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KBS 제1FM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BS 제1FM은 1979년 4월 2일 KBS FM으로 개국하여, 1980년 12월 1일 언론통폐합으로 KBS 제1FM으로 채널명을 변경한 클래식 및 국악 전문 라디오 채널이다. 수신료로 운영되어 상업광고방송을 송출하지 않으며, 1994년 광고방송이 폐지되었다. 2007년 "KBS 클래식FM(Classic FM)"으로 애칭을 정했다. 2024년 11월 18일 기준, 전국 방송을 실시하며, 지역별로 자체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9년 설립된 라디오 방송국 - 성경의 소리 방송
    성경의 소리 방송은 2002년 영국과 캐나다의 기독교 단체가 공동 설립한 방송국으로, 이전 "Voice of Hope"의 후신이며 현재 40개 이상의 언어로 단파 및 인터넷 방송을 전 세계에 송출하고 있다.
  • 1979년 설립된 라디오 방송국 - 우리방송
    우리방송은 2011년 11월 1일 정규 방송을 시작한 미국 로스앤젤레스 지역의 한인 라디오 방송국이며, JBC 중앙방송의 채널사용권을 인수하여 설립되었고, 콜사인은 KYPA이며 주파수는 1230 AM이다.
  • 워너 브라더스 디스커버리 코리아의 라디오 네트워크 - KBS 제2FM
    KBS 쿨FM은 1965년 개국하여 동양방송을 거쳐 KBS에 인수된 대한민국의 라디오 채널로, 대중음악을 주로 방송하며 'FM대행진', '음악앨범', '가요광장' 등 장수 프로그램을 보유하고 있고, 2003년 '쿨FM'으로 개편되어 수도권을 중심으로 방송되나 일부는 KBS 해피FM을 통해 전국으로 송출된다.
  • 워너 브라더스 디스커버리 코리아의 라디오 네트워크 - KBS 제1라디오
    KBS 제1라디오는 1927년에 개국하여 뉴스와 시사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정보를 제공하며, 1994년 광고방송을 폐지하고 수신료로 운영되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라디오 채널이다.
  • 한국방송공사의 라디오 네트워크 - KBS 제2FM
    KBS 쿨FM은 1965년 개국하여 동양방송을 거쳐 KBS에 인수된 대한민국의 라디오 채널로, 대중음악을 주로 방송하며 'FM대행진', '음악앨범', '가요광장' 등 장수 프로그램을 보유하고 있고, 2003년 '쿨FM'으로 개편되어 수도권을 중심으로 방송되나 일부는 KBS 해피FM을 통해 전국으로 송출된다.
  • 한국방송공사의 라디오 네트워크 - KBS 제1라디오
    KBS 제1라디오는 1927년에 개국하여 뉴스와 시사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정보를 제공하며, 1994년 광고방송을 폐지하고 수신료로 운영되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라디오 채널이다.
KBS 제1FM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방송 정보
방송국KBS
방송 채널명KBS 클래식 FM
호출 부호HLKA-FM
방송 시작일1979년
방송 지역대한민국 - 전국 대부분 지역
방송 언어한국어
방송 형식클래식, Lied, 전통 한국 음악
소유주KBS
자매 채널KBS 라디오 1
KBS 라디오 2
KBS 라디오 3
KBS 쿨 FM
KBS 한민족 방송
웹캐스트실시간 듣기
웹사이트KBS 클래식FM 홈페이지
방송 주파수
서울FM 93.1 MHz
부산FM 92.7 MHz
기타 지역...더보기
연혁
이전 채널명KBS FM (1979년 ~ 1980년 11월 30일)
KBS 제1FM (1980년 12월 1일 ~ 2007년 4월 15일)

2. 특징

클래식 음악이 대부분의 편성을 차지하며, 이외에 대한민국 가곡국악재즈를 편성한다. 대부분 프로그램이 멘트를 최소화하고 음악 위주로 보내는 것이 특징이며, 각종 멘트는 음반 소개와 아티스트들의 인터뷰 위주로 하고 있다.[1]

다른 라디오 채널을 통해서 방송되는 프로그램들은 송출 과정에서 음 보정 및 컴프레싱 장비를 거치면서 음을 보정시키거나 일부 음을 증폭하여 송출하기도 하지만, KBS 제1FM을 통해 나가는 프로그램들은 어떠한 음 보정 작업도 거치지 않고 방송한다. 이는 주 청취자들인 클래식 음악 애청자들이 음원의 음질에 아주 민감하여 음원이 보정 작업 등으로 왜곡되는 것에 매우 반대하기 때문이다.[1]

