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MISCA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MISCA는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의 정치적 불안정 해소를 위해 2013년 창설된 아프리카 연합 주도 국제 지원 임무이다. 2013년 리브르빌 협정과 은자메나 선언 이후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의 상황에 대한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의 우려와 결의안 2121, 2127호에 따라, 기존의 MICOPAX를 대체하여 아프리카 연합, 중앙 아프리카 국가 경제 공동체, 유엔의 협력 하에 평화 유지, 민간인 보호, 인도주의적 지원, 무장 해제 등을 수행했다. 참여 병력은 가봉, 차드, 콩고 공화국, 카메룬 등의 군인들로 구성되었으며, 프랑스, 영국, 미국 등도 병력 지원 및 물류 지원을 제공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의 정치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의 대통령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의 대통령은 국가 원수이며, 결선투표제를 통해 선출되고, 임기는 7년이며 임기 제한은 폐지되었다.
MISCA
개요
MISCA 로고
MISCA 로고
명칭아프리카 주도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제 지원 미션
로마자 표기Apeurika Judo Jungangapeurika Gonghwaguk Gukje Jiwon Misyeon
프랑스어 명칭Mission internationale de soutien à la Centrafrique sous conduite africaine (MISCA)
약칭MISCA
임무
목표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의 평화 유지
기간
시작2013년 12월 5일
종료2014년 9월 15일
병력
규모6,000명 (최대)
구성아프리카 연합 회원국
프랑스군 (일부 지원)
지휘부
사령관장군 장마리 미셸 모코코
후속
대체MINUSCA

2. MISCA 창설 배경

MISCA 창설은 2013년 1월 11일 리브르빌 협정과 2013년 4월 18일 은자메나 선언 이후, 중앙아프리카공화국의 평화 유지를 위한 국제적 노력의 일환으로 이루어졌다.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2013년 10월 10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을 통해,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의 상황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고, 평화 유지를 위한 국제적 노력을 촉구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내의 폭력 사태는 계속되었고, 유엔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통합 평화 구축 사무소(BINUCA)는 효과적인 대응을 하지 못했다.

BINUCA는 셀레카 민병대를 비롯한 무장 단체들의 폭력 행위를 막지 못했고, 무기 밀매, 민간인 학살, 강간, 소년병 징집 등 심각한 인권 유린 행위가 지속되었다. 이로 인해 수많은 난민이 발생하고, 인도주의적 위기가 심화되었다.[1][2]

이에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2013년 12월 5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2127호를 만장일치로 통과시켜, 아프리카 연합 주도의 MISCA 파병을 승인했다. 이 결의안은 셀레카 및 기타 무장 단체가 무기를 내려놓을 것을 촉구하고, 무장 해제, 동원 해제 및 재통합(DDR) 또는 무장 해제, 동원 해제, 송환, 재통합 및 재정착 (DDRRR)을 촉구했다. MISCA는 아프리카 연합의 기존 임무와 중앙 아프리카 국가 경제 공동체(ECCAS)의 FOMAC 작전, 그리고 중앙 아프리카 공화국 평화 구축 임무 (MICOPAX)를 대체하게 되었다.[4]

2. 1. 리브르빌 협정과 은자메나 선언

2013년 1월 11일 리브르빌 협정과 4월 18일 은자메나 선언은 새 정권의 정치적 전환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고, 자유 선거 실시를 요구하며, 폭력 중단을 위한 국가 지도자들의 책임을 촉구했다. 이러한 내용은 2013년 10월 10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의 결과로 이어진다.

이 결의안은 중앙아프리카공화국(BINUCA)의 유엔 통합 평화 구축 사무소에 국가 파견 1년 후 달성된 노력의 효과적인 상태를 보고하고, 정부와 반대 세력이 평화로운 전환을 지원하고 국민을 보호하며, 국제적 노력을 조정하도록 촉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그러나 이 임시 결의안은 불충분했고, BINUCA는 중앙아프리카공화국의 새로운 지도자와 반대 무장 단체, 셀레카 민병대 등으로부터 약속을 얻을 수 없었다.[1] BINUCA 임무 시작 이후 무기 밀매, 폭력, 자산 파괴는 멈추지 않고 증가하여 더 많은 혼란, 희생자, 파괴, 난민 이주를 야기했다.[2]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2121은 국제 평화 유지군 증원을 제안했으며, 아프리카 연합(AU) 또는 중앙 아프리카 국가 경제 공동체(ECCAS)가 중앙 아프리카 공화국 평화 구축 임무 (MICOPAX) 협력 임무에 참여하여 MISCA 평화 유지군으로 이전하도록 했다.[3]

