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i 리모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Wii 리모컨은 닌텐도 Wii 게임 콘솔을 위한 독특한 디자인의 원핸드 리모컨으로, 모션 감지 및 포인팅 기능을 제공한다. 2006년 E3에서 디자인이 일부 변경되었으며, 블루투스를 통해 콘솔에 연결되어 최대 10미터 거리에서 사용할 수 있다. Wii 리모컨은 다양한 색상으로 출시되었으며, 눈차크, Wii 모션플러스, Wii 자퍼 등 다양한 확장 기기를 연결하여 기능을 확장할 수 있다. Wii 리모컨은 혁신적인 컨트롤 방식으로 호평을 받았지만, 손목 스트랩 문제, 특허 침해 소송, 상표권 분쟁 등의 법적 문제도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Wii 리모컨 | |
---|---|
개요 | |
![]() | |
제조사 | 닌텐도 |
종류 | 모션 컨트롤러 |
세대 | 7세대 8세대 |
수명 | 11년 |
출시일 | 북미: 2006년 11월 19일 일본: 2006년 12월 2일 호주: 2006년 12월 7일 유럽: 2006년 12월 8일 |
단종 | 2017년 |
전원 | 2 × AA 배터리 |
저장 공간 | 16 kB EEPROM 칩 (16.3 킬로바이트s) |
사운드 | 스피커 1개 |
입력 장치 |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Wii 모션플러스 어댑터 또는 Wii 리모컨 플러스 사용 시) 적외선 센서 8개의 디지털 버튼 (A, B, −, +, HOME, 1, 2, POWER) D-패드 |
연결 | Bluetooth 2.0 액세서리 커넥터 포트 (400 kHz I²C) |
이전 모델 | 게임큐브 컨트롤러 |
다음 모델 | Wii U 게임패드 Joy-Con |
추가 정보 | |
영어 명칭 | Wii Remote |
한국어 명칭 | 위 리모트 |
2. 디자인
Wii 리모컨은 이전 게임 콘솔의 게임패드 디자인과 달리, 한 손으로 사용하는 리모컨 형태를 채택했다. 이 디자인은 사용자가 움직임을 직관적으로 표현하고, 가리키는 동작을 쉽게 하며, 게임 이용자가 아닌 사람도 쉽게 접근하도록 돕는다. Wii 리모컨의 크기는 세로 148mm, 가로 36.2mm, 두께 30.8mm이다. 모델 번호는 RVL-003인데, 'RVL'은 Wii의 개발 코드명 "Revolution|레볼루션영어"에서 따왔다.[183][184] 블루투스로 본체와 무선 연결되며, 최대 4개의 컨트롤러를 10m까지 연결 가능하다.[183][184] 단, 포인터 기능을 제대로 쓰려면 센서 바에서 5m 이내에서 사용해야 한다.[185]
대칭형 디자인으로 왼손잡이, 오른손잡이 모두 편하게 쓸 수 있다. 패미컴 컨트롤러처럼 가로로 눕히거나, 마리오 카트 Wii처럼 핸들 모양으로 잡고 플레이할 수도 있다.
2006년 E3 개발자 컨퍼런스에서 Wii 리모컨은 몇 가지 디자인이 변경되었다. 컨트롤러는 더 길어졌고, 버튼 면 중앙에 스피커가 추가되었다. "B" 버튼은 방아쇠와 비슷하게 둥글게 바뀌었다. "START", "SELECT" 버튼은 "+", "-" 버튼으로, "a", "b" 버튼은 "A", "B" 버튼과 구별하기 위해 1, 2 버튼으로 바뀌었다. "홈" 버튼은 파란색 점에서 집 모양으로, 전원 버튼은 직사각형에서 원형으로 변경되었다. 파란색 LED는 점자와 비슷한 점으로 플레이어 번호를 나타낸다. (1: "◆◇◇◇", 2: "◇◆◇◇", 3: "◇◇◆◇", 4: "◇◇◇◆") 닌텐도 로고는 Wii 로고로, 확장 포트 모양도 변경되어 플러그 크기가 작아졌다.[186]
파란색 LED는 배터리 잔량도 표시한다.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버튼을 누르면 LED가 켜지는데, 켜진 LED 개수로 잔량(4개: 100%, 3개: 75%, 2개: 50%, 1개: 25% 이하)을 알 수 있다.
Wii 리모컨과 초기 드림캐스트 컨트롤러 프로토타입의 유사성이 주목받기도 했다.[187]
Wii 리모컨에는 손목 스트랩이 부착되어 게임 중 리모컨이 날아가는 것을 방지한다. 스트랩은 카우 히치 매듭으로 묶여 있다. 모든 Wii 게임은 시작 시 스트랩 사용 경고를 표시하며,[20] 설명서에도 포함되어 있다.[21] 스트랩은 눈차크 커넥터를 고정해[23] 커넥터가 빠질 때 눈차크 코드의 움직임을 늦춘다.
2007년 10월 1일, 닌텐도는 Wii 리모컨용 무료 액세서리인 Wii 리모컨 재킷을 발표했다.[31] 탈착식 실리콘 슬리브는 더 나은 그립감을 제공하고, 떨어뜨렸을 때 리모컨을 보호한다.
2. 1. 홈 버튼 메뉴
Wii 리모컨의 홈 버튼을 누르면 실행 중인 게임이나 채널, 프로그램 등을 잠시 멈추고 홈 버튼 메뉴를 화면에 표시한다. 홈 버튼 메뉴에서는 사용 중인 컨트롤러의 개수와 배터리 잔량 등의 정보를 알 수 있으며, 몇 가지 간단한 옵션 설정을 할 수 있다. 화면 하단의 "Wii 리모컨 설정"을 클릭하면 Wii 리모컨에 장착된 스피커의 음량, 컨트롤러 진동 켜기/끄기, Wii 리모컨 재접속 등의 설정을 할 수 있다. 재접속 기능은 특정 Wii 리모컨을 1회적으로 Wii에 접속시킬 때 사용한다. 실행 중인 채널에 따라 홈 버튼 메뉴에 표시되는 버튼의 개수가 달라진다.
- '''Wii 메뉴로''' : 플레이 중인 Wii 소프트웨어 등을 종료하고 다른 채널을 선택할 수 있는 Wii 메뉴로 돌아간다. 닌텐도 64 및 네오 지오를 제외한 특정 가상 콘솔 타이틀을 플레이할 때 이 버튼을 누르면 중단점이 생성된다.
- '''리셋''' : Wii 소프트웨어 실행 중에 홈 버튼 메뉴를 표시하는 경우, 리셋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이것은 소프트웨어 리셋에 해당되며, 리셋을 실행하면 타이틀 화면이나 초기 화면으로 돌아간다. Wii 본체에 붙어 있는 리셋 버튼과는 다르다.
- '''설명서''' : Wii 쇼핑 채널을 통해 다운로드 받은 모든 채널과 버추얼 콘솔은 홈 메뉴에 설명서 버튼을 표시한다. 해당 소프트웨어에 대한 설명서를 읽을 수 있다. 뉴스 채널, 날씨 채널, 인터넷 채널, 모두의 투표 채널, 특정 WiiWare 타이틀 및 가상 콘솔 타이틀을 포함한다.
Wii의 홈 버튼 메뉴는 엑스박스 360에서 컨트롤러의 엑스박스 버튼을 누르면 나타나는 "게임 메뉴"와 유사하며, 플레이스테이션 3의 경우 XMB와 유사하다. 홈 버튼 메뉴는 대부분의 경우 언제든 표시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 실행 화면을 정지시킨 뒤에 바로 표시된다. 특정 소프트웨어 로딩 중에 홈 버튼을 클릭하면 홈 아이콘 위에 빨간 금지 기호가 쳐진 아이콘이 화면에 표시되며 홈 버튼 메뉴를 표시할 수 없다. 또한, 닌텐도 게임큐브 소프트웨어를 플레이할 때는 홈 버튼 메뉴를 표시할 수 없다.
3. 기능
Wii 리모컨은 닌텐도 Wii의 표준 컨트롤러로, 기존 게임 컨트롤러와 달리 한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세로형 디자인이 특징이다. TV 리모컨처럼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으며, 본체와 블루투스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다.
Wii 리모컨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제공한다.
- 모션 센서: 컨트롤러의 기울기나 움직임을 감지하여 테니스 라켓이나 검처럼 휘두르거나, 지휘봉처럼 흔드는 등 직관적인 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 포인터 기능: 화면을 가리켜 권총이나 활처럼 조준하는 데 사용된다.
- 진동 기능: 게임 내 상황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켜 현장감을 높인다.
- 스피커: 게임 내 효과음을 재생하여 몰입감을 더한다. 예를 들어, ''젤다의 전설 황혼의 공주''에서 활을 쏠 때 Wii 리모컨과 TV에서 소리가 함께 나면서 활이 멀어지는 듯한 느낌을 준다.[55] ''레드 스틸''과 같은 게임에서는 NPC가 통신으로 플레이어에게 말을 거는 것처럼 연출할 수도 있다.[56]
- 데이터 저장: 4KB(4,096바이트)의 저장 공간에 Mii나 게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대난투 스매시 브라더스 X''에서는 컨트롤러 구성 데이터를, ''몬스터 헌터 트라이''에서는 플레이어 프로필을 저장하는 데 사용된다.[59]
Wii 리모컨은 AA 건전지 2개로 작동하며, 가속도계만 사용할 경우 60시간, 가속도계와 포인터 기능을 모두 사용하면 25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다.[52] 5분 이상 사용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전원이 꺼진다.
