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문화방송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전문화방송은 대전광역시를 가시청권으로 하는 MBC 계열의 방송국이다. 1964년 라디오 방송을 시작했으며, 1971년 대전텔레비전방송을 통합하여 현재의 대전문화방송으로 출범했다. 현재 TV, 라디오 방송과 지상파 DMB 방송을 송출하고 있으며, 대전·세종·충남 지역을 권역으로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대전광역시 지상파 방송국 - MBC충북
MBC충북은 충청북도 지역을 방송 권역으로 하는 MBC의 지역 방송국으로, 청주시와 충주시에 방송국을 두고 TV와 라디오 프로그램을 제작 및 방송하며, 대전문화방송과 함께 충청권 지상파 DMB 사업에도 참여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대전광역시 지상파 방송국 - 대전방송
대전방송은 1995년 개국한 대전, 세종, 충남 지역의 민영방송사로, SBS와 네트워크 협약을 맺고 텔레비전 방송과 FM 라디오를 운영하며, TJB문화재단을 통해 지역 문화 발전에 기여하고 해외 방송사들과 국제적인 협력을 이어가고 있다. - 대한민국의 충청남도 지상파 방송국 - MBC충북
MBC충북은 충청북도 지역을 방송 권역으로 하는 MBC의 지역 방송국으로, 청주시와 충주시에 방송국을 두고 TV와 라디오 프로그램을 제작 및 방송하며, 대전문화방송과 함께 충청권 지상파 DMB 사업에도 참여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충청남도 지상파 방송국 - 대전방송
대전방송은 1995년 개국한 대전, 세종, 충남 지역의 민영방송사로, SBS와 네트워크 협약을 맺고 텔레비전 방송과 FM 라디오를 운영하며, TJB문화재단을 통해 지역 문화 발전에 기여하고 해외 방송사들과 국제적인 협력을 이어가고 있다. - 대한민국의 세종특별자치시 지상파 방송국 - MBC충북
MBC충북은 충청북도 지역을 방송 권역으로 하는 MBC의 지역 방송국으로, 청주시와 충주시에 방송국을 두고 TV와 라디오 프로그램을 제작 및 방송하며, 대전문화방송과 함께 충청권 지상파 DMB 사업에도 참여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세종특별자치시 지상파 방송국 - 대전방송
대전방송은 1995년 개국한 대전, 세종, 충남 지역의 민영방송사로, SBS와 네트워크 협약을 맺고 텔레비전 방송과 FM 라디오를 운영하며, TJB문화재단을 통해 지역 문화 발전에 기여하고 해외 방송사들과 국제적인 협력을 이어가고 있다.
대전문화방송 - [회사]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회사명 | 대전문화방송주식회사 |
영문 회사명 | Daejeo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
약칭 | 대전MBC |
종류 | 준공영 방송 |
방송 영역 | 지상파 방송 |
창립일 | 1963년 4월 12일 |
개국일 | 라디오: 1964년 9월 26일 TV: 1971년 4월 24일 FM4U: 1983년 9월 26일 표준FM: 1996년 3월 15일 |
이전 명칭 | 한국문화방송(주) 대전국 (1963년 ~ 1971년) 대전텔레비전방송(주) (1971년 4월 24일 ~ 1971년 9월 14일) |
시장 정보 | 비상장 |
본사 | 대전광역시 유성구 엑스포로 161 (도룡동) |
우편번호 | 34125 |
웹사이트 | 대전문화방송 |
경영진 | |
대표이사 사장 | 고대석 |
재무 정보 | |
자본금 | 1,000,000,000원 (2015년 12월) |
매출액 | 27,095,911,141원 (2015년) |
영업 이익 | 2,363,538,858원 (2015년) |
순이익 | 2,571,640,795원 (2015년) |
자산 총액 | 61,726,260,929원 (2015년 12월) |
주주 정보 | |
주요 주주 | 문화방송: 51% 계룡건설주식회사: 30% 오성철강주식회사: 9% |
기타 정보 | |
모기업 | 문화방송 |
관계 회사 | 닭룡건설 |
이미지 | |
2. 소재지
대전문화방송한국어 본사는 대전광역시 유성구 엑스포로 161에, 천안지사는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정공원1길 9-4에, 홍성방송본부는 충청남도 홍성군 홍북읍 충남대로 50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3. 연혁
3. 1. 1960년대
1963년 4월 12일 라디오 무선국 허가를 받았다.(호출부호 HLCQ, 출력 1kW, 주파수 580kHz)[1]
1964년 9월 4일 시험 전파를 발사했다.
