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VP 베이스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MVP 베이스볼'''은 EA 스포츠에서 제작한 야구 비디오 게임 시리즈이다. 2003년부터 2005년까지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의 라이선스를 받아 출시되었으며, 2004년에는 마이너 리그 베이스볼(MiLB) 팀을 추가하여 현실성을 높였다. 2005년 EA 스포츠가 MLB와의 라이선스 계약을 잃으면서 NCAA 라이선스를 기반으로 한 '''MVP: NCAA 베이스볼''' 시리즈로 대체되었다. MVP 베이스볼 시리즈는 혁신적인 투구 및 타격 시스템, EA Trax를 통한 다양한 사운드트랙을 특징으로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야구 게임 - 마구마구
마구마구는 프로 야구 선수 카드를 활용해 팀을 구성하고 다른 이용자와 대전하는 온라인 야구 게임으로, 직관적인 조작과 액션, 실황 중계, 다양한 선수 카드와 게임 모드를 특징으로 한다. - 야구 게임 - 프로야구 스피리츠
프로야구 스피리츠는 코나미에서 제작 및 배급하는 야구 시뮬레이션 비디오 게임 시리즈이며, 2004년부터 2019년까지 다양한 플랫폼으로 출시되어 일본 프로 야구 팀과 올스타팀을 포함한 게임을 제공한다. - EA 스포츠의 게임 - FIFA 22
FIFA 22는 EA Sports에서 출시한 축구 시뮬레이션 비디오 게임으로, 하이퍼모션 기술을 통해 향상된 게임플레이와 다양한 모드를 제공하며, 30개 이상의 리그, 700개 이상의 클럽, 17,000명 이상의 선수를 특징으로 한다. - EA 스포츠의 게임 - NHL 24
NHL 24는 EA 스포츠에서 개발한 아이스하키 시뮬레이션 게임으로, 게임플레이 개편, 새로운 기술 동작, 개선된 패스 시스템, 물리 기반 컨택트 시스템을 통해 현실적인 경기 운영을 제공하고 하키 얼티밋 팀과 월드 오브 첼에서 완전한 크로스플레이를 지원하지만, 평론가와 사용자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으며 변화 부족 및 기능 미흡에 대한 비판이 있다. - 비디오 게임 시리즈 - 동방 프로젝트
동방 프로젝트는 ZUN이 제작한 탄막 슈팅 게임 시리즈로, 환상향이라는 가상 세계를 배경으로 인간과 요괴의 공존, 스펠 카드 시스템, 다채로운 등장인물, 그리고 방대한 2차 창작물이 특징적인 일본 동인 문화에 큰 영향을 준 작품이다. - 비디오 게임 시리즈 - 파이널 판타지
파이널 판타지는 스퀘어(현 스퀘어 에닉스)에서 1987년 출시된 롤플레잉 게임 시리즈로, 각 작품은 독립적인 세계관을 가지나 공통 요소와 판타지 및 공상과학적 설정을 바탕으로 다양한 미디어믹스를 통해 확장되었으며, 전투 시스템과 성장 시스템의 변화를 거듭하며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
MVP 베이스볼 | |
---|---|
기본 정보 | |
장르 | 스포츠 (야구) 시뮬레이션 |
개발사 | EA 스포츠 |
배급사 | EA 스포츠 |
첫 출시 | "MVP 베이스볼 2003" (2003년 3월 10일) |
최신 출시 | "MVP 07: NCAA 베이스볼" (2007년 2월 6일) |
![]() |
2. 시리즈 역사
''MVP 베이스볼'' 시리즈는 2003년부터 EA 스포츠에서 출시한 야구 게임이다. 초기에는 MLB 라이선스를 기반으로 혁신적인 시스템과 뛰어난 게임성을 선보이며 많은 인기를 얻었다.
- '''MVP 베이스볼 2003''': EA의 ''트리플 플레이'' 시리즈를 계승했지만, 투구 미터와 존 기반 타격 시스템을 도입하여 차별화했다. 랜디 존슨과 미겔 테하다가 표지 모델이었다.
- '''MVP 베이스볼 2004''': MLB와 마이너 리그 베이스볼 라이선스를 모두 받아 실제 마이너 리그 팀을 선보였다. 앨버트 푸홀스가 표지 선수였다.
- '''MVP 베이스볼 2005''': "타자의 눈" 시스템을 도입하여 투구 구종을 색상 코드로 식별할 수 있게 했다. 매니 라미레즈가 표지 모델이었으며,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 버전으로도 출시되었다.