Wii 리모컨은 블루투스를 지원하여 컴퓨터에 연결할 수도 있다. 비공식적으로 개발된 소프트웨어를 통해 마우스 커서를 조작하는 등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145]
Wii 리모컨의 개발은 2001년 Wii 콘솔 개발과 함께 시작되었다. 닌텐도는 Gyration Inc.으로부터 모션 감지 특허를 라이선스하고, 한 손 조작 컨트롤러 제작을 의뢰했다.[5] 이후 닌텐도는 독자적인 디자인을 개발하여 2005년 말 Wii 리모컨을 완성했다.[8]
3. 1. 센서
Wii 리모컨은 3축 가속도와 기울기를 인식하는 ADXL330 가속도계와[185][207] PixArt 광학 센서를 탑재하여 Wii 리모컨이 가리키는 방향을 감지한다.[208]
Wii 리모컨은 텔레비전 화면의 빛을 감지하는 라이트 건과 달리, Wii 콘솔의 센서 바(모델명 RVL-014)의 빛을 감지하여 텔레비전 종류와 크기에 상관없이 사용 가능하다. 센서 바는 약 24cm 길이의 검은색 막대이며, 양 끝에 각각 5개씩 총 10개의 적외선 LED가 있다.[209] 가장 바깥쪽 LED는 약간 바깥쪽을, 가장 안쪽 LED는 약간 안쪽을 향하며, 나머지는 정면을 향한다. 센서 바 케이블의 길이는 353cm이다. 센서 바는 텔레비전 위나 아래, 화면 중앙에 수평으로 설치한다. 텔레비전 위에 설치할 때는 텔레비전 앞쪽 끝에, 아래에 설치할 때는 텔레비전을 받치는 가구 앞쪽 끝에 바짝 붙여야 한다. Wii 리모컨으로 화면을 가리킬 때 센서 바 정면이 아니어도 되지만, 너무 옆쪽이면 시야각이 제한되어 정확도가 떨어진다.
Wii 리모컨은 센서 바에서 최대 5m 떨어진 곳까지 지원한다.[184] Wii 리모컨의 이미지 센서는[208] 센서 바의 적외선을 찾아 위치를 계산한다. 센서 바에서 나오는 두 개의 밝은 빛은 이미지 센서에 의해 거리차 값 "가"로 감지된다. 빛을 방출하는 두 클러스터는 항상 "나"의 거리를 유지한다. 두 거리 값 "가"와 "나"는 Wii CPU에서 삼각측량법으로 계산된다.[210] 또한, Wii 리모컨을 수평으로 회전시켜도 센서 바 두 클러스터의 각도를 계산하여 회전을 인식한다.[211] Wii 소프트웨어는 이미지 센서가 가려진 상황을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춤춰라 메이드 인 와리오》에서 플레이어가 센서를 가리지 않으면 샴페인 병 뚜껑이 열리지 않는다.
센서 바는 Wii 리모컨으로 화면 커서, 오브젝트를 상하좌우로 움직이거나 메뉴 버튼 선택, 1인칭 슈팅 게임에서 물체 조준에 필요하다. Wii 리모컨은 센서 바와의 거리도 계산할 수 있어,[212] 3D 게임에서 느린 전후 움직임도 감지한다.[213] 빠른 전후 움직임은 가속도 센서로 감지한다. 가속도 센서(기울기 센서 역할)로 커서 또는 오브젝트 회전도 가능하다.[214]
적외선 센서로 위치를 감지할 때 백열전구, 촛불, 태양광 등 적외선 발산 물체가 있으면 제대로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형광등이나 삼파장 램프 등 적외선이 적게 나오는 전구를 사용하거나, 태양이 들어오는 창문을 커튼으로 가리는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다.[215] 어떤 사용자들은 손전등 두 개나 촛불 두 개로 센서 바를 대체하기도 한다.[216] Wii 리모컨은 커서 위치 계산에 두 개의 광원을 필요로 한다. 건전지를 사용하는 무선 센서 바도 판매된다.
센서 바의 LED는 일부 카메라 또는 사람 눈보다 넓은 광학 주파수를 감지하는 장치로 촬영할 수 있다.
3. 2. 보조 및 확장 기기
Wii 리모컨은 아래쪽에 확장 기기 포트가 있어 다양한 기능의 부착 장치를 추가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포트에 장착하는 연결 장치 및 그 밖의 모든 액세서리 장치는 400 kHz I²C 프로토콜을 이용한다. 이러한 확장 기능은 닌텐도 64 컨트롤러에 있는 포트의 쓰임새와 유사하다. 수커넥터와 암커넥터가 따로 존재하며, 수커넥터에 확장 기기를 꽂아 사용하면서 같은 Wii 리모컨에 또 다른 암커넥터가 있는 것을 찾아볼 수 있다.[218][219]

'''눈차크'''
눈차크(Nunchuk, 모델번호 RVL-004)는 2005년 도쿄 게임 쇼에서 닌텐도가 Wii 리모컨용으로 공개한 첫 번째 부착 장치다. 눈차크는 1~1.2m 길이의 끈으로 Wii 리모컨과 연결된다. 리모컨에 달았을 때 눈차쿠(쌍절곤)와 비슷한 모양이 되며, 이름도 그에 따라 붙여졌다. 아날로그 스틱이 달린 게 특징인데, 게임큐브 컨트롤러와 거기에 달린 두 개의 트리거 버튼과도 비슷하다 (실제로 개발과정 막판에 트리거 버튼 두 개이던 구성이 트리거 하나와 C버튼으로 변경됐다). 눈차크는 수많은 게임에서 메인 컨트롤러와 동시에 조작하며, Wii 리모컨과 마찬가지로 동작과 기울기 감지를 위한 3축 가속도계가 있다. 다만 스피커와 진동 기능, 포인터 기능은 없다. 눈차크의 가속도계는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LIS3L02AL 제품이다.[220]
'''Wii 리모컨 플러스'''
2010년 9월, 출시 예정인 ''FlingSmash''의 박스 아트에 "Wii 리모컨 플러스"가 함께 제공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Wii 모션플러스가 내장된 Wii 리모컨에 대한 소문이 돌기 시작했다. 닌텐도는 처음에는 언급을 거부했지만, 2010년 9월 29일에 해당 기기가 모션플러스가 내장된 Wii 리모컨이며, 플레이어들이 Wii 자퍼와 Wii 휠과 같은 주변기기를 사용할 수 있고, Wii 리모컨에서 Wii 모션플러스 부착물을 제거하지 않고도 Wii 리모컨을 편안하게 가로로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고 발표했다. Wii 리모컨 플러스는 마이크로소프트의 키넥트와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의 플레이스테이션 무브 및 플레이스테이션 아이 모션 컨트롤러와 경쟁했다. 닌텐도는 이후 해당 리모컨이 흰색, 검은색, 파란색, 분홍색으로 출시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 제품은 2010년 10월 28일 호주, 2010년 11월 5일 유럽, 2010년 11월 7일 북미, 2010년 11월 11일 일본에서 출시되었다.[65]

4가지 표준 Wii 리모컨 색상 외에도, 닌텐도의 자사 비디오 게임 프랜차이즈를 테마로 한 특별한 색상의 Wii 리모컨 플러스 컨트롤러도 이후 몇 년 동안 출시되었다. 금색 ''젤다의 전설'' Wii 리모컨 플러스와 ''마리오'' 캐릭터를 기반으로 한 여러 컨트롤러가 그 예시이다. ''마리오'' 시리즈 25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처음 디자인된 빨간색 Wii 리모컨 플러스는 해당 행사를 위해 출시된 빨간색 Wii 번들에 맞춰, 짝을 이루는 눈차크와 콘솔, ''Wii Sports'' 및 ''New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Wii''와 함께 포함되었다.[66] 빨간색 Wii 리모컨 플러스는 또한 다른 지역에서는 검은색으로 대체된, 유럽판 ''Wii Play: Motion''에도 함께 제공되었다.[67] 빨간색 Wii 리모컨 플러스와 같은 색상의 눈차크는 모든 Wii Mini에도 포함되어 있다.
E3 2011에서, 하이랄 문장이 스피커 위에 새겨진 금색 Wii 리모컨 플러스가 ''젤다의 전설: 스카이워드 소드''와 함께 출시될 것이라고 발표되었다.[68][69] 이 제품은 한정 기간 동안 ''스카이워드 소드'' 번들의 일부로 제공되었다.[70] 짝을 이루는 금색 눈차크는 클럽 닌텐도 회원에게도 한정 기간 동안 제공되었다.[71]
2012년에 Wii 리모컨 플러스는 재발행되었으며, Wii의 후속 기종인 Wii U를 위해 브랜드화되었다. 배터리 덮개에 또 다른 동기화 버튼이 추가되어 사용자가 배터리 덮개를 제거하지 않고도 동기화할 수 있게 되었다. 1년 후, 닌텐도는 Wii U 디럭스 세트의 출시와 함께, 2013년 11월 1일에 마리오와 루이지를 시작으로 ''마리오'' 캐릭터를 테마로 한 Wii 리모컨 플러스를 출시하기 시작했다.[72] 몇 달 후, 닌텐도는 2014년 4월 24일에 피치 공주를 테마로 한 Wii 리모컨 플러스를 출시했다.[73] 1년 후, 닌텐도는 ''슈퍼 마리오 메이커''와 ''요시의 울리 월드''의 출시와 함께, 2015년 가을에 쿠파, 두꺼비 및 요시를 테마로 한 Wii 리모컨 플러스를 출시했는데, 이는 게임스톱에서 독점 판매되었다.[74]
'''클래식 컨트롤러'''

클래식 컨트롤러에는 오리지널 클래식 컨트롤러와 클래식 컨트롤러 Pro의 두 가지 버전이 있다.