지역국의 지역FM은 본사에서 클래식FM(1FM)으로 취급하며 KBS 본사의 정책으로 쿨FM(2FM)과 혼합하여 편성하였으나, 광고가 금지되어 있다는 특성 때문에 쿨FM의 광고가 허용된 2001년 말 이후에는 대거 감축되어 사실상 수도권 이외 지역에서는 아침 6시의 굿모닝 팝스 외엔 모두 클래식FM의 프로그램이 나갔었다. 그러나 2017년 2월 6일부터 굿모닝 팝스KBS 해피FM에서 동시 방송을 실시함에 따라 지역국 제1FM에서의 방송이 중단됨과 더불어 기존 클래식FM 프로그램인 새아침의 클래식이 전국적으로 송출되면서 비로소 완전한 전국화가 성사되었다.[1]

3. 연혁



방송 채널연도방송 시작 시간방송 종료 시간비고
KBS 클래식FM1979년05:0002:00
1996년05:00


4. 방송 프로그램 (편성표)

KBS 제1FM은 클래식 음악이 대부분의 편성을 차지하며, 이외에 대한민국 가곡국악재즈를 편성한다. 대부분 프로그램이 멘트를 최소화하고 음악 위주로 보내는 것이 특징이며, 각종 멘트는 음반 소개와 아티스트들의 인터뷰 위주로 하고 있다.[8]

KBS 클래식FM의 방송 프로그램은 진행자가 개편을 통하여 간혹 바뀌기는 하지만 제목과 프로그램 내용은 거의 변경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일반 방송과는 차별성을 보인다. 예를 들어 《출발 FM과 함께》, 《가정음악》, 《노래의 날개 위에》, 《FM 실황음악》, 《정다운 가곡》, 《FM 풍류마을》 모두 20년에서 30년 이상 그 시간대에 방송되어 온 프로그램이다.

2009년 봄 개편으로, 심야 프로그램의 시간과 순서가 대폭 변경되었다. 기존의 《FM 실황음악》이 연주회 실황특집 방송을 위하여 오후 8시에 배치되었던 것이, 저녁 8시에 《클래식 산책》이 신규로 생기면서 각각 2시간씩 뒤로 배치되었다. 따라서 그동안 밤 10시에 방송된 《당신의 밤과 음악》은 익일 밤 12시에 방송된 《음악풍경》과 《재즈수첩》이 오전 2시로 배치되었으며, 새벽 1시부터 3시까지 방송된 《음악의 향기》는 폐지되었다.[8]

2011년 1월 개편으로, 원래 밤 12시에 방송되었던 《당신의 밤과 음악》은 밤 10시로, 원래 새벽 2시에 방송되었던 《음악풍경》과 《재즈수첩》은 밤 12시로 복귀하였다. 원래 밤 10시에 방송되던 《FM 실황음악》은 다시 저녁 8시로 복귀하였고, 《출발 FM과 함께》를 진행했던 신윤주 아나운서는 낮 시간대(오전 9시 ~ 오후 5시)의 프로그램인 《KBS 음악실》로 이동하였다. 현재는 오전 9시에 《가정음악》을 진행하고 있다.

'''2024년 11월 18일 기준'''

방송시간프로그램지방 방송 총(국) 중계 여부
춘천원주강릉청주충주대구창원대전
매일 05:00국악의 향기전국방송
매일 06:00새아침의 클래식전국방송
매일 07:00출발 FM과 함께전국방송
매일 09:00신윤주의 가정음악전국방송
매일 11:00KBS 음악실X[9]OX[10]OXOX[11]X[12]
매일 12:00생생 클래식전국방송
매일 14:00(본)
매일 03:00(재)
명연주 명음반전국방송
매일 16:00(본)
평일 00:00(재)
노래의 날개 위에(재방만 전국방송)OX[13]OX[9]X[9]X[14]OO
매일 17:00FM 풍류마을전국방송
매일 18:00(본)
매일 01:00(재)
세상의 모든 음악전국방송
매일 20:00FM 실황음악전국방송
평일 21:40정다운 가곡전국방송
매일 22:00당신의 밤과 음악전국방송
주말 00:00재즈수첩전국방송


  • 굵은 글씨는 재방송을 나타낸다.
  • 본방송시간: 오전 5:00 ~ 밤 00:00 (평일: 19시간, 주말: 20시간), 재방시간대: 밤 00:00 (주말은 1시부터) ~ 새벽 04:53