그러나 2005년, 테이크 투 인터랙티브가 MLB와 독점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하면서 EA 스포츠는 더 이상 MLB 게임을 제작할 수 없게 되었다.[22] 이에 EA 스포츠는 대학 야구 게임인 ''MVP 06: NCAA 베이스볼''(2006)과 ''MVP 07: NCAA 베이스볼''(2007)을 출시했지만, 2007년 이후로는 시리즈가 중단되었다.
2012년에는 대한민국에서 ''MVP 베이스볼 온라인''이라는 온라인 게임이 출시되기도 했다.[17]
이후 시리즈 부활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했지만, EA 스포츠는 새로운 게임 엔진의 필요성, 다른 스포츠 타이틀에 대한 집중, MLB와의 라이선스 계약 불확실성 등을 이유로 아직까지는 구체적인 계획이 없음을 밝혔다.[20][21]
2. 1. MVP 베이스볼 (2003-2005)
''MVP 베이스볼'' 시리즈는 2003년부터 2005년까지 EA 스포츠에서 출시한 MLB 라이선스 기반의 야구 게임이다. 혁신적인 시스템과 뛰어난 게임성으로 많은 인기를 얻었다.- '''MVP 베이스볼 2003''': EA의 ''트리플 플레이'' 시리즈를 계승했지만, 혁신적인 투구 미터와 존 기반 타격 시스템을 도입하여 차별화했다. 랜디 존슨과 미겔 테하다가 표지 모델이었으며, 선수 연봉에 포인트 시스템을 사용한 마지막 게임이다.
- '''MVP 베이스볼 2004''': MLB와 마이너 리그 베이스볼 라이선스를 모두 받아 실제 마이너 리그 팀을 선보인 최초의 야구 게임이다. 앨버트 푸홀스가 표지 선수였다.
- '''MVP 베이스볼 2005''': "타자의 눈" 시스템을 도입하여 투구 구종을 색상 코드로 식별할 수 있게 했다. 매니 라미레즈가 표지 모델이었으며,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 버전으로도 출시되었다.
2. 1. 1. MVP 베이스볼 2003
''MVP 베이스볼 2003''은 EA의 ''트리플 플레이'' 시리즈를 계승하면서도, 혁신적인 시스템을 도입하여 호평을 받은 작품이다. 2003년에 출시되었으며, 전작들이 비평가들로부터 혹평을 받았던 것과 달리 그래픽 외에는 거의 유사점이 없었다.[1]새롭게 도입된 투구 미터와 존 기반 타격 시스템은 ''MVP 베이스볼 2003''의 큰 특징이다. 이러한 개선 덕분에 비평가들은 이 게임이 ''트리플 플레이''의 마지막 작품보다 크게 발전했다고 평가했다.[2] 리뷰 집계 사이트 메타크리틱에서 ''MVP 베이스볼 2003''은 플레이스테이션 2에서 81/100점,[3] Xbox에서 82/100점을 받았다.[4]
랜디 존슨과 미겔 테하다가 이 게임의 표지 모델로 등장했다.
2003년 게임은 선수 연봉에 포인트 시스템을 사용한 마지막 버전이다. 2004년 게임부터는 실제 dollar|달러영어 금액이 연봉에 사용되었다. 또한, 2003년 게임에서는 프랜차이즈 모드에서 시즌 중에 선수를 방출해도 사용자에게 불이익이 없었지만, 2004년과 2005년 게임에서는 계약된 선수를 방출할 경우 연봉 페널티가 부과되었다.
2. 1. 2. MVP 베이스볼 2004
''MVP 2003''의 성공을 바탕으로 2004년 버전은 게임 조작 방식과 다이너스티 모드에서 큰 개선을 이루었다. 야구 게임 최초로 ''MVP 2004''는 MLB와 마이너 리그 베이스볼 라이선스를 받아, Class AA 및 AAA 레벨의 실제 마이너 리그 팀을 선보였다. 메타크리틱에서 PS2와 Xbox 버전 ''MVP 2004''는 90/100점을 받아[5], 경쟁작인 ''올스타 베이스볼 2005''[6] 및 ''ESPN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7]을 크게 앞섰다. 게임스팟은 ''MVP 베이스볼 2004''를 2004년 3월 최고의 플레이스테이션 2 게임으로 선정했고[8], 2004년 "최고의 전통 스포츠 게임" 상 후보에 올랐으나 ''ESPN NFL 2K5''에 밀려 준우승했다.[9]앨버트 푸홀스가 2004년 시리즈의 표지 선수였다.