2006년 전자 엔터테인먼트 엑스포에서 닌텐도는 눈차크와 유사한 방식으로 코드를 통해 Wii 리모컨에 연결되는 클래식 컨트롤러를 소개했다.[15] 대부분의 액세서리와 달리 클래식 컨트롤러는 리모컨의 기능을 대부분 대체하며, 리모컨의 버튼이 컨트롤러에 복제된다. 리모컨은 주로 컨트롤러의 무선 송신기로 사용되며, 해당되는 경우 포인팅 장치 기능을 유지한다. 또한 ''버스트 어 무브 배시!''(Bust-A-Move Bash!) 및 ''스피드존''(SpeedZone)과 같은 게임의 멀티플레이어 모드에서 다른 플레이어가 유효하고 활성적인 컨트롤러로 사용할 수 있다.
클래식 컨트롤러는 슈퍼 NES 컨트롤러를 연상시키며, 크기가 같고 A, B, X, Y, L 및 R 버튼과 방향 패드가 동일한 위치에 있다. 또한 두 개의 아날로그 스틱과 닌텐도 게임큐브 컨트롤러에서 발견되는 추가 구성 요소를 복제하는 데 사용되는 두 개의 추가 숄더 버튼이 포함되어 있다. 이 컨트롤러는 주로 버추얼 콘솔 타이틀에 사용되며, 여러 타이틀에서 클래식 컨트롤러 또는 게임큐브 컨트롤러 중 하나가 필요하며, 클래식 컨트롤러에 최적화되어 있다. 수십 개의 Wii 타이틀도 컨트롤러와 호환되어 보다 전통적인 제어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Wii MotionPlus'''

Wii MotionPlus는 Wii 리모컨이 복잡한 모션을 더 정확하게 캡처할 수 있게 해주는 확장 장치이다. Wii 리모컨 자켓의 사용자 지정 버전과 통합되어[81][82] Wii MotionPlus는 Wii 리모컨 확장 포트에 직접 부착되어 컨트롤러 본체의 길이를 약 4cm만큼 늘린다.[83] Wii MotionPlus는 튜닝 포크 자이로스코프를 사용하며[84] Wii 리모컨의 가속도계 및 센서 바 기능을 보완하여, 닌텐도에 따르면 컨트롤러의 모션을 실시간으로 화면에 동일하게 렌더링할 수 있게 한다.[85] Wii MotionPlus는 별도로 판매되며, 닌텐도의 ''Wii Sports Resort''와 유비소프트의 ''레드 스틸 2''와 같은 일부 MotionPlus 호환 게임과 번들로 제공되기도 한다.[81][82] 하늘색 Wii MotionPlus 확장은 일본에서 ''Wii Sports Resort''를 홍보하기 위한 콘테스트의 상품으로 제공되었다.[37][38] MotionPlus 애드온이 함께 제공되는 검은색 Wii 리모컨은 2009년 11월 유럽과 북미에서 출시되었다.
'''Wii 바이탈리티 센서'''
Wii 바이탈리티 센서는 취소된 주변기기로, Wii 리모컨을 통해 연결되는 손가락 끝 맥박 산소 측정기 센서였다. 닌텐도에 따르면, 이 장치는 "처음에는 사용자의 맥박과 신체에서 전송되는 여러 다른 신호를 감지한 다음, 신체의 내부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것"이라고 한다. Wii 바이탈리티 센서는 2009년 6월 2일 E3 2009 닌텐도 미디어 브리핑에서 사장 겸 CEO 이와타 사토루에 의해 발표되었다. 이 장치에 대한 구체적인 응용 프로그램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이 장치를 소개하면서 이와타는 비디오 게임이 곧 휴식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86][87] 닌텐도 아메리카 사장 레지 필스-아임은 Wii 바이탈리티 센서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이 E3 2010에서 공개될 예정이라고 밝혔지만, 실제로는 이 장치가 언급되지 않았다.[88] 레지는 GameTrailers에 "(E3)는 휴식을 기반으로 한 게임에 적합한 환경이 아니었다"라며, 이 장치에 대한 소식은 다른 때와 장소에 공개할 것이라고 말했다.[89] E3 2010에서 유비소프트는 자체 맥박 산소 측정기 센서인 "Innergy"를 선보였다.[90] E3 2011에서 닌텐도는 Wii 바이탈리티 센서에 대한 더 많은 내용을 발표했다. 미야모토 시게루는 Wii 바이탈리티 센서가 다양한 상황에서 일관된 성능을 내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여전히 출시될 수 있다고 말했다.[91]
2013년 7월 5일, 이와타 사토루는 Wii 바이탈리티 센서 프로젝트가 광범위한 호환성 부족으로 인해 취소되었음을 밝혔다. 닌텐도는 이 장치가 테스트 대상자의 약 10%에서 작동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했으며,[93] 이 장치가 "원래 생각했던 것보다 적용 범위가 좁았다"고 언급했다.[92] 이와타는 또한 기술이 최소 99.9%의 성공률을 보장할 수 있을 때, 이 프로젝트로 돌아갈 가능성에 대해 언급했다.[93]
'''Wii 자퍼'''

Wii 자퍼는 Wii 리모컨용 총 모양의 쉘 부속품이다. 이미지에서 보듯이, 쉘은 Wii 리모컨과 눈차크를 모두 잡고 있으며, Wii 리모컨의 B 버튼을 작동시키는 방아쇠가 포함되어 있다. 리모컨과 눈차크가 쉘 안에 있는 동안에도 다른 모든 버튼에 접근할 수 있다. 이름은 닌텐도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용 NES 자퍼 광선총을 참고하여 지어졌다. 미야모토 시게루와의 인터뷰에 따르면, 자퍼 타입의 확장 기능에 대한 아이디어는 Wii 리모컨이 처음 만들어졌을 때 형성되었다. 그는 "우리가 발견한 것은 자퍼를 갖고 싶었던 이유는 Wii 리모컨을 잡을 때 일부 사람들은 손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팔을 뻗고 있으면 팔이 다소 피로해질 수 있습니다."라고 말했다.[94] 자퍼는 주로 총기를 사용하는 대부분의 게임, 예를 들어 광선총 슈팅 게임, 1인칭 슈팅 게임, 3인칭 슈팅 게임 등에 유용하다.
'''Wii 휠'''

Wii 휠 액세서리는 운전 게임에 사용하도록 설계되었으며, Wii 리모컨을 안에 넣을 수 있는 스티어링 휠 모양의 껍데기이다. Wii 리모컨을 좌우로 기울여 조작하는 운전 게임을 향상시킨다. Wii 휠은 처음 ''마리오 카트 Wii''[95][96]와 함께 배송되었으며 게임의 포장에 눈에 띄게 표시된다.