1964년 9월 26일 한국문화방송(주) 대전국(Radio)이 대전 중구 대흥동 사옥(대전 중구 대흥동 495)에서 개국하여 첫 전파를 발사하기 시작했다. (호출부호 HLCQ, 주파수 580kHz, 출력 1kW)
1965년 4월 10일 AM 주파수를 580kHz에서 1110kHz로 변경하였다.
1968년 6월 1일 AM 라디오 출력을 1kW에서 10kW로 증강하였다.
1969년 8월 5일 대전텔레비전방송주식회사가 무선국 허가를 취득하였다.(호출부호 HLAZ, 음향출력 500W, 영상출력 2kW)
3. 2. 1970년대
1971년 2월 18일 대전 텔레비전 방송국(DTV) 설립등기를 하였다.[1] 1971년 4월 24일 대전텔레비전방송주식회사가 개국하면서(TV) 호출부호 HLAZ, 채널8, 영상출력 2kW, 음향출력 500W로 텔레비전 방송을 개시하였다., 1971년 5월 1일 AM라디오 주파수를 1110kHz에서 760kHz로 변경하였다., 1971년 9월 15일 대전텔레비전방송주식회사(DTV)에서 대전문화방송주식회사(MBC)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1971년 10월 1일 R/TV를 통합하였다.
1972년 2월 18일 동아그룹에서 인수하였다. 1972년 12월 29일 대전 동구 정동 36-4에 사옥을 준공하였다. 1976년 3월 30일 대전시 선화동 381-171에 신축 사옥 기공식을 하였다. 1977년 8월 10일 본점 이전등기를 하였다. 1977년 10월 5일 신사옥 보존 등기를 하였다. 1977년 10월 7일 사옥(대전 중구 선화동 381)을 준공하였다. 1977년 10월 25일 이익 준비금 자본 전입 (1.25억원)을 하였다.
1978년 11월 23일 AM 라디오 주파수를 760kHz에서 765kHz로 변경하였다., 1979년 9월 26일 라디오·텔레비전 개국 기념일과 통합 15주년을 맞이하여 창사 기념일로 제정하였다.
3. 3. 1980년대
날짜 | 내용 |
---|---|
1980년 7월 18일 | 서울 지사 설치 (서울시 중구 서소문동 58-12) |
1980년 11월 25일 | 주식 양도 (동아그룹 소유 주식을 주식회사 문화방송·경향신문에서 35,000주 인수) |
1980년 11월 28일 | 서울 지사 폐지 |
1980년 12월 22일 | TV 컬러 방송 개시 |
1982년 4월 24일 | TV 출력 증강 (음향: 750W, 영상: 5kW) |
1982년 9월 3일 | 제9회 한국방송대상 특별 부문 작품상 - 서해만리 장고도의 등바루놀이 (라디오) |
1983년 9월 26일 | FM 방송국 개국 (HLCQ-FM, 97.5MHz, 5kW) |
1984년 9월 3일 | 제11회 한국방송대상 특별상 - 해외 특집 4부작 일본 속의 백제문화 그 현장을 가다 (TV) |
1986년 4월 19일 | 옥마산 TV 중계소 개국 (UHF CH26, 500W) |
1987년 1월 17일 | 원효봉 TV 중계소 개국 (UHF CH40, 5kW) |
1987년 1월 24일 | 흑성산 TV 중계소 개국 (UHF CH45, 10kW) |
1987년 11월 4일 | 일본 TV 시즈오카와 자매 결연 |
1988년 10월 31일 | 서천 TV 중계소 개국 (UHF CH 55, 100W) |
3. 4. 1990년대
- 1990년 7월 1일 흑성산, 원효봉 TV중계소를 무인 자동화하여 운용하였다.[1]
- 1990년 9월 3일 제17회 한국방송대상 TV지역문화부문 우수작품상으로 충청 오늘과 내일 '백야 김좌진 장군'이 선정되었다.
