일에는 청원송신소 송신기를 KD-50(50㎾)으로 교체했다. 12월 24일에는 연주소에서 가엽산(송)으로 가는 1TV M/W, 1FM STL을 교체했다.
2. 7. 2000년대 ~ 현재
2000년 5월 30일 가엽산송신소의 운영을 자동화하고(충주방송국 원격운용) 11월 6일에는 가엽산송신소 1라디오 표준FM의 운영을 충주방송국으로 이관하면서(FM 90.9㎒) 충주방송국에서 자체방송을 시작했다.[3] 2002년 10월 4일 성화동으로 사옥을 이전했다.[3] 2003년 11월 7일 KBS청주 제2라디오(FM 90.9㎒, 호출부호 HLAC-SFM)를 개국했다.[3] 2004년 8월 9일 KBS청주 직제개편을 실시하여 편성제작팀, 보도팀, 기술팀, 총무팀을 구성했다.[3] 2005년 12월 26일 KBS청주 디지털TV방송을 개시했다.[3] 2007년 최인희 아나운서가 입사했다.[3] 2011년 11월 20일 HDTV 방송을 시작하고,[3] 2012년 10월 2일 지상파 아날로그 TV 방송을 종료했다.[3] 2013년 10월 16일 수도권, 강원특별자치도, 충청권 HDTV 주파수 재배치를 실시했다.[3] 2023년 12월 28일 지상파 UHDTV 방송을 개시했다.[3]3. 방송 송출 시설망
3. 1. TV
은 충청북도 중·남부지역과 세종특별자치시 일부를 가시청권으로 한다.[4]; 1TV
- 리모컨 키 ID: 9-1
- 호출 부호: HLKQ-DTV
송신소 | 물리 채널 | 출력 |
---|---|---|
우암산 | CH 23 | 2kW |
백곡 | CH 23 | 0.05W |
두태산 | CH 28 | 90W |
청천 | CH 20 | 5W |
미원 | CH 44 | 20W |
회북 | CH 39 | 20W |
금적산 | CH 27 | 90W |
보은 | CH 20 | 20W |
산외 | CH 25 | 5W |
속리 | CH 21 | 20W |
옥천 | CH 39 | 20W |
청산 | CH 20 | 20W |
영동 | CH 23 | 90W |
학산 | CH 28 | 20W |
황간 | CH 44 | 20W |
추풍령 | CH 19 | 5W |
상촌 | CH 19 | 5W |
; 2TV
- 리모컨 키 ID: 7-1
- 호출 부호: HLAC-DTV
송신소 | 물리 채널 | 출력 |
---|---|---|
우암산 | CH 34 | 2kW |
백곡 | CH 34 | 0.05W |
두태산 | CH 29 | 90W |
청천 | CH 23 | 5W |
미원 | CH 46 | 20W |
회북 | CH 44 | 20W |
금적산 | CH 30 | 90W |
보은 | CH 23 | 20W |
산외 | CH 29 | 5W |
속리 | CH 22 | 20W |
옥천 | CH 45 | 20W |
청산 | CH 23 | 20W |
영동 | CH 20 | 90W |
학산 | CH 44 | 20W |
황간 | CH 45 | 20W |
추풍령 | CH 49 | 5W |
상촌 | CH 49 | 5W |
; 아날로그TV
2012년 10월 2일 오후 2시에 방송이 종료되었다.