'''Wii 리모컨용 서드 파티 액세서리'''
Wii 콘솔 출시 이후, 서드 파티에서 Wii 리모컨용으로 미적, 인체 공학적, 기능적 액세서리가 많이 개발되었다.[97]
4. 개발
2001년, Wii 콘솔과 함께 Wii 리모컨의 개발이 시작되었다. 같은 해, 닌텐도는 무선 모션 센서 마우스 회사인 [http://www.gyration.com/ Gyration Inc.]로부터 모션 센서 면허를 획득했다.[171] 닌텐도는 Gyration Inc.에 게임 패드의 오른쪽 절반 부분을 모션 센서로 사용하는 "Gyropod 컨셉"의 원핸드 컨트롤러 제작을 의뢰했다.[171] 이후 Gyration Inc.는 닌텐도에 디자인 컨셉에 도움을 줄 독립 디자인 회사 [https://web.archive.org/web/20081222061845/http://www.bridgedesign.com/ Bridge Design]을 소개했다.[172] 닌텐도는 "기존 게임큐브 컨트롤러의 버튼 배치를 유지해 달라"고 요청했고, 다양한 스케치, 모델, 코어 게이머들과의 실험을 거쳤다.[172] 2004년 말부터 2005년 초, 닌텐도는 기존 컨트롤러와 다른 "조작봉 모양"의 Wii 리모컨과 '눈차크' 디자인을 제안했다.[173] 닌텐도는 모션 센서, 적외선 포인터 탑재, 버튼 레이아웃을 결정하고, 2005년 말 대량 생산 준비를 마쳤다.[173]
Wii 리모컨 개발 중, 미야모토 시게루는 디자이너들에게 영감을 주기 위해 휴대 전화와 차량자동항법장치 컨트롤러를 가져왔고, 최종 프로토타입은 휴대 전화와 유사한 형태가 되었다.[173] 아날로그 스틱, 터치 스크린 디자인도 있었으나, 닌텐도는 휴대용 게임기와 가정용 콘솔의 차별성을 위해 터치 스크린 디자인을 채택하지 않았다.[173]
Wii 리모컨은 원래 게임큐브용으로 개발 중이었다. 팩터 5는 《스타워즈 로그 스쿼드론 II: 로그 리더》 개발 중 초기형 모션 센서 컨트롤러를 사용했다고 밝혔다.[174] IGN 소속 맷 카사마시나는 닌텐도가 "게임큐브는 미발매 주변 장치 추가로 수명이 연장되고 새로운 게임플레이를 경험하게 될 것"이라 언급하며, 게임큐브용 Wii 리모컨 발매를 예상했다.[175] 그는 닌텐도가 Wii 리모컨을 새 콘솔과 함께 발매하길 원했고, "레볼루션은 게임큐브의 약점을 찔렀다"고 추측했다.[175]
Wii 콘솔 출시 후, Wii 리모컨을 활용한 다양한 방법이 모색되었다. Wii 홈브루를 통한 서드 파티 응용 프로그램이 개발되고,[98][99] GlovePIE라는 Windows 프로그램은 Wii 리모컨을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에뮬레이션에 사용하게 해준다. Wii 리모컨은 블루투스 연결로 PC에 연결되며, BlueSoleil 프로그램이 성공적인 연결을 입증했다. Wii 리모컨 프로토콜 활용 및 데이터 사용에는 GlovePIE와 같은 별도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Wii 리모컨 블루투스 프로토콜은 휴대폰 등 다른 장치에도 구현 가능하다. 두 학생은 심비안 스마트폰 연결 드라이버 소프트웨어로 이를 시연, TV-out 포트가 있는 휴대폰이 게임 콘솔을 대체할 수 있다는 아이디어를 제시했다.[100]
조니 리는 손가락 추적, 저가형 다중 지점 대화형 화이트보드, 데스크톱 VR 디스플레이용 머리 추적 등 Wii 리모컨 활용 관련 비디오 데모와 샘플 코드를 [http://johnnylee.net/projects/wii/ 자신의 웹사이트]에 게시했다. 그는 TED 컨퍼런스에서 응용 프로그램들을 시연했고, [http://www.wiimoteproject.com/ WiimoteProject] 포럼은 관련 토론, 지원, 공유 사이트가 되었다.
Wii 리모컨을 외과 의사의 손 움직임 미세 조정 연습에 활용하는 연구가 진행되었다.[101] 다윈리모트를 활용, 멤피스 대학교 연구원들은 인지 심리학 실험 데이터 수집에 Wii 리모컨을 적용했다.[102] 오토데스크는 ''오토데스크 디자인 리뷰''에서 3D 모델 방향 제어 플러그인을 출시했다.[103]
컨트롤러가 리모컨 형태가 되기까지 많은 우여곡절이 있었고, 개발 중 다양한 시제품이 제작되었다. 공개 후에도 디자인 변경이 있었는데, Revolution 시절(2005년)에는 스피커가 없었고, 버튼 모양, 위치, 표기(로고, "1 버튼", "2 버튼"이 "a 버튼", "b 버튼"이었던 점 등)도 달랐다. 기존 컨트롤러처럼 유선 연결 영상도 있었다.
5. 법적 문제 및 논란
Wii가 인기를 얻으면서, 가짜 Wii 리모컨이 유통된다는 보고가 있었다. 이러한 장치는 공식 Wii 리모컨과 동일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조립 품질이 떨어지고 럼블 모터 및 스피커와 같은 구성 요소가 눈에 띄게 달랐다. 또한 내부 구성 요소의 차이로 인해 공식 액세서리가 가짜 장치에서 제대로 작동하는지 여부도 불분명했다.
Wii 리모컨은 여러 회사로부터 여러 건의 소송에 휘말렸다.
- 인터링크 일렉트로닉스(Interlink Electronics)는 2006년 12월 Wii 리모컨의 포인팅 기능과 관련하여 닌텐도를 상대로 특허 침해 소송을 제기하며, 닌텐도의 "침해 행위로 인한 합리적인 로열티 손실, 판매 감소 및/또는 이익 손실"을 주장했다.[121] 이 소송은 2007년 3월에 종결되었다.[122]
- 2008년 8월 19일, 힐크레스트 랩스(Hillcrest Labs)는 닌텐도를 상대로 미국 국제무역위원회(U.S International Trade Commission)에 고소장을 제출하여 Wii 리모컨이 자사의 특허 3건을 침해했다고 주장했다. 텔레비전 화면에 표시되는 그래픽 인터페이스에 대한 힐크레스트의 네 번째 특허도 침해되었다고 한다. 힐크레스트는 미국으로 수입되는 Wii 콘솔에 대한 판매 금지를 요청했다.[123] 2009년 8월 24일, 닌텐도와 힐크레스트는 합의에 도달했지만, 그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다.[124]
- 2011년 9월, 씽크옵틱스(ThinkOptics Inc.)는 텍사스 동부 연방 지방 법원에 닌텐도를 상대로 자사의 컨트롤러인 웨이빗 리모트(Wavit Remote)와 관련하여 소송을 제기했다. 이들은 Wii가 "핸드헬드 비전 기반 절대 포인팅 시스템", "핸드헬드 비전 기반 절대 포인팅 시스템용 핸드헬드 장치" 및 웨이빗 리모트의 기반을 형성하는 "핸드헬드 비전 기반 절대 포인팅 시스템"에 대한 특허를 침해했다고 주장했다. 또한 Wii U도 자사 특허를 침해하며 닌텐도가 Wii가 씽크옵틱스의 특허를 침해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고 주장했다. 이 소송은 침해 제품에 대한 금지 명령, 로열티 지불, 변호사 비용 및 손실된 이익에 대한 손해 배상을 요구했다.[125][126] 이 소송은 2014년 8월 씽크옵틱스에 의해 기각되었다.[127]
- 2012년 12월부터 iLife Technologies는 "환경에 대한 신체의 움직임을 평가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과 관련된 일련의 특허 침해로 여러 대기업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으며, 이는 주로 의료 분야를 목표로 했다. 닌텐도는 2013년 12월 iLife로부터 Wii 리모컨이 자사 특허를 침해했다는 이유로 소송을 당했으며, 지금까지 판매한 Wii 기기에 대한 4달러의 벌금을 기준으로 1.44억달러의 손해 배상을 요구했다.[128][129] 2017년 8월에 배심원 재판이 열렸고, 배심원은 iLife Technologies의 손을 들어주어 닌텐도는 1010만달러의 손해 배상을 해야 했다.[129] 닌텐도가 이 판결에 항소하려 했지만, 미국 항소 법원은 2017년 12월 배심원 판결을 유지했다.[130] 그러나 2020년 1월, 연방 법원은 판결을 뒤집고 iLife의 특허가 너무 광범위하다고 판결했다.[131]
Wii 리모컨의 손목 스트랩 또한 문제의 대상이 되었다.
