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CA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PDCA는 지속적인 품질 개선을 위한 사이클로, 계획(Plan), 실행(Do), 점검(Check), 조치(Act)의 4단계로 구성된다. 이 사이클은 과학적 방법과 유사하게, 문제 해결과 개선을 위해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PDCA는 1620년 프랜시스 베이컨의 '노붐 오르가눔'에서 발전된 과학적 방법에 기반하며, W. 에드워즈 데밍에 의해 널리 알려졌다. 품질 관리, 린 생산 방식, 경영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특히 한국에서는 ISO 9001, ISO 14001, ISO 27001, ISO 45001 등 다양한 경영 시스템에 적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영학 - 의사결정
의사결정은 특정 결과를 위해 여러 선택지 중 하나를 고르는 과정으로, 불확실성, 인지적 편향, 구조에 따라 분류되며, 합리적, 비합리적 접근과 개인 및 집단 역학의 영향을 받고,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위해 객관적인 정보와 인지적 편향 인식이 중요하며, 인공지능 발전으로 윤리적 논의가 필요하다. - 경영학 - 비즈니스 인큐베이터
비즈니스 인큐베이터는 초기 단계 기업의 성장을 위해 사무 공간, 자금 조달, 멘토링, 네트워킹 등의 지원을 제공하는 기관으로, 1959년 미국에서 시작되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었으며 일자리 창출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지만 정부 지원 과다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미국의 발명품 - 텔레비전
텔레비전은 움직이는 영상과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수신 측에서 다시 영상과 소리로 바꾸는 기술을 이용한 매체로, 닙코프 원판을 이용한 초기 기계식 방식에서 음극선관 발명을 통해 전자식으로 발전하여 디지털 기술과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술 발전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사회, 문화, 경제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지만 건강 문제 및 부정적 콘텐츠 노출 등의 부작용도 존재한다. - 미국의 발명품 - 태양 전지
태양전지는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로, 기술 발전을 거듭하여 발전 효율이 크게 향상되었고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으며, 고집광 태양전지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등의 새로운 기술 개발과 투자가 지속적으로 요구되는 지속 가능한 에너지원이다.
PDCA | |
---|---|
개요 | |
이름 | 계획 (Plan) 실행 (Do) 검토 (Study/Check) 조치 (Act) |
설명 | 지속적인 개선을 위한 반복적인 프로젝트 관리 방법 |
목적 | 제품 품질 개선, 문제 해결, 지속적인 개선 |
핵심 개념 | 계획 수립 실행 및 구현 결과 측정 및 분석 개선 조치 및 표준화 |
역사 | |
기원 | 월터 슈하트의 "계획-실행-검사-조치 (Plan-Do-Check-Act)" 사이클 |
발전 | 에드워드 데밍에 의해 발전 및 대중화 |
일본에서의 활용 | 일본 기업에서 품질 관리 및 개선 도구로 널리 사용 |
단계별 설명 | |
계획 (Plan) | 목표 설정 데이터 수집 및 분석 개선 계획 수립 |
실행 (Do) | 계획 실행 데이터 수집 |
검토 (Study/Check) | 결과 분석 목표 달성 여부 확인 문제점 파악 |
조치 (Act) | 개선 방안 실행 표준화 새로운 목표 설정 |
활용 분야 | |
품질 관리 | 제품 품질 개선 공정 개선 |
프로젝트 관리 | 프로젝트 효율성 향상 위험 관리 |
문제 해결 | 원인 분석 해결 방안 모색 |
지속적인 개선 | 조직 문화 개선 성과 향상 |
장점 | |
효과적인 문제 해결 |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하고 해결 |
지속적인 개선 | 꾸준한 개선을 통해 장기적인 성과 향상 |