- 1TV
- * 호출부호 : HLKQ-TV
송신소 | 채널 | 출력 | 송신소 위치 | |
---|---|---|---|---|
1TV | 2TV | |||
우암산 송신소 | CH 10 | CH 24 | 1kW / 5kW | 충북 청주시 상당구 수동 산2-1 |
청천 중계소 | CH 26 | CH 44 | 10W | 충북 괴산군 청천면 선평리 산9-9 |
미원 중계소 | CH 59 | CH 51 | 10W | 충북 청원군 미원면 미원리 산27-1 |
회북 중계소 | CH 26 | CH 20 | 10W | 충북 보은군 회인면 부수리 1-1 부수봉 |
금적산 중계소 | CH 52 | CH 44 | 500W | 충북 옥천군 안내면 오덕리 산1-1 |
보은 중계소 | CH 23 | CH 20 | 100W | 충북 보은군 보은읍 풍취리 산11-5 |
속리 중계소 | CH 13 | CH 11 | 10W | 충북 보은군 속리산면 사내리 산14-1 |
산외 중계소 | CH 7 | - | 1W | 충북 보은군 산외면 탁주리 산12 |
옥천 중계소 | CH 26 | CH 20 | 100W | 충북 옥천군 옥천읍 삼청리 산33-3 |
청산 중계소 | CH 7 | CH 26 | 10W / 50W | 충북 옥천군 청산면 판수리 산15 |
영동 중계소 | CH 7 | CH 13 | 100W | 충북 영동군 영동읍 회동리 산10 |
학산 중계소 | CH 40 | CH 31 | 10W | 충북 영동군 학산면 박계리 472-2 |
추풍령 중계소 | CH 40 | CH 31 | 10W | 충북 영동군 추풍령면 지봉리 산31 |
상촌 중계소 | CH 47 | - | 10W | 충북 영동군 상촌면 돈대리 산105 |
3. 1. 1. 1TV
wikitext- 리모컨 키 ID: 9-1
- 호출 부호: HLKQ-DTV
송신소 | 물리 채널 | 방사 출력 |
---|---|---|
우암산 | K-23ch | 2kW |
백곡 | K-23ch | 0.05W |
두태산 | K-28ch | 90W |
청천 | K-20ch | 5W |
미원 | K-44ch | 20W |
식장산 | K-33ch | 20W |
회북 | K-39ch | 20W |
금척산 | K-27ch | 90W |
보은 | K-20ch | 20W |
산외 | K-25ch | 5W |
속리 | K-21ch | 20W |
옥천 | K-39ch | 20W |
청산 | K-20ch | 20W |
영동 | K-23ch | 90W |
학산 | K-28ch | 20W |
황간 | K-44ch | 20W |
추풍령 | K-19ch | 5W |
상촌 | K-19ch | 5W |
3. 1. 2. 2TV
- 리모컨 키 ID: 7-1
- 호출 부호: HLQF-DTV
송신소 | 2TV | 방사 출력 |
---|---|---|
우암산 | K-34ch | 2kW |
백곡 | K-34ch | 0.05W |
두태산 | K-29ch | 90W |
청천 | K-23ch | 5W |
미원 | K-46ch | 20W |
회북 | K-44ch | 20W |
금척산 | K-30ch | 90W |
보은 | K-23ch | 20W |
산외 | K-29ch | 5W |
속리 | K-22ch | 20W |
옥천 | K-45ch | 20W |
청산 | K-23ch | 20W |
영동 | K-20ch | 90W |
학산 | K-44ch | 20W |
황간 | K-45ch | 20W |
추풍령 | K-49ch | 5W |
상촌 | K-49ch | 5W |
3. 1. 3. 아날로그TV (2012년 10월 2일 종료)
호출 부호는 HLKQ-TV이다.송신소 | 채널 | 방송 출력 |
---|---|---|
우암산 | K-10ch | 1kW |
청천 | K-26ch | 10W |
미원 | K-59ch | 10W |
식장산 | K-4ch | 1kW |
회북 | K-26ch | 10W |
금적산 | K-52ch | 500W |
보은 | K-23ch | 100W |
산외 | K-7ch | 1W |
속리 | K-13ch | 10W |
옥천 | K-26ch | 100W |
청산 | K-7ch | 10W |
영동 | K-7ch | 100W |
학산 | K-40ch | 10W |
추풍령 | K-40ch | 10W |
상촌 | K-47ch | 10W |
3. 2. 라디오