- 2006년 12월 중순, 법률 회사 그린 웰링 LLP는 닌텐도를 상대로 "결함 있는 손목 스트랩"에 대한 집단 소송을 제기했다. 며칠 후 닌텐도는 손목 스트랩에 대한 제품 리콜을 실시하고 손목을 고정하는 메커니즘을 개선한 새로운 버전의 스트랩을 출시했으며, 이후 소송은 취하되었다.[132][133]
- 2008년 12월, 콜로라도의 한 어머니가 업데이트된 손목 스트랩이 여전히 효과가 없다고 주장하며 두 번째 집단 소송을 제기했다.[134] 이 소송은 2010년 9월까지 기각되었으며, 닌텐도는 콜로라도 소비자 보호법에 따라 손목 스트랩에 고의적인 결함이 없다는 판결을 받았다.[135]
2000년에 마이애미에 본사를 둔 TV 리모컨 제조업체인 포비스 테크놀로지스(Fobis Technologies)는 "Weemote"라는 용어를 상표로 등록했으며, 이후 어린이를 위해 설계된 자사 리모컨의 이름으로 사용했다.[136][137] 철자는 다르지만 "Weemote"는 Wii 리모컨의 비공식 용어인 "Wiimote"와 음성학적으로 동일하다.[136][138] 2008년 기준으로 100만 개 미만의 판매량을 기록한 Weemote는 Wiimote와의 혼동으로 인해 판매량이 감소했다.[139] 포비스 테크놀로지스는 이를 상표권 침해라고 주장하지만, 닌텐도는 공식 홍보 자료에서 실제로 "Wiimote"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하지만 Wii 리모컨을 판매하는 많은 소매업체에서 이 용어를 사용한다.[138] 포비스는 소매업체에 최대 100건의 중단 및 경고 서한을 보냈으며 닌텐도에 상표권을 구매하라는 제안을 했다.[136][138] 닌텐도는 "Weemote 상표를 사용하지 않으며, 사용할 계획도 없다"고 밝히며 이 제안을 거절했다.[140]
Wii 리모컨에 대한 상표 출원은 2008년 3월 상표가 출원된 후 미국 특허청(United States Patent and Trademark Office, USPTO)에 의해 처음 거부되었다. USPTO는 "리모컨(remote control)"이라는 단어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므로 상표로 등록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USPTO는 닌텐도가 해당 용어에서 "리모컨"이라는 단어에 대한 독점적 권리를 포기하고 마케팅 및 매뉴얼에서 "Wii"라는 단어가 항상 "리모컨"이라는 단어 앞에 오면 닌텐도의 상표 출원을 받아들일 것이라고 밝혔다. USPTO는 2012년 7월 "Wii 리모컨" 상표를 승인했다.[141][142]
6. 평가
Wii 리모컨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해 왔다. E3에서 처음 공개되었을 때 컨트롤러가 제공하는 컨트롤 스타일에 대해 칭찬을 받았다.[104] IGN UK의 Matt Wales는 ''Red Steel''의 조준과 정밀성을 강조하며 "손목의 움직임만으로 적들을 쓰러뜨리는 것은 엄청난 만족감을 주며, 더욱 중요하게는 매우 몰입하게 만든다."라고 말했다.[105] ''Nintendo Power''는 Wii 리모컨을 혁신적인 컨트롤러로 선정하며, 모션 컨트롤의 최초 사용, 최초의 내장 스피커, 최초의 적외선 포인터 등 여러 최초의 기능을 혁신적인 기능으로 언급했다.[106] 하지만, 모션 감지 기능을 처음 사용한 비디오 게임 컨트롤러는 Datasoft Inc.에서 제조하여 1981년에 출시된 Atari 2600 및 Commodore 64용 Le Stick이다.[107]
GameSpot은 ''Cooking Mama: Cook Off''의 일부 동작이 게임 플레이 중에 예상대로 전달되지 않거나 예상에 미치지 못했다고 언급했다.[108] Wii 출시 기간 동안 출시된 다른 타이틀에서도 비슷한 관찰이 이루어졌다. ComputerAndVideoGames.com은 "가장 두드러진 점은 첫 번째 게임들인데, 많은 게임들이 풀 모션 컨트롤의 장점보다는 장애물을 드러내는 데 더 나은 역할을 한다. ''Need For Speed [Carbon]''는 거의 플레이할 수 없고, ''Far Cry''는 모든 것을 잘못했고, ''Marvel: Ultimate Alliance''의 모션 컨트롤은 억지로 붙여진 느낌이다."라고 보도했다.[109]
Joystiq는 "출시 이후 몇 달 동안 예측할 수 없는 Wii 리모컨은 당혹스러운 이분법을 초래했다. 일부 게임은 너무 쉽고, 다른 게임은 너무 어렵다. 모든 잘못된 이유로... 더 깊은 도전을 원하는 게이머는 이해할 수 없는 컨트롤과 싸워야 한다."라고 묘사했다.[110] 비평가들은 이러한 오류가 대부분 개발자가 Wii 리모컨에 대한 경험이 부족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Electronic Gaming Monthly의 Jeremy Parish는 초기 컨트롤 구현 단계를 닌텐도 DS와 비교했다.[111] IGN의 Matt Casamassina 또한 1세대 Wii 게임이 실험 단계에 있었고 개선 가능성이 아직 활용되지 않았다고 추정했다.[112]
이후 출시된 타이틀은 컨트롤 측면에서 엇갈린 반응을 보였다. Electronic Arts의 ''Tiger Woods PGA Tour 07''에 대해 ''Game Informer''의 Matthew Kato는 컨트롤러가 "백스윙을 감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따라서 제어하기가 더 어렵다. 게임이 실수로 제 퍼팅을 해주기도 했다."라고 말했다.[113] ''GamePro''의 ''Medal of Honor: Vanguard'' 리뷰에서는 해당 타이틀이 "개발자들이 마침내 Wii 리모컨의 문제점과 특징을 해결하기 시작했다는 고무적인 신호이다."라고 평가했다.[114]
퍼스트 및 세컨드 파티 비디오 게임은 Wii 리모컨의 고유한 기능을 보다 유리하게 활용했다. 특히 ''Metroid Prime 3: Corruption''은 다른 콘솔 게임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독특한 컨트롤 방식으로 거의 만장일치로 칭찬을 받았다.[115] ''Corruption''은 Nunchuk을 사용하여 측면 이동을 하고 Wii 리모컨의 적외선 포인팅 기능을 사용하여 턴과 특수 "제스처"를 사용하여 비저를 선택한다. 다른 닌텐도 타이틀은 ''Big Brain Academy: Wii Degree''처럼 포인터와 버튼만 주로 사용하는 보다 미니멀한 접근 방식을 취하거나, ''Super Paper Mario''에서처럼 플레이어가 더 발전된 기능을 덜 강조하면서 Nintendo Entertainment System 컨트롤러와 유사하도록 컨트롤러를 옆으로 구성한다.[116]
Wii 리모컨과 Nunchuk을 합쳐 미국에서 850만 대 이상 판매되었으며, 2006년 비디오 게임 액세서리 판매에서 1, 2위를 차지했다.[117] 미국에서 Nunchuk은 2008년 1월에 375000대 판매되면서 최고의 판매량을 기록한 비디오 게임 하드웨어였으며, Wii는 274000대 판매로 최고의 판매량을 기록한 콘솔이었다.[118][119]
닌텐도의 Shinya Takahashi에 따르면, Wii 리모컨에 대한 플레이어 피드백, 특히 폼팩터 축소에 대한 피드백이 휴대용 장치로도 사용할 수 있는 더 작고 작은 컨트롤러를 가진 콘솔인 닌텐도 스위치 개발로 이어졌다.[120]
7. 기타
Wii 리모컨은 외과학 수련의[163]나 대학 등 연구 기관에서 시제품의 일부로 사용되기도 한다[164].
Wii 리모컨에는 5분 동안 아무 조작이 없으면 자동으로 전원이 꺼지는 절전 기능이 있다. 하지만, 조작 중 갑자기 Wii 본체와의 연결이 끊기고, 전원을 다시 켜도 해결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다음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다.
# Wii 본체의 전원을 끄고 AC 어댑터를 콘센트에서 뽑은 후 잠시 후 다시 꽂아 전원을 켠다.
# 사용 설명서에 따라 "홈 등록"을 다시 실행한다.
Wii 리모컨에 강한 충격이 가해지면 버튼 조작은 가능하지만 가속도 센서가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Wii 리모컨의 A 버튼과 십자 버튼 중간 부위에 가벼운 충격을 주면 해결되는 경우가 많다. 자세한 내용은 Wii 공식 사이트 Q&A를 참조하면 된다.
Wii 리모컨이 손에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부속된 전용 스트랩을 손목에 통과시켜 고정하고 게임을 플레이하는 것이 매우 권장된다. 초기형 모델명은 "RVL-018"이며, 스토퍼 부착 타입은 "RVL-018A"이다.
Wii 발매 직후, Wii 리모컨에 장착된 전용 스트랩이 플레이 중에 끊어져 텔레비전 등을 파손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에 닌텐도는 2006년 12월 15일에 교환 대상인 전용 스트랩을 리콜(무상 교환)한다고 발표했다[165][166].
교환 대상 스트랩은 2006년 12월 상순까지 출하된 약 320만 개(국내 약 37만 개)였다. 제조 번호가 LJH100419980 이전과 LJF103032000 이전의 Wii 본체에 부속된 Wii 리모컨, 초기 출하된 『처음 만나는 Wii』 부속 Wii 리모컨, 초기 출하된 별매 Wii 리모컨에 장착된 전용 스트랩으로, 끈의 굵기가 '''0.6mm'''였다. 교환 후의 전용 스트랩 및 동시기에 출하된 전용 스트랩은 끈의 굵기가 "1.0mm"로 변경되었다.
2007년 가을 이후 출하분 전용 스트랩은, 스토퍼를 고정할 수 있는 타입으로 변경되었다. 교환 신청은 전용 전화 창구 또는 전용 홈페이지에서 할 수 있으며, 2024년 현재에도 신청이 가능하다.
'''Wii 리모컨 젤'''은 Wii 리모컨에 부착하는 실리콘 고무 재질의 커버이다. 모델명은 "RVL-022"이다. Wii 리모컨 젤을 장착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 사람에게 부딪혔을 때의 충격이나 물건과의 접촉으로 인한 파손 등을 방지하거나 줄여준다.
- TV에 직접 부딪혔을 경우, TV 파손 위험을 줄여준다.
- 미끄럼 방지 효과가 있다.
- 외부 확장 커넥터를 막는 커버가 있어 먼지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 POWER 버튼 부분이 막혀 전원이 꺼지는 등의 오작동을 일으키기 어렵게 된다.
2007년10월 2일 닌텐도는 자사 홈페이지를 통해 Wii를 소유한 모든 사용자에게 Wii 리모컨 젤을 무상으로 제공한다고 발표했다[167]. 전용 전화 창구나 Wii 리모컨 젤 전용 홈페이지에서 신청이 가능했다[167]. 2014년8월 31일을 기점으로 이 처리는 종료되었으며, 이후에는 닌텐도 온라인 판매에서 유료 구매만 가능하다.
2007년 10월 중순 이후 출하되는 "Wii 본체 세트", "별매 Wii 리모컨 (단품)", 처음 만나는 Wii 팩에는 Wii 리모컨 젤이 포함되어 있다.
2006년10월에 클럽 닌텐도의 2005년도 플래티넘 회원 특전으로 '''Wii 텔레비전 리모컨'''이 증정되었다. Wii 리모컨과 똑같은 모양의 텔레비전 리모컨이며, Wii 리모컨으로 사용할 수는 없다. LED 색상은 녹색으로 되어 있어 Wii 리모컨과 구별된다.