2013년 12월 5일, UNSC는 만장일치로 결의안 2127을 통과시켜 리브르빌 협정을 지원할 것을 촉구했다.[4] 이 결의안은 ''셀레카'' 및 기타 무장 단체가 무기를 내려놓고 무장 해제, 동원 해제 및 재통합(DDR) 또는 무장 해제, 동원 해제, 송환, 재통합 및 재정착 (DDRRR)을 할 것을 촉구했으며, MISCA의 즉각적인 배치를 기대했다.[4] 이는 아프리카 연합의 기존 임무와 중앙 아프리카 국가 경제 공동체 (ECCAS)의 FOMAC 작전, 그리고 중앙 아프리카 공화국 평화 구축 임무 (MICOPAX)를 대체한다.[4]

2. 2.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 2121호와 2127호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2121호는 2013년 10월 10일에 채택되어 중앙아프리카공화국의 평화와 안정을 위한 국제적 노력을 촉구했다. 이 결의안은 리브르빌 협정과 은자메나 선언 이후 새 정권의 정치적 전환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고, 자유 선거 실시와 폭력 중단을 촉구했다. 또한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의 유엔 통합 평화 구축 사무소(BINUCA)의 보고를 통해 현지 상황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국제 평화 유지군 증원을 제안하며, 아프리카 연합(AU) 또는 중앙 아프리카 국가 경제 공동체(ECCAS)가 중앙 아프리카 공화국 평화 구축 임무(MICOPAX) 협력 임무에 참여하여 이를 MISCA 평화 유지군으로 이전하도록 요청했다.

그러나 BINUCA 임무는 무기 밀매, 폭력, 자산 파괴 등을 막지 못했고,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 이에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2013년 12월 5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2127호를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 이 결의안은 리브르빌 협정 지원, ''셀레카'' 및 기타 무장 단체의 무장 해제, 무장 해제, 동원 해제 및 재통합(DDR) 또는 무장 해제, 동원 해제, 송환, 재통합 및 재정착(DDRRR)을 촉구했다. 또한 아프리카 연합의 지원을 받아 MISCA의 즉각적인 배치를 기대하며, 기존의 아프리카 연합 임무와 중앙 아프리카 국가 경제 공동체(ECCAS)의 FOMAC 작전, 그리고 중앙 아프리카 공화국 평화 구축 임무(MICOPAX)를 대체하도록 했다.

2. 3. BINUCA의 역할과 한계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2013년 10월 10일 결의안은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유엔 통합 평화 구축 사무소(BINUCA)에 국가 파견 후 1년 가까이 지난 시점에 달성된 노력의 효과에 대해 보고하도록 하였다. 이 결의안은 정부와 반대 세력이 평화로운 전환을 지원하고 국민을 보호하며, 국제적 노력을 조정하도록 촉구했다.

하지만 이 임시 결의안은 불충분했고, 유엔은 BINUCA와 함께 새로운 중앙 아프리카 지도자와 반대 무장 단체, ''셀레카'' 민병대 등으로부터 살인, 여성 강간, 어린이의 무장 부대 강제 징집 등 잔혹 행위에 대한 약속을 얻을 수 없었다.[1]

BINUCA 임무 시작 이후에도 무기 밀매, 폭력, 공공 또는 사적 자산 파괴는 멈추지 않고 오히려 증가했다. 이는 더 큰 정치적 혼란, 수많은 희생자와 파괴, 그리고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내 및 인접 국가로의 대규모 난민 이주를 야기했다. BINUCA와 NGO는 중앙 아프리카 인구의 약 15%가 이미 이러한 혼란에 직접 노출되어 있으며, 이는 여러 아프리카 국가에 영향을 미치는 심각한 인도주의적 위기로 빠르게 발전할 것이라고 추정한다.[2]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결의안 2121에서 국제 평화 유지군 증원을 제안하고, 모든 아프리카 국가에 참여를 요청했다. 특히 아프리카 연합(AU) 또는 중앙 아프리카 국가 경제 공동체(ECCAS)가 중앙 아프리카 공화국 평화 구축 임무 (MICOPAX) 협력 임무에 참여하여 이를 MISCA 평화 유지군으로 이전하도록 했다. 결국 2013년 12월 5일, UNSC는 만장일치로 결의안 2127을 통과시켜 MISCA의 즉각적인 배치를 기대했다. 이는 아프리카 연합의 기존 임무와 중앙 아프리카 국가 경제 공동체 (ECCAS)의 FOMAC 작전, 그리고 중앙 아프리카 공화국 평화 구축 임무 (MICOPAX)를 대체했다.[3]

3. MISCA의 임무와 활동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아, 이전 출력은 빈 내용이었습니다. 따라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4. 참여 병력