유연성 |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 |
데이터 기반 의사 결정 | 객관적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의사 결정 |
단점 | |
시간 소모 | 모든 단계를 거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음 |
복잡성 | 복잡한 문제에 적용하기 어려울 수 있음 |
자원 소모 | 데이터 수집 및 분석에 많은 자원이 필요할 수 있음 |
관련 개념 | |
식스 시그마 | 품질 혁신 방법론 |
린 제조 | 생산성 향상 방법론 |
카이젠 | 지속적인 개선 활동 |
OODA 루프 | 의사 결정 및 행동 모델 (관찰-지향-결정-행동) |
참고 문헌 | |
서적 | 낸시 R. 태그, 《품질 도구 상자》, ASQ 품질 출판, 2005년 마이크 로더, 《토요타 카타: 개선, 적응성, 탁월한 결과를 위한 인력 관리》, 맥그로-힐, 2010년 |
웹사이트 | 데밍 사이클 (PDCA 사이클) 및 슈하트 사이클 PDCA로 첫 걸음 내딛기 |
주의사항 | |
미국 | 미국에서는 일본 기업의 공장에서 PDCA가 사용됨 |
일본 | 일본에서는 독자적인 PDCA 서적이 많이 출판됨 |
2. 의미
PDCA의 핵심 원리는 행동과 그 결과인 피드백을 통해 이를 수정해 나가면서 목표에 접근하는 방식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는 실행(Do)과 확인(Check)이라는 시행착오를 통한 업무 개선 과정에 과학적 방법을 적용한 사례의 기반을 제공했다고 평가받는다. 이러한 대표적인 사례로는 ISO 9000 인증 절차가 있다. ISO 9000 계열인 ISO 9001은 품질경영시스템으로, 해당 조직이 재화나 용역을 고객의 요구에 맞는 품질로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17][18]
PDCA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에서 통계적 품질 관리를 강연했던 에드워즈 데밍(월터 슈하트의 제자)의 영향을 받아, 일본 과학 기술 연맹(日科技連, 일과기련)의 간부에 의해 제창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PDCA 사이클이라는 명칭은 다음 4단계의 머리글자를 딴 것이다.
# Plan ('''계획'''): 목표 달성을 위한 계획을 수립한다.
# Do ('''실행'''): 수립된 계획에 따라 업무를 수행한다.
# Check ('''평가'''): 실행 결과를 계획과 비교하여 평가한다.
# Act ('''개선'''):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문제점을 개선한다.
이 4단계를 순서대로 진행하여 한 바퀴를 돌면, 마지막 개선(Act) 단계의 결과를 다음 PDCA 사이클의 계획(Plan) 단계에 반영한다. 이 과정을 반복하며 나선을 그리듯이 각 단계의 수준을 높여(스파이럴 업, spiral up) 지속적으로 업무를 개선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래 PDCA는 공장의 QC 서클 활동 등 통계적 품질 관리(QC)의 도구로 사용되었으나, 점차 다양한 경영 활동에 적용되면서 그 한계나 문제점이 지적되기도 했다.
2. 1. Plan (계획)
PDCA 사이클의 첫 번째 단계는 '''Plan(계획)'''이다. 이 단계에서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필요한 목표와 프로세스를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기존의 실적이나 미래 예측을 바탕으로, 브레인스토밍 등을 통해 얻은 아이디어를 활용하여 계획을 수립한다.2. 2. Do (실행)
이전 계획(Plan) 단계에서 수립된 목표와 세부 계획에 따라 실제로 업무를 수행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의 실행 결과는 다음 평가(Check) 단계의 기초 자료가 된다.
2. 3. Check (점검)
Check 단계는 PDCA 사이클의 세 번째 단계로, 실행(Do) 단계에서 얻은 결과를 평가하는 과정이다.[14] 이 단계에서는 실행 중에 수집된 데이터와 실제 결과물을 면밀히 검토한다.수집된 데이터는 원래의 계획(Plan) 및 예상 결과와 비교하여 일치점과 차이점을 파악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갭 분석과 같은 기법을 활용하여 목표와 실제 성과 간의 차이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계획 단계에서 정의된 테스트 과정과 비교하여 실행 중 변경 사항이 있었는지 평가한다.