참조
[1]
웹사이트
US Wii Price, Launch Date Revealed
http://ign.com/artic[...]
2006-09-13
[2]
웹사이트
Japanese Wii Price, Release Date Revealed
http://ign.com/artic[...]
2006-09-13
[3]
웹사이트
Wii Australian Details
http://www.nintendow[...]
2006-09-15
[4]
웹사이트
Europe Gets Wii Last
http://www.nintendow[...]
2006-09-15
[5]
웹사이트
Unearthed: Nintendo's Pre-Wiimote Prototype
https://gizmodo.com/[...]
Gizmodo
2007-08-29
[6]
웹사이트
Wii Feature: Revolution: The story of Wii - ComputerAndVideoGames.com
http://www.computera[...]
2012-11-18
[7]
웹사이트
Exclusive: Wii-mote Prototype Designer Speaks Out, Shares Sketchbook
https://gizmodo.com/[...]
Gizmodo
2007-08-30
[8]
웹사이트
The Big Ideas Behind Nintendo's Wii
http://www.businessw[...]
[9]
웹사이트
Factor 5 worked with GameCube motion controller
http://www.aussie-ni[...]
Aussie-Nintendo.com
2007-07-28
[10]
웹사이트
Wii Mailbag – January 26, 2006
http://uk.wii.ign.co[...]
IGN
2006-01-26
[11]
웹사이트
Here's our first look at Wiimote and Nunchuk prototypes for the GameCube
https://www.eurogame[...]
2018-10-28
[12]
웹사이트
Pirates come up with their own Wiimote, nunchuk
http://nintendo.joys[...]
joystiq.com
2008-06-09
[13]
웹사이트
Beware of fake Wii remotes!
http://www.randomsni[...]
randomsnippets.co.uk
2009-12-12
[14]
웹사이트
Nintendo Wii – Hardware Information
http://wii.nintendo.[...]
Nintendo
[15]
웹사이트
Wii の概要 コントローラ
https://www.nintendo[...]
Nintendo Company, Ltd.
[16]
웹사이트
Nintendo Wiimote change: before & after puberty
http://www.destructo[...]
Destructoid
2006-06-14
[17]
웹사이트
Dreamcast Prototype Insipires Revolution Controller?
http://www.racketboy[...]
racketboy.com
2005-12-29
[18]
웹사이트
IGN: Red Steel Video 1492011
http://media.wii.ign[...]
IGN
[19]
웹사이트
TGS 2005: Revolution Teaser Video
https://www.ign.com/[...]
IGN
2005-09-16
[20]
비디오 게임
Wii Sports
2006-11-19
[21]
웹사이트
Kirby Dream Collection - Instruction Booklet
https://www.nintendo[...]
[22]
웹사이트
New Play Control! Mario Power Tennis - Instruction Booklet
https://www.nintendo[...]
[23]
서적
Wii System Operation Manual
https://www.nintendo[...]
Nintendo
[24]
웹사이트
Wii Party - Instruction Booklet
https://www.nintendo[...]
[25]
웹사이트
Broken Wii Controller
http://media.wii.ign[...]
IGN
[26]
웹사이트
Customer Service > Wii > Safety Information
https://www.nintendo[...]
Nintendo
[27]
웹사이트
Jumpin' jinkies, new Wii straps
http://www.joystiq.c[...]
joystiq.com
2006-12-08
[28]
웹사이트
Nintendo Issue Replacement Wii Wrist Straps
http://www.officialn[...]
Official Nintendo Magazine
2006-12-15
[29]
웹사이트
Nintendo of America Initiates Replacement Program for Wrist Straps Used with Controllers for the Wii Video Game System
http://www.cpsc.gov/[...]
U.S. Consumer Product Safety Commission
2006-12-15
[30]
웹사이트
New Wii Wrist Straps Circulating
http://www.nintendow[...]
Nintendo World Report
2007-08-03
[31]
웹사이트
Nintendo announces new Wii Remote Jacket accessory
https://www.nintendo[...]
Nintendo
2007-09-01
[32]
서적
Wii MotionPlus Operation Manual
https://www.nintendo[...]
Nintendo
[33]
웹사이트
Wii Remote Colors
http://news.cnet.com[...]
news.com
[34]
웹사이트
Wii Quotables
http://wii.ign.com/a[...]
IGN
2006-09-14
[35]
웹사이트
Wii.com JP – Wii(クロ)
http://wii.com/jp/ar[...]
Nintendo
[36]
웹사이트
Black Wii, Red DSi Announced For Japan
http://www.gamasutra[...]
Think Services
2009-06-04
[37]
웹사이트
Nintendo Shares Summer Plans for Japan
http://ds.ign.com/ar[...]
IGN Entertainment
2009-06-04
[38]
웹사이트
Club Nintendo Goodies Episode 4
https://www.youtube.[...]
YouTube
2010-01-12
[39]
웹사이트
Nintendo Unveils ''Wii Fit Plus'' Launch Date and New Colors of Nintendo DSi, Wii Remote
http://www.businessw[...]
Nintendo of America
2009-08-31
[40]
웹사이트
New color puts Nintendo's Wii Remote and Nunchuk in the black
http://www.businessw[...]
Nintendo of America
2009-10-14
[41]
웹사이트
Nintendo announces new Pokemon spinoff, new Wiimote colors, hardware bundles at retailer event
http://nintendo.joys[...]
Weblogs, Inc.
2009-10-08
[42]
웹사이트
Nintendo unveils its video game lineup for early 2010
http://www.businessw[...]
Nintendo of America
2009-12-14
[43]
웹사이트
Nintendo.com.au – Wii Remote Colours
http://gamesites.nin[...]
Gamesites.nintendo.com.au
[44]
웹사이트
Hack: The Nintendo Wii
https://www.technolo[...]
2007-07-01
[45]
웹사이트
Nintendo and PixArt Team Up
http://www.nintendow[...]
Nintendo World Report
2006-05-13
[46]
웹사이트
Troubleshooting the Wii Remote & Sensor Bar
https://www.nintendo[...]
Nintendo
[47]
문서
Nintendo patent application 2007/0211027, Fig. 17 and pages 10–11
[48]
문서
Nintendo patent application 2007/0211026, Fig. 16 and page 13
[49]
문서
Nintendo patent application 2007/0060384, Figure 16 and paragraph 0115
[50]
문서
Termed "Pushing or Pulling" in the Wii Operations Manual, System Setup, page 25
https://www.nintendo[...]
[51]
문서
Termed "Twisting" in the Wii Operations Manual, System Setup, page 25
https://www.nintendo[...]
[52]
웹사이트
Wii Controllers: Unlocking the Secrets
https://www.ign.com/[...]
IGN
2006-07-14
[53]
웹사이트
Using two candles as a Wii Sensor Bar replacement
https://www.youtube.[...]
YouTube
[54]
웹사이트
TGS 2005: Revolution Teaser Video
http://media.cube.ig[...]
IGN
[55]
웹사이트
The Legend of Zelda: Twilight Princess
http://www.cnet.com.[...]
CNET
2006-12-12
[56]
웹사이트
Real Heroes: Firefighter Review
https://www.gamespot[...]
2009-08-19
[57]
서적
Wii Operations Manual: Channels and Settings
https://www.nintendo[...]
Nintendo
[58]
웹사이트
Wii-mote guts
http://www.sparkfun.[...]
Spark Fun Electronics
2006-12-19
[59]
웹사이트
Smash Bros. DOJO!!
http://www.smashbros[...]
Smashbros.com
[60]
서적
Club Penguin: Game Day! Manual
2010-09-21
[61]
웹사이트
周辺機器 - Wii U
https://www.nintendo[...]
[62]
웹사이트
Wii Controllers: No Recharging Yet
http://www.thewiire.[...]
The Wiire
[63]
웹사이트
What Types of Batteries Can Be Used with the Wii Remote?
https://en-americas-[...]
Nintendo
[64]
비디오 게임
The Legend of Zelda: Skyward Sword
2011-11-18
[65]
웹사이트
Wii Remote Plus coming to Japan next month
http://www.officialn[...]
Official Nintendo Magazine
[66]
웹사이트
Red Wii and DSi XL bundles, Wii Remote Plus, and FlingSmash in North America Nov. 7
http://www.joystiq.c[...]
Joystiq
[67]
웹사이트
Wii Play Gets an Unexpected Sequel
https://www.ign.com/[...]
IGN
2011-04-12
[68]
문서
E3 2011: Legend of Zelda: Skyward Sword Due End of Year; Gold Tri-Force Wii Remote Announced
https://web.archive.[...]
[69]
웹사이트
Nintendo All-Access @ E3 2012 - Nintendo's E3 Media Presentation
http://e3src.nintend[...]
[70]
문서
The Legend of Zelda: Skyward Sword Box Art, Bundle Revealed
https://www.ign.com/[...]
[71]
웹사이트
CLUB NINTENDO OFFERING UP LIMITED EDITION GOLD WII NUNCHUK!
https://web.archive.[...]
2012-08-10
[72]
웹사이트
Nintendo Announces Wii U Deluxe Set with Mario and Luigi Games Plus New Mario and Luigi Themed Controllers on the Way
http://www.biogamerg[...]
