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Osu!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osu!는 곡의 리듬에 맞춰 원형 노트를 클릭하거나, 슬라이더를 따라 움직이거나, 스피너를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리듬 게임이다. osu!는 osu!standard, osu!mania, osu!taiko, osu!catch의 4가지 게임 모드를 제공하며, 각 모드는 고유한 게임 플레이 방식을 가지고 있다. 플레이어는 비트맵을 제작하고 공유할 수 있으며, 온라인 랭킹 시스템을 통해 다른 플레이어와 경쟁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모드와 스킨을 통해 게임을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으며, 유료 지원 서비스인 osu! supporter를 통해 게임을 후원할 수 있다. osu!lazer는 기존 osu!의 차기 업데이트 버전으로, UI 변경, 성능 개선, 새로운 기능 추가 등을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듬 게임 - 하이파이 러시
    하이파이 러시는 탱고 게임웍스가 개발하고 베데스다 소프트웍스가 배급한 2023년 리듬 액션 게임으로, 음악 비트에 맞춰 움직이는 독특한 게임플레이와 스타일리시한 연출, 그리고 악당 기업에 맞서는 주인공 차이의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상업적, 비평적으로 성공했으나 개발사는 폐쇄 후 크래프톤에 인수되었다.
  • 리듬 게임 - 프라이데이 나이트 펑킨
    프라이데이 나이트 펑킨은 키보드 입력을 통해 리듬에 맞춰 플레이하는 DDR 스타일의 게임으로, 주인공 보이프렌드를 포함한 다양한 캐릭터들과 랩 배틀을 벌이는 스토리 모드와 프리플레이 모드를 제공하며, 중독성 있는 음악과 독특한 아트 스타일로 인기를 얻었다.
  • 음악 게임 - Tokyo 7th 시스터즈
    Tokyo 7th 시스터즈는 2034년을 배경으로 아이돌 유닛을 육성하여 새로운 아이돌 시대를 개척하는 여정을 그리는, 모기 신타로 기획 및 Donuts 개발의 리듬 게임 및 아이돌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이다.
  • 음악 게임 - CHUNITHM
    CHUNITHM은 세가가 제작한 아케이드 리듬 게임으로, 화면 상단에서 내려오는 노트를 터치, 슬라이드, 공간 센서를 이용하여 플레이하며, 다양한 노트와 6단계 난이도, 랭크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미디어 믹스 프로젝트와 콜라보레이션도 진행한다.
  • 온라인 게임 - 넷마블
    넷마블은 2000년 방준혁 의장이 설립하여 게임 서비스 사업으로 성장, CJ그룹 편입 및 유가증권시장 상장을 거쳐 '리니지2 레볼루션' 성공과 해외 시장 진출 확대를 이루었으나, 최근 메타버스 사업 실패 및 구조조정 등의 어려움 속에서 사업 다각화를 시도하며 향후 행보가 주목되는 대한민국의 게임 기업이다.
  • 온라인 게임 - 리프트 온라인
    리프트 온라인은 텔라라라는 판타지 세계에서 멸망의 용에 맞서 싸우는 승천자가 되어, 두 진영 중 하나를 선택하고, 균열 봉인, 던전 공략, 직업 및 영혼 조합을 통한 캐릭터 커스터마이징을 특징으로 하는 MMORPG이다.
Osu!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게임 정보
제목osu!
장르리듬 게임
개발자Dean "peppy" Herbert
배급사ppy pty Ltd.
프로그래머peppy (Dean Herbert)
출시일2007년 9월 16일
엔진OpenGL
프로그래밍 언어C#
라이선스프리웨어 (stable 빌드)
플랫폼Windows
macOS (베타)
Linux (베타)
Android (베타)
iOS (베타)
Windows Phone
최신 버전20220101.1 (2022년 1월 1일)
다운로드 콘텐츠있음 (무료)
플레이 인원1인 (온라인 대전 2-16인)
시스템 요구 사항
CPU1 GHz
RAM512 MB
.NET Framework3.5 이상
기타
github 저장소osu! github 저장소
홈페이지osu! 공식 홈페이지

2. 게임 모드 & 방법

''Osu!''는 곡이 진행되는 동안 노트로 표시되는 ''히트 서클''이 나타나는 리듬 게임이며, 목표는 타이밍에 맞춰 올바른 순서대로 서클을 클릭하는 것이다.[4][5][6] 이때 타이밍을 시각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히트 서클을 향해 좁혀지는 ''어프로치 서클''이 사용된다.[5] 클릭 외에도 커서를 움직이며 클릭하고 유지해야 하는 '슬라이더'와 빠르게 돌려야 하는 '스피너' 노트가 있다.[6][7] 너무 많은 서클을 놓치면 곡을 실패하고 다시 시도해야 한다.[5][6] 게임 내 설정인 ''모드(MOD)''를 조합하여 난이도를 조절하거나 다양한 방식으로 게임 플레이를 변경할 수 있다.[8][9][27]

''Osu!''에는 크게 4가지의 게임 모드가 있으며, 각각 독특한 플레이 방식을 제공한다.[7][10][27]


  • '''osu!standard''': 가장 인기 있는 오리지널 모드로, 닌텐도 DS 게임 『응원단』 시리즈와 『엘리트 비트 에이전트』에서 영감을 받았다.[4][28] 화면에 나타나는 노트를 커서로 따라가며 타이밍에 맞춰 처리하는 방식이다.
  • '''osu!taiko''': 반다이 남코의 리듬 게임 『태고의 달인』을 기반으로 한 모드이다.[4][28]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하는 노트를 판정선에 맞춰 해당하는 키를 입력한다.[4]
  • '''osu!catch''': 『EZ2DJ』의 'Ez2Catch' 모드를 기반으로 만들어졌다.[12][28] 화면 위에서 떨어지는 과일을 캐릭터를 조종하여 받아내는 방식이다.[7][13]
  • '''osu!mania''': 『비트매니아[4], 『기타 히어로[7], 『O2Jam』 등 여러 건반형 리듬 게임과 유사한 모드이다.[28] 위에서 아래로 떨어지는 노트를 판정선에 맞춰 키보드의 키를 누른다.[7]