데이터를 차트 등으로 시각화하면, PDCA 사이클을 여러 번 반복 수행할 때 나타나는 추세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어떤 변경 사항이 목표 달성에 더 효과적이었는지, 그리고 추가적인 개선이 필요한 부분은 없는지 등을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된다.
Check 단계는 단순히 계획대로 실행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을 넘어, 제품이나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련 정보를 바탕으로 장기적인 방침이나 목표 달성 가능성을 평가하는 과정이기도 하다.[15] 이 단계에서 도출된 분석 결과와 인텔리전스는 다음 단계인 개선(Act) 단계에서 실질적인 조치를 취하기 위한 중요한 근거가 된다. 이는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인 스크럼의 '검사(Inspection)' 단계와 유사한 목적을 공유한다.
2. 4. Act (조치)
"조정" 또는 개선이라고도 불리는 이 단계는 프로세스를 개선하는 과정이다. 이전의 실행(Do) 및 평가(Check) 단계의 기록을 바탕으로 문제점, 부적합 사항, 개선 기회, 비효율성 등 최적의 결과에 미치지 못하는 여러 문제를 식별한다.식별된 문제들의 근본 원인을 조사하고 찾아내어, 이를 제거하도록 프로세스를 수정한다. 이 과정에서 위험을 다시 평가하기도 한다. 조치가 완료되면, 개선된 내용을 반영하여 프로세스에 대한 더 나은 지침, 표준 또는 목표를 설정한다.
이렇게 설정된 새로운 기준은 다음 PDCA 사이클의 계획(Plan) 수립 단계에 반영되어, 이전보다 향상된 기준선 위에서 새로운 계획을 시작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다음 실행(Do) 단계에서는 개선 조치를 통해 파악된 문제가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만약 문제가 반복된다면, 이는 Act 단계의 조치가 효과적이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이처럼 Act 단계는 한 사이클의 결과를 다음 사이클의 시작과 연결하여, 나선형으로 계속해서 업무 수준을 향상시키는(spiral up) 지속적인 개선 활동의 핵심적인 부분이다.
3. 역사
PDCA 개념의 뿌리는 프랜시스 베이컨이 1620년 저서 ''노붐 오르가눔''에서 제시한 과학적 방법에서 찾을 수 있다. 과학적 방법은 '가설-실험-평가' 또는 '계획-실행-평가'의 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다.[9]
월터 A. 슈하트는 통계적 품질 관리의 관점에서 제조 과정을 사양, 생산, 검사의 세 단계로 설명하며 이를 과학적 방법과 연결했다. 이는 PDCA의 초기 형태로 볼 수 있다.[8] 슈하트는 통계학자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품질을 개선하고 수요를 변화시키는 데 기여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평가 후 조치의 중요성을 강조했다.[8]
현대 품질 관리의 선구자로 평가받는 W. 에드워즈 데밍은 슈하트의 아이디어를 발전시켜 PDSA(Plan-Do-Study-Act, 계획-실행-연구-개선) 사이클을 제안했으며, 이를 "슈하트 사이클"이라고 불렀다.[5] 데밍은 PDSA 사이클이 노하우 이전 프로세스 모델[6] 등 다양한 모델 개발에 활용될 수 있다고 보았다.[7]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데밍은 일본 과학 기술 연맹(日科技連, JUSE)에서 강연하며 통계적 품질 관리와 PDSA 개념을 일본에 전파했다. 1950년대 초 그의 강연을 들은 일본인들은 이를 'Plan-Do-Check-Act'(계획-실행-평가-개선)라는 용어로 정리하여 사용하기 시작했다.[9] 일설에는 당시 강연에 참석했던 일과기련 간부가 PDCA를 처음 제창했다고도 한다. 데밍 자신은 'Check'(평가)라는 단어가 슈하트의 본래 의도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고 생각하여, 영어권에서는 'Study'(연구)를 사용하는 것을 선호했다.[10]