2017-12-29
[73]
웹사이트
Princess Peach Wii Remote Plus Announced For Release
https://www.hardcore[...]
2014-04-18
[74]
웹사이트
Bowser, Toad and Yoshi Wii Remote Plus Swing Toward North American Release
https://www.nintendo[...]
2015-09
[75]
웹사이트
Reports claim Wii to slap down 16 at launch
http://www.computera[...]
Computer and Video Games
2006-05-22
[76]
웹사이트
The Ultimate in PR Spin: The Perrin Kaplan Interview: Part Four
http://www.gameinfor[...]
Game Informer
2006-06-02
[77]
웹사이트
Hands-On with the Wii Controller
http://www.gamespot.[...]
2006-05-12
[78]
웹사이트
TGS 2005: Revolution Teaser Video
https://www.ign.com/[...]
IGN
2005-09-16
[79]
웹사이트
“WiiChuck” Wii Nunchuck Adapter Available
https://todbot.com/b[...]
2008-02-18
[80]
웹사이트
Retrieved April 7, 2010
https://web.archive.[...]
Ces.cnet.com
2008-01-07
[81]
웹사이트
Nintendo to set Summer '09 ablaze with Wii MotionPlus and Wii Sports Resort
https://web.archive.[...]
Nintendo of Europe
2009-04-14
[82]
웹사이트
Nintendo to Set Summer '09 Ablaze with Wii MotionPlus and Wii Sports Resort
http://www.businessw[...]
2009-04-14
[83]
웹사이트
Wii MotionPlus Hands-On
http://www.gamespot.[...]
CNET
2008-07-17
[84]
웹사이트
MEMS Gyroscope Technology
http://www.invensens[...]
InvenSense
[85]
웹사이트
Introducing Wii MotionPlus, Nintendo's upcoming accessory for the revolutionary Wii Remote
https://web.archive.[...]
Nintendo
2008-07-14
[86]
웹사이트
Satoru Iwata Announces Wii Vitality Sensor
http://arquivo.pt/wa[...]
2009-06-02
[87]
웹사이트
Nintendo Introduces New Social Entertainment Experiences at E3 Expo
http://e3.nintendo.c[...]
Nintendo of America
2009-06-02
[88]
웹사이트
Nintendo Dissatisfied With Sales Of Some Games, Dates Vitality Sensor Showcase
http://kotaku.com/54[...]
[89]
웹사이트
GameTrailers TV with Geoff Keighley
http://www.gametrail[...]
Gametrailers.com
2010-06-18
[90]
웹사이트
Ubisoft – Innergy
http://www.ubi.com/U[...]
Ubisoft
2010-06-04
[91]
웹사이트
E3 2011: Wii Vitality Sensor still alive
https://web.archive.[...]
[92]
웹사이트
Nintendo explains Wii Vitality Se
https://www.ign.com/[...]
2013-07-08
[93]
웹사이트
Nintendo explains Wii Vitality Sensor cancellation
http://www.eurogamer[...]
2013-07-05
[94]
뉴스
An interview with...Shigeru Miyamoto
https://web.archive.[...]
San Jose Mercury News
2007-07-29
[95]
웹사이트
Mario Kart Wii Review
https://www.ign.com/[...]
2008-04-20
[96]
웹사이트
Ars at E3: Nintendo shows new first-party peripherals Wii Zapper, Wheel
https://arstechnica.[...]
2007-07-11
[97]
웹사이트
Futuretronics unveils Wii Remote shell range
https://web.archive.[...]
Aussie-Nintendo.com
2006-11-17
[98]
간행물
Hacking the Nintendo Wii Remote
2008-07-15
[99]
웹사이트
Magic Wand: How Hackers Make Use Of Their Wii-motes
https://www.wsj.com/[...]
2007-04-28
[100]
웹사이트
mobiPad project
http://mobi-pad.com
[101]
웹사이트
Engineers adapt Wiimote technology to control bomb disposal robot
https://web.archive.[...]
qj.net
[102]
웹사이트
Nintendo Wii With A New Mission: Wiimote As An Interface Bridging Mind And Body
https://www.scienced[...]
Sciencedaily.com
2008-03-09
[103]
웹사이트
Autodesk Labs Utilities
http://labs.autodesk[...]
Labs.autodesk.com
[104]
웹사이트
2006 Winners
http://www.gamecriti[...]
Game Critics Awards
[105]
웹사이트
Red Steel UK Review
https://www.ign.com/[...]
IGN
2006-11-24
[106]
서적
Nintendo Power 250th issue!
Future US
[107]
웹사이트
Le Stick – The First Motion Controller
http://classicgames.[...]
About.com
2010-11-03
[108]
웹사이트
Cooking Mama: Cook Off Review
http://www.gamespot.[...]
GameSpot
2007-03-23
[109]
웹사이트
Is the novelty of Wii wearing off?
http://www.computera[...]
ComputerAndVideoGames.com
2007-02-18
[110]
웹사이트
Cooking Mama: Cook Off highlights Wii Remote issues
http://www.joystiq.c[...]
Joystiq
2007-04-02
[111]
간행물
Elebits review
2007-01
[112]
웹사이트
N-Query
http://wii.ign.com/m[...]
IGN
2006-10-18
[113]
웹사이트
Tiger Asks for a Mulligan
http://www.gameinfor[...]
Game Informer
2007-05-11
[114]
웹사이트
Review: Medal of Honor: Vanguard
http://www.gamepro.c[...]
GamePro
2007-03-28
[115]
웹사이트
Metroid Prime 3: Corruption Review
https://www.ign.com/[...]
IGN
2007-08-27
[116]
웹사이트
Super Paper Mario Review
https://www.ign.com/[...]
IGN
2007-03-05
[117]
웹사이트
NPD: 2007 U.S. Game Industry Growth Up 43% To $17.9 Billion
http://www.gamasutra[...]
Gamasutra
2008-01-18
[118]
웹사이트
NPD: Wii Wins January
http://wii.ign.com/a[...]
IGN
2008-02-14
[119]
웹사이트
What Was January's Biggest Seller?
http://kotaku.com/35[...]
Gawker Media
2008-02-15
[120]
웹사이트
The Nintendo Switch, Joy-Cons, and even Labo are the result of Wii-era feedback
https://www.gamasutr[...]
2018-02-09
[121]
웹사이트
Nintendo Sued for Patent Infringement
https://www.ign.com/[...]
IGN
2006-12-08
[122]
서적
Interlink Electronics Inc. v. Nintendo of America
https://archive.org/[...]
RECAP US Federal Court Documents
[123]
뉴스
Start-Up Says Nintendo Violated Patents
https://www.wsj.com/[...]
Wall Street Journal
2008-08-21
[124]
뉴스
Nintendo settles US trade fight over Wii
http://www.theage.co[...]
The Age
2009-08-24
[125]
뉴스
Nintendo Gets Sued Over The Wii
https://techcrunch.c[...]
2011-09-07
[126]
웹사이트
ThinkOptics Sues Nintendo Over Remote Control Patents - Law360
https://www.law360.c[...]
[127]
웹사이트
ThinkOptics, Inc v. Nintendo of America, Inc. et al
https://insight.rpxc[...]
[128]
웹사이트
A Dallas Inventor Is Suing Nintendo for Stealing His Idea for Wii U's Motion Sensors
http://www.dallasobs[...]
2013-12-16
[129]
웹사이트
Jury finds Nintendo Wii infringes Dallas inventor's patent, awards $10M
https://arstechnica.[...]
2017-09-01
[130]
웹사이트
Appeals Court Upholds iLife Patent in $10M Wii Gaming Judgment
https://www.rollings[...]
2017-12-28
[131]
웹사이트
Court overturns $10 million judgment against Nintendo's Wii Remote
https://www.vg247.co[...]
2020-01-21
[132]
뉴스
Nintendo Recalls Defective Wii Wrist Straps After Class Action Filed by Green Welling LLP
http://www.chron.com[...]
Business Wire
2006-12-16
[133]
웹사이트
Nintendo Faces New Remote Strap Lawsuit
https://kotaku.com/5[...]
2008-12-12
[134]
웹사이트
Nintendo sued over 'dangerous' Wii controllers
https://www.telegrap[...]
2008-12-12
[135]
웹사이트
Nintendo Sends Wii Safety Strap Case Packing
https://www.law360.c[...]
2010-09-24
[136]
웹사이트
The Weemote vs. Wiimote Tiff
http://www.time.com/[...]
2008-07-18
[137]
웹사이트
RC: Fobis Technologies Weemote Kids' Remote Control Review (1)
http://www.remotecen[...]
[138]
웹사이트
Small Firm's Weemote Came First, But Steamrolled by Nintendo's Wiimote
http://www.gamepolit[...]
2008-07-23
[139]
웹사이트
The Weemote vs. Wiimote Tiff - TIME
http://www.time.com:[...]
2008-08-08
[140]
웹사이트
Nintendo Comments on Weemote-Wiimote Flap; Online Retailer Pressured
http://www.gamepolit[...]
2008-07-24
[141]
뉴스
Wee bit of trouble: Nintendo can't trademark 'Wii Remote'
https://www.engadget[...]
2018-08-29
[142]
웹사이트
WII REMOTE Trademark of Nintendo of America Inc. - Registration Number 4177430 - Serial Number 77427250 :: Justia Trademarks
https://trademarks.j[...]