이 게임 모드들은 각각 다른 유명 리듬 게임에서 영감을 받아 만들어졌으며, 플레이어는 자신의 취향에 맞는 모드를 선택하여 즐길 수 있다. 각 모드에 대한 자세한 플레이 방법은 해당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1. osu! Standard

''osu!standard''에서 플레이되는 비트맵의 스크린샷


osu!의 오리지널 게임 모드이자 가장 대표적인 모드로, 게임 이름과 동일하여 보통 '''osu!standard'''(약칭 osu!std)라고 불린다.[28] 이 모드는 이니스가 개발한 닌텐도 DS용 게임 소프트웨어인 『응원단』 시리즈와 그 후속작 『엘리트 비트 에이전트』에서 영감을 받아 개발되었다.[4][27]

게임 플레이는 화면에 나타나는 원 모양의 노트인 '''히트 서클'''(Hit Circle), '''슬라이더'''(Slider), '''스피너'''(Spinner)를 음악의 리듬에 맞춰 처리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4][5][6] 노트가 나타나면 그 주위에 점차 작아지는 '''어프로치 서클'''(Approach Circle)이 나타나는데, 이 어프로치 서클이 노트의 흰색 테두리와 정확히 겹쳐지는 타이밍에 맞춰 커서를 노트 위에 올리고 마우스 클릭이나 키보드 버튼 누르기 등으로 노트를 처리해야 한다.[5]

노트는 크게 세 가지 종류로 나뉜다.

  • '''히트 서클''': 가장 기본적인 노트로, 타이밍에 맞춰 한 번 클릭하면 된다.
  • '''슬라이더''': 두 개의 히트 서클이 직선 또는 곡선으로 연결된 노트이다. 시작 지점의 서클을 타이밍에 맞춰 누른 후, 마우스 버튼이나 키를 누른 상태로 커서를 따라 움직이는 공(슬라이더 볼)을 따라 선 끝까지 이동시켜야 한다.[6][7] 끝 지점 서클 안에 꺾인 화살표가 있으면, 공이 다시 시작 지점으로 돌아오므로 커서도 따라 움직여야 한다. 슬라이더 자체의 시작 타이밍은 판정에 영향을 주지 않지만, 슬라이더 중간의 작은 점(슬라이더 틱)이나 방향 전환 지점(리버스 애로우)을 놓치면 콤보가 끊긴다. 슬라이더 틱 하나당 10점, 리버스 애로우 하나당 30점이 부여된다.
  • '''스피너''': 화면 전체를 덮는 큰 원형 노트이다. 마우스나 키보드 버튼을 누른 상태로 커서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빠르게 회전시켜야 한다. 스피너 양옆의 게이지(스피너 미터)를 제한 시간 안에 가득 채우면 높은 점수를 얻고, 가득 채운 후에도 계속 회전시키면 추가 보너스 점수를 얻을 수 있다.[30]


노트를 처리하는 타이밍의 정확도에 따라 300, 100, 50, Miss의 네 가지 판정으로 나뉜다. Miss 판정을 받지 않고 연속으로 노트를 성공적으로 처리하면 '''콤보'''가 쌓이며, 콤보가 높을수록 노트 하나당 얻는 점수가 증가하여 고득점을 얻는 데 유리하다.

게임 화면 상단에는 '''라이프 게이지'''가 표시된다. 이 게이지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며, 특히 Miss 판정을 받으면 크게 줄어든다. 반대로 노트를 성공적으로 처리하거나 스피너를 돌리면 라이프 게이지가 회복된다. 라이프 게이지가 완전히 소진되면 곡을 실패(Fail)하게 되어 게임 오버가 된다.[5][6] 激(Geki)이나 喝(Katsu) 판정(주로 슬라이더 끝이나 스피너 완료 시)을 얻으면 점수는 300점과 동일하지만 라이프 게이지가 조금 더 많이 회복된다.

플레이어는 자신의 선호에 따라 다양한 입력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커서 이동에는 마우스, 펜 태블릿, 트랙볼 등을 사용하고, 노트 처리(클릭)에는 마우스 버튼, 키보드, 터치 패널 등을 조합하여 사용한다.

2. 2. osu! Taiko

osu! Taiko는 Osu!의 게임 모드 중 하나로, 일본 반다이 남코의 리듬 게임인 태고의 달인을 기반으로 한다.[7][10][4] 화면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하는 노트를 타이밍에 맞춰 왼쪽의 판정선에서 북을 치듯이 키를 입력하여 점수를 얻는 방식이다.[4]