5. 지역별 방송국 및 주파수

(클래식FM)HLKA-FM롯데호텔월드 송신소FM 93.1㎒10kW서울특별시 송파구 잠실동 240[18]KBS춘천클래식FMHLKM-FM화악산 송신소FM 91.1㎒5kW경기도 가평군 북면 화악2리 산218-2[19]KBS원주FMHLCW-FM백운산 송신소FM 89.5㎒3kW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판부면 서곡리 산166[20]영월 중계소FM 97.3㎒100W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영월읍 팔괘리 산237KBS강릉FMHLKR-FM괘방산 송신소FM 89.1㎒5kW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강동면 정동진리 산19-1[21]함백산 중계소FM 97.3㎒3kW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황지동 산176-1KBS전주FMHLKF-FM모악산 송신소FM 100.7㎒5kW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 산1[22]노고단 중계소FM 104.5㎒3kW전라남도 구례군 산동면 좌사리 산110-2KBS광주FMHLKH-FM무등산 송신소FM 92.3㎒5kW광주광역시 동구 용연동 산354-4[23]HLCY-FM망운산 송신소FM 94.5㎒3kW경상남도 남해군 서면 연죽리 산38KBS목포FMHLKN-FM양을산 송신소FM 98.3㎒1kW전라남도 목포시 상동 산55-12[24]KBS대구FMHLKG-FM팔공산 송신소FM 89.7㎒5kW대구광역시 동구 용수동 산1[25]HLCR-FM학가산 송신소FM 88.1㎒3kW경상북도 안동시 북후면 신전리 산69HLCP-FM조항산 송신소FM 93.5㎒경상북도 포항시 동해면 석리 산94-1HLCU-FM삼각봉 송신소FM 94.1㎒250W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사동리 산29-1KBS제주FMHLKS-FM견월악 송신소FM 96.3㎒3kW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봉개동 산78-1[26]삼매봉 중계소FM 99.9㎒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서홍동 822-1KBS울산FMHLQB-FM무룡산 송신소FM 101.9㎒울산광역시 북구 화봉동 산1-3KBS부산FMHLKB-FM황령산 송신소FM 92.7㎒5kW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1동 산50-1[27]KBS창원FMHLAI-FM불모산 송신소FM 93.9㎒1kW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천선동 산213-8HLCJ-FM망진산 송신소FM 89.3㎒경상남도 진주시 망경동 631[28]감악산 송신소FM 92.1㎒3kW경상남도 거창군 남상면 무촌리 산13KBS대전FMHLKI-FM계룡산 송신소FM 98.5㎒5kW충청남도 계룡시 신도안면 부남리 산11-5[29]식장산 중계소FM 102.1㎒3kW대전광역시 동구 낭월동 300청주 송출KBS청주FMHLKQ-FM우암산 송신소FM 94.1㎒1kW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수동 산2-1[30]금적산 중계소100W충청북도 보은군 보은읍 풍취리 산11-5KBS충주FMHLCH-FM가엽산 송신소FM 100.3㎒3kW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용산리 산11-4[31]


참조

[1] 문서 광고방송 폐지 이후 공익광고방송만 방영
[2] 문서 1FM 라디오 채널 광고방송 재개 결정
[3] 문서 KBS FM 라디오 개국 및 광고방송 재개
[4] 문서 KBS 채널별 광고방송 편성 차이
[5] 문서 KBS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 시행 기간
[6] 문서 KBS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 폐지
[7] 뉴스 KBS 1FM, 이젠 클래식 FM으로 불러주세요 http://office.kbs.co[...] KBS 2007-04-06
[8] 문서 클래식, 국악, 가곡 프로그램 방송 유지 및 축소
[9] 문서 주말 방송
[10] 문서 주말 방송
[11] 문서 주말 방송
[12] 문서 주말 방송
[13] 문서 주말 방송
[14] 문서 주말 방송
[15] 문서 자체 방송 송출 종료 시점 (2020년 5월 1일)
[16] 문서 자체 방송 송출 종료 시점 (2022년 4월 29일)
[17] 문서 자체 방송 송출 종료 시점 (2024년 11월 15일)
[18] 문서 KBS 제1라디오 호출부호 변경 및 송출 장소 변경
[19] 문서 KBS 춘천 제1라디오 호출부호 변경
[20] 문서 KBS 원주방송국 호출부호 변경
[21] 문서 KBS 강릉방송국 호출부호 변경
[22] 문서 KBS 전주 제1라디오 호출부호 변경
[23] 문서 KBS 광주 제1라디오 호출부호 변경
[24] 문서 KBS 목포방송국 호출부호 변경
[25] 문서 KBS 대구 제1라디오 호출부호 변경
[26] 문서 KBS 제주 제1라디오 호출부호 변경
[27] 문서 KBS 부산총국 호출부호 변경
[28] 문서 KBS 진주국 호출부호 변경
[29] 문서 KBS 대전총국 호출부호 변경
[30] 문서 KBS 청주총국 호출부호 변경
[31] 문서 KBS 충주방송국 호출부호 변경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