KBS청주방송총국은 충청북도 중·남부 지역과 세종특별자치시 일부, 대전광역시 일부 등을 가청권으로 하고 있다. KBS청주 제2라디오의 경우 우암산송신소만 있기 때문에 남부 3군 지역에서는 청주 2라디오의 수신이 곤란하다.KBS청주 제1라디오 | |||||
---|---|---|---|---|---|
송신소 | 주파수 | 출력 | 호출부호 | 송신소 위치 | 비고 |
청원 송신소 | AM 1062kHz | 50kW | HLKQ | 충북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가곡리 433 | |
우암산 송신소 | FM 89.3MHz | 1kW | HLKQ-SFM | 충북 청주시 상당구 수동 산2-1 | |
금적산 중계소 | 90W | HLQW-SFM | 충북 옥천군 안내면 오덕리 산1-1 | ||
영동 중계소 | FM 88.3MHz | 100W | HLAY-SFM | 충북 영동군 영동읍 주곡리 산32-3 | |
KBS청주 제2라디오 (해피FM) | |||||
송신소 | 주파수 | 출력 | 호출부호 | 송신소 위치 | 비고 |
우암산 송신소 | FM 90.9MHz | 1kW | HLAC-SFM | 충북 청주시 상당구 수동 산2-1 | |
KBS 청주FM | |||||
송신소 | 주파수 | 출력 | 호출부호 | 송신소 위치 | |
우암산 송신소 | FM 94.1MHz | 1kW | HLKQ-FM | 충북 청주시 상당구 수동 산2-1 | |
금적산 중계소 | 100W | 충북 옥천군 안내면 오덕리 산1-1 |
3. 2. 1. KBS청주 제1라디오
wikitable송신소 | 주파수 | 공중선 전력 | 호출 부호 |
---|---|---|---|
청원 | AM 1062kHz | 50kW | HLKQ |
우암산 | FM 89.3MHz | 1kW | HLKQ-SFM |
금적산 | FM 89.3MHz | HLQW-SFM |
3. 2. 2. KBS청주 제2라디오 (해피FM)
wikitable송신소 | 주파수 | 공중선 전력 | 호출 부호 |
---|---|---|---|
우암산 | FM 90.9MHz | 3kW | HLAC-SFM |
3. 2. 3. KBS 청주FM
wikitable송신소 | 주파수 | 공중선 전력 | 호출 부호 |
---|---|---|---|
우암산 | FM 94.1MHz | 1kW | HLKQ-FM |
3. 3. 지상파DMB
우암산, 금적산, 영동, 황간에서 K-11Bch (201.008MHz) 채널을 통해 2kW, 90W, 20W 출력으로 U-KBS DMB 방송을 송출하고 있다.송신소 | 물리 채널 (주파수) | 공중선 전력 |
---|---|---|
우암산 | K-11Bch (201.008MHz) | 2kW |
금적산 | 90W | |
영동 | 90W | |
황간 | 20W |
4. 방송 송신 시설
KBS청주방송총국 사옥에서 전파를 송출하는 방송은 다음과 같다.
FM라디오 | ||||
채널 | 방송국명 | 호출부호 | 출력 | 가시청권 |
---|---|---|---|---|
105.1㎒ | EBS FM | HLQL-FM | 0.1㎾ | 청주 일대 |
5. 프로그램
5. 1. TV
5. 1. 1. KBS 1TV 프로그램
KBS 뉴스 7 충북, KBS 뉴스 9 충북, 시사Talk, 지금 충북은, 생방송 지금 충북은, TV이웃 다정다감5. 2. 라디오
5. 2. 1. KBS 제1라디오 프로그램
현재 소스(source)에 내용이 없으므로, 요약(summary)에 있는 내용만으로 간단하게 작성하겠습니다.생방송 충청은 지금, 출발! 멋진 인생, 라디오에 물어보세요
5. 2. 2. KBS 제2라디오 프로그램
평일 오후 12시에 방송되는 KBS 제2라디오 정오종합뉴스(청주)는 KBS청주방송총국에서 제작하고, 평일 오전 7시, 9시, 낮 12시, 오후 3시에 방송된다.5. 2. 3. KBS 음악FM 프로그램
쏘~옥 듣고싶은 노래6. 조직
KBS청주방송총국은 편성제작국, 보도국, 기술국, 시청자/서비스국으로 구성되어 있다. 편성제작국은 프로그램제작, 아나운서, 카메라 업무를 담당한다. 보도국은 보도제작, 영상취재를 담당한다. 기술국은 기술관리, 제작기술, 송출기술을 담당한다. 시청자/서비스국은 시청자서비스행정, 문화사업, 재원관리, 광고 업무를 담당한다.