기본적으로 4개의 키를 사용하며, 이는 북의 중앙(기본 키: X, C)과 테두리(기본 키: Z, V)를 각각 두 부분으로 나눈 것이다. 이러한 키 배치는 양 끝이 심벌즈, 중심이 드럼인 실제 드럼 세트와 유사하다. 키보드뿐만 아니라 태고의 달인 전용 컨트롤러인 타타콘이나 Wii 리모컨을 사용하여 플레이할 수도 있다.
게임 방법 및 노트 종류가로로 흐르는 노트를 리듬에 맞춰 판정선에서 정확히 입력하는 것이 기본 방식이다. 노트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일반 노트: 게임의 가장 기본적인 노트이다.
  • 빨간색 노트 (동): 북 중앙에 해당하는 키(기본 X 또는 C) 중 하나를 누른다.
  • 파란색 노트 (카츠): 북 테두리에 해당하는 키(기본 Z 또는 V) 중 하나를 누른다.
  • 큰 노트: 일반 노트보다 크기가 크며, 해당하는 색의 키 2개를 동시에 눌러야 높은 점수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큰 빨간색 노트는 X와 C를 동시에 눌러야 한다.
  • 뎅뎅 노트: 노란색의 소고 모양 노트이다. 노트 중앙에 표시된 타수가 0이 될 때까지 북 중앙(동)과 테두리(카츠) 키를 번갈아 가며 빠르게 입력해야 한다. 완벽하게 처리하면 큰 노트를 정확히 처리했을 때와 동일한 점수를 얻는다.
  • 연타 노트: 길쭉한 노란색 막대 모양의 노트이다. 노트 내부에 표시된 흰색 점(타이밍 마커)에 맞춰 4개의 키 중 아무것이나 반복해서 누르면 된다. 작은 크기와 큰 크기가 있으며, 한 번 칠 때마다 작은 크기는 300점, 큰 크기는 720점을 얻는다.

판정 및 클리어 조건노트 입력 타이밍에 따라 판정이 결정된다.

  • 良 (Great): 300점. 가장 좋은 판정이다. (osu! Standard의 300점 해당)
  • 可 (Good): 100점. 약간 어긋난 판정이다. (osu! Standard의 100점 해당)
  • 不可 (Miss): 0점. 노트 처리 실패 또는 타이밍이 크게 어긋난 경우이다. (osu! Standard의 Miss 해당)


화면 왼쪽 상단에는 노르마 게이지(체력 게이지)가 표시된다. 노트를 성공적으로 처리하면 게이지가 증가하고, Miss를 내면 감소한다. 곡이 끝났을 때 이 게이지가 절반 이상 채워져 있어야 클리어(성공)로 인정된다. 만약 게이지가 최소 조건에 미치지 못하면 실패(Fail) 처리된다.[30]

2. 3. osu! Catch The Beat (CTB)

`osu!`의 게임 모드 중 하나인 '''osu!CatchTheBeat'''(약칭 '''CTB''')는 화면 위에서 아래로 떨어지는 과일 형태의 노트를 화면 하단의 캐릭터(캐처)가 들고 있는 접시로 받아내는 방식이다. 과일을 성공적으로 받으면 히트(Hit), 놓치면 미스(Miss) 판정을 받는다. 캐릭터는 키보드의 방향키로 좌우로 움직일 수 있으며, `Shift` 키를 누른 채 방향키를 누르거나 마우스 클릭과 함께 방향키를 누르면 더 빠르게 움직일 수 있다(대쉬). 대쉬 시 캐릭터에는 붉은색 플래시가 켜진다. 과일을 놓치면 왼쪽 상단의 HP 게이지가 줄어들며, 게이지가 모두 소진되면 게임은 실패(Fail)로 끝난다.

노트는 크게 세 종류로 나뉜다.

  • 큰 과일: 일반적인 노트에 해당한다.
  • 슬라이더: 작은 과일들과 씨앗들로 이루어진 선 형태로 나타난다. 작은 과일은 콤보와 정확도에 영향을 주지만, 씨앗은 정확도에만 영향을 준다.
  • 스피너: 화면 위에서 떨어지는 바나나를 최대한 많이 받는 방식으로 진행된다.[30] 스피너는 콤보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스피너의 바나나 낙하 패턴은 겉보기에는 무작위 같지만, 실제로는 각 마다 정해진 패턴을 따른다. 이 패턴의 생성 방식에 대해서는 다양한 추측(고정 패턴 vs 일부 고정 + 랜덤)이 있으나, `osu!` 측의 공식적인 설명은 없다. 이 때문에 자주 등장하는 패턴을 외워서 플레이하는 사용자도 많다.


또한 하이퍼 대쉬라는 특수 기능이 있다. 이는 과일 사이의 간격이 너무 멀어 일반적인 대쉬로는 받을 수 없을 때, 특정 과일(붉은색 테두리 표시)을 받으면 캐처가 순간적으로 가속하여 다음 과일을 받을 수 있도록 돕는 기능이다.[31]

이 모드는 EZ2DJ 시리즈의 EZ2CATCH 모드를 기반으로 만들어졌으며[12][7][13], 이로 인해 표절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osu!`에는 이 모드 외에도 `osu!standard`, `osu!taiko`, `osu!mania` 등의 다른 게임 모드가 있다.[7][10][4][28]

2. 4. osu!mania

osu!의 스페셜 게임 모드 중 하나로, 일반적인 건반형 리듬 게임과 같이 위에서 아래로 떨어지는 노트를 판정선에 맞춰 해당하는 키를 눌러 처리하는 방식이다.[7][10] 이 모드는 비트매니아[4], 기타 히어로[7], 코나미의 pop'n music, MOMO의 O2Jam, DJMax 등 여러 건반형 리듬 게임과 유사하다. 중국의 osu! 플레이어인 [https://osu.ppy.sh/users/1105845 woc2006]이 개발하여 2012년 10월에 공개되었다.

사용하는 키의 수는 비트맵에 따라 다르며 고정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난이도 이름 앞에 '[4K]', '[7K]'와 같이 키의 개수를 표시하는 경우가 많다. 노트나 슬라이더 노트를 화면 하단의 판정선에 맞춰 키를 누르거나 누른 상태를 유지하여 처리한다.

판정은 정확도 순서대로 무지개색 300, 노란색 300, 200, 100, 50, 그리고 Miss(실패)가 있다. 모든 노트에서 300 이상의 판정을 받으면 정확도 100%가 되며, 200 이하의 판정이 나올 경우 그만큼 정확도가 감소한다. 모든 노트를 무지개색 300 판정으로 처리하면 osu!mania의 최대 점수인 1,000,000점을 얻을 수 있고, 이보다 높은 점수는 불가능하다.