PDCA 사이클은 ISO 9000과 같은 국제 표준 품질 경영 시스템 인증 절차의 기반이 되었다.[17][18] 또한, 도요타 자동차를 비롯한 여러 기업에서 린 생산 방식의 핵심 도구로 활용하며 개선과 혁신을 추구하고 있다.[11] 도요타에서는 PDCA를 단순히 업무 개선 도구가 아니라, 문제 해결 능력을 갖춘 인재를 육성하는 과정("자동차를 만들기 전에 사람을 만드는 것")으로 중요하게 여긴다.[11]
PDCA의 핵심 원리는 피드백을 통한 반복적인 개선이다. 계획을 세우고 실행한 뒤, 그 결과를 평가하여 문제점을 개선하고 다음 계획에 반영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목표에 점진적으로 다가가는 것이다.[10] 데밍은 이 과정을 나선형 계단처럼 지식을 계속 쌓아나가며 궁극적인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과정으로 설명했다.[12] 이는 처음부터 완벽을 추구하기보다, 실행과 평가를 통해 배우고 꾸준히 개선해 나가는 과학적 방법의 적용이라 할 수 있다.[3]
PDCA는 가이젠과 같은 작고 빈번한 개선 활동뿐만 아니라, 때로는 큰 폭의 혁신적인 변화를 이끌어내는 데에도 적용될 수 있다.[13] PDCA와 같은 과학적 문제 해결 방식은 비판적 사고 능력을 기르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11]
4. 비판과 대안
PDCA 사이클은 본래 공장에서의 통계적 품질 관리(SQC) 도구로 개발되었으나, 점차 다양한 비즈니스 및 경영 활동 전반으로 적용 범위가 확대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확장 과정에서 PDCA의 한계와 문제점이 지적되기 시작했다. 특히, 단순하고 반복적인 업무 개선에는 효과적일 수 있지만, 예측 불가능하고 복잡하며 창의성이 요구되는 문제 해결 상황에서는 적용하기 어렵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이러한 PDCA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한 대안으로 미국 공군 대령이었던 존 보이드가 창안한 OODA 루프(Observe-Orient-Decide-Act)가 주목받고 있다. OODA 루프는 급변하는 상황 속에서 신속한 의사결정을 강조하는 전략 이론이다.
도요타 자동차는 전통적으로 PDCA 사이클을 중시하는 기업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 운영 방식은 OODA 루프에 더 가깝다는 분석도 있다. 하라다 츠토무는 도요타의 문제 해결 및 개선 활동이 형식적인 PDCA 단계를 따르기보다는, 상황을 관찰하고(Observe), 상황의 의미를 판단하며(Orient), 결단하고(Decide), 행동하는(Act) OODA 루프의 특징을 강하게 보인다고 지적한다. 흥미롭게도, OODA 루프의 창시자인 존 보이드 역시 도요타 생산 방식을 비즈니스 환경에서 자신의 기동전(Maneuver warfare) 이론이 선구적으로 구현된 사례로 높이 평가한 바 있다.
5. 한국에서의 적용과 발전
PDCA 사이클은 한국의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경영 시스템의 핵심 원리로 활용되고 있다. 이는 행동(Do)과 그 결과에 대한 확인(Check) 및 피드백을 통해 목표를 향해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는 과학적 방법에 기반한다.[17][18] 특히 ISO에서 제정한 여러 경영 시스템 표준에서 PDCA 사이클의 적용이 두드러진다.