2. 1. 3. MVP 베이스볼 2005
''MVP 베이스볼 2005''는 ''MVP 2004''에서 개선된 "타자의 눈" 시스템을 도입했다. 이 시스템은 타자가 투수의 손에서 나오는 공의 구종을 색상 코드로 식별하도록 돕는다. 오너 모드, 다이너스티 모드에 클래스 A 마이너 리그 팀과 스프링 트레이닝 미니 게임도 추가되었다. 메타크리틱에서 Xbox 버전은 86점, PS2 버전은 87점을 받아[10][11] 전작보다 약간 낮았지만, 2K 스포츠의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2K5''보다는 높은 평가를 받았다.[12]월드 시리즈 MVP 매니 라미레즈가 2005년 시리즈의 표지 모델로 선정되었다.
2005년, '''''MVP 베이스볼'''''이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로 출시되었다.
2. 2. MLB 라이선스 독점 계약과 그 영향
테이크 투 인터랙티브(Take-Two Interactive)는 2005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선수 협회(MLBPA), MLBAM과 2K 스포츠 시리즈로 MLB 게임을 제작하는 독점적인 제3자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22] 이 계약은 2006년 봄부터 2012년까지 진행되었으며, 테이크 투 인터랙티브와 비디오 게임 콘솔 제조사인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Sony), 마이크로소프트 게임 스튜디오(Microsoft), 닌텐도만이 각 플랫폼에 MLB 타이틀을 제작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이로 인해 EA 스포츠와 같은 다른 제3자 개발자는 자체 MLB 게임을 제작하거나 개발하는 것이 금지되었다.이는 EA 스포츠가 내셔널 풋볼 리그(National Football League) 및 ESPN과 독점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한 것에 대한 대응이었다. 결국, ''MVP 베이스볼 2005''는 EA 스포츠의 마지막 MLB 게임이 되었다. EA는 MVP 베이스볼 시리즈 대신 대학 야구 시리즈를 출시했는데, MVP 06: NCAA 베이스볼은 2006년 1월에, MVP 07: NCAA 베이스볼은 2007년 2월부터 판매되었으나, 2007년 이후 출시되지 않았다.
''MVP 베이스볼 2005''는 EA 스포츠의 마지막 공식 MLB 출시작이었으며, 게임에 대한 공식 지원도 종료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PC 버전에는 매우 활발한 모딩 커뮤니티가 존재하며, 지난 10년 동안 게임을 최신 상태로 유지해 왔다. 모더들은 로스터 업데이트, 유니폼, 선수, 경기장뿐만 아니라 해외 팀과 클래식 팀을 위한 토탈 컨버전 등 게임에 많은 것을 추가했다.
2. 3. MVP: NCAA 베이스볼 (2006-2007)
EA 스포츠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게임을 제작할 수 없게 되자, 2006년과 2007년에 대학 야구 게임을 제작했다. ''MVP: NCAA 베이스볼'' 두 시리즈는 전미 대학 체육 협회(NCAA)의 공식 라이선스를 받아 엑스박스와 플레이스테이션 2용으로 출시되었다. 이 게임들은 실제 NCAA 팀과 경기장을 구현했지만, 실제 선수들은 등장하지 않았다.[16]2006년에는 "로드 앤드 파이어(load and fire)" 타격 시스템이, 2007년에는 "록 앤드 파이어(rock and fire)" 투구 시스템이 새롭게 도입되었다. 이 두 기능은 이후 7세대 콘솔용 ''MLB 11: The Show''와 ''Major League Baseball 2K11''에서 모방되었다. 2007년 버전은 ESPN과의 온라인 통합을 특징으로 하며, 마이크 패트릭과 전 스탠퍼드 대학교 올 아메리카 출신 카일 피터슨이 해설을 맡았다. ''MVP 06''의 표지는 전 텍사스 대학교 스타 데이비드 마울이, ''MVP 07''의 표지는 전 롱 비치 주립 대학교 투수 제레드 위버가 장식했다.