아프리카 연합은 MISCA 임무 내에서 중앙아프리카에 참여하는 병력을 약 2,000명에서 3,500명으로 증강할 것을 제안했으며, 이는 UN 결의안에 따라 최소 1년 동안 지속될 것이었다.[7] 이 결의안은 12월 6일부터 시작되는 아프리카 평화 및 안보를 위한 국제 엘리제 정상회담 직전에 통과되었으며,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의 상황이 주요 의제로 다뤄질 예정이었다. 반기문 UN 사무총장을 비롯한 대부분의 아프리카 지도자(40개국 국가 원수 포함)가 파리에서 다른 국가의 옵서버들과 함께 회담을 가질 예정이었다.[5]

4. 1. 아프리카 연합 다국적군(FOMAC)

아프리카 연합 중앙아프리카 다국적군(FOMAC)은 MISCA로 이관될 예정이며, 가봉, 차드, 콩고-브라자빌, 카메룬 군인들로 구성된다.[4]

4. 2. 프랑스

프랑스는 현지 프랑스 시민, 유엔 감시단, 방기 음포코 국제공항 지역을 보호하고, 아프리카 연합군 또는 국제 NGO 요원의 배치 및 물류 지원, 외국 거주자의 대피를 돕기 위해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내 병력을 600명에서 1,200명으로 증강할 예정이었다.[4]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은 넬슨 만델라의 장례식에서 방기에서 벌어진 비극적인 상황에 경악하며, 프랑스 군대의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주둔 병력을 즉시 1,200명으로 두 배 증강할 것이라고 발표했으며, 이는 수 시간 내에 이루어질 수 있다고 하였다.[6]

4. 3. 기타 국가

프랑스는 현지 프랑스 시민, UN 감시단, 방기 음포코 국제공항 지역을 보호하고, 아프리카 연합군 또는 국제 NGO 요원의 배치 및 물류 지원, 외국 거주자의 대피를 돕기 위해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내 병력을 600명에서 1,200명으로 증강할 예정이었다.[4]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은 프랑스 군대의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주둔 병력을 즉시 1,200명으로 두 배로 늘릴 것이라고 발표했다.[6]

영국 윌리엄 헤이그 외무장관은 영국군이 프랑스 군 장비의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배치를 지원할 것이며, 첫 번째 수송기가 곧 방기에 도착할 것이라고 밝혔다.[8] 미국은 두 대의 C-17을 사용하여 아프리카 연합군을 수송하겠다는 약속을 했다.[9]

5. 한국의 역할과 과제

대한민국은 국제사회의 일원으로서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의 위기 해결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 '''인도적 지원''': 내전과 종교 분쟁으로 고통받는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민들에게 식량, 의료, 교육 등 인도적 지원을 제공할 수 있다.
  • '''평화 유지 활동 참여''': 유엔 평화 유지 활동에 참여하여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의 안정과 평화 구축에 기여할 수 있다.
  • '''개발 협력''':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의 경제 재건과 사회 발전을 위한 개발 협력 사업을 추진할 수 있다.
  • '''국제사회와의 공조''':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에 동참하고, 아프리카 연합(AU) 등 관련 국제기구와의 협력을 강화할 수 있다.


앞으로 대한민국은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문제 해결을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제를 안고 있다.

  •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의 상황이 개선될 때까지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
  • '''맞춤형 지원 전략 수립''':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의 특수한 상황과 필요를 고려한 맞춤형 지원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 '''국제사회와의 협력 강화''':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관련 국제기구와의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
  • '''시민사회의 참여 확대''':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사회의 참여를 확대하고, 이들과의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United Nations News Centre - Central African Republic: Security Council approves new peacekeeping force https://www.un.org/a[...] Un.org 2013-01-01
[2] 웹사이트 United Nations Official Document https://www.un.org/e[...] Un.org 2013-12-08
[3] 웹사이트 MINUSCA https://peacekeeping[...] 2023-05-02
[4] 웹사이트 CAR key players http://www.aljazeera[...] Aljazeera.com 2013-12-08
[5] 뉴스 Centrafrique : les soldats français seront déployés « dans les jours qui viennent » ROP (Réseau de recherche sur les opérations de paix), Université de Montréal 2013-12-05
[6] 뉴스 UN backs French mission as violence surges in CAR' http://www.france24.[...] France 24 2013-12-05
[7] 뉴스 “It’s time for Africa” at a major Paris security summit' http://www.france24.[...] France 24 2013-12-06
[8] 웹사이트 French troops begin operation in Central African Republic as violence worsens http://www.cnn.com/2[...] 2021-06-21
[9] 뉴스 U.S. to Fly African Troops Into Conflict Zone https://online.wsj.c[...] 2013-12-09
[10] 문서 中央アフリカ・仏軍介入作戦の概要 http://blog.goo.ne.j[...]
[11] 문서 中央アフリカ http://blogos.com/ar[...]
[12] 문서 フランスとアフリカ連合、中央アフリカへの派遣部隊を増強 https://www.afpbb.co[...]
[13] 뉴스 中央アフリカでデモ参加者3人が死亡 https://www.afpbb.co[...] フランス通信社 2013-05-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