- 1992년 9월 26일 라디오송신소를 자동화하여 운용하였다.(자립식 철탑)
- 1995년 9월 3일 한국방송대상 라디오 우수작품상 지역문화 부문에서 '할아버지와 손풍금'이 수상하였다.
- 1995년 10월 12일 95 한국보도상 TV부문 기획편집상으로 '환경리포트 금강 어제와 오늘'이 선정되었다.
- 1996년 3월 15일 표준FM 방송을 개국하였다.(92.5MHz, 3kW)
- 1997년 6월 20일 중국 난징TV와 자매결연을 맺었다.
- 1999년 9월 3일 제26회 한국방송대상 특별상으로 '잃어버린 백제를 찾아서'가 선정되었다.
3. 5. 2000년대
- 2000년 4월 24일 - 부여TV중계소 개국(UHF CH27, 100W)
- 2000년 10월 31일 - 표준FM 스테레오 방송 실시
- 2001년 10월 31일 - 천안지사 개설
- 2003년 5월 1일 - 신사옥(대전 유성구 도룡동 4-5)으로 이전
- 2003년 6월 11일 - 신사옥(대전 유성구 도룡동 4-5) 준공
- 2004년 4월 9일 - 원효봉 표준FM 개국(91.3MHz, 500W)
- 2004년 7월 30일 - 디지털방송 개시(물리채널 UHF CH17, 2.5kW, 대전권; 식장산)
- 2005년 12월 14일 - 흑성산 DTV중계소 개국(물리채널 UHF CH46, 1kW)
- 2005년 12월 26일 - 원효봉 DTV중계소 개국(물리채널 UHF CH67, 1kW)
- 2006년 6월 20일 - KAB 구마모토아사히방송과 자매결연
- 2007년 5월 10일 - 홍성방송본부 개소
- 2007년 11월 16일 - 충청권 지상파DMB 개국(CH11A, 2kW, 대전 식장산)
- 2008년 1월 15일 - 충청권 지상파DMB개국(CH11A, 2kW, 충주 가엽산)
- 2008년 1월 18일 - 충청권 지상파DMB개국(CH11A, 2kW, 청주 우암산)
- 2008년 1월 22일 - 충청권 지상파DMB개국(CH11A, 1kW, 서산 원효봉)
- 2008년 1월 25일 - 충청권 지상파DMB개국(CH11A, 2kW, 논산 계룡산)
3. 6. 2010년대
- 2011년 6월 1일 - 천안 표준FM방송보조국 개국(92.5MHz, 10W, 천안 일부)[1]
- 2011년 7월 29일 - 충청권 지상파 DMB 개국 (CH11A, 90W, 보령 옥마산)
- 2012년 10월 16일 - 지상파 아날로그 TV 방송 종료
- 2013년 10월 16일 - 수도권, 강원도, 충청권 디지털방송 재배치
- 2017년 12월 29일 - 대전MBC UHD 방송 개국. 서울 본사의 UHD 방송.
- 2019년 8월 28일 - 보령 옥마산 표준FM 방송 보조국 허가(100W)
3. 7. 2020년대
2020년 5월 26일 보령 옥마산 표준FM 방송 보조국을 개국했다.(93.7MHz, 100W, 보령시 일원)[1]2022년 11월 8일 AM 라디오(765kHz, 10kW) 운용을 일시 중지하고, FM방송으로 전환했다.
2023년 5월 8일 AM 라디오(765kHz, 10kW) 송출을 종료했다.
4. TV 방송
1971년 4월 24일 대전텔레비전방송(주)가 호출부호 HLAZ, 채널8, 영상출력 2kW, 음향출력 500W로 TV방송을 개국함으로써 대전·충청지역 최초의 민영TV방송이 시작되었다. 같은 해 9월 15일 텔레비전방송사인 대전텔레비전방송(주)와 회사를 합병하면서 대전문화방송(주)로 출범하여 오늘날까지 이르고 있다. 2004년 7월 30일에는 디지털TV방송을 개국함으로써 시청자들에게 고품질의 디지털TV방송을 서비스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