시스템 종류 | 관련 표준 | 주요 내용 |
---|---|---|
품질경영시스템 | ISO 9001 | 고객 요구에 맞는 품질의 재화나 용역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능력 확보[17][18] |
환경경영시스템 | ISO 14001 | 환경 성과 개선을 위한 체계적 관리 |
정보보안경영시스템 | ISO/IEC 27001 | 정보 자산의 보안 관리 |
산업안전보건경영시스템 | ISO 45001 | 작업장 내 위험 요소를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평가하여 산업 재해 예방 및 안전한 작업 환경 조성 |
개인정보보호 경영 시스템 | JIS Q 15001 | 개인 정보의 체계적인 보호 및 관리 |
산업안전보건경영시스템인 ISO 45001에서는 PDCA 사이클을 활용하여 위험의 근원이 되는 사항을 특정하고, 위험성 평가를 수행함으로써 위험 감소를 지속적으로 실시하여 산업 재해 예방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개인정보보호 경영 시스템 JIS Q 15001 등에도 PDCA 사이클의 개념이 사용된다.
6. 활용
PDCA 사이클은 본래 품질 관리 분야에서 시작되었지만, 현재는 가이젠(지속적인 개선) 활동이나 혁신적인 변화를 추구하는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는 도구이다.
대표적인 활용 사례 중 하나로 ISO 9000 계열의 인증 절차를 들 수 있다. 그중 ISO 9001은 품질경영시스템에 대한 국제 표준으로, 해당 조직이 고객의 요구 사항을 만족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일관되게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었음을 보여주는 데 활용된다.[17][18]
6. 1. 과학적 방법과의 관계
PDCA의 핵심 원리는 실행(Do)과 확인(Check)이라는 시행착오 및 피드백을 통해 계획을 수정하며 목표에 접근하는 것이며, 이는 업무 개선 과정에 과학적 방법을 적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PDCA의 개념적 뿌리는 프랜시스 베이컨이 그의 저서 『노붐 오르가눔』(1620)에서 제시한 과학적 방법에 닿아있다. 과학적 방법은 '가설-실험-평가'의 순환 과정으로 요약될 수 있으며, 이는 PDCA의 '계획-실행-검토' 단계와 유사하다. 월터 A. 슈하트는 통계적 통제 하에서의 제조 과정을 사양, 생산, 검사의 세 단계로 설명하며 이를 과학적 방법의 가설, 실험, 평가와 명확히 연결했다.[8] 그는 통계학자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실질적인 조치를 취하여 제품의 품질을 개선하고 수요를 창출해야 한다고 보았다.[8]
현대 품질 관리의 선구자로 평가받는 W. 에드워즈 데밍은 슈하트의 아이디어를 발전시켰다. 그는 PDCA 대신 PDSA(Plan-Do-Study-Act, 계획-실행-연구-개선)라는 용어를 선호하며 이를 "슈하트 사이클"이라 불렀다.[5] 데밍은 '검토(Check)'보다 '연구(Study)'가 슈하트의 본래 의도, 즉 분석과 학습을 통한 이해 심화에 더 가깝다고 생각했다.[10] 1950년대 일본에서의 강연 이후, 일본인들이 이를 현재 널리 쓰이는 '계획-실행-검토-개선(PDCA)'으로 정리했다고 알려져 있다.[9]
과학적 방법과 PDCA의 근본 원리는 반복이다. 가설이 검증되거나 반증되면, 그 결과를 바탕으로 다시 사이클을 시작하여 지식을 점진적으로 확장해 나간다. PDCA 사이클을 반복함으로써 사용자는 목표 상태, 이상적으로는 완벽한 운영 및 결과물에 점차 가까워질 수 있다.[10] 이는 마치 나선형 계단처럼, 각 사이클을 거칠 때마다 시스템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지고 목표에 더 근접하는 과정으로 시각화될 수 있다.[12] 이러한 접근 방식은 처음에는 지식과 기술이 부족할 수 있지만, 지속적인 학습과 개선을 통해 발전할 수 있다는 믿음에 기반한다. 따라서 처음부터 완벽을 추구하다 "분석 마비"에 빠지기보다는, 일단 실행하고 피드백을 통해 배우며 점차 개선해 나가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3]