2. 4. MVP 베이스볼 온라인 (2012-2014)
대한민국에서 EA는 ''MVP 베이스볼 온라인''이라는 온라인 게임을 출시했다.[17]2. 5. 시리즈 부활 가능성
2011년 3월, EA 스포츠는 팀 관리를 시뮬레이션하는 페이스북용 MLB 라이선스 게임인 '월드 시리즈 슈퍼스타'를 출시했다.[18] 이로 인해 2K 스포츠의 라이선스 계약이 2012년에 만료된 후 MVP 베이스볼이 콘솔로 돌아올 것이라는 추측이 나왔다.[19]2013년 6월, EA 스포츠의 수석 부사장 앤드류 윌슨은 비디오 게임 블로그 폴리곤과의 인터뷰에서 "EA 스포츠 내에는 야구에 대한 내재된 열정이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EA가 새로운 MLB 타이틀을 개발하는 데 세 가지 장벽이 있다고 언급했다. 그것은 새로운 게임을 구동할 현대적인 게임 엔진의 필요성, ''NBA 라이브''와 같은 다른 스포츠 타이틀에 대한 EA의 집중, 그리고 MLB와 2K 스포츠의 라이선스 계약 상태의 불확실성이었다.[20] 2015년 4월, EA 스포츠 대변인은 Grantland에 윌슨의 발언이 "회사에서 야구에 다시 복귀하는 입장을 가장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다: 나중은 몰라도, 지금은 아니다"라고 말했다.[21]
3. 게임 특징
''MVP 베이스볼'' 시리즈는 혁신적인 투구 미터와 존 기반 타격 시스템을 도입하여 야구 게임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2] 2003년 출시된 ''MVP 베이스볼 2003''은 전작인 ''트리플 플레이'' 시리즈와는 달리 그래픽뿐만 아니라 게임 시스템 면에서도 큰 변화를 이루어 비평가들로부터 호평을 받았다.[1][2]
투구 시스템은 이전의 야구 게임들이 단순히 버튼을 누르는 시간으로 투구의 세기를 조절했던 것과 달리, 먼저 구질을 선택하고 파워 게이지를 통해 세기를 조절하는 방식을 채택했다.[1] 이는 골프 게임에서 차용한 방식으로, 파워 게이지가 차오르는 동안 원하는 세기에 맞춰 버튼을 떼고, 이후 게이지의 초록색 부분에서 원하는 구질 버튼을 눌러 정확도를 높이는 방식이다.[1]
타격 시스템은 스트라이크 존을 9개의 직사각형으로 나누고, 각 부분을 빨강(핫 존), 하양(노말 존), 파랑(쿨 존)으로 구분하여 타자의 강점과 약점을 시각적으로 보여준다.[2]
2004년에는 MLB와 마이너 리그 베이스볼의 라이선스를 획득하여 Class AA & AAA 레벨의 실제 마이너 리그 팀을 게임에 구현하는 혁신을 이루었다.[5] 이는 PS2와 Xbox 버전의 ''MVP 베이스볼 2004''가 메타크리틱에서 90/100점을 받는 데 크게 기여했다.[5]
''MVP 베이스볼 2005''에서는 "타자의 눈" 시스템을 도입하여 투수의 손에서 나오는 공의 종류를 색깔로 구분하여 플레이어가 더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오너 모드와 다이너스티 모드에 Class A 마이너 리그 팀을 추가하고, 스프링 트레이닝 미니 게임을 추가하는 등 지속적인 발전을 이루었다.[10][11]
각 팀의 능력치는 공(투수력), 배트(타격력), 장갑(수비력), 신발(주루력) 아이콘으로 표시되며, 시즌 진행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2005년 아메리칸 리그 서부 지구의 팀별 능력치는 다음과 같다.
팀 | 총합 | 투수력 | 타격력 | 수비력 | 주루력 | 주요 선수 |
---|---|---|---|---|---|---|
애너하임 에인절스 | 3위 | 8위 | 9위 | 2위 | 3위 | 데이비드 엑스타인, 트로이 퍼시벌 |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 9위 | 4위 | 13위 | 14위 | 26위 | 미겔 테하다, 배리 지토 |
시애틀 매리너스 | 5위 | 12위 | 11위 | 1위 | 2위 | 제이미 모이어, 이치로 |
텍사스 레인저스 | 18위 | 26위 | 6위 | 4위 | 27위 | 박찬호, A-로드(알렉스 로드리게스) |
EA Trax영어라는 이름으로 제공된 사운드트랙은 얼터너티브 록을 중심으로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포함했다.[1] The All-American Rejects의 "Swing, Swing", The Von Bondies의 "C'mon C'mon" 등 다양한 곡들이 게임의 재미를 더했다.[1]
3. 1. 선수
2005년까지 MVP 시리즈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선수 협회(MLBPA)에 가입한 모든 선수를 게임 상에 출현시켰다. 그러나 배리 본즈와 같이 협회에 가입하지 않은 선수들은 '존 도우드'와 같은 가상의 선수로 대체되거나, 케빈 밀러처럼 생략되기도 하였다. MVP 2005에서는 케빈 밀러를 대신하여 '앤서니 프리즈'라는 가상 선수가 등장했다.[22]MVP 베이스볼 2004에서는 마이너 리그 팀을 플레이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었고, 이는 다음 해에 더욱 확장되었다. 게임 표지 모델로는 랜디 존슨, 미겔 테하다, 앨버트 푸홀스, 매니 라미레즈가 등장했다. 미겔 테하다와 앨버트 푸홀스는 시즌 MVP를, 랜디 존슨과 매니 라미레즈는 월드 시리즈 MVP를 수상했으며, 랜디 존슨은 사이 영 상을 5번 수상한 경력이 있다.