2018-08-29
[143]
웹사이트
社長が訊く Wii プロジェクト - Vol.2 Wii リモコン編 第2回「誰でもが平等に触れるということが前提」
https://www.nintendo[...]
任天堂
2011-02-17
[144]
문서
[145]
기타
TAKETYON’s WorkBook
http://d.hatena.ne.j[...]
[146]
간행물
ニンテンドードリーム
2006-09
[147]
간행물
ゲーマガ
2008-01
[148]
문서
[149]
기타
任天堂カンファレンス2010|社長講演|テキスト
http://www.nintendo.[...]
[150]
문서
[151]
기타
Nintendo CEO: Wii care about your heartbeat, but not your iPhone, the recession or free games
http://games.venture[...]
[152]
기타
2009年7月31日決算説明会 質疑応答
http://www.nintendo.[...]
[153]
기타
2011年4月26日(火)決算説明会 - 質疑応答
http://www.nintendo.[...]
[154]
문서
[155]
기타
2013年6月27日(木)決算説明会 - 質疑応答
https://www.nintendo[...]
[156]
문서
[157]
문서
[158]
기타
Wiiリモコンとヌンチャクをワイヤレス化するキット - 英メーカー iNSIDE
http://www.inside-ga[...]
[159]
문서
[160]
기타
[161]
기타
[162]
기타
社長が訊く『Wiiモーションプラス』
http://wii.com/jp/ar[...]
[163]
기타
Wiiでプレー 外科研修医の腕磨く (1/3ページ)
https://web.archive.[...]
[164]
기타
Wiiリモコンで水を研究 ― オランダの大学が考案
http://www.gamebusin[...]
[165]
뉴스
Wiiは「軽く振って」 任天堂社長が不具合を謝罪
http://www.sankei.co[...]
産経Web
2006-12-16
[166]
뉴스
任天堂、Wiiのストラップを無償交換
http://jp.ibtimes.co[...]
IBTimes
2006-12-16
[167]
뉴스
任天堂、Wiiリモコン保護カバーを無償提供
http://sankei.jp.msn[...]
2022-08-24
[168]
웹사이트
「使って/試してみました ゲームグッズ研究所」【第240回】 Wiiモーションプラスの機能を一体化! Wiiリモコン互換コントローラーとXbox 360用連射コントローラーを試してみた
https://game.watch.i[...]
GAME Watch
2010-10-15
[169]
웹사이트
레고の作ったWiiリモコン ― ブロック遊びとリモコンのすてきなコラボ
https://www.inside-g[...]
iNSIDE
2010-10-18
[170]
웹인용
Magic Wand:How Hackers Make Use Of Their Wii-motes
http://online.wsj.co[...]
월스트리트 저널
2007-04-28
[171]
웹인용
Unearthed: Nintendo's Pre-Wiimote Prototype
http://gizmodo.com/g[...]
Gizmodo
2007-08-30
[172]
웹인용
Exclusive: Wii-mote Prototype Designer Speaks Out, Shares Sketchbook
http://gizmodo.com/g[...]
Gizmodo
2007-08-31
[173]
웹인용
The Big Ideas Behind Nintendo's Wii
http://www.businessw[...]
BusinessWeek
2007-08-30
[174]
웹인용
Factor 5 worked with GameCube motion controller
http://www.aussie-ni[...]
Aussie-Nintendo.com
2014-07-06
[175]
웹인용
Wii Mailbag - January 26, 2006
http://uk.wii.ign.co[...]
IGN
2008-08-30
[176]
웹인용
mobiPad project
https://web.archive.[...]
2018-11-20
[177]
웹인용
Engineers adapt Wiimote technology to control bomb disposal robot
https://web.archive.[...]
qj.net
2008-05-09
[178]
웹인용
Engineers adapt Wiimote technology to control bomb disposal robot
https://web.archive.[...]
qj.net
2008-05-09
[179]
뉴스
Nintendo Wii With A New Mission: Wiimote As An Interface Bridging Mind And Body
http://www.scienceda[...]
[180]
웹사이트
Autodesk Labs Utilities
http://labs.autodesk[...]
[181]
웹인용
Pirates come up with their own Wiimote, nunchuk
https://www.webcitat[...]
joystiq.com
2009-12-18
[182]
웹인용
Beware of fake Wii remotes!
https://web.archive.[...]
randomsnippets.co.uk
2009-12-18
[183]
웹인용
Wii: Technical Details
http://www.nintendo.[...]
Nintendo of Europe
2009-02-22
[184]
웹인용
Nintendo Wii - Hardware Information
https://web.archive.[...]
Nintendo
2006-05-09
[185]
웹인용
Wii の概要 コントローラ
https://web.archive.[...]
Nintendo Company, Ltd.
2006-05-09
[186]
웹인용
Nintendo Wiimote change: before & after puberty
https://web.archive.[...]
Destructoid
2007-03-19
[187]
웹인용
Dreamcast Prototype Insipires Revolution Controller?
http://www.racketboy[...]
racketboy.com
2008-07-15
[188]
웹인용
IGN: Red Steel Video 1492011
https://web.archive.[...]
IGN
2008-07-15
[189]
웹인용
IGN: TGS 2005: Revolution Teaser Video
https://web.archive.[...]
IGN
2008-07-15
[190]
웹인용
Wii Remote Colors
https://web.archive.[...]
news.com
2006-07-15
[191]
웹인용
Wii Quotables
https://web.archive.[...]
IGN
2007-02-24
[192]
웹인용
Wii.com JP - Wii(クロ)
http://wii.com/jp/ar[...]
Nintendo
2009-06-04
[193]
웹인용
Black Wii, Red DSi Announced For Japan
http://www.gamasutra[...]
Think Services
2009-06-04
[194]
웹인용
Nintendo Shares Summer Plans for Japan
https://web.archive.[...]
IGN
2009-06-04
[195]
웹인용
Nintendo Unveils ''Wii Fit Plus'' Launch Date and New Colors of Nintendo DSi, Wii Remote
http://www.businessw[...]
Nintendo of America
2009-09-01
[196]
웹인용
New color puts Nintendo's Wii Remote and Nunchuk in the black
http://www.businessw[...]
Nintendo of America
2009-10-14
[197]
웹인용
Nintendo announces new Pokemon spinoff, new Wiimote colors, hardware bundles at retailer event
https://web.archive.[...]
Weblogs, Inc.
2009-10-14
[198]
웹인용
Nintendo unveils its video game lineup for early 2010
http://www.businessw[...]
Nintendo of America
2009-12-14
[199]
웹인용
한국닌텐도 Wii 컨트롤러 페이지
https://web.archive.[...]
2012-02-21
[200]
웹인용
Broken Wii Controller
https://web.archive.[...]
IGN
2007-02-24
[201]
웹인용
Customer Service > Wii > Safety Information
http://www.nintendo.[...]
Nintendo
2007-02-24
[202]
웹인용
Jumpin' jinkies, new Wii straps
https://web.archive.[...]
joystiq.com
2007-02-24
[203]
웹인용
Nintendo Issue Replacement Wii Wrist Straps
https://web.archive.[...]
Official Nintendo Magazine
2007-02-24
[204]
웹인용
Nintendo of America Initiates Replacement Program for Wrist Straps Used with Controllers for the Wii Video Game System
https://web.archive.[...]
U.S. Consumer Product Safety Commission
2007-02-24
[205]
웹인용
New Wii Wrist Straps Circulating
http://www.nintendow[...]
Nintendo World Report
2008-07-15
[206]
웹인용
Nintendo announces new Wii Remote Jacket accessory
https://web.archive.[...]
Nintendo
2007-12-15
[207]
웹인용
Analog Devices And Nintendo Collaboration Drives Video Game Innovation With iMEMS Motion Signal Processing Technology
http://www.analog.co[...]
Analog Devices, Inc.
2009-01-31
[208]
웹인용
Nintendo and PixArt Team Up
http://www.nintendow[...]
Nintendo World Report
2007-02-24
[209]
웹인용
Troubleshooting the Wii Remote & Sensor Bar
http://www.nintendo.[...]
Nintendo
2007-02-24
[210]
특허
Nintendo patent application 2007/0211027
[211]
특허
Nintendo patent application 2007/0211026, Fig. 16 and page 13
[212]
특허
Nintendo patent application 2007/0060384, Figure 16 and paragraph 0115
[213]
간행물
Pushing or Pulling
http://www.nintendo.[...]
Wii Operations Manual
[214]
간행물
Twisting
http://www.nintendo.[...]
Wii Operations Manual
[215]
웹인용
Wii Controllers: Unlocking the Secrets
https://web.archive.[...]
IGN
2006-07-14
[216]
웹인용
Using two candles as a Wii Sensor Bar replacement
https://www.youtube.[...]
YouTube
2006-09-24
[217]
웹인용
TGS 2005: Revolution Teaser Video
https://web.archive.[...]
IGN
2008-07-15
[218]
웹인용
STMicroelectronics Drives Gaming Revolution with Nintendo's Wii
https://web.archive.[...]
2006-05-12
[219]
웹인용
"*RUMOR* The Wii Nunchuck rumble rumor surfaces again!"
http://gonintendo.co[...]
2006-11-16
[220]
웹인용
STMicroelectronics 3-Axis MEMS Inertial Sensor
https://web.archive.[...]
UBM TechInsights
2007-10-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