PDCA(및 다른 과학적 문제 해결 방식)는 단순히 업무 절차를 넘어 비판적 사고를 개발하는 시스템으로도 인식된다. 도요타 자동차에서는 이를 "자동차를 만들기 전에 사람을 만드는 것"이라는 철학으로 표현하기도 한다.[11] 도요타를 비롯한 린 생산 기업들은 PDCA를 활용하여 직원들의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우고, 이를 통해 지속적인 혁신과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고 본다.[11] PDCA는 가이젠(지속적인 작은 개선)뿐만 아니라 때로는 큰 폭의 혁신적 개선을 이끌어내는 데에도 활용될 수 있다.[13][3]
6. 2. 린 생산 방식과의 관계
PDCA는 비판적 사고를 개발하는 시스템으로도 알려져 있다. 도요타 자동차에서는 이를 "자동차를 만들기 전에 사람을 만드는 것"으로 표현하기도 한다.[11] 도요타 자동차 및 다른 린 생산 방식을 채택하는 기업들은, 비판적 사고 문화를 바탕으로 PDCA를 활용하는 참여적 문제 해결 인력이 중요하다고 본다. 이러한 인력은 엄격한 문제 해결과 그에 따른 혁신을 통해 기업이 경쟁에서 앞서 나갈 수 있도록 돕는다고 여겨진다.[11]도요타 자동차는 전통적으로 PDCA 사이클을 중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原田 勉|하라다 츠토무일본어는 동사의 "PDCA 사이클"이 실질적으로 OODA 루프에 가깝다고 지적하고 있다. 또한 OODA 루프와 그 응용으로서의 기동전 이론의 고안자인 미국 공군의 존 보이드 대령도, PDCA 사이클의 예인 일본의 도요타 생산 방식에 대해, 비즈니스에서 기략전 이론을 선취한 예라고 언급하고 있다.
참조
[1]
서적
The quality toolbox
ASQ Quality Press
2005
[2]
웹사이트
Shewhart's Learning and Deming's Quality Cycle
http://www.foresight[...]
[3]
서적
Toyota kata: managing people for improvement, adaptiveness, and superior results
McGraw-Hill
2010
[4]
웹사이트
18.2.1 The Deming Cycle (PDCA Cycle) and the Shewhart Cycle
https://opess.ethz.c[...]
2023-04-17
[5]
간행물
'Expert Answers: April 2021 {{!}} ASQ'
https://asq.org/qual[...]
[6]
간행물
Transfer of know-how based on learning outcomes for development of open innovation
2017-12
[7]
웹사이트
How do you design?: a compendium of models
http://www.dubberly.[...]
2017-10-21
[8]
서적
Statistical method from the viewpoint of quality control
Dover
[9]
서적
Out of the crisis
https://archive.org/[...]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Center for Advanced Engineering Study
[10]
웹사이트
Evolution of the PDCA cycle
http://www.westga.ed[...]
Paper delivered to the Asian Network for Quality Conference in Tokyo on September 17, 2009
2011-10-01
[11]
서적
The Toyota way: 14 management principles from the world's greatest manufacturer
https://archive.org/[...]
McGraw-Hill
[12]
웹사이트
PDSA Cycle - The W. Edwards Deming Institute
https://deming.org/e[...]
2023-11-30
[13]
문서
https://www.agileall[...]
[14]
문서
"図2 ... PDCAサイクルとの関係 ... パフォーマンス評価 Check" p.3 of [[ISO 9000#ISO 9000シリーズの制定と改訂|JIS Q9001]]
[15]
문서
"方針,目標,要求事項及び計画した活動に照らして,プロセス並びにその結果としての製品及びサービスを監視し,(該当する場合には,必ず)測定し,その結果を報告する。" p.4 of [[ISO 9000#ISO 9000シリーズの制定と改訂|JIS Q9001]]
[16]
웹인용
Taking the First Step with PDCA
http://www.bulsuk.co[...]
2009-02-02
[17]
웹사이트
한국표준협회- ISO 9001(품질경영시스템) 인증이란?
https://www.ksa.or.k[...]
[18]
웹사이트
한국생산성본부인증원-ISO9001
http://www.kpcqa.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