3. 2. 투구 시스템
2003년 게임이 출시되었을 때, 가장 독창적인 부분 중 하나는 투구 시스템이었다. 그 전까지 대부분의 야구 게임은 투구의 세기를 결정하기 위해 버튼을 잠시 동안 누르는 방식을 사용했다. 하지만 MVP 베이스볼 시리즈에서는 먼저 구질을 고른 뒤 투구의 세기를 정하는 방식을 사용한다.[1]투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투구 버튼을 누르고 있으면 파워 게이지가 차오른다. 원하는 세기에 도달하면 버튼에서 손을 뗀다. 그 후, 게이지의 초록색 부분에서 원하는 구질의 버튼을 누른다. 초록색 부분에 정확히 누를수록 정확한 투구를 할 수 있다.[1]
이러한 투구/송구 미터 방식은 야구 게임 분야에서 혁신적인 기술이었지만, EA는 골프 게임에서 이 기능을 차용했다. 골프 게임에서는 샷의 파워와 정확도를 결정하기 위해 움직이는 미터를 사용한다.[1]
3. 3. 타격 시스템
스트라이크 존은 9개의 직사각형으로 나뉘며, 각 직사각형은 빨강, 하양, 파랑의 색깔을 가진다. 빨강은 핫 존으로 타자가 잘 치는 부분이고, 하양은 노말 존으로 타자가 칠 경우 보통의 결과가 나오는 부분이며, 파랑은 쿨 존으로 타자가 못 치는 부분이다.[2]3. 4. 각 팀의 능력치 (2005년 기준)
각 팀의 능력치는 공, 배트, 장갑, 신발로 표시되는데, 배트는 타격력, 공은 투수력, 장갑은 수비력, 신발은 주루력을 나타낸다. 시즌 진행 도중에 능력치가 바뀔 수 있다.팀 | 총합 | 투수력 | 타격력 | 수비력 | 주루력 | 주요 선수 |
---|---|---|---|---|---|---|
애너하임 에인절스 | 3위 | 8위 | 9위 | 2위 | 3위 | 데이비드 엑스타인, 트로이 퍼시벌 |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 9위 | 4위 | 13위 | 14위 | 26위 | 미겔 테하다, 배리 지토 |
시애틀 매리너스 | 5위 | 12위 | 11위 | 1위 | 2위 | 제이미 모이어, 이치로 |
텍사스 레인저스 | 18위 | 26위 | 6위 | 4위 | 27위 | 박찬호, A-로드(알렉스 로드리게스) |
3. 5. 사운드트랙
EA Trax영어라는 라이선스 곡들이 ''MVP 베이스볼'' 시리즈의 사운드트랙으로 사용되었다.[1] 이 곡들은 얼터너티브 록을 중심으로, Sum 41과 같은 주류 아티스트부터 stellastarr*와 같은 인디 록 밴드까지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포함했다.[1] 특히 The Von Bondies의 "C'mon C'mon"은 TV 프로그램 ''Rescue Me''의 테마곡으로 사용되면서 게임과 함께 인기를 얻었다.[1]'''2003년 사운드트랙:'''[1]
곡명 | 아티스트 |
---|---|
"Swing, Swing" | The All-American Rejects |
"Handful of Redemption" | Boy Sets Fire |
"Who Invited You" | The Donnas |
"Without" | The Exies |
"Blackout" | Hed PE |
"Caught in the Rain" | Revis |
"Arctic Snow" | Burning Brides |
"Dont Ask Me" | OK Go |
"Bulletproof" | Pacifier |
"Fly From the Inside" | Shinedown |
"Everyone" | Socialburn |
"Sister Surround" | Soundtrack of Our Lives |
"All Messed Up" | Sum 41 |
"Poem" | Taproot |
곡명 | 아티스트 |
---|---|
"Time and Time Again" | Chronic Future |
"Bittersweet" | Hoodoo Gurus |
"Hey Driver" | Lucky Boys Confusion |
"Please" | Maxeen |
"Take Me As I Am" | Seven Wiser |
"Spitting Games" | Snow Patrol |
"My Coco" | Stellastarr |
"Walkie Talkie Man" | Steriogram |
"Get It to Go" | To My Surprise |
"Surfacing" | Trust Company |
"Cmon Cmon" | The Von Bondies |
"Get Steady" | Jonny Lives! |
"Robbers" | Home Town Hero |
곡명 | 아티스트 |
---|---|
"Let It Dive" | ...And You Will Know Us by the Trail of Dead (게임에서는 "...Trail of Dead"로 표기) |
"An Honest Mistake" | The Bravery |
"We Got the Noise" | Donots |
"Tessie" | Dropkick Murphys |