편성제작팀은 TV 제작과 편성을 담당하고, 보도팀은 영상취재와 취재를 담당한다. 기술팀은 기술관리, TV 기술, 라디오 기술, 중계기술, 송출기술을 담당하며, 총무팀은 총무와 재원관리를 담당한다.
7. 인력
7. 1. 현직 아나운서
7. 2. 전직 아나운서
김홍식, 엄태진(1985~2015, 정년 퇴임), 서기철(1987~1988, 전 KBS 서울본국), 허주(1991~1992, 아나운서부장, 전 KBS 서울본국), 김홍성(1995~1996, 현 KBS 서울본국), 원석현(1995~2002, 현 KBS 서울본국), 이영진(1996~2010, 현 퇴사), 박찬민(1998~2000, 전 SBS 아나운서, 현 방송인), 김선근(2022, 전 KBS 서울본국), 이진욱, 윤진열(현 춘천MBC 아나운서), 김호성(현 정년 퇴임), 이형걸 전 청주방송총국장 (현 서울본국)은 KBS청주방송총국에서 근무했던 남성 아나운서이다.김인숙(1953~1962, 퇴사), 범효준(1975~1988, 전 KBS 서울본국), 전옥수(1991~1997, 퇴사), 박경희(1993~1994,아나운서부장, 전 KBS 서울본국), 이규원(1997~1998, 현 KBS 서울본국), 변우영(1997~1998, 현 KBS 서울본국), 김경란(2001~2002, 전 KBS 서울본국), 김지윤(2002~2003, 현 KBS 서울본국), 김윤지(2003~2004, 전 KBS 서울본국), 박사임(2004~2005, 현 KBS 서울본국), 최연수(2004~2008, 현 KBS 대전총국), 이지연(2011~2012, 현 KBS 서울본국), 정지원(2012~2013, 현 KBS 서울본국), 이승현(2013~2014, 현 KBS 서울본국), 원순식(2005~2015, 전 퇴사), 임지수(2016~2017, 현 퇴사), 이승휘(2018~2019, 현 YTN), 배소빈(2019, 현 TV조선 기상캐스터), 박종화(2019~2021, 현 SK브로드밴드), 정수연(2021~2022, 현 퇴사), 도승민(2022~2023, 현 JTV전주방송)은 KBS청주방송총국에서 근무했던 여성 아나운서이다.
7. 3. 기상캐스터
이정은7. 4. 기자
권기현, 지용수 보도국장, 이규명, 구병회, 김영중, 이만영, 최일지, 천춘환, 함영구 취재부장, 조진영, 송근섭, 정진규, 송국회, 박미영, 한성원, 김선영, 최선희 편집부장, 민수아, 이유진, 김소영, 이자현8. 인근의 타 방송사
인근의 방송사로는 MBC충북 청주방송국, CJB 청주방송, 청주CBS, BBS 청주불교방송, TBN 충북교통방송 등이 있다.
9. 기타
KBS청주방송총국은 대한민국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서부로 1428 (성화동 456)에 위치하고 있으며, 전화번호는 +82-43-260-7100이다. 수신 보고서를 엔지니어에게 제출하면 베리카드가 발급된다.
참조
[1]
text
[2]
text
[3]
뉴스
KBS, 충북 지상파 최초 UHD 방송…충북 전역 확대 예정
https://news.kbs.co.[...]
KBS청주방송총국
2024-06-27
[4]
웹인용
UHDTV 송신기 2종 16점 구매관련 지명경쟁입찰 공고문
https://tender.kbs.c[...]
한국방송공사
2022-05-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