노트가 내려오는 속도는 게임 플레이 중 F3(빠르게) 또는 F4(느리게) 키를 눌러 조절할 수 있다. 곡 선택 화면에서는 Ctrl 키와 + 또는 - 키를 함께 눌러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osu!에는 osu!mania 외에도 오리지널 모드인 osu!standard (''응원단'' 기반)[28], 반다이 남코의 태고의 달인을 기반으로 한 osu!taiko[4], EZ2DJ의 Ez2Catch 모드를 기반으로 한 osu!catch[12] 모드가 있다.[7][10][13]

3. 모드

''osu!''에는 게임 플레이 방식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모드(Mod)가 존재한다.[8][9] 어떤 모드는 게임의 난이도를 낮춰주기도 하고, 반대로 급격하게 높이기도 한다. 난이도를 높이는 모드를 사용하면 점수에 가산점이 부여된다.

모드는 크게 비트맵 자체에 영향을 주어 난이도를 변경하는 모드(예: HardRock, DoubleTime)와, 비트맵 자체는 변경하지 않지만 시각적인 효과를 통해 체감 난이도를 높이는 모드(예: Hidden, Flashlight)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여러 모드를 동시에 적용하여 플레이할 수도 있지만, 일부 모드 조합은 서로 효과가 충돌하여 함께 사용할 수 없다. 모드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플레이는 'NoMod'라고 부른다.

3. 1. 난이도 하향 모드

Mod를 사용하면 난이도를 올리거나 내릴 수 있으며, 점수에도 영향을 미친다. 난이도를 낮추는 Mod는 다음과 같다.

  • '''Easy (EZ)''': 전반적인 난이도를 낮춘다. 비트맵의 서클 크기, 어프로치 레이트, 판정 폭을 넓힌다. 점수는 사용하지 않았을 때의 절반(0.5배)만 인정된다. 단축키: Q
  • * 서클 크기 증가: Standard 및 Catch the Beat(CTB) 모드에서는 서클(과일)의 크기가 커진다. Taiko와 Mania 모드는 해당 사항이 없다.
  • * 게이지 증감 속도 변화: 모든 모드에서 게이지가 더 빨리 오르며, Standard와 CTB 모드에서는 천천히 감소한다.
  • * 노트 노출 시간 변화: Standard 모드에서는 어프로치 서클이 천천히 작아지며, 나머지 모드에서는 노트가 천천히 다가온다.
  • * 스핀 난이도 변화: Standard 모드에서는 더 적은 스핀으로 미터를 채울 수 있으며, Taiko 모드에서는 뎅뎅노트의 필요 타수가 줄어든다.
  • * 추가 기회: Taiko 모드를 제외하고, 게이지가 바닥날 경우 2번까지 추가 기회를 준다.

  • '''No-Fail (NF)''': 게임 오버(페일)가 절대로 발생하지 않는다. 점수는 절반(0.5배)만 인정된다. 단축키: W
  • * Standard, CTB, Mania 모드: 게이지가 바닥나도 페일 처리되지 않는다.
  • * Taiko 모드: 노르마를 절반 이상 채우지 못한 채로 곡이 끝나도 클리어 처리된다.

  • '''HalfTime (HT)''': 음악의 속도가 0.75배로 느려진다. 점수는 30%(0.3배)만 인정된다. 단축키: E

3. 2. 난이도 상향 모드


  • '''HardRock (HR)''': 전반적인 난이도를 높이는 모드이다. (단축키: A)
  • 가산점: Standard와 Taiko에서는 6%, CTB에서는 12%의 가산점을 부여한다.
  • 세부 효과:
  • 서클 크기 감소: Standard와 CTB에서는 서클(또는 과일)의 크기가 작아진다. Taiko와 Mania는 해당되지 않는다.
  • 게이지 증감 속도 변화: 모든 모드에서 HP 게이지가 적게 오르며, Standard와 CTB에서는 더 빠르게 감소한다.
  • 노트 노출 시간 변화: Standard에서는 어프로치 서클이 더 빠르게 작아지고, 나머지 모드에서는 노트가 더 빠르게 다가온다.
  • 스핀/뎅뎅 난이도 변화: Standard에서는 스핀을 더 많이 돌려야 미터를 채울 수 있으며, Taiko에서는 뎅뎅노트(큰 노트)를 클리어하기 위한 필요 타수가 늘어난다.
  • 노트 위치 변화: Standard에서는 노트의 위치가 상하 대칭으로 바뀌며, CTB에서는 노트의 위치가 랜덤하게 조금씩 변한다.
  • '''SuddenDeath (SD)''': 특정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면 즉시 게임 오버되는 모드이다. (단축키: S)
  • 실패 조건:
  • Standard: 서클 Miss, 슬라이더 시작 Miss, 슬라이더 중간 포인트 Miss, 스피너 미터 부족 시 실패한다. 단, 슬라이더의 끝점만 놓치는 것은 실패로 처리되지 않는다.
  • Taiko: 히트(노트) Miss 시 실패한다. 연타나 뎅뎅노트 Miss는 실패로 처리되지 않는다.
  • CTB: 과일이나 큰 씨앗을 하나라도 놓치면 실패한다. 스핀 Miss는 실패로 처리되지 않는다.
  • Mania: 노트 Miss 시 실패한다. 롱노트가 중간에 끊겨도 Miss로 처리되어 실패한다.
  • '''Perfect (PF)''': SuddenDeath보다 더 엄격한 조건으로, 완벽한 플레이를 요구하는 모드이다. (단축키: S 2번)
  • 실패 조건:
  • Standard: 서클 판정이 100점, 50점, Miss일 경우, 슬라이더 시작 Miss, 슬라이더 포인트 Miss, 스피너 미터 부족 시 실패한다. SuddenDeath와 달리 슬라이더의 끝점을 놓쳐도 실패 처리된다.
  • Taiko: 히트 판정이 100점 또는 Miss일 경우 실패한다. 연타나 뎅뎅노트 Miss는 실패로 처리되지 않는다.
  • CTB: 과일이든 씨앗이든 하나라도 놓치면 실패한다. 스핀 Miss는 실패로 처리되지 않는다.
  • Mania: 노트 판정이 무지개 300점(MAX)이나 노랑 300점(300)이 아닌 점수를 얻으면 즉시 실패한다.
  • '''DoubleTime (DT)''': 음악의 속도를 1.5배(50%) 빠르게 재생하는 모드이다. (단축키: D)
  • 가산점: Standard와 Taiko에서는 12%, CTB에서는 6%의 가산점을 부여한다.
  • '''Nightcore (NC)''': DoubleTime과 같이 음악 속도를 1.5배 빠르게 하지만, 추가로 음악의 키(음정)도 높이는 모드이다. (단축키: D 2번)
  • 가산점: DoubleTime과 동일하다.
  • '''Hidden (HD)''': 노트가 나타난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화면에서 사라져 보이지 않게 되는 모드이다. (단축키: F)
  • 가산점: Standard, Taiko, CTB에서 6%의 가산점을 부여한다.
  • 세부 효과:
  • Standard: 어프로치 서클이 나타나지 않아 타이밍을 외우거나 예측해야 한다. 히트 서클 자체도 타이밍에 맞춰 클릭하기 전에 사라지지만, 원래 서클이 있던 자리를 정확히 눌러야 한다. 슬라이더의 경우, 경로를 파악할 수 있도록 시작점의 숫자와 어프로치 서클만 사라진다.[32]
  • Taiko: 노트가 판정선에 도달하기 전에 중간 지점에서 사라진다. 타이밍에 맞춰 노트가 판정선에 올 때 정확히 쳐야 한다.
  • CTB/Mania: 과일(또는 노트)이 떨어지는 도중 중간 지점에서 사라진다. 하지만 실제로는 계속 같은 라인으로 떨어지고 있다.
  • '''Flashlight (FL)''': 플레이어 주변의 좁은 영역만 밝게 보이고 나머지는 어둡게 처리되는 모드이다. 마치 손전등을 비추는 것과 같아 이런 이름이 붙었다. (단축키: G)
  • 가산점: Standard에서 12%의 가산점을 부여한다.
  • 세부 효과: 콤보가 100씩 쌓일 때마다 보이는 영역이 점점 좁아진다.
  • Standard: 마우스 커서 주변 반경만 보인다.
  • Taiko: 노트 판정선 주변 반경만 보인다.
  • CTB: 플레이어가 조종하는 캐쳐(캐릭터) 주변 반경만 보인다.
  • Mania: 노트 판정선 약간 위쪽 영역만 보인다.
  • '''Fade-in (FI)''': Mania 모드 전용이다. Hidden 모드와는 반대로, 노트가 처음에는 보이지 않다가 판정선에 가까워지면서 중간 지점부터 나타나는 모드이다.

3. 3. 특수 모드


  • '''Relax''': 좀 더 여유롭게 플레이할 수 있는 모드이다. 점수는 기록되지 않는다. (단축키: Z)
  • * Standard: 클릭 없이 마우스 이동만으로 플레이한다.
  • * Taiko: 동(Don)과 캇(Katsu)의 구분이 없어진다. 연타 노트는 포인트를 무시해도 되며, 뎅뎅 노트(스피너) 역시 키 순서에 상관없이 연타하면 된다.
  • * CTB: 캐쳐(캐릭터)를 마우스 이동으로 조종한다.
  • * Mania: 이 모드를 지원하지 않는다.
  • '''AutoPilot''': Standard 전용 모드이다. 마우스 이동 없이 클릭만으로 플레이한다. 점수는 기록되지 않는다. (단축키: X)
  • '''Spun-Out''': Standard 전용 모드이다. 스피너를 직접 돌리지 않아도 자동으로 돌아간다. 점수는 90%만 인정된다 (0.9배). (단축키: C)
  • '''Auto''': 컴퓨터가 자동으로 플레이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단축키: V 또는 Ctrl+A)
  • '''Cinema''': Auto 모드와 유사하게 컴퓨터가 자동으로 플레이하지만, 모든 노트가 보이지 않고 배경 영상이나 이미지만 재생된다. (단축키: V 2번)
  • '''Score V2''': 이 모드를 사용하면 최대 점수가 1,000,000점이 되도록 점수 계산 방식이 변경된다. HardRock 모드 사용 시 1.1배, DoubleTime 모드 사용 시 1.2배의 추가 점수가 부여된다. 점수는 기록되지 않는다.
  • '''nK''': Mania 전용 모드이다. 비트맵에 설정된 키의 수를 1K부터 9K까지 강제로 변경할 수 있다. (과거에는 10K까지 설정 가능했으나 현재는 불가능하다.) 변경된 키의 수에 따라 점수가 차등 인정된다.
  • '''Random (RD)''': Mania 전용 모드이다. 노트가 내려오는 위치가 무작위로 변경된다. 단, 노트의 타이밍은 변하지 않는다.[33]

3. 4. 중첩사용이 불가능한 모드들

Osu!의 게임 플레이 변경 모드 중 일부는 서로 효과가 상반되거나 충돌하여 동시에 사용할 수 없다. 대표적인 조합은 다음과 같다.

  • Easy (EZ) - Hard Rock (HR): 난이도를 낮추는 모드와 높이는 모드는 함께 사용할 수 없다.
  • No-Fail (NF) - Sudden Death (SD) / Perfect (PF): 실패하지 않도록 하는 모드와 한 번의 실수로 즉시 실패하는 모드는 함께 사용할 수 없다.
  • Half Time (HT) - Double Time (DT) / Nightcore (NC): 곡의 속도를 느리게 하는 모드와 빠르게 하는 모드는 함께 사용할 수 없다.
  • Relax (RX) - Autopilot (AP): 클릭 또는 조준을 보조하는 모드로, osu!standard 모드에서는 함께 사용할 수 없다.
  • No-Fail (NF) / Sudden Death (SD) / Spun-Out (SO) - Relax (RX) / Autopilot (AP) / Auto / Cinema: 실패 조건 관련 모드와 자동 플레이 또는 플레이 보조 모드는 함께 사용할 수 없다.
  • Hidden (HD) / Fade-In (FI) - Flashlight (FL): 시야를 제한하는 모드 중 일부는 osu!mania 모드에서 함께 사용할 수 없다.

4. 비트맵



비트맵은 osu!의 게임 플레이에 필요한 모든 데이터를 담고 있는 파일로, 확장자는 `.osu`이다. 하나의 히트 서클을 비트(beat)라고 하며, 이는 노래의 한 박자를 의미한다. 비트맵은 이러한 비트(서클)들의 배치를 나타내는 지도와 같다.

사용자는 게임 내에 포함된 에디터 모드를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곡으로 직접 비트맵을 제작할 수 있다.[27] 제작된 비트맵은 osu! 공식 웹사이트에 업로드하여 다른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으며,[5][7][10] 처음 제출된 비트맵은 'Pending' 상태로 분류된다. 모더(Moderator)는 사용자들이 제작한 비트맵이 더 나은 방향으로 개선될 수 있도록 피드백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봉사자들이다. 누구나 비트맵 제작자가 될 수 있듯이, 누구나 모더가 될 수 있다.

일정 기준을 충족하는 비트맵은 공식적인 승인을 받을 수 있으며, 승인 방식에는 'Ranked'와 'Approved' 두 가지가 있다.


  • Ranked: 가장 일반적인 승인 방식이다.[34] Ranked 상태의 비트맵은 곡별 온라인 순위표를 제공하며, 플레이어는 이 비트맵을 플레이하여 자신의 총 순위에 반영되는 랭크 스코어(Ranked Score)를 얻을 수 있다.[34][8][11] 또한, 정확도나 플레이 횟수 등 개인 전적에도 기록된다.[34] Ranked 상태가 되기 위해서는 해당 비트맵이 5명 이상의 사용자로부터 찬사(Hype)를 받고, Beatmap Nominator(BN) 2명의 인증(Nomination)을 거친 후, 'Qualified' 상태에서 7일이 경과해야 한다. Ranked 비트맵은 일반적으로 완성도가 높으며, 상위 50명의 플레이 기록(리플레이)은 서버에 저장되어 다른 사용자들이 볼 수 있다.

  • Approved: 플레이 시간이 매우 길거나(일반적으로 6분 이상) 포함된 난이도의 수가 적은 등의 이유로 Ranked 상태가 되기 어려운 비트맵이 받는 승인 상태이다.[34] Approved 비트맵 역시 Ranked 비트맵과 마찬가지로 플레이 시 랭크 스코어를 제공하고 개인 전적에 반영된다.[34]


비트맵의 난이도는 서클 크기(CS), 어프로치 속도(AR), 판정 정확도(OD), HP 감소율(HP)과 같은 파라미터와 곡의 길이, 노트 배치 방식(Strain)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알고리즘에 의해 자동으로 계산된다. 하지만 때로는 이 계산 방식의 허점을 이용하여 실제 체감 난이도보다 계산상 난이도를 의도적으로 높게 만드는 경우도 존재한다.

4. 1. 비트맵 팩

비트맵 팩은 osu! 홈페이지에 업로드된 Ranked, Approved 상태의 비트맵 중 일부를 모아 한꺼번에 다운로드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이다.[30] osu! 공식 홈페이지에서는 한 번에 다운로드할 수 있는 곡의 횟수에 제한이 있는데, 비트맵 팩을 이용하면 이러한 제한이 있을 때 더 편리하게 비트맵을 받을 수 있다. 또한, 각 팩에 어떤 곡들이 포함되어 있는지 미리 확인할 수 있다.

5. 스킨



게임의 인터페이스를 변경할 수 있는 파일이다. 기본 스킨이 읽기 불편하거나 개인 취향에 맞지 않을 경우, 다른 스킨으로 변경하여 플레이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스킨 파일은 `.osk` 확장자를 가진다.

6. 멀티 플레이

2018년 TwitchCon ''osu!'' 부스에서 플레이어 idke와 RyuK가 경쟁하는 모습을 지켜보는 관중들.


온라인 상의 다른 유저들과 서로 돕거나 겨루며 게임을 즐길 수 있는 모드이다.[14][18] 최소 2명부터 최대 16명까지 한 방에서 함께 플레이할 수 있으며, 방에 비밀번호를 설정하여 특정 인원만 참여하도록 제한할 수도 있다.

멀티플레이를 통한 경쟁은 토너먼트 형태로도 자주 개최된다.[14] 대표적인 예로 매년 열리는 ''Osu!'' 월드컵이 있으며, 전 세계 상위 32개 국가 대표팀이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 방식으로 경쟁한다. 각 팀은 보통 6명에서 8명의 선수로 구성된다.[9]

7. 랭킹

`osu!`에는 플레이어의 실력을 나타내는 주요 랭킹 시스템으로 스코어 랭킹과 퍼포먼스 랭킹이 있다. 현재 일반적으로 `osu!`의 랭킹이라고 하면 퍼포먼스 랭킹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 다만 퍼포먼스 랭킹은 처음부터 있었던 것은 아니며, 초기에는 스코어 랭킹만이 존재했다.

7. 1. 스코어 랭킹

스코어 랭킹은 Osu!의 주요 랭킹 시스템 중 하나였으나, 현재는 퍼포먼스 랭킹이 더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하지만 초창기 Osu!에는 퍼포먼스 랭킹이 없었고, 스코어 랭킹만이 유일한 랭킹 시스템이었다.

온라인 플레이어는 리더보드가 있는 비트맵을 클리어하면 자신의 점수를 스코어 랭킹에 올릴 수 있다. 2023년 기준으로 각 맵마다 상위 50위까지, 전체적으로는 1만 위까지 점수가 기록된다. 이렇게 기록된 점수를 랭크 스코어라고 부른다. 퍼포먼스 랭킹이 도입되기 전에는 이 랭크 스코어의 총합이 가장 높은 플레이어가 실질적인 세계 1위로 인정받았다.

랭크 스코어는 해당 맵에서 자신의 최고 기록을 경신했을 때만 누적 점수에 더해진다. 예를 들어, 어떤 맵의 최고 기록이 900,000점인 플레이어가 1,000,000점을 기록하면 총 랭크 스코어에 100,000점이 추가된다. 반대로, 이미 1,000,000점 기록이 있는 상태에서 900,000점을 기록해도 총 랭크 스코어는 변하지 않는다. 이런 방식 때문에 높은 랭크 스코어를 얻기 위해서는 다양한 비트맵을 플레이하여 각 맵에서 높은 점수를 기록해야 했다.

7. 2. 퍼포먼스 랭킹

현재 주류로 사용되는 랭킹 시스템이다. 퍼포먼스 포인트, 통칭 '''pp'''를 사용하여 순위를 매기며, 일반적으로 세계 랭킹이라고 하면 이 퍼포먼스 랭킹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이 시스템은 게임 초창기부터 있었던 것은 아니며, 이전에는 스코어 랭킹만 존재했다.

퍼포먼스 랭킹은 독일의 플레이어이자 개발자인 [https://osu.ppy.sh/users/1857058 Tom94]가 "플레이어의 실력을 더 정확하게 반영하기 위해" 만들었으며, 2014년에 정식으로 도입되었다.

pp는 단순히 점수만으로 결정되지 않는다. 플레이어의 정확도, 최대 콤보 수, 사용한 모드(Mod) 등 다양한 요소가 복합적으로 계산되어 반영된다. 예를 들어, 같은 맵에서 높은 점수를 기록했더라도 정확도가 낮으면 pp는 상대적으로 낮게 책정될 수 있다. 다음은 'Remote Control'이라는 맵을 동일한 모드(Hidden, DoubleTime)로 클리어한 세 플레이어의 기록 비교 예시이다.[29] 콤보 수와 정확도의 작은 차이가 pp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Remote Control' 맵 플레이 기록 비교 (Hidden, DoubleTime 모드 사용)
플레이어명콤보 수정확도점수pp
Cookiezi65299.86%10,677,813583
rrtyui65198.33%10,520,461516
hvick22564998.47%10,509,037520



또한, Half Time과 같이 난이도를 낮추는 모드를 사용해서 맵을 클리어하면, 모드를 사용하지 않고 같은 난이도와 정확도로 클리어했을 때보다 pp가 낮게 계산된다. 이는 플레이어의 실력을 보다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한 시스템적 장치이다.

8. 비트맵의 상태

비트맵은 다음과 같은 7가지 상태를 가질 수 있다.[1]


  • Ranked (랭크됨): 실질적인 공인 비트맵이다. 5명 이상에게 찬사(Hype)를 받고, Beatmap Nominator 2명에게 인증(Nomination)을 받은 뒤, Qualified 상태에서 7일이 지나면 이 상태가 된다. 대부분 완성도가 높으며, pp가 부여되어 퍼포먼스 랭킹 및 스코어 랭킹에 영향을 미치고, 계정 경험치와 레벨도 증가시킨다.[1]

  • Approved (승인됨): 과거 스코어 랭킹만 존재하던 시절에 사용된 상태이다. Ranked와 거의 동등한 완성도를 가지지만, 지나치게 어렵거나 너무 긴 비트맵에 주로 부여되었다. 원래 랭킹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현재는 실질적으로 Ranked와 거의 차이가 없어 pp가 부여된다.[1]

  • Qualified (자격 갖춤): Ranked 이전의 마지막 단계이다. pp가 부여되지 않는다는 점만 제외하면 Ranked와 거의 동일하다. 이 기간 동안 문제가 발견되면 Pending 상태로 되돌아간다. 7일 동안 문제가 발견되지 않으면 Ranked 상태로 변경된다. 문제가 발견되어 수정 후 다시 Qualified 상태로 돌아오면, 심사 기간은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문제가 발견된 시점부터 남은 기간만 진행된다 (예: Qualified 3일차에 문제가 발견되었다면, 수정 후 다시 3일차부터 남은 4일간 심사).[1]

  • Pending (대기 중): 공인 대기 중인 비트맵이다. 다운로드하여 플레이할 수 있지만, pp나 랭크 점수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랭킹도 존재하지 않는다. Qualified 상태가 되지 않고 28일이 지나면 Graveyard 상태로 변경된다.[1]

  • WIP (Work In Progress, 작업 중): 비트맵이 제작 중이거나, 제작자가 Ranked 상태로 만들 의사가 없을 때 부여되는 상태이다. Pending과 마찬가지로 다운로드 및 플레이는 가능하지만 pp나 랭크 점수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1]

  • Graveyard (묘지): 28일 이상 업데이트되지 않은 비트맵이 이 상태가 된다. 제작이 중단되었거나 Ranked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등의 이유로 Qualified 상태로 전환되지 못한 비트맵이 여기에 해당한다. Pending 상태와 거의 유사하며, 제작자는 비트맵을 삭제하거나 업데이트하여 다시 Pending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1]

  • Loved (사랑받음): Ranked 기준은 충족하지 못했지만 커뮤니티 내에서 인기가 많은 비트맵에 부여되는 특별한 상태이다. Qualified와 마찬가지로 스코어 랭킹에는 반영되지만 pp는 부여되지 않는다. 리플레이 저장은 가능하다.[1]


각 상태별 이용 가능 항목[1]
RankedApprovedQualifiedPendingWIPGraveyardLoved
pp 부여있음있음없음없음없음없음없음
리플레이있음있음없음없음없음없음있음
스코어 랭킹있음있음있음없음없음없음있음


9. Osu!(lazer)

`Osu!(lazer)`는 Osu!의 차기 대형 업데이트로 배포될 예정인 소프트웨어의 가칭으로, 현재 배포되어 다운로드 및 플레이가 가능하다.

주요 업데이트 내용으로는 UI 변경, 퍼포먼스 포인트(PP) 계산 방식 개정, 스킨 및 각종 모드의 비트맵 전용 에디터 추가 등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수년 내에 기존 Osu!에서 Osu!(lazer)로 완전히 전환되어 기본 설정이 될 예정이며, 이에 따라 최소 동작 환경도 변경될 예정이다.

참조

[1] 웹사이트 osu!(lazer) Updates: May 19, 2024 https://osu.ppy.sh/h[...] 2024-05-24
[2] 웹사이트 a long-overdue update https://blog.ppy.sh/[...] 2021-08-20
[3] 웹사이트 GitHub - ppy/osu-resources: assets used by osu! https://github.com/p[...] 2023-01-19
[4] 뉴스 Gaming Sounds: osu!, cuando el ritmo se convierte en nuestro séptimo sentido https://theobjective[...] The Objective Media 2019-09-05
[5] 웹사이트 Como baixar Osu! e treinar sua mira no Fortnite e CS:GO https://www.techtudo[...] Globo Comunicação e Participações S.A. 2019-09-19
[6] 웹사이트 Bí quyết giúp game thủ có khả năng phản xạ chớp nhoáng https://znews.vn/bi-[...] 2019-08-30
[7] 웹사이트 Test : Osu! http://www.jeuxvideo[...] 2015-06-07
[8] 웹사이트 Gamers with godlike reflexes are racing to break world records in this rhythm game https://www.pcgamer.[...] 2019-08-12
[9] 웹사이트 Circle Work: A chat with Australia's osu! World Cup team https://www.redbull.[...] 2019-09-04
[10] 뉴스 Osu!, Game Rhythm Terkenal di PC dengan Ribuan Pemain Harian https://www.indozone[...] Indozone Media Indonesia 2019-12-27
[11] 웹사이트 osu! PP world record broken by 15-year-old https://dotesports.c[...] 2019-08-12
[12] 웹사이트 EZ2DJ https://tvtropes.org[...] 2024-06-26
[13] 뉴스 Online rhythm and music game Osu! reviewed - MMOGames.com https://web.archive.[...] 2018-10-22
[14] 간행물 Genoeg rhythm-action voor de rest van je leven... en helemaal gratis! https://archive.org/[...] 2024-05-29
[15] 인터뷰 CosNews 1 | Peppy (PPY) - Osu! Interview (Comic Fiesta) https://www.youtube.[...] 2014-01-12
[16] 인터뷰 osu!talk Episode 8 - Feat. peppy! https://www.youtube.[...] 2014-07-25
[17] 웹사이트 Free PC Ouendan/EBA emulator hits public beta https://www.engadget[...] 2024-05-23
[18] 뉴스 This keyboard designed for a single rhythm game is literally UwU https://www.pcgamer.[...] 2024-05-30
[19] 웹사이트 Anime music thrives in an obscure computer-based rhythm game http://www.michigand[...] 2024-05-30
[20] 웹사이트 Cinco jogos viciantes de PC para treinar e subir de ranking no CS:GO https://www.techtudo[...] 2024-05-22
[21] 웹사이트 Professional gamers like Ninja use this music game to practice their aim and improve their mouse skills — Here's how you can play for free https://www.business[...] 2019-08-26
[22] 웹사이트 Wooting sheds light on brand-new 'UwU' gaming keyboard https://www.dexerto.[...] 2024-05-30
[23] 웹사이트 osu! http://osu.ppy.sh/ 2016-08-28
[24] 웹사이트 Installation - osu!wiki (Windows の項) http://osu.ppy.sh/wi[...] 2016-08-28
[25] 웹사이트 업데이트 기록 일람 https://osu.ppy.sh/h[...] 2022-01-01
[26] 웹사이트 Osu!'s programming language? https://osu.ppy.sh/c[...] 2021-07-27
[27] 웹사이트 Osu's legal copyright policy information page https://osu.ppy.sh/l[...] 2022-01-15
[28] 웹사이트 Osu! home page https://osu.ppy.sh/h[...] 2022-01-15
[29] 웹사이트 Saiya - Remote Control https://osu.ppy.sh/s[...] 2023-03-05
[30] 문서 http://osu.ppy.sh/wi[...]
[31] 문서 http://osu.ppy.sh/wi[...]
[32] 문서
[33] 문서 http://osu.ppy.sh/wi[...]
[34] 문서 http://osu.ppy.sh/wi[...]
[35] 문서 http://osu.ppy.sh/wi[...]
[36] 웹사이트 http://osu.ppy.sh/w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