"The IROC-Z Song" | The High Speed Scene |
"You Owe Me an IOU" | Hot Hot Heat |
"Finding Out True Love Is Blind" | Louis XIV |
"Funny Little Feeling" | Rock n Roll Soldiers |
"Pressure Point" | The Zutons |
곡명 | 아티스트 |
---|---|
"Paper Cliche" | Action Action |
"Die Romantic" | Aiden |
"Devotion And Desire" | Bayside |
"This Is Who We Are" | Hawthorne Heights |
"Smile In Your Sleep" | Silverstein |
"These Lights" | The Forecast |
"Approach The Bench" | The Audition |
"Organs" | The Black Maria |
"Get Comfortable" | The Junior Varsity |
"Repeater" | Waterdown |
참조
[1]
웹사이트
Triple Play 2002 (PlayStation 2)
http://ps2.ign.com/o[...]
[2]
웹사이트
MVP Baseball 2003
http://www.ign.com/a[...]
2003-03-11
[3]
웹사이트
MVP Baseball 2003
https://www.metacrit[...]
[4]
웹사이트
MVP Baseball 2003
https://www.metacrit[...]
[5]
웹사이트
MVP Baseball 2004
https://www.metacrit[...]
[6]
웹사이트
All-Star Baseball 2005
https://www.metacrit[...]
[7]
웹사이트
ESPN Major League Baseball
https://www.metacrit[...]
[8]
웹사이트
"''GameSpot''#REDIRECT \n\n{{Redirect category shell|\n{{R from move}}\n}}s Month in Review for March 2004"
http://www.gamespot.[...]
2004-04-02
[9]
웹사이트
Best and Worst of 2004
http://www.gamespot.[...]
2005-01-05
[10]
웹사이트
MVP Baseball 2005
https://www.metacrit[...]
[11]
웹사이트
MVP Baseball 2005
https://www.metacrit[...]
[12]
웹사이트
Major League Baseball 2K5
https://www.metacrit[...]
[13]
Kotaku
Nine Years Later, Latin America's Leagues Keep MVP Baseball Alive
http://kotaku.com/ni[...]
[14]
웹사이트
'MVP Baseball … 2015'? How the Best Baseball Video Game Ever Has Refused to Retire for 10 Years
http://grantland.com[...]
Grantland.com
2015-04-14
[15]
protecode
Open-Source-Breathes-New-Life-Into-MVP-Baseball-2005-Video-Game
http://info.protecod[...]
[16]
웹사이트
NBA 2K11 and The 50 Greatest Sports Games Ever Made
http://bleacherrepor[...]
[17]
웹사이트
MVP 베이스볼™ 온라인
http://mvpbo.gametre[...]
2013-07-13
[18]
웹사이트
Now at the Facebook plate: EA Sports' 'World Series Superstars' video game
http://content.usato[...]
[19]
웹사이트
Video Games – EA Sports jumping back into baseball? – ESPN
https://www.espn.com[...]
[20]
웹사이트
EA faces barriers to entry for a baseball franchise, says EA Sports chief Andrew Wilson
https://www.polygon.[...]
2013-06-21
[21]
웹사이트
'MVP Baseball … 2015'? How the Best Baseball Video Game Ever Has Refused to Retire for 10 Years
http://grantland.com[...]
2015-04-14
[22]
뉴스
한·미·일 열광시킨 최고의 야구게임
http://www.ebuzz.co.[...]
버즈